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94Y1 -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 Google Patents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94Y1
KR200479394Y1 KR2020150007643U KR20150007643U KR200479394Y1 KR 200479394 Y1 KR200479394 Y1 KR 200479394Y1 KR 2020150007643 U KR2020150007643 U KR 2020150007643U KR 20150007643 U KR20150007643 U KR 20150007643U KR 200479394 Y1 KR200479394 Y1 KR 200479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utting
hand grinder
han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하
Original Assignee
김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하 filed Critical 김승하
Priority to KR2020150007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8Grinders for cutting-off being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8Grinders for cutting-off being portable
    • B24B27/085Stand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핸드 그라인더 몸체의 전방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선단측에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하단에 구름롤러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 일측이 상기 승강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름롤러와 회전축이 평행한 후방롤러가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사이드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핸드 그라인더의 절삭방향 및 절삭깊이를 일정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절삭깊이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구조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Safety supporting device for hand grinder}
본 고안은 핸드 그라인더를 이용한 절삭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핸드 그라인더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핸드 그라인더의 절삭방향 및 절삭깊이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되는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더는 연삭 숫돌을 이용하여 공작물의 면을 깎는 기계로서 다듬질 면의 거칠기는 보통의 바이트로 절삭하는 것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정밀도가 높다.
이러한 그라인더는 절삭 대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데, 대형 그라인더의 경우 작업대에 고정된 고정식으로 주로 제작되고, 소형인 경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핸드 그라인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핸드 그라인더 사시도이다.
종래의 핸드 그라인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가 내장된 몸체(12)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절삭휠(14)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의 후단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손잡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드 그라인더(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먼저 한 손으로 손잡이(16)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몸체(12)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구동모터에 연결된 절삭휠(14)이 회전하게 되고,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다른 한 손까지 몸체(12)를 함께 잡고 연삭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핸드 그라인더(10)는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형 그라인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절삭과정에서 약간씩 흔들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삭방향과 절삭깊이가 불규칙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핸드 그라인더(10)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상기 핸드 그라인더(10)를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바, 작업자에게 큰 피로감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속도 저하 및 사고발생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삭 과정 중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그라인더가 제안된바 있으나, 상기 휴대용 그라인더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전 준비작업이 많아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466000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핸드 그라인더의 절삭방향 및 절삭깊이를 일정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절삭깊이 조절이 가능하며, 내부구조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핸드 그라인더 몸체의 전방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선단측에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하단에 구름롤러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
일측이 상기 승강브라켓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름롤러와 회전축이 평행한 후방롤러가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사이드브라켓;
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의 선단면에는 둘 이상의 나사체결공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승강브라켓은 상기 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수직슬롯이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수직슬롯을 관통한 후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되는 둘 이상의 체결나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름롤러는 핸드 절삭기의 절삭휠보다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롤러는 핸드 절삭기의 절삭휠보다 뒤쪽에 위치된다.
상기 사이드브라켓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이 상기 승강브라켓에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후단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롤러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수평부의 선단측은 상기 승강브라켓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승강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와 결합되는 지점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이드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구름롤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구름롤러의 회전수를 전달받아 절삭거리를 산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로부터 산출된 절삭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창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핸드 그라인더의 절삭방향 및 절삭깊이를 일정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절삭깊이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구조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 그라인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가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가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사용하는 핸드 그라인더(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핸드 그라인더(10)의 절삭방향 및 절삭깊이를 정밀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 그라인더(10)는, 구동모터가 내장된 몸체(12)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절삭휠(14)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의 후단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손잡이(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몸체(12)에 결합되어 핸드 그라인더(10)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핸드 그라인더(10) 몸체(12)의 전방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선단측에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하단에 구름롤러(220)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200)과, 일측이 상기 승강브라켓(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름롤러(220)와 회전축이 평행한 