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89B1 -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89B1
KR102244889B1 KR1020190132819A KR20190132819A KR102244889B1 KR 102244889 B1 KR102244889 B1 KR 102244889B1 KR 1020190132819 A KR1020190132819 A KR 1020190132819A KR 20190132819 A KR20190132819 A KR 20190132819A KR 102244889 B1 KR102244889 B1 KR 10224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support plate
frame
sli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19013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 B23P15/4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shear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1/00Making cutlery wares; Making garden tools or the like
    • B21K11/02Making cutlery wares; Making garden tools or the lik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1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knives, scythes, scissors, or like hand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절삭 가공을 이용하여 칼등에 미끄럼 방지용 홈을 형성한 칼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칼날 제조를 위한 재료를 용해하여 잉곳(ingot)을 얻는 주조 단계; 상기 주조 단계에서 얻어진 잉곳을 열간 압연하여 늘리는 압연 단계; 상기 압연 단계에서 얻어진 압연판을 제작하고자 하는 칼의 크기와 형상으로 따내는 칼 블랭킹 단계; 상기 칼 블랭킹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칼에서 칼날에 해당하는 부분만 얇게 단조하는 칼날 성형 단계; 상기 칼날 성형 단계에 의해 상기 칼날이 성형된 상기 칼을 가열하여 담금질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된 상기 칼에 칼자루를 결합하는 칼자루 결합 단계; 및 상기 칼자루 결합 단계에 의해 상기 칼자루가 결합된 상기 칼의 상기 칼날 부분을 연마하여 상기 칼날을 완성하는 칼날 완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TI-SLIP KNIFE}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절삭 가공을 이용하여 칼등에 미끄럼 방지용 홈을 형성한 칼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칼은 육류나 생선류 또는 채소나 과일 등과 같은 각종 음식재료들을 다듬거나 자를 때 주방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식칼들은 기능성 식칼이나 다용도 주방용 칼 등에서는 물론 식칼에서와 같이 칼날과 칼등이 만나는 칼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식칼을 사용하다가 부주의로 손이 찔리게 되거나 떨어뜨려서 심한 경우에는 발에 큰 부상을 입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발하였음은 물론 단순히 음식재료를 자르거나 다듬는 것 말고는 다른 기능이 없어 그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비교적 단단하고 통이 굵은 무나 배추 등은 물론 육질이 질긴 육류나 몸통이 큰 생선 등과 같은 음식재료를 자를 때에는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칼등에 얹고 눌러주기도 하였는데, 이때는 상기 칼등이 매끄럽고 직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눌러주는 손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쉽게 자르지 못하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였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칼날에 손을 베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772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296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칼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를 인발하여 접합하고 특수한 방법으로 열처리하여 칼을 완성함으로써, 합금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내마모성을 부여하여 주방용 칼의 경도를 만족할 수 있는 칼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레이저 절단 가공을 통해 칼의 칼등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부를 형성함에 있어, 붐 또는 절단 헤드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감쇄시키고, 한 번 설치되면 구조의 변경이 어려운 기존의 레이저 절단 장치와는 달리 높이 조절 프레임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홈으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점진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프레임이 더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이 더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높이 조절 프레임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프레임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은, 칼날 제조를 위한 재료를 용해하여 잉곳(ingot)을 얻는 주조 단계; 상기 주조 단계에서 얻어진 잉곳을 열간 압연하여 늘리는 압연 단계; 상기 압연 단계에서 얻어진 압연판을 제작하고자 하는 칼의 크기와 형상으로 따내는 칼 블랭킹 단계; 상기 칼 블랭킹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칼에서 칼날에 해당하는 부분만 얇게 단조하는 칼날 성형 단계; 상기 칼날 성형 단계에 의해 상기 칼날이 성형된 상기 칼을 가열하여 담금질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된 상기 칼에 칼자루를 결합하는 칼자루 결합 단계; 및 상기 칼자루 결합 단계에 의해 상기 칼자루가 결합된 상기 칼의 상기 칼날 부분을 연마하여 상기 칼날을 완성하는 칼날 완성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칼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칼의 칼등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격리되게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부를 형성시키는 홈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가공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작업 공간; 상기 작업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붐; 상기 붐의 말단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 가공하는 레이저 절단 헤드; 상기 작업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절단 헤드에 의해 가공되는 피절단물인 상기 칼을 올려 놓기 위한 작업대; 상기 하우징의 전단 및 후단의 각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음식물을 다루는 주방용 칼을 제조할 경우에 칼의 경도가 약하고, 칼 사용시 미끄러져 칼에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하였으므로, 칼날을 예리하게 가공함은 물론 내마모성을 강화시킬 수고, 칼 사용시 미끄러짐을 효율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칼의 경도를 강화시키고 칼등을 따라 홈을 형성시킨 음식물을 다루는 주방용 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절단 가공을 통해 칼의 칼등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부를 형성함에 있어, 붐 또는 절단 헤드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감쇄시켜 절단 가공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 설치되면 구조의 변경이 어려운 기존의 레이저 절단 장치와는 달리 높이 조절 프레임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수평을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대상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홈 형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가공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는 도 4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4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대에 의한 충격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은, 우선 칼날 제조를 위한 재료(예를 들어, 순수한 청동(놋쇠) 등)를 용해하여 잉곳(1)(ingot)을 얻는다(S110).
