KR102129991B1 -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991B1
KR102129991B1 KR1020180106462A KR20180106462A KR102129991B1 KR 102129991 B1 KR102129991 B1 KR 102129991B1 KR 1020180106462 A KR1020180106462 A KR 1020180106462A KR 20180106462 A KR20180106462 A KR 20180106462A KR 102129991 B1 KR102129991 B1 KR 10212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vacuation
supply pipe
oxygen
evacu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150A (ko
Inventor
문종설
김태순
김광홍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9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에 있어서, 화재 구역 내에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방화수분사부; 및 상기 대피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화수분사부는, 방화수를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하며, 상기 미분무수는 형광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수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 및 상기 제1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1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배관과 상기 제1노즐은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산소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 및 상기 제2공급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배관과 상기 제2노즐은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대피 공간의 내부 기체 농도를 측정하는 기체농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체농도측정부는 상기 대피 공간 내부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농도를 측정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대피 공간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유도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식별부는 조명, 유도등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대피공간은, 상제 제1노즐이 통로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재 대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APPARATUS FOR EVACUATING FROM FIRE AND METHOD FOR EVACUATING FROM FIRE}
본 발명은 화재사고에 대비한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사람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사고에 대비한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및 폭발 사고는 재산뿐만 아니라 인명까지도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화재 및 폭발 발생 시 인명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화재 대피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더욱이 사람이 상주하는 건물 및 공간 내에서의 화재 및 폭발 사고는 재산의 손실에 비해 사람이 입는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으며, 소방 설비에 따른 화재의 진압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발전소 내 방사능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심층방호 설계를 적용한 소방 설비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소방 설비(이산화탄소 사용)의 사용은 발전소 내 화재에 따른 인명피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화재가 크게 나거나 여러 곳에서 동시다발 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화재를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막히거나 대피공간을 찾을 수 없게 되어 인명의 손실은 불가피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건물 내 고립된 공간 내부 및 대피 경로의 건전성을 향상하고, 안전한 대피 경로와 충분한 대피 시간을 확보하며, 화재와 질식으로부터 인명피해를 막아줄 수 있는 화재 대피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9867호 (2018년 02월 09일 등록)
본 발명은 화재사고에 대비한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내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에 있어서, 화재 구역 내에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방화수분사부; 및 상기 대피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화재 대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화수분사부는, 방화수를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하며, 상기 미분무수는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수분사부는, 상기 방화수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 및 상기 제1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1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배관과 상기 제1노즐은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산소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 및 상기 제2공급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배관과 상기 제2노즐은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대피 공간의 내부 기체 농도를 측정하는 기체농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체농도측정부는 상기 대피 공간 내부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상기 대피 공간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유도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식별부는 조명, 유도등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대피공간은, 상제 제1노즐이 통로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건물 내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대피 방법에 있어서, 화재 구역으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을 인식하는 단계; 화재 발생으로 인식한 경우, 방화수를 분사하여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피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대피 공간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유도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대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구역 내에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화재 대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대피공간과 화재 구역의 물리적 차단이 가능하게 하며, 대피 공간 내부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질식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대피 공간 형성 및 내부 산소 공급은 실제 화재 발생 시 화재 대피를 위한 화재 대피 경로와 대피 시간을 확보 할 수 있게 해주며, 결과적으로 화재 대피에 따른 생존 시간 증가 및 생존 확률을 높이게 됨으로써 인명피해를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이용한 화재 대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 장치(10)는 방화수분사부(100), 산소공급부(200), 기체농도측정부(300) 및 유도식별부(400)를 포함한다.
방화수분사부(100)는 화재 구역(F) 내에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 공간(E)을 형성한다.
여기서 화재 구역(F)은 화재가 발생된 지역으로서 화염 및 유독가스가 공기 중에 산재해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사람이 화재 구역(F)에 오래 있을 경우 화염에 의한 피해를 입거나 질식사 할 수 있다.
대피 공간(E)은 화재 구역(F)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독립된 공간으로써, 사람이 화재로부터 긴급히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워터 커튼은 대피 공간(E)의 경계면에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워터 커튼이 방화수의 분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다른실시예에서는 고정되어 있는 구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방화수분사부(100)는 방화수를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하며, 분사되는 미분무수의 크기는 1000마이크론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방화수분사부(100)에서의 미분무수의 분사로 인하여, 워터 커튼이 형성되며, 형성된 워터 커튼에 의해 대피 공간(E)은 화재 구역(F)으로부터 구분된다.
