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976B1 -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 Google Patents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976B1
KR102244976B1 KR1020210010232A KR20210010232A KR102244976B1 KR 102244976 B1 KR102244976 B1 KR 102244976B1 KR 1020210010232 A KR1020210010232 A KR 1020210010232A KR 20210010232 A KR20210010232 A KR 20210010232A KR 102244976 B1 KR102244976 B1 KR 10224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urtain
warship
hangar
buffer
strong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차순
Original Assignee
권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차순 filed Critical 권차순
Priority to KR102021001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hang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풍으로 인한 롤러커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군함 격납고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롤러커튼에 있어서, 군함 격납고의 출입구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필러; 상기 양측 필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크로스암; 상기 한 쌍의 크로스암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서포트채널; 상기 서포트채널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강풍에 의해 상기 격납고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상기 롤러커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복수의 완충부재;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를 상하로 연결하여 강풍에 의해 흔들리는 상기 롤러커튼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상에서 상시 대기하거나 작전을 수행하는 군함에 강풍이 불 때에 롤러커튼에 작용하는 충격을 1차로 탄성패드가 탄성 지지하고 2차로 완충부재가 완충시키므로 롤러커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ROLLING CURTAIN FOR WARSHIP HANGER}
본 발명은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풍으로 인한 롤러커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롤러커튼(또는 롤링셔터)은 폭이 좁은 금속 슬랫(slat)을 커튼(curtain)처럼 연속해서 연결하여 감아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문이다.
이러한 롤러커튼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807호(등록일자 2018년06월12일)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116호(등록일자 2015년01월23일)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출입구의 상부에 샤프트와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건물의 출입구를 개폐하거나 군함의 격납고를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군함은 해군에 소속되어 있는 배로서, 흔히 전투에 참여하는 모든 배를 이르며, 전함·순양함·항공 모함·구축함 따위를 포함한다.
그러나 군함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롤러커튼은 얇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상에서 상시 대기하거나 작전을 수행하는 군함에 세찬 강풍이 불어올 때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랫의 두께를 보강한 롤러커튼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격납고의 규모에 부합되도록 큰 너비로 이루어진 롤러커튼의 두께를 보강하는 기술만으로는 해상에서 세차게 불어오는 강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807호(등록일자 2018년06월12일)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116호(등록일자 2015년01월23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 상시 대기하거나 작전을 수행하는 군함에 부는 강풍으로 인한 롤러커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군함 격납고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롤러커튼에 있어서, 군함 격납고의 출입구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필러; 상기 양측 필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크로스암; 상기 한 쌍의 크로스암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서포트채널; 상기 서포트채널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강풍에 의해 상기 격납고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상기 롤러커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복수의 완충부재;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를 상하로 연결하여 강풍에 의해 흔들리는 상기 롤러커튼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채널은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된 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채널에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각각 삽입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포켓에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에 연통되도록 너트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실린더 및 공기주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공기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층으로 공기 주입을 제어하는 에어밸브,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를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강풍에 의해 상기 격납고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상기 롤러커튼의 충격을 공기층에 의해 완충시키는 완충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주입구를 보호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밸브보스, 상기 밸브보스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채널의 연통공을 지나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켓에 삽입된 완충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완충부재와 롤러커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에서 상시 대기하거나 작전을 수행하는 군함에 강풍이 불 때에 롤러커튼에 작용하는 충격을 1차로 탄성패드가 탄성 지지하고 2차로 완충부재가 완충시키므로 롤러커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군함 격납고에 설치된 롤러커튼의 전체적인 형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은, 군함 격납고(H)의 출입구(G)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필러(200), 양측 필러(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크로스암(300), 한 쌍의 크로스암(300)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서포트채널(400), 서포트채널(4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강풍에 의해 격납고(H)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롤러커튼(100)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복수의 완충부재(500), 복수의 완충부재(500)를 상하로 연결하여 강풍에 의해 흔들리는 롤러커튼(10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패드(6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설명 중 도면에 도시된 X축은 좌우 방향으로, Y축은 전후 방향으로, Z축은 상하 방향으로 각각 정의한다.
그리고 격납고(H)의 출입구(G) 상부에는 모터(도시생략)와 샤프트(도시생략) 및 케이스(111)를 포함하는 구동부재(110)가 구비되어 슬랫(120)을 커튼처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한 롤러커튼(100)을 감아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작동시킨다.
