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066B1 -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066B1
KR102245066B1 KR1020200009572A KR20200009572A KR102245066B1 KR 102245066 B1 KR102245066 B1 KR 102245066B1 KR 1020200009572 A KR1020200009572 A KR 1020200009572A KR 20200009572 A KR20200009572 A KR 20200009572A KR 102245066 B1 KR102245066 B1 KR 10224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ffee
hole
uni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윤
Original Assignee
박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윤 filed Critical 박지윤
Priority to KR102020000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47J31/085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to be used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이 제공된다. 커피 추출 방법은,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추출부에 분쇄된 원두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제1 추출부에 제1 압력을 가하여 제1 필터부를 통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와, 제1 추출부 하부에 배치되며,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2 추출부에서 제1 커피를 수용하는 단계 및 제2 필터부에서 중력을 통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홀을 포함하고,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홀을 포함하며, 제1 압력은 상기 중력보다 크고, 제1 필터홀은 상기 제2 필터홀보다 크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EXTRACTING APPARATUS FOR COFFEE AND EXTRA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종자인 커피원두를 원료로 한 기호음료로,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음용되고 있으며, 커피는 뇌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하는 카페인의 강한 각성작용 때문에 일부 수험생이나 야간 장거리 운전자들이 자주 마시게 되며, 등산이나 야외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빼놓을 수 없는 기호품이 되어있다.
또한 국내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와 커피산업의 확장으로 말미암아 커피가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현대사회에서 커피는 카페인의 긍정적, 부정적 요인과는 상관없이 사회생활시 관계형성을 위한 보편적인 소통수단의 도구가 되어 있다.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방법과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브루잉 커피 추출 방법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방법은 고압으로 추출하여 추출 시간이 짧고, 진한 향과 맛이 강렬한 특징이 있으나, 커피 기름(크레마)이 남아 원두 본연의 맛을 변질시키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크레마는 에스프레소에서 음용 시 촉감 등의 장점을 갖지만, 아메리카노에서는 이와 같은 장점이 발현되지 않는다. 실제 아메리카노에서 크레마만을 떠서 음용 시 거칠고 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루잉 커피의 경우 맛이 깔끔하나,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며 브루잉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일관된 맛을 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루잉 커피가 가진 깔끔함과 에스프레소 커피가 가진 향기 및 고형성분마저 발현할 수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은,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추출부에 분쇄된 원두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추출부에 제1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추출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2 추출부에서 상기 제1 커피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필터부에서 중력을 통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압력은 상기 중력보다 크고, 상기 제1 필터홀은 상기 제2 필터홀보다 크다.
상기 제2 필터홀의 면적은 상기 제1 필터홀의 면적의 0.2배 내지 0.7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은 8 bar 내지 10bar 일 수 있다.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1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홀보다 큰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홀 내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추출부는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1 필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제3 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3 홀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은,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추출부에 분쇄된 원두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추출부에 제1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추출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2 추출부에서 상기 제1 커피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부에 상기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2 필터부를 통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홀은 상기 제2 필터홀보다 크다.
상기 제2 필터홀의 면적은 상기 제1 필터홀의 면적의 0.2배 내지 0.7배일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은 8bar 내지 10bar일 수 있다.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1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홀보다 큰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분쇄된 원두 및 상기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홀에 삽입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추출부에 상기 제1 커피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을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제2 추출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1 바디부를 포함하는 제1 추출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제2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바디와, 상기 제1 필터바디에 형성된 제1 필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바디와, 상기 제2 필터바디에 형성된 제2 필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는 제1 방향으로 중첩하되, 상기 제1 필터홀의 면적은 상기 제2 필터홀의 면적보다 크다.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하부에 상기 제2 필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필터홀의 길이는 0.25 mm 내지 0.4mm이며, 상기 제2 필터홀의 길이는 0.1 mm 내지 0.2mm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홀 및 상기 제2 필터홀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는, 제1 부분과,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홀 내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추출부 하부에 위치하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2 필터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제3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제3 홀을 통과하되, 상기 수평부는 상기 받침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 상기 제1 추출부가 안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브루잉 커피가 가진 깔끔함과 에스프레소 커피가 가진 향기 및 고형성분마저 발현할 수 게 된다.