후방롤러(330)가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사이드브라켓(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가 핸드 그라인더(10)에 장착되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절단가공 모재의 표면에 안착되도록 핸드 그라인더(10)를 위치시킨 후,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의 구름방향으로 핸드 그라인더(10)를 이동시키면서 모재를 절단시킬 수 있으므로, 절삭방향을 일방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의 회전축은 절삭휠(14)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바,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의 구름방향으로 핸드 그라인더(10)를 움직이면서 절삭휠(14)로 모재를 절삭하면 별도의 가이드수단 없이 모재를 직선으로 안전하게 절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모재의 표면에 안착되도록 사용되는바, 승강브라켓(200)이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되는 지점을 상하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절삭휠(14)의 절삭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승강브라켓(200)이 상승하여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의 위치가 높아질수록 절삭휠(14)의 절삭깊이는 깊어지고, 승강브라켓(200)이 하강하여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의 위치가 낮아질수록 절삭휠(14)의 절삭깊이는 얕아지는데, 이와 같이 승강브라켓(200)이 승강에 따라 절삭휠(14)의 절삭깊이가 조절되는 구조는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브라켓(200)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고정브라켓(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00)의 선단면에는 둘 이상의 나사체결공(120)이 상하로 배열되고, 승강브라켓(200)은 상기 나사체결공(120)과 대응되는 부위에 수직슬롯(210)이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수직슬롯(210)을 관통한 후 나사체결공(120)에 체결되는 둘 이상의 체결나사(2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직슬롯(210)을 관통하여 나사체결공(12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240)에 의해 고정브라켓(100)과 승강브라켓(200)이 결합되는 경우, 승강브라켓(200)의 결합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어 절삭휠(14)의 절삭깊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나사(240)를 완전히 탈거하지 아니하더라도 승강브라켓(200)의 결합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즉, 체결나사(240)를 약간 풀어둔 상태에서 승강브라켓(2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절삭깊이 조절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핸드 그라인더(10)를 이용하여 절삭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핸드 그라인더(10)를 아래로 누르면서 모재를 절삭하므로, 고정브라켓(100)과 몸체(12) 간의 결합부위에는 상하방향의 외력이 주로 인가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00)을 몸체(12)에 결합시키는 나사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면, 상기 나사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 포함되는 고정브라켓(100)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12)의 상면과 저면을 덮는 후단측이 상하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10)에 의해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나사(110)가 상하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면, 절삭작업 시 고정나사(110)에 인가되는 외력이 고정나사(110)의 횡방향으로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나사(110)의 종방향으로 인가되는바, 고정나사(110)의 파단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100)이 안정적으로 몸체(1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핸드 그라인더(10)는 절삭휠(14)이 모재에 압착됨으로써 모재를 절삭시키므로, 모재를 절삭하는 동안에는 절삭휠(14)에 가장 큰 압력이 발생된다. 이때, 핸드 그라인더(10)를 지지하기 위한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절삭휠(14)의 앞쪽에 모두 위치되거나 절삭휠(14)의 뒤쪽에 모두 위치되는 경우, 절삭휠(14)과 모재가 압착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핸드 그라인더(1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절삭휠(14)의 앞쪽에 모두 위치되면, 절삭휠(14)이 모재에 가압되는 과정에서 핸드 그라인더(10)가 뒤로 기울어짐으로 인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모재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모재로부터 이격되면 절삭방향을 일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다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심대한 문제가 발생된다. 마찬가지로,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절삭휠(14)의 뒤쪽에 모두 위치되면, 핸드 그라인더(10)가 앞으로 기울어짐으로 인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모재로부터 이격되고, 절삭방향을 일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없다는 동일한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상기 구름롤러(220)는 핸드 절삭기의 절삭휠(14)보다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롤러(330)는 핸드 절삭기의 절삭휠(14)보다 뒤쪽에 위치되도록 즉, 절삭휠(14)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삭휠(14)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 사이에 위치되면 핸드 그라인더(10)가 앞으로 기울어지거나 뒤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절삭방향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브라켓(300)은 절삭휠(14)을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이 상기 승강브라켓(200)에 결합되는 수평부(310)와, 상기 수평부(310)의 후단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롤러(330)가 수직부(320)의 하단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의 배열방향이 손잡이(16)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열되면, 핸드 그라인더(10)가 모재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손잡이(16)의 길이방향이 모재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6)의 길이방향이 모재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배열되는 경우, 손잡이(16)를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거나, 손잡이(16)를 손으로 잡고 하향 가압하는 동작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구름롤러(220)에 대한 후방롤러(3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브라켓(300)은 승강 가능한 구조로 승강브라켓(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부(310)의 선단측은 상기 승강브라켓(200)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승강브라켓(200)은 상기 수평부(310)와 결합되는 지점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이드슬롯(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브라켓(200)의 측면 중 수평부(310)가 결합되는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슬롯(230)이 형성됨으로 인해 사이드브라켓(300)의 결합높이가 상하로 조절 가능한 구조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승강브라켓(200)의 결합높이가 상하로 조절 가능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를 이용하여 절삭모재(M)를 절삭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를 핸드 그라인더(10)에 장착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를 절삭모재(M)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구름롤러(220)와 후방롤러(330)가 절삭모재(M) 상면에 안착되면, 핸드 그라인더(10)는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의 구름방향을 따라 직선 이송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절삭방향이 일방향을 향하도록 직선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를 이용하면, 핸드 그라인더(10) 사용 숙련도가 낮은 사용자라도 직선으로 절삭모재(M)를 절삭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절삭모재(M)를 일정한 깊이로 절삭할 수 있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00)에 대한 승강브라켓(200)의 결합위치를 일정 거리 상승시키면,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 역시 일정 거리 상승되는바,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를 절삭모재(M)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휠(14)은 일정 수준의 깊이(D)로 절삭모재(M)를 절삭하게 된다.