필러(pillar, 200)는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필러(200)는 구조용 압연재인 형강으로 이루어져 군함 격납고(H)의 출입구(G)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측 필러(200)의 마주하는 내면 상부 및 하부에는 대략 ‘┗┛’한 단면의 암브래킷(210)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크로스암(300)의 양측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암브래킷(210)은 필러(200)의 상하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크로스암(300)은 양측 필러(2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서포트채널(40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크로스암(300)의 양 단부는 필러(200)의 암브래킷(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크로스암(300)에는 채널브래킷(310)이 구비되어 서포트채널(400)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부 크로스암(300)의 저면에는 핀홀을 갖는 ‘┏┓’한 단면의 채널브래킷(310)이 구비되어 서포트채널(400)의 상단부가 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크로스암(300)의 상면에는 핀홀을 갖는 ‘┗┛’한 단면의 채널브래킷(310)이 구비되어 서포트채널(400)의 하단부가 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크로스암(300)은 격납고(H)의 출입구(G) 크기에 따라 양측 필러(20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두 쌍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포트채널(400)은 한 쌍의 크로스암(300)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완충부재(5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포트채널(400)은 전면판(410)과 이 전면판(410)의 양측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된 측면판(420)을 포함하여 ‘┗┛’한 단면의 형강으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포트채널(400)의 상하 단부는 크로스암(300)의 채널브래킷(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포트채널(400)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켓(4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포켓(430)은 서포트채널(400)의 내부에 완충부재(500)가 삽입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웰딩으로 접합되는 한 쌍의 구획판(431)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트채널(400)의 전면판(410)에는 포켓(430)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형성된 연통공(411) 및 이 연통공(41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너트(440)가 구비된다.
완충부재(500)는 서포트채널(4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강풍에 의해 격납고(H)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롤러커튼(100)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완충부재(500)는 복수로 이루어져 서포트채널(400)에 형성된 복수의 포켓(430)에 각각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부재(500)는 공기층(511)을 형성하는 실린더(512) 및 공기주입구(513)를 갖는 하우징(510), 하우징(510)의 공기주입구(513)에 결합되어 공기층(511)으로 공기 주입을 제어하는 에어밸브(520), 하우징(510)의 실린더(512)를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강풍에 의해 격납고(H)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롤러커튼(100)의 충격을 공기층(511)에 의해 완충시키는 완충피스톤(53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510)은 공기층(511)을 형성하도록 내부가 빈 원형 관 형상의 실린더(512)와, 이 실린더(512)의 일단부를 마감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공기주입구(513)를 갖는 캡(514) 및, 실린더(512)의 타단부 내경에 구비되어 완충피스톤(5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링(516)을 포함한다.
캡(514)의 외면에는 두꺼운 관 형상의 밸브보스가 구비된다. 밸브보스는 에어밸브(520)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격조절볼트(540)의 단부에 결합되어 완충부재(500)의 하우징(5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간격조절볼트(540)는 서포트패널의 연통공(411)을 관통하도록 너트(440)에 나사결합됨으로서, 포켓(430)에 삽입된 완충부재(500)의 하우징(510)을 고정하는 기능과 완충부재(500)와 롤러커튼(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겸한다. 간격조절볼트(540)의 중심에는 통공(541)이 형성되어 에어밸브(520)를 통해 공기층(511)으로 공기를 주입하는데 간섭되지 않는다.
부연하면, 간격조절볼트(540)는 그 단부가 서포트패널의 연통공(411)을 지나 하우징(510)의 밸브보스 내경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포켓(430)에 삽입된 완충부재(500)를 고정할 수 있고, 너트(440)의 나사결합으로 인하여 완충부재(500)를 포켓(43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완충피스톤(530)과 롤러커튼(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밸브(520)는 공기주입구(513)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어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층(511)이 적절한 공기압을 유지하도록 공기의 주입을 조절한다.
완충피스톤(530)은 실린더(512)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롤러커튼(100)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완충피스톤(530)의 외경에는 복수의 피스톤링(533)이 결합되어 완충피스톤(530)과 실린더(512)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완충피스톤(530)에는 탄성패드(600)에 연결되도록 피스톤로드(531)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탄성패드(600)에 작용하는 충격이 전달된다. 피스톤로드(531)의 선단에는 탭홀(532)이 형성된다.
탄성패드(600)는 복수의 완충부재(500)를 상하로 연결하여 강풍에 의해 흔들리는 롤러커튼(10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패드(600)는 서포트채널(400)의 상하 길이 및 좌우 폭에 부합되도록 길고 납작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되, 강풍에 의해 흔들리는 롤러커튼(10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패드(600)에는 완충피스톤(530)의 탭홀(53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550)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볼트홀(610)이 형성되고, 볼트홀(610)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볼트(550)의 헤드가 묻히도록 카운터보링(counter boring, 6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롤러커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110)의 구동에 의해 격납고(H)의 출입구(G)를 개폐한다.
이어서, 필러(200)의 암브래킷(210)에 크로스암(300)을 결합하고, 크로스암(300)의 채널브래킷(310)에 완충부재(500)가 결합된 서포트채널(400)을 결합한다.
여기서, 완충부재(500)는 서포트채널(400)의 포켓(430)에 삽입한 후 연통공(411)을 관통하는 간격조절볼트(540)의 단부에 밸브보스의 내경이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음, 완충부재(500)의 피스톤로드(531)에 탄성패드(600)의 볼트홀(610)을 끼우고 고정볼트(550)를 탭홀(532)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복수의 완충부재(500)를 연결하도록 탄성패드(600)를 결합한다.