또한, 커피를 추출하는 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누구나 고품질의 커피를 일관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를 따라 자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B-B’를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B-B’를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추출부에 분쇄된 원두를 투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추출부에 제1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필터부를 통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커피가 제2 추출부로 이동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2 필터부를 통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2 커피 추출 완료 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의 커피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피 추출 장치(EP)는 제1 추출부(EP1) 및 제2 추출부(EP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추출 장치(EP) 하단에는 추출된 커피를 담는 용기(C)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구성이며, 커피 추출 장치(EP)의 구성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우측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의미하고, 좌측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상부는 제2 방향(Y축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커피 추출 장치(EP)를 구성하는 제1 추출부(EP1)는 제2 추출부(EP2)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부(EP1)와 제2 추출부(E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추출부(EP1)와 제2 추출부(EP2)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와 제2 추출부(E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지 않고 부착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추출부(EP1)와 제2 추출부(EP2)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는 수동식 추출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부(EP1)는 사람의 손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져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는 자동식 추출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부(EP1)는 전기로 동작하는 자동식 장치로 이루어져 동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추출부(EP1)는 제1 바디부(BP1)와 제1 필터부(FP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BP1)와 제1 필터부(FP1)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바디부(BP1)에는 커피 원두 및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FP1)는 제1 바디부(BP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FP1)는 제1 바디부(BP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제1 커피는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FP1)는 제1 바디부(BP1)의 하면에 조립될 수 있는 구성으로, 부착 및 탈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추출부(EP2)는 제2 바디부(BP2)와 제2 필터부(FP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BP2)와 제2 필터부(F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바디부(BP2)에는 제1 추출부(EP1)에서 추출된 커피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부(FP2)는 제2 바디부(BP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부(FP2)는 제2 바디부(BP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필터부(FP2)를 통하여 제2 바디부(BP2)에 수용된 제1 커피는 제2 커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부(FP2)는 제2 바디부(BP2)의 하면에 조립될 수 있는 구성으로, 부착 및 탈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추출부(EP1) 및 제2 추출부(EP2)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압력(pressure)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부(EP1)의 내부에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제2 추출부(EP2)의 내부에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의 내부에는 8bar 내지 10bar사이의 제1 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제2 추출부(EP2)의 내부에는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압력은 중력(gravity)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추출부(EP1) 내부에 제1 압력을 가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커피가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하면, 제2 추출부(EP2) 내부에 제2 압력을 가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커피 및 제2 커피의 추출 방법은 차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제1 필터부(FP1)와 제2 필터부(F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필터부(FP1)와 제2 필터부(F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부(FP1)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필터부(FP2)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부(FP1)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필터부(FP2)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부(FP1)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필터부(FP2)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제1 추출부(EP1)가 수동식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추출부(EP1)는 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추출부(EP1)는 제1 바디부(BP1)와 제1 필터부(FP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바디부(BP1)는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1)은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ELP)는 비탄성부(NELP)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부(ELP)는 비탄성부(NELP)의 하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ELP)는 비탄성부(NELP)의 하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는 서로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탄성부(ELP)는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elasticity)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탄성부(NELP)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이 없거나 굉장히 작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탄성부(NELP)는 제1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탄성부(NELP)는 원기둥 형상을 갖되 중심부에 제1 홀(H1)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홀(H1)의 상부는 개방되되, 제1 홀(H1)의 하부는 탄성부(ELP)에 의해 막힌 구조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탄성부(NELP)에는 제1 홀(H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가 동일한 원기둥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 모두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의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탄성부(NELP)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탄성부(ELP)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비탄성부(NELP)가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탄성부(ELP)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ELP)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비탄성부(NELP)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고, 탄성부(ELP)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비탄성부(NELP)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도 있다.
제2 부분(P2)은 제1 부분(P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P2)은 제2 홀(H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홀(H2)은 제1 홀(H1)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홀(H2)은 제1 부분(P1)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홀(H2)에 의하여 제1 부분(P1)이 삽입 및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홀(H2)은 제1 부분(P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부분(P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P1)의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의 형상이 다른 경우, 제2 홀(H2)은 제1 부분(P1)의 탄성부(ELP)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P2)은 하부에 제1 필터부(FP1)가 용이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부분(P2)의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분(P2)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분(P2)은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P2)의 형상과 제2 홀(H2)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P2)의 하부에는 제1 필터부(FP1)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필터부(FP1)는 제2 부분(P2)의 하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부(FP1)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부분(P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필터부(FP1)는 제2 부분(P2)의 하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분(P2)의 