상술한 주조 단계(S110)에서 얻어진 잉곳(1)을 열간 압연하여 늘린다(S120).
상술한 압연 단계(S120)에서 얻어진 압연판(2)을 프레스 등의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칼의 크기와 형상으로 따낸다(S130).
상술한 칼 블랭킹 단계(S130)에서 얻어진 칼(3)에서 칼날(5)에 해당하는 부분만 얇게 단조한다(S140).
칼날(5)은 강도를 유지하고 칼등(4) 측으로 갈수록 연성이 부여되는 칼을 형성함으로써 칼 날(5)이 쉽게 마모되거나 찌그러지지 않는 것은 물론 충격으로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술한 칼날 성형 단계(S140)에 의해 칼날(5)이 성형된 칼(3)을 가열하여 담금질한다(S150).
상술한 열처리 단계(S150)에서 열처리된 칼(3)에 칼자루(6)를 결합한다(S160).
상술한 칼자루 결합 단계(S160)에 의해 칼자루(6)가 결합된 칼(3)의 칼날 부분을 연마하여 칼날(5)을 완성한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은, 상술한 칼날 완성 단계(S170) 이전에 사용자의 칼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칼의 칼등(4)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격리되게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부를 형성시키는 홈 형성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은, 기존의 음식물을 다루는 주방용 칼을 제조할 경우에 칼의 경도가 약하고, 칼 사용시 미끄러져 칼에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하였으므로, 칼날을 예리하게 가공함은 물론 내마모성을 강화시킬 수고, 칼 사용시 미끄러짐을 효율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칼의 경도를 강화시키고 칼등을 따라 홈을 형성시킨 음식물을 다루는 주방용 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홈 형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가공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 가공 장치(10)는, 하우징(100), 작업 공간(200), 붐(300), 절단 헤드(400), 작업대(500), 높이 조절 프레임(600) 및 탄성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레이저 가공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형성되는 작업 공간(200)에 붐(300), 절단 헤드(400) 및 작업대(500)가 형성되고, 높이 조절 프레임(6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작업 공간(20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붐(300), 절단 헤드(400) 및 작업대(5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붐(300)은, 작업 공간(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홈 형성 단계(S180)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단 헤드(400)를 이동시켜 준다.
절단 헤드(400)는, 붐(300)의 말단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 가공한다.
작업대(500)는, 작업 공간(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레이저 절단 헤드(400)에 의해 가공되는 피절단물인 칼(3)을 올려 놓는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대(500)는, 칼(3)의 레이저 절단 가공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칼(3)을 체결하기 위한 지그(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하우징(100)의 전단 및 후단의 각 하측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며,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설치된다.