또한, 미분무수는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물질이 포함된 미분무수는 유도 대피 식별 능력을 갖고 있으며, 화재 발생 시 미분무수에 포함되어 있는 형광물질이 불빛에 반사되어 워터 커튼이 더 잘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형광물질에 의해 사람이 직접 눈으로 대피 공간(E)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되며, 화재 구역(F)으로부터 대피 공간(E)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다.
방화수분사부(100)는 방화수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110) 및 제1공급배관(1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1노즐(120)을 포함한다.
제1공급배관(110)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방화수는 제1노즐(120)을 통해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워터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제1공급배관(110)과 제1노즐(120)은 대피 공간(E) 내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설치된 제1공급배관(110) 및 제1노즐(120)의 닫힌 루프 형태가 사각형 형태이나, 다른실시예에서는 동그란 형태 또는 다각형의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노즐(120)은 제1공급배관(11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 개수는 제1공급배관(110)의 길이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공급배관(110) 및 제1노즐(120)은 열에 강한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고온의 열로부터 보호되도록 발열 코팅이 추가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산소공급부(200)는 대피 공간(E)에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공급부(200)는 산소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210) 및 제2공급배관(2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2노즐(220)을 포함한다. 제2공급배관(210)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산소는 제2노즐(220)을 통해 공급된다.
제2공급배관(210)과 제2노즐(220)은 대피 공간(E) 내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설치된 제2공급배관(210) 및 제2노즐(220)의 닫힌 루프 형태가 사각형 형태이나, 다른실시예에서는 동그란 형태 또는 다각형의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노즐(220)은 제2공급배관(21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 개수는 제2공급배관(210)의 길이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공급배관(210) 및 제2노즐(220)은 열에 강한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고온의 열로부터 보호되도록 발열 코팅이 추가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기체농도측정부(300)는 대피 공간(E)의 내부 기체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기체농도측정부(300)는 대피 공간(E) 내부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농도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 결과에 따라 산소 농도가 부족할 시 산소공급부(200)를 통해 산소가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체농도측정부(300)가 대피 공간(E)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유도식별부(400)는 화재 발생 시 대피 공간(E)으로 대피를 유도하게 된다.
유도식별부(400)는 조명, 유도등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식별부(400)가 대피 공간(E)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대피 공간(E)이 아닌 화재 구역(F)에 설치될 수도 있다.
유도식별부(400)의 경우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물질은 불빛에 반사되어 대피 공간(E)의 위치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피하는 사람이 직접 눈으로 대피 공간(E)을 발견하여, 화재 구역(F)으로부터 대피 공간(E)으로 신속히 피할 수 있는 도움을 주게 된다.
위와 같이 화재 대피 장치(10)는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 공간(E)을 제공함으로써, 대피 공간(E)과 화재 구역(F)의 물리적 차단이 가능하게 하며, 대피 공간(E) 내부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질식을 방지한다.
또한 대피 공간(E) 형성 및 내부 산소 공급은 실제 화재 발생 시 화재 대피를 위한 화재 대피 경로와 대피 시간을 확보 할 수 있게 해주며, 결과적으로 화재 대피에 따른 생존 시간 증가 및 생존 확률을 높이게 됨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을 통해 건물 내 화재 사고에 따른 화재 대피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이용한 화재 대피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화재 구역(F)으로부터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S1)
화재인식은 화염감지기, 연기감지기, CCTV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 발생으로 인식한 경우, 화재 구역(F) 내에 사람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2)
이 후 방화수를 분사하여 대피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S3)
방화수 분사는 방화수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110) 및 제1공급배관(1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1노즐(120)을 포함하고 있는 방화수분사부(100)를 통해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되며, 미분무수는 형광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미분무수가 분사된 대피 공간(E)에는 워터 커튼에 의해 화재 구역(F)과 대피 공간(E) 사이에 경계면을 형성하고, 경계면은 대피 공간(E)을 화재 구역(F)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어 준다.
다만, 대피 공간(E) 형성은 사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수행된다.
다음으로, 방화수에 의해 대피 공간(E)이 형성되고 난 이후, 대피 공간(E)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S4)
산소공급은 산소공급부(200)를 통해 이루어지며, 산소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210) 및 제2공급배관(2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2노즐(220)을 통해 대피 공간(E)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대피 공간(E) 내부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기쳬농도측정부(300)가 작동될 수 있으며, 만약 산소 농도가 부족할 시 산소공급부(200)를 통해 산소가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산소공급부(200)를 통해 산소가 공급된 이후 유도식별부(400)를 통해 대피 공간(E)으로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신호가 발생된다.(S5)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피 공간 형성(S3), 산소공급(S4), 유도신호 발생(S5)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유도신호는 조명, 유도등 및 스피커를 통해 발생될 수 있으며, 형광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물에 의해서도 유도신호 발생이 가능하다.