하부와 제1 필터부(FP1) 사이에는 추가적인 구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필터부(FP1)가 제2 부분(P2)의 하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분쇄된 원두 및 물이 제2 부분(P2)의 제2 홀(H2) 내에 투입될 수 있고, 제2 부분(P2)의 제2 홀(H2)에 분쇄된 원두 및 물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부분(P1)을 제2 부분(P2)의 제2 홀(H2) 내에 삽입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부분(P2)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압력의 증가로 제1 필터부(FP1) 하부로 제1 커피가 추출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필터부(FP1)는 제1 필터바디(FB1)와 제1 필터홀(FH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바디(FB1)에 복수의 제1 필터홀(F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홀(FH1)은 제1 필터바디(FB1)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필터홀(FH1)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바디(FB1)의 상면(S1)에 형성된 제1 필터홀(FH1)의 길이인 제1 길이(D1)보다 제1 필터바디(FB1)의 하면(S2)에 형성된 제1 필터홀(FH1)의 길이인 제2 길이(D2)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길이(D1)는 0.25 mm 내지 0.4mm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필터홀(FH1)의 형상은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홀(FH1)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필터홀(FH1) 각각의 제1 길이(D1)는 0.25 mm 내지 0.4mm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복수의 제1 필터홀(FH1) 각각의 제2 길이(D2)도 제1 길이(D1)보다 큰 범위에서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바디(FB1)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필터바디(FB1)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 종이(paper) 재질 등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이면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추출부(EP2)는 제2 바디부(BP2)와 제2 필터부(F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BP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바디부(BP2)는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B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BP2)의 상부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디부(BP2)의 상부 끝단을 외측으로 절곡시키는 경우, 제1 추출부(EP1)가 제2 바디부(BP2)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추출부(EP1)와 제2 바디부(BP2)가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되거나, 제1 추출부(EP1)와 제2 바디부(BP2)가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2 바디부(BP2)의 상부 끝단은 이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바디부(BP2)는 세라믹(ceramic)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바디부(BP2)는 제3 홀(H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홀(H3)은 제2 홀(H2)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홀(H3)의 크기는 제2 홀(H2)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도 있다. 제3 홀(H3)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홀(H3)은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BP2)의 형상과 제3 홀(H3)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부(BP2)의 제3 홀(H3)은 제1 필터부(FP1)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바디부(BP2)의 하부에는 제2 필터부(FP2)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필터부(FP2)는 제2 바디부(BP2)의 하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필터부(FP2)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바디부(BP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필터부(FP2)는 제2 바디부(BP2)의 하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BP2)의 하부와 제2 필터부(FP2) 사이에는 추가적인 구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필터부(FP2)가 제2 바디부(BP2)의 하면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필터부(FP1)를 통과한 커피가 제2 바디부(BP2)의 제3 홀(H3) 내에 투입되고, 중력에 의하여 제2 필터부(FP2) 하부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BP2)에는 제2 부분(P2)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가압에 의해서 제2 바디부(BP2)의 제3 홀(H3) 내에 위치한 커피가 제2 필터부(FP2) 하부로 추출될 수 있게 된다. 제2 바디부(BP2)의 가압은 제1 부분(P1)을 제2 부분(P2)의 제2 홀(H2) 내에 삽입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B-B’를 따라 자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필터부(FP2)는 제2 필터바디(FB2)와 제2 필터홀(FH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에 복수의 제2 필터홀(F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홀(FH2)은 제2 필터바디(FB2)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필터홀(FH2)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의 상면(S3)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의 길이인 제3 길이(D3)보다 제2 필터바디(FB2)의 하면(S4)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의 길이인 제4 길이(D4)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길이(D3)는 제1 필터바디(FB1)의 상면(S1)에 형성된 제1 필터홀(FH1)의 길이인 제1 길이(D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길이(D3)는 0.1 mm 내지 0.2mm일 수 있다. 또한, 제4 길이(D4)는 제1 필터바디(FB1)의 하면(S2)에 형성된 제1 필터홀(FH1)의 길이인 제2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필터홀(FH2)의 형상은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필터홀(FH2)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필터홀(FH2) 각각의 제3 길이(D3)는 0.1 mm 내지 0.2mm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복수의 제2 필터홀(FH2) 각각의 제4 길이(D4)도 제3 길이(D3)보다 큰 범위에서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필터바디(FB2)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필터바디(FB2)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 종이(paper) 재질 등 이면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는 제2 바디부(BP2_1)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추출부(EP2_1)는 제2 바디부(BP2_1)와 제2 필터부(F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BP2_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부(BP2_1)는 제3 홀(H3_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홀(H3_1)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2 바디부(BP2_1)의 제3 홀(H3_1)에 수용되는 커피가 제2 필터부(FP2)로 갈수록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면적이 좁아짐으로써 압력 및/또는 중력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3 홀(H3_1)에 수용되는 커피를 제2 필터부(FP2) 하부로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필터부(FP2)가 배치되는 제3 홀(H3_1) 하단의 면적이 축소되어 제2 필터부(FP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3 홀(H3_1) 상단의 면적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홀(H2)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3 홀(H3_1) 하단의 면적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홀(H2)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는 제2 바디부(BP2_2)가 사각 형상을 가지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추출부(EP2_2)는 제2 바디부(BP2_2)와 제2 필터부(FP2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BP2_2)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바디부(BP2_2)는 제3 홀(H3_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홀(H3_2)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부(BP2_2)의 하부에는 제2 필터부(FP2_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필터부(FP2_1)는 제2 바디부(BP2_2)의 하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BP2_2)의 형상에 따라 제2 필터부(FP2_1)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BP2_2)의 사각 형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홀(H3_2)의 사각 형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B-B’를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제2 필터부(FP2)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_1)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필터부(FP2)는 제2 필터바디(FB2_1)와 제2 필터홀(FH2_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_1)에 복수의 제2 필터홀(FH2_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홀(FH2_1)은 제2 필터바디(FB2_1)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필터홀(FH2_1)의 단면은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_1)의 상면(S3)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_1)의 길이인 제3 길이(D3)와 제2 필터바디(FB2_1)의 하면(S4)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_1)의 길이인 제4 길이(D4)는 동일할 수 있다.