탄성 지지대(700)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 프레임(6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레이저 가공 장치(10)는, 레이저 절단 가공을 통해 칼(3)의 칼등(4)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부를 형성함에 있어, 붐(300) 또는 절단 헤드(4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700)를 이용하여 감쇄시켜 절단 가공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 설치되면 구조의 변경이 어려운 기존의 레이저 절단 장치와는 달리 높이 조절 프레임(600)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수평을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 및 하부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610)은, 하우징(100)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하우징(10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하부 프레임(620)은,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하우징(10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하우징(100)의 수평을 유지시키 주는 지지 구조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는 도 4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610)은, 지지 프레임(611) 및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1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동부(8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12)은, 지지 프레임(611)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612)과의 일 대향면에는 피니언 기어(6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렉 기어(6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62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홈(622)을 형성한다.
슬라이딩홈(622)은,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621)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피니언 기어(623)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628)이 형성된다(도 7 참조).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홈(622)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4 개의 슬라이딩홈(622)의 각 일측에 형성된 설치 공간(6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622)에서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렉 기어(6121)에 맞물려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4 개의 피니언 기어(623), 브레이크액 파우치(624), 피스톤(625), 상부 지지대(626) 및 하부 지지대(62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는, 도 5 내지 도 7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는, 슬라이딩홈(622)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관(6241)을 통해 피스톤(625)으로 공급한다.
피스톤(625)은,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6251)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이때, 피스톤(625)에 의한 실린더(6251)의 승강 정도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될 수 있는 피스톤(625)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부 지지대(626)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628)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7)는, "U"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625)의 실린더(6251)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린더(6251)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하측에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하부 지지대(627)는, 내측 공간에는 회전축(6231)과의 마찰에 따른 밀착력을 형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동부재(6271)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620)은,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슬라이딩홈(622)으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을 점진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프레임(600)이 더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100)이 더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3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제1 상부 지지판(710), 제2 상부 지지판(720), 제1 하부 지지판(730), 제2 하부 지지판(740), 제1 링크(750), 제2 링크(760), 제1 탄성체(770) 및 제2 탄성체(78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지지판(710)은,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고, 제1 링크(75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상부 지지판(72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이격되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제2 링크(76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수직지지부재(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효율적으로 높이 조절 프레임(6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상부 지지판(710)은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전단을 지지하고, 제2 상부 지지판(720)은,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후단을 지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2 링크(76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하부 지지판(740)은, 제2 상부 지지판(720)과 대향하며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1 링크(75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링크(750)는, 상부가 제1 상부 지지판(7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74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7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5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링크(7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허리(751)가 형성되고, 제2 링크(760)는 제1 링크(750)와의 교차 위치에 제1 링크(750)의 허리(751)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76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체(770)는,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을 지지한다.
제2 탄성체(780)는,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로서, 도 12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장비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100)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761) 및 두 개의 돌출부(761)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762)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7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구조는, 다른 지지판과 링크 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연결 관계의 설명은 이후의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관계로 대체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지지 플레이트(731), 슬라이딩홀(732), 체결부(733) 및 수평 탄성체(73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3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홀(7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32)은, 지지 플레이트(73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체결부(733)는, 슬라이딩홀(732)에 안착된 제2 링크(760)의 연장 바아(762)를 체결하고, 슬라이딩홀(732)의 공간에서 수평 탄성체(734)에 의하여 지지되어 연장 바아(762)를 지지한다.