사용자는 구름롤러(220) 및 후방롤러(330)가 절삭모재(M)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핸드 그라인더(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만으로, 절삭모재(M)를 일정한 깊이로 절삭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절삭 작업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브라켓(200) 승강거리에 따른 절삭깊이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브라켓(200)의 측면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절삭거리까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구름롤러(22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구름롤러(220)의 회전수를 전달받아 절삭거리를 산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로부터 산출된 절삭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창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와 연산부와 출력창이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핸드 그라인더(10)를 이송시켜 절삭모재(M)를 절삭시키면서 출력창을 통해 절삭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절삭모재(M)를 자신이 원하는 거리만큼만 정확하게 절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감지부와 연산부와 출력창은 본 고안이 해당하는 기술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부품이므로, 상기 감지부와 연산부와 출력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핸드 그라인더 12 : 몸체
14 : 절삭휠 16 : 손잡이
100 : 고정브라켓 110 : 고정나사
120 : 나사체결공 200 : 승강브라켓
210 : 수직슬롯 220 : 구름롤러
230 : 사이드슬롯 240 : 체결나사
300 : 사이드브라켓 310 : 수평부
320 : 수직부 330 : 후방롤러

Claims (6)

  1. 핸드 그라인더(10) 몸체(12)의 전방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0);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선단측에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하단에 구름롤러(220)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200);
    일측이 상기 승강브라켓(200)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구름롤러(220)와 회전축이 평행한 후방롤러(330)가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사이드브라켓(300);
    을 포함하며,
    상기 구름롤러(220)는 핸드 절삭기의 절삭휠(14)보다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롤러(330)는 핸드 절삭기의 절삭휠(14)보다 뒤쪽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브라켓(300)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선단측이 상기 승강브라켓(200)에 결합되는 수평부(310)와, 상기 수평부(310)의 후단측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롤러(330)는 상기 수직부(32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선단면에는 둘 이상의 나사체결공(120)이 상하로 배열되고,
    상기 승강브라켓(200)은 상기 나사체결공(120)과 대응되는 부위에 수직슬롯(210)이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수직슬롯(210)을 관통한 후 상기 나사체결공(120)에 체결되는 둘 이상의 체결나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310)의 선단측은 상기 승강브라켓(200)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승강브라켓(200)은 상기 수평부(310)와 결합되는 지점에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이드슬롯(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름롤러(22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구름롤러(220)의 회전수를 전달받아 절삭거리를 산출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로부터 산출된 절삭거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KR2020150007643U 2015-11-24 2015-11-24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KR200479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43U KR200479394Y1 (ko) 2015-11-24 2015-11-24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43U KR200479394Y1 (ko) 2015-11-24 2015-11-24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394Y1 true KR200479394Y1 (ko) 2016-01-25

Family

ID=5531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43U KR200479394Y1 (ko) 2015-11-24 2015-11-24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95B1 (ko) 2021-07-01 2022-01-18 김만선 그라인더용 이탈방지 안전고리
KR102532665B1 (ko) * 2023-02-22 2023-05-15 주식회사 대성지티 연마폭의 조절이 용이한 연마기
KR102622407B1 (ko) * 2023-03-16 2024-0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그라인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914A (ja) * 1999-02-22 2000-09-05 Yoshitaka Aoyama 切断装置
KR100857424B1 (ko) * 2007-05-02 2008-09-08 주식회사골드라인 스틸밴드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914A (ja) * 1999-02-22 2000-09-05 Yoshitaka Aoyama 切断装置
KR100857424B1 (ko) * 2007-05-02 2008-09-08 주식회사골드라인 스틸밴드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95B1 (ko) 2021-07-01 2022-01-18 김만선 그라인더용 이탈방지 안전고리
KR102532665B1 (ko) * 2023-02-22 2023-05-15 주식회사 대성지티 연마폭의 조절이 용이한 연마기
KR102622407B1 (ko) * 2023-03-16 2024-0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그라인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394Y1 (ko) 핸드 그라인더 안전지지대
CN201055932Y (zh) 一种滑移式旋转切锯
JP2005500185A (ja) プロセッサ制御することにより工作物を加工する装置
CN210262461U (zh) 一种可快速更换刀片的裁剪机
CN113134735B (zh) 一种等离子切割辅助平台
US20120241047A1 (en) Power tools
KR100798637B1 (ko) 탁상용 직선 면취기
KR101666142B1 (ko) 원호 절단용 컴퍼스
CN212