제3 길이(D3) 및 제4 길이(D4)는 제1 필터바디(FB1)의 상면(S1)에 형성된 제1 필터홀(FH1)의 길이인 제1 길이(D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길이(D3) 및 제4 길이(D4)는 0.1 mm 내지 0.2mm일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B-B’를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제2 필터부(FP2)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_2)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필터부(FP2)는 제2 필터바디(FB2_2)와 제2 필터홀(FH2_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_2)에 복수의 제2 필터홀(FH2_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홀(FH2_2)은 제2 필터바디(FB2_2)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필터홀(FH2_2)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_2)의 상면(S3)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_2)의 길이인 제3 길이(D3)보다 제2 필터바디(FB2_2)의 하면(S4)에 형성된 제2 필터홀(FH2_2)의 길이인 제4 길이(D4)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길이(D3)는 제1 필터바디(FB1)의 상면(S1)에 형성된 제1 필터홀(FH1)의 길이인 제1 길이(D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길이(D3)는 0.1 mm 내지 0.2mm일 수 있다. 또한, 제4 길이(D4)는 제3 길이(D3)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길이(D4)는 0.03mm 내지 0.08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길이(D4)를 제3 길이(D3)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크레마를 보다 정밀하게 거를 수 있게 되어 커피의 거친 맛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제2 필터부(FP2_2)가 프레임(F)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필터부(FP2_2)는 제2 필터바디(FB2)와 제2 필터홀(FH2) 및 프레임(F)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필터부(FP2_2)는 제2 필터바디(FB2)를 둘러싸는 프레임(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F)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2 필터부(FP2_2)가 제2 필터바디(FB2)를 둘러싸는 프레임(F)을 포함함으로써 제2 필터바디(FB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프레임(F)이 원형인 것을 나타내었지만, 프레임(F)의 형상은 제2 필터바디(FB)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추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제2 추출부(EP2_3)가 스탠드(5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추출부(EP2_3)는 스탠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추출부(EP2_3)는 제2 필터부(FP2) 및 제3 홀(H3)을 포함하는 제2 바디부(BP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B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VP)와 수직부(VP)의 상부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부(HP)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50)는 받침판(55)과 받침판(55)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리(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받침판(55)을 사각 형상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받침판(55)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받침판(55)은 제4 홀(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홀(H4)은 제2 추출부(EP2_3)의 제2 필터부(FP2) 및 수직부(VP)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부(HP)는 제4 홀(H4)에 인접한 받침판(55)과 접촉하며 제2 추출부(EP2_3)가 제4 홀(H4)을 완전히 관통할 수 없게 지지하는 역할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추출부(EP2_3)가 스탠드(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2 추출부(EP2_3)에서 추출된 커피를 담는 용기(C)의 배치가 수월해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8은 제1 추출부(EP1)가 수동식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일 예시로 커피 추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나, 도 20과 같이, 제1 추출부(EP1)는 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추출부에 분쇄된 원두를 투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추출부(EP1)에 분쇄된 원두(GCB)를 투입할 수 있다. 제2 추출부(EP2), 제1 필터부(FP1) 및 제1 바디부(BP1)의 제2 부분(P2)을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BP1)의 제2 부분(P2)의 하단에 제1 필터부(FP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바디부(BP1)의 제2 부분(P2) 및 제1 필터부(FP1)가 제2 추출부(EP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부(BP1)의 제2 부분(P2)의 하단은 제2 추출부(EP2)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BP1)의 제2 부분(P2)의 하단과 제2 추출부(EP2)의 상단은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부(FP1)와 제2 추출부(EP2)의 상단이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제2 부분(P2)의 제2 홀(H2)은 제1 필터부(FP1)에 의해서 막히게 되므로, 제2 부분(P2)은 상부만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부분(P2)의 제2 홀(H2)을 통하여 분쇄된 원두(GCB)를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는 제1 필터부(FP2)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필터부(FP1)는 제1 필터바디(FB1)와 제1 필터홀(F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홀(FH1)은 제1 필터바디(FB1)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필터홀(FH1)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필터부(FP2)는 제2 필터바디(FB2)와 제2 필터홀(FH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바디(FB2)에 복수의 제2 필터홀(F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홀(FH2)은 제2 필터바디(FB2)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필터홀(FH2)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홀(FH1) 각각의 면적보다 제2 필터홀(FH2) 각각의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홀(FH2) 각각의 면적은 제1 필터홀(FH1) 각각의 면적의 0.2배 내지 0.7배일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제2 부분(P2)의 제2 홀(H2)을 통하여 물(W)을 투입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제1 필터부(FP2) 상에 분쇄된 원두(GCB)가 위치한 상태에서 분쇄된 원두(GCB)상으로 물(W)이 투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W)은 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0℃ 내지 1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물(W)은 상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추출부에 제1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추출부(EP1)에 제1 압력(Pr1)을 가할 수 있다(S30). 예를 들면,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은 제2 홀(H2)의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제2 홀(H2) 내부에는 제1 압력(Pr1)이 가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은 탄성부(ELP)와 비탄성부(NELP)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ELP)는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탄성부(NELP)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ELP)는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제2 홀(H2) 내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은 사람의 손에 의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은 자동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필터부를 통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1 커피가 제2 추출부로 이동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도 16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제1 커피(CF1)를 추출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점차 하강하면서, 제2 홀(H2) 내부에 가해지는 제1 압력(Pr1)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홀(H2) 내부에 위치한 분쇄된 원두(GCB)와 물(W)은 제1 압력(Pr1)에 의하여 제1 필터부(FP1)를 통과하며 제1 커피(CF1)가 추출되기 시작한다. 제1 압력(Pr1)은 8 bar 내지 10bar 사이의 압력일 수 있다.
제1 압력(Pr1)에 의하여 추출된 제1 커피(CF1)는 크레마(CM)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마(CM)는 이산화탄소 거품, 커피 오일, 물 및 커피의 고형성분 등을 포함한 에멀젼(Emulsion)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피(CF1)는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추출된 제1 커피(CF1)는 제2 추출부(EP2)의 제3 홀(H3)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추출부(EP2)의 제3 홀(H3)의 하부는 제2 필터부(FP2)가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필터부(FP1)의 제1 필터홀(FH1) 각각의 면적보다 제2 필터부(FP2)의 제2 필터홀(FH2) 각각의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한 제1 커피(CF1)는 제2 추출부(EP2)의 제2 필터부(FP2) 상에 쌓이게 된다.
제1 필터부(FP1) 상에는 잔여물(RD)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분쇄된 원두(GCB) 중 일부는 제1 필터부(FP1)에 의하여 걸러지며, 제1 필터부(FP1)의 잔여물(RD)로 남게 된다.
제2 추출부(EP2) 상에 위치한 제1 커피(CF1)의 크레마(CM)는 제2 필터부(FP2) 상에 쌓이게 된다. 크레마(CM)는 좋은 향의 커피 아로마 등을 포함하지만, 텁텁한 커피 잔여물 및 매캐한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향도 포함한다. 크레마(CM)의 이산화탄소가 시간이 지나 증발한다고 하여도 크레마(CM)에 의한 텁텁한 맛은 남게 된다. 또한, 제1 압력(Pr1)에 의하여 추출된 제1 커피(CF1)는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추출되므로 거친 맛을 가지게 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2 필터부를 통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2 커피 추출 완료 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도 18 및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커피(CF1)에 제2 압력(Pr2)이 가해질 수 있다(S60). 제1 필터부(FP1)와 제2 필터부(F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2 필터부(FP2)는 제1 필터부(FP1)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추출부(EP2) 내부에는 제1 압력(Pr1)보다 작은 제2 압력(Pr2)이 가해질 수 있다. 제2 압력(Pr2)은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상승하였다가,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제3 홀(H3) 내부에는 제2 압력(Pr2)을 가할 수 있다.
제2 필터부(FP2)를 통하여 제2 커피(CF2)를 추출할 수 있다(S70). 예를 들어, 제1 압력(Pr1)보다 제2 압력(Pr2)이 작고, 제1 필터부(FP1)의 제1 필터홀(FH1) 각각의 면적보다 제2 필터부(FP2)의 제2 필터홀(FH2) 각각의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압력(Pr1)에 의한 제1 커피(CF1)의 추출 시간보다 제2 압력(Pr2)에 의한 제2 커피(CF2)의 추출 시간이 더 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압력(Pr1)보다 작은 제2 압력(Pr1), 제1 필터홀(FH1) 보다 작은 제2 필터홀(FH2)에 의하여 제2 필터부(FP2)는 크레마(CM)의 텁텁한 커피 잔여물 및 제1 커피(CF1)의 거친 맛을 걸러냄과 동시에 제1 커피(CF1)가 가지는 좋은 향의 커피 아로마 및 고형성분은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커피(CF2)는 브루잉 커피가 가진 깔끔함과 에스프레소 커피가 가진 향기 및 고형성분마저 발현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압력(Pr2)은 중력(gravity)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2 압력(Pr2)은 중력(gravity)으로 대체된 경우를 설명하면,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한 제1 커피(CF1)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중력의 힘을 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압력(Pr1)에 의한 제1 커피(CF1)의 추출 시간보다 중력에 의한 제2 커피(CF2)의 추출 시간이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Pr1)에 의한 제1 커피(CF)의 추출 시간이 10초 내지 30초인 경우, 중력에 의한 제2 커피의 추출 시간은 2분 내지 3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추출부(EP1) 내부에 제1 압력(Pr1)을 가하여 제1 커피(CF1)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커피(CF1)가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하면, 제2 추출부(EP2) 내부에 중력을 통하여 제2 커피(CF2)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추출부(EP2) 내부에 중력을 통하여 제2 커피(CF2)를 추출하는 경우에도, 제1 압력(Pr1)은 8bar 내지 10bar 사이의 압력일 수 있으며, 제2 필터홀(FH2) 각각의 면적은 제1 필터홀(FH1) 각각의 면적의 0.2배 내지 0.7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압력(Pr1)보다 작은 중력을 이용하고, 제1 필터홀(FH1) 보다 작은 제2 필터홀(FH2)을 사용하여 제2 필터부(FP2)는 크레마(CM)의 텁텁한 커피 잔여물 및 제1 커피(CF1)의 거친 맛을 걸러냄과 동시에 제1 커피(CF1)가 가지는 좋은 향의 커피 아로마 및 고형성분은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커피(CF2)는 브루잉 커피가 가진 깔끔함과 에스프레소 커피가 가진 향기 및 고형성분마저 발현할 수 있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커피(CF1) 및 제2 커피(CF2)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제1 압력(Pr1)에 의한 제1 필터부(FP1)의 제1 추출과 제2 압력(Pr2)(또는 중력)에 의한 제2 필터부(FP2)에의 제2 추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서는 제1 추출부(EP1) 및 제2 추출부(EP2) 각각에 분쇄된 원두(GCB)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입자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입자 크기는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입자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는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입자 크기보다 클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입자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추출부(EP1) 및 제2 추출부(EP2) 각각에 분쇄된 원두(GCB)의 입자크기를 조절하여 커피향미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과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이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이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보다 적을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과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은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과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양을 조절하여 커피향미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종류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종류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종류는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종류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종류를 조절하여 커피향미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추출부(EP1)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는 제1 필터부(FP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는 제2 필터부(FP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필터부(FP2) 상에 분쇄된 원두(GCB)가 위치한 상태에서 분쇄된 원두(GCB)상으로 물(W)이 투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W)은 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0℃ 내지 1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물(W)은 상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은 제2 홀(H2)의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제2 홀(H2) 내부에는 제1 압력(Pr1)이 가해질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제1 커피(CF1)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압력(Pr1)에 의하여 추출된 제1 커피(CF1)는 크레마(CM)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마(CM)는 이산화탄소 거품, 커피 오일, 물 및 커피의 고형성분 등을 포함한 에멀젼(Emulsion)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커피(CF1)는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추출된 제1 커피(CF1)는 제2 추출부(EP2)의 제3 홀(H3)로 이동하며,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와 혼합될 수 있다.
제2 추출부(EP2) 내부에는 제1 압력(Pr1)보다 작은 제2 압력(Pr2)이 가해질 수 있다. 제2 압력(Pr2)은 제1 바디부(BP1)의 제1 부분(P1)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상승하였다가,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제3 홀(H3) 내부에는 제2 압력(Pr2)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와 제1 커피(CF1)의 혼합물은 제2 필터부(FP2)를 통하여 제2 커피(CF2)를 추출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압력(Pr2)은 중력(gravity)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2 압력(Pr2)은 중력(gravity)으로 대체된 경우를 설명하면,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한 제1 커피(CF1)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혼합물은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중력의 힘을 받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압력(Pr1)에 의한 제1 커피(CF1)의 추출 시간보다 중력에 의한 제2 커피(CF2)의 추출 시간이 더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Pr1)에 의한 제1 커피(CF)의 추출 시간이 10초 내지 30초인 경우, 중력에 의한 제2 커피의 추출 시간은 2분 내지 3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추출부(EP1) 내부에 제1 압력(Pr1)을 가하여 제1 커피(CF1)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커피(CF1)가 제2 추출부(EP2)로 이동하여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와 혼합되고. 제1 커피(CF1)와 제2 추출부(EP2)에 투입된 분쇄된 원두(GCB)의 혼합물은 중력에 의하여 제2 필터부(FP2)를 통하여 필터링되어 제2 커피(CF2)로 추출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의 커피 추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커피 추출 장치(EP_1)는 전자동 커피 추출기(ACM)와, 제2 추출부(EP2) 및 스탠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동 커피 추출기(ACM)는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추출부(EP2) 및 스탠드(5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1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추출부(EP2)는 스탠드(5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전자동 커피 추출기(ACM)의 커피 추출부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동 커피 추출기(ACM)에서 추출된 제1 커피는 제2 추출부(EP2)를 통하여 제2 커피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자동 커피 추출기(ACM)의 압력보다 제2 추출부(EP2)의 압력 또는 중력은 작고, 전자동 커피 추출기(ACM)에 포함된 필터부의 필터홀 각각의 면적보다 제2 추출부(EP2)의 필터부의 필터홀 각각의 면적은 0.2배 내지 0.7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의 향기의 강도, 신맛의 강도, 단만의 강도, 쓴맛의 강도, 촉각의 강도, 선호도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인 에스프레소 추출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일반적인 브루잉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커피 및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EP)를 사용하여 제조된 커피의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공되는 커피는 Guatemala Huehuetenango waykan을 M포인트 SCA PROTOCOL을 기준으로 10분 30초간 로스팅하여 진행하였으며, 세가지 시료 모두 30g의 커피를 사용하였다.
1번 시료는 아메리카노를 연상 시킬 수 있는 커피로 30g의 가는 분쇄 커피를 사용하여 고온의 물로 추출 후 150ml의 물을 희석하였다.
2번 시료는 30g의 중간 굵기의 분쇄된 커피에 80ml의 고온의 물을 더블 푸어하여 150ml를 희석하였다.
3번 시료는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EP)를 사용하여 상부 제1 추출부(EP1)에 20g의 가늘게 분쇄된 커피에 80ml 고온의 물로 제1 커피(CF1)를 추출하며, 제2 추출부(EP2)에 배치된 중간 분쇄의 10g의 분쇄커피를 제1 커피(CF1)를 사용하여 제2 커피(CF2)로 추출 후 150ml의 물로 희석하였다. 관능시험은 1번 시료, 2번 시료 및 3번 시료를 무작위로 배열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추출수는 주전자가 끓는 시점으로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희석하는 물 역시 주전자가 끓는 시점으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일반 패널은 3점 척도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전문가 패널은 10점 척도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관능검사 실험 대상자는 서울시 서초동에 위치한 FAME COFFEE에 방문하는 손님(일반패널 30명), 전문가패널 커피 업계 5년 이상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표 1은 관능평가의 실험 대상자가 일반패널로 구성된 경우이다.
커피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무작위로 카페에 방문하는 손님들을 대상으로 진행을 하였으며, 남성 43%와 여성 57%로 일반 패널은 구성되었다. 나이는 2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하루 원두커피 음용 횟수는 2회가 가장 많았다. 원두 커피 음용 경력은 6년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 실험 대상자는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20008437008-pat00001
표 2의 그래프는 표 1의 실험 대상자에 의한 관능평가 통계 결과이다. 1번 시료는 ESPRESSO로 추출하여 만든 시료이며 압력 추출로 나타냈으며, 2번 시료는 일반 브루잉 커피로 추출하여 만든 시료이며 중력 추출로 표기하였다. 3번 시료는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EP)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추출부(EP1)에 제1 압력(Pr1)을 가하여 상기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제1 커피(CF1)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필터부(FP2)에서 중력을 통하여 제2 커피(CF2)를 추출하여 제조된 커피이며, 압력 중력c로 표시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20008437008-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향기의 강도에서는 압력 중력 C 추출이 압도적으로 높은 평가를 나타냈으며, 신맛의 강도는 중력 추출이 미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단맛의 강도 역시 압력 중력 C 추출이 압도적으로 높은 평가를 나타냈으며, 쓴맛의 강도는 압력 추출이 높게 나타났다. 촉각의 강도는 압력 중력 C 추출이 압도적으로 높은 평가를 나타냈으며, 선호도 역시 압력 중력 C 추출이 압도적으로 높은 평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EP)를 통하여 제조된 커피(3번 시료)는 쓴맛의 강도를 줄임과 동시에 향기, 신맛, 단맛, 촉각 등이 우수하여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우수한 관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은 관능평가의 실험 대상자가 전문가 패널로 구성된 경우이다.
표 3은 전문가 패널을 커피관련 경력 2년 이상에 패널을 선정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비슷하게 구성하여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커피가 아닌 객관적인 데이터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나이는 40대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4년제 대학교 재학 또는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으로는 커피전문 학원 및 커피관련학교 교육자 및 커피관련 업무 종사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패널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의 실험대상은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20008437008-pat00003
표 4의 그래프는 표 3의 실험 대상자에 의한 관능평가 통계 결과이다. 1번 시료는 ESPRESSO로 추출하여 만든 시료이며 압력 추출로 나타냈으며, 2번 시료는 일반 브루잉 커피로 추출하여 만든 시료이며 중력 추출로 표기하였다. 3번 시료는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추출부(EP1)에 제1 압력(Pr1)을 가하여 상기 제1 필터부(FP1)를 통하여 제1 커피(CF1)를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필터부(EP2)에서 중력을 통하여 제2 커피(CF2)를 추출하여 제조된 커피이며, 압력 중력c로 표시하였다 더 세분화 시킨 척도 법으로 진행을 하였기에 세가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가 일반패널 결과인 표 2 보다 자세하게 나타났다.
[표 4]
Figure 112020008437008-pat00004
더 세분화 시킨 척도 법으로 진행을 하였기에 세가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가 일반패널 결과보다 자세하게 나타났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향기의 강도에서는 압력 중력 C 추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맛, 단맛, 촉각 역시 압력 중력 C 추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쓴맛의 강도는 압력 추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크레마와 고형성분 추출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선호도는 전원 압력 중력 C 추출을 가장 좋다고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관능평가 일반패널은 대체적으로 단맛, 촉감 및 목넘김에서 우수한 평가를 하였으며, 전문가 패널은 향기, 신만, 단맛, 촉감에서 우수한 평가를 하였다.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EP)를 통하여 제조된 커피(3번 시료)는 쓴맛의 강도를 줄임과 동시에 향기, 신맛, 단맛, 촉각 등이 우수하여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우수한 관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EP: 커피 추출 장치 EP1: 제1 추출부
EP2: 제2 추출부 EP1: 제1 바디부
BP2: 제2 바디부 FP1: 제1 필터부
FP2: 제2 필터부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1 추출부에 분쇄된 원두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부에 제1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하여 제1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부 하부에 배치되며,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제2 추출부에서 상기 제1 커피를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부에 상기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2 필터부를 통하여 제2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홀은 상기 제2 필터홀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1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홀보다 큰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분쇄된 원두 및 상기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홀에 삽입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추출부에 상기 제1 커피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을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제2 추출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홀의 면적은 상기 제1 필터홀의 면적의 0.2배 내지 0.7배인 커피 추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은 8bar 내지 10bar 인 커피 추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1 바디부를 포함하는 제1 추출부; 및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 상부에 배치된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제2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필터바디와, 상기 제1 필터바디에 형성된 제1 필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필터바디와, 상기 제2 필터바디에 형성된 제2 필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는 제1 방향으로 중첩하되, 상기 제1 필터홀의 면적은 상기 제2 필터홀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하부에 상기 제2 필터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는, 제1 부분과,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1 홀 내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피 추출 장치.
  13. 삭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필터홀의 길이는 0.25 mm 내지 0.4mm이며, 상기 제2 필터홀의 길이는 0.1 mm 내지 0.2mm인 커피 추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홀 및 상기 제2 필터홀의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상인 커피 추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제1 부분과,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홀 내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피 추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부 하부에 위치하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2 필터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제3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제3 홀을 통과하되, 상기 수평부는 상기 받침대와 접촉하는 커피 추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상면에 상기 제1 추출부가 안착하는 커피 추출 장치.
KR1020200009572A 2020-01-25 2020-01-25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KR10224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572A KR102245066B1 (ko) 2020-01-25 2020-01-25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572A KR102245066B1 (ko) 2020-01-25 2020-01-25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066B1 true KR102245066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572A KR102245066B1 (ko) 2020-01-25 2020-01-25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0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8616A (ja) * 2009-06-04 2012-11-15 ミタカ ソシ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ダ 飲料を作成するための、コーヒーと可溶性製品のための硬いカートリッジ
KR200470316Y1 (ko) *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20170002977U (ko) * 2016-02-16 2017-08-24 심대용 캡슐 커피 추출장치
KR20190058399A (ko) * 2019-05-09 2019-05-29 유한책임회사 미맥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CN209031923U (zh) * 2018-03-22 2019-06-28 深圳市亿邦实业有限公司 法压壶及其活塞组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8616A (ja) * 2009-06-04 2012-11-15 ミタカ ソシ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ダ 飲料を作成するための、コーヒーと可溶性製品のための硬いカートリッジ
KR200470316Y1 (ko) *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20170002977U (ko) * 2016-02-16 2017-08-24 심대용 캡슐 커피 추출장치
CN209031923U (zh) * 2018-03-22 2019-06-28 深圳市亿邦实业有限公司 法压壶及其活塞组件
KR20190058399A (ko) * 2019-05-09 2019-05-29 유한책임회사 미맥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loess et al. Comparison of nine common coffee extraction methods: instrumental and sensory analysis
DE60006398T2 (de)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dividuellen getränken auf anfrage, unter verwendung von verzögerter verdünnung, mischung und filtrierung
US2005010968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ltering
Frost et al. Effect of basket geometry on the sensory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drip brewed coffee
DE60117399D1 (de) Stössel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CN103418182A (zh) 精细过滤结构
KR102245066B1 (ko)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추출 방법
US20060150822A1 (en) Method for making espresso and device for the like
Shin et al.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according to grinding grades of coffee beans
CN110799433B (zh) 咖啡豆压块以及利用其的袋泡咖啡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101382604B1 (ko) 스마트한 커피 드리퍼
AU2012237037B2 (en) Brew chamber packet ejector
KR20150086594A (ko) 콜드브류 커피 또는 차 추출방법
CA3018954C (en) Beverage brewer
KR20210122724A (ko) 개별 커피음료 추출에 적합한 커피원두 압축블록 형상과 이에 대한 제조방법 및 장치
US2103704A (en) Spring drip beverage maker
Choi et al. Sensory characteristics of espresso coffee according to green coffee processing
JP2006246745A (ja)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DE202007018404U1 (de) Einrichtung zum Extrahieren von Kaffee und Kaffee-Eiswürfel mit Verhinderung von Geschmacksverlust
DE667413C (de) Koch- und Getraenkeauszugvorrichtung, im besonderen fuer Kaffees und Tees
JP4157825B2 (ja) コーヒーフィルタ
DE102017003909A1 (de) Getränkezubereiter für Heißgetränke
JP2018068122A (ja) コーヒー抽出液の製造方法
Budak Implementation of accelerated cold brew into fully automatic Espresso machines
JP2005199007A (ja) コーヒー液抽出方法とそのコーヒー液抽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