유도신호에 의해 대피 공간(E)으로의 대피 유도가 가능해 지며, 화재 구역(F)으로부터 피해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대피 장치(10)는 방화수분사부(100)에 의해 화재 구역(F) 내에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 공간(E)이 통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 형태의 대피 공간(E) 내부에는 산소공급부(200), 기체농도측정부(300) 및 유도식별부(400)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방화수분사부(100)는 방화수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110) 및 제1공급배관(1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1노즐(120)을 포함하며, 제1공급배관(110)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된 방화수는 제1노즐(120)을 통해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워터 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산소공급부(200)는 산소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210) 및 제2공급배관(210)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2노즐(220)을 포함하며, 제2공급배관(210)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된 산소는 제2노즐(220)을 통해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방화수분사부(100) 및 산소공급부(200)는 통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 대피 공간(E)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장의 정도는 대피 공간(E)의 면적 및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피 공간(E)의 내부 기체 농도를 측정하는 기체농도측정부(300) 및 화재 발생 시 대피 공간(E)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유도식별부(400)는 대피 공간(E) 내부에 배치된다.
기체농도측정부(300) 및 유도식별부(400)는 대피 공간(E)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는 대피 공간(E)의 형태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건물 내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에 있어서,
    화재 구역 내에 워터 커튼으로 둘러싸인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방화수분사부; 및
    상기 대피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화수분사부는,
    방화수를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하며, 상기 미분무수는 형광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수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 및
    상기 제1공급배관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1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배관과 상기 제1노즐은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산소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 및
    상기 제2공급배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배관과 상기 제2노즐은 닫힌 루프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대피 공간의 내부 기체 농도를 측정하는 기체농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체농도측정부는 상기 대피 공간 내부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농도를 측정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대피 공간으로 대피를 유도하는 유도식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식별부는 조명, 유도등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대피공간은,
    상제 제1노즐이 통로 형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화재 대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06462A 2018-09-06 2018-09-06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KR10212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62A KR102129991B1 (ko) 2018-09-06 2018-09-06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62A KR102129991B1 (ko) 2018-09-06 2018-09-06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50A KR20200028150A (ko) 2020-03-16
KR102129991B1 true KR102129991B1 (ko) 2020-07-03

Family

ID=6994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62A KR102129991B1 (ko) 2018-09-06 2018-09-06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9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901Y1 (ko) * 2006-02-24 2006-05-10 주식회사 연백정공 계단 핸드레일을 이용한 피난유도시스템
KR100715716B1 (ko) * 2007-02-21 2007-05-08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KR101887029B1 (ko) * 2017-12-15 2018-08-09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670A (ja) * 1998-05-25 1999-12-07 Maruyama Mfg Co Ltd ポンプ側情報をノズル側に伝達する送液装置
KR101829867B1 (ko) 2016-04-20 2018-03-29 한국과학기술원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KR20170139961A (ko) * 2016-06-10 2017-1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탈출로의 시야 확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901Y1 (ko) * 2006-02-24 2006-05-10 주식회사 연백정공 계단 핸드레일을 이용한 피난유도시스템
KR100715716B1 (ko) * 2007-02-21 2007-05-08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지붕 구조물
KR101887029B1 (ko) * 2017-12-15 2018-08-09 주식회사 자람앤수엔지니어링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50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2168693B1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JP4160080B2 (ja) プール火災の消火方法及び消火用ノズル
EA003106B1 (ru)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US9757602B2 (en) Flame mitigation device and system
KR102129991B1 (ko)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KR101997696B1 (ko)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20220031535A (ko) 연기, 유독가스 동시 제거형 천장 은폐식 다기능 스프링클러 장치
JP6509709B2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JP7446522B2 (ja) 煙、有毒ガス同時除去型天井隠蔽式多機能スプリンクラー装置
KR20070094465A (ko) 액면 화재의 소화 방법
JP2009125235A (ja) 消火方法及び消火装置
CN212466906U (zh) 一种建筑外墙自动灭火系统
KR20080097277A (ko) 지하공동구내 활선부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JP6125911B2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KR101900296B1 (ko) 자연발화 및 금수성 물질 보관 케이스 및 이를 갖는 발화 감지 시스템
RU2506103C1 (ru) Способ рассеивания газового облака, образующегося при утечке из наземной ем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8347018U (zh) 一种危险品中间库
JP2020139376A (ja) 防災設備
CN209427419U (zh) 一种丁二烯的储存装置
RU2484862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объекта от пожарной опасности
KR102396887B1 (ko) 고층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KR200383601Y1 (ko) 방호구역에 맞도록 노즐구멍이 형성된 분무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