수평 탄성체(734)는, 체결부(733)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홀(732)에서 체결부(733)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200: 작업 공간
300: 붐
400: 레이저 절단 헤드
500: 작업대
600: 높이 조절 프레임
700: 탄성 지지대

Claims (10)

  1. 칼날 제조를 위한 재료를 용해하여 잉곳(ingot)을 얻는 주조 단계;
    상기 주조 단계에서 얻어진 잉곳을 열간 압연하여 늘리는 압연 단계;
    상기 압연 단계에서 얻어진 압연판을 제작하고자 하는 칼의 크기와 형상으로 따내는 칼 블랭킹 단계;
    상기 칼 블랭킹 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칼에서 칼날에 해당하는 부분만 얇게 단조하는 칼날 성형 단계;
    상기 칼날 성형 단계에 의해 상기 칼날이 성형된 상기 칼을 가열하여 담금질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열처리된 상기 칼에 칼자루를 결합하는 칼자루 결합 단계; 및
    상기 칼자루 결합 단계에 의해 상기 칼자루가 결합된 상기 칼의 상기 칼날 부분을 연마하여 상기 칼날을 완성하는 칼날 완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칼자루 결합 단계에 의해 칼자루가 결합되면, 사용자의 칼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이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칼의 칼등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격리되게 곡면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부를 형성시키는 홈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가공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작업 공간;
    상기 작업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붐;
    상기 붐의 말단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 가공하는 레이저 절단 헤드;
    상기 작업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 절단 헤드에 의해 가공되는 피절단물인 상기 칼을 올려 놓기 위한 작업대;
    상기 하우징의 전단 및 후단의 각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KR1020190132819A 2019-10-24 2019-10-24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KR10224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19A KR102244889B1 (ko) 2019-10-24 2019-10-24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19A KR102244889B1 (ko) 2019-10-24 2019-10-24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889B1 true KR102244889B1 (ko) 2021-04-26

Family

ID=7573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819A KR102244889B1 (ko) 2019-10-24 2019-10-24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6686A (zh) * 2022-08-26 2022-11-25 杭州巨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刃具激光二次淬火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966A (ko) 2001-03-14 2002-09-19 정재서 주방용칼의 특수강칼날의 일체제조방법
KR101296779B1 (ko) * 2011-08-09 2013-08-14 이기홍 청동 칼 및 그 제조방법
KR101527729B1 (ko) 2015-03-19 2015-06-11 윤미경 손잡이가 구비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534U (ko) * 2014-11-03 2016-05-11 이영옥 기능성 식칼
JP2017087303A (ja) * 2015-11-02 2017-05-25 株式会社不二Wpc 切断用カッターの製造方法
KR20190063539A (ko) * 2017-11-30 2019-06-10 (주)에스엠텍 레이저를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용 유리표면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966A (ko) 2001-03-14 2002-09-19 정재서 주방용칼의 특수강칼날의 일체제조방법
KR101296779B1 (ko) * 2011-08-09 2013-08-14 이기홍 청동 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534U (ko) * 2014-11-03 2016-05-11 이영옥 기능성 식칼
KR101527729B1 (ko) 2015-03-19 2015-06-11 윤미경 손잡이가 구비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7087303A (ja) * 2015-11-02 2017-05-25 株式会社不二Wpc 切断用カッターの製造方法
KR20190063539A (ko) * 2017-11-30 2019-06-10 (주)에스엠텍 레이저를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용 유리표면 가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6686A (zh) * 2022-08-26 2022-11-25 杭州巨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刃具激光二次淬火装置
CN115386686B (zh) * 2022-08-26 2023-12-29 杭州巨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刃具激光二次淬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889B1 (ko) 미끄럼 방지 칼 제조 방법
US10653152B2 (en) Adjustable thickness sheeting device for a food processing device
CN205505529U (zh) 多功能刨冰机
CN107150366A (zh) 食物固定器和食物切片器
KR102077857B1 (ko) 복합 세절기
CN205521774U (zh) 一种竹板打孔机
CN219787782U (zh) 一种钢材表面打磨加工装置
KR200479394Y1 (ko)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CN205989353U (zh) 一种手摇自动送料式切菜器
CN213617640U (zh) 一种瓷砖切割机的取砖装置
KR102213947B1 (ko) 세절기
JPH11198105A (ja) 木工装置
JP5592574B1 (ja) 円盤刃研削装置
CN113043113A (zh) 一种产品加工用针对玻纤板高效去毛刺设备
US2273969A (en) Slicer
US1173983A (en) Cloth-cutting machine.
US9586299B2 (en) Non-slip mat for lathe
WO2008018686A1 (en) Construction materials cutter of hand grinder type
US281113A (en) Machine for cutting shoe-button-fly scallops
US6135021A (en) Nutcracker
CN219727711U (zh) 一种大理石表面纹路加工设备
CN205668341U (zh) 工作台翻转扩展式切割机
CN220516244U (zh) 一种圆柱形朱砂石打磨装置
CN216776818U (zh) 一种滑动调距的刀具砧板组合座
US788989A (en) Vegetable or fruit parer and sli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