이때, 간격조절볼트(540)를 회전시키면 롤러커튼(100)의 내면과 탄성패드(6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커튼(100)의 내면과 탄성패드(600)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강풍이 불어올 때 충격이 크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롤러커튼(100)의 내면과 탄성패드(600) 사이의 간격이 최대한 가깝도록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암(300)과 서포트채널(400)과 완충부재(500) 및 탄성패드(6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군함에 세찬 강풍이 불어 롤러커튼(100)이 격납고(H)의 내측 방향으로 흔들리면, 탄성패드(600)는 롤러커튼(10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완충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완충피스톤(530)이 공기층(51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요컨대, 강풍에 의해 롤러커튼(100)이 받은 충격은 1차로 탄성패드(600)가 탄성 지지하고 2차로 완충부재(500)가 완충시키므로, 강풍에 의한 롤러커튼(1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상에서 상시 대기하거나 작전을 수행하는 군함에 강풍이 불 때에 롤러커튼(100)에 작용하는 충격을 탄성패드(600)와 완충부재(500)에 의해 완충시키므로 롤러커튼(100)의 파손 방지 기능이 강화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롤러커튼 110 : 구동부재
120 : 슬랫 200 : 필러
210 : 암브래킷 300 : 크로스암
310 : 채널브래킷 400 : 서포트채널
430 : 포켓 431 : 구획판
440 : 너트 500 : 완충부재
510 : 하우징 511 : 공기층
513 : 공기주입구 520 : 에어밸브
530 : 완충피스톤 540 : 간극조절볼트
550 : 고정볼트 600 : 탄성패드
610 : 볼트홀 G : 출입구
H : 격납고

Claims (4)

  1. 군함 격납고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롤러커튼에 있어서,
    군함 격납고의 출입구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필러;
    상기 양측 필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크로스암;
    상기 한 쌍의 크로스암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서포트채널;
    상기 서포트채널의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강풍에 의해 상기 격납고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상기 롤러커튼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복수의 완충부재;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를 상하로 연결하여 강풍에 의해 흔들리는 상기 롤러커튼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패드;
    를 포함하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채널은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 단부에 직각으로 연결된 측면판을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채널에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각각 삽입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포켓에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에 연통되도록 너트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실린더 및 공기주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공기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층으로 공기 주입을 제어하는 에어밸브,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를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강풍에 의해 상기 격납고의 내측으로 작용하는 상기 롤러커튼의 충격을 공기층에 의해 완충시키는 완충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보호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밸브보스, 상기 밸브보스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채널의 연통공을 지나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포켓에 삽입된 완충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완충부재와 롤러커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KR1020210010232A 2021-01-25 2021-01-25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KR10224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32A KR102244976B1 (ko) 2021-01-25 2021-01-25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32A KR102244976B1 (ko) 2021-01-25 2021-01-25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976B1 true KR102244976B1 (ko) 2021-04-27

Family

ID=7572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232A KR102244976B1 (ko) 2021-01-25 2021-01-25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9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388U (ja) * 1993-05-13 1994-11-2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構造
KR200476116Y1 (ko) 2013-05-16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US20160076301A1 (en) * 2014-09-11 2016-03-17 Hörmann Kg Dissen Rolling shutter with damping body
JP2016098603A (ja) * 2014-11-25 2016-05-30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構造
KR101868807B1 (ko) 2017-09-29 2018-06-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롤러셔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388U (ja) * 1993-05-13 1994-11-2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構造
KR200476116Y1 (ko) 2013-05-16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US20160076301A1 (en) * 2014-09-11 2016-03-17 Hörmann Kg Dissen Rolling shutter with damping body
JP2016098603A (ja) * 2014-11-25 2016-05-30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構造
KR101868807B1 (ko) 2017-09-29 2018-06-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롤러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976B1 (ko)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군함 격납고용 롤러커튼
US20090013608A1 (en) Rolling door retainer
ITTO990521A1 (it) Cerniera per serramenti apribili
KR101242388B1 (ko) 고층 건축물용 미서기 창호 시스템
CA2914478A1 (en) Curtain closure system having impact resistant tension bar
ES2366128T3 (es) Cajón de persiana enrollable montado por el exterior.
KR101843362B1 (ko) 조적벽 내진 보강용 고정장치
US20190292843A1 (en) Perimetrical frame for glass doors
KR101764346B1 (ko) 포켓 도어의 착탈식 완충 제어장치
ITVI20090239A1 (it) Portellone laterale di servizio per imbarcazioni
JP6470946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US10016072B2 (en) Display showcase with reinforced supporting beam of the upper ceiling
CA3088452C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mini-fridge
CA3177716A1 (en) Bi-fold overhead door with concealed hydraulic cylinder
JP2009052273A (ja) 引戸装置
CN210264394U (zh) 一种亚克力组合门
DK70194A (da) Facadelukningssystem
KR102461401B1 (ko) 내진형 창호 시스템
CN220522454U (zh) 一种防偏式伸缩门
CN213330806U (zh) 一种防撞节能铝合金门窗
JPH0819971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法用のパネル材支持構造体
JP7083668B2 (ja) 戸車、戸体及び建具
JP2001032427A (ja) 壁体パネル支持構造
KR200490757Y1 (ko) 덮개가 구비된 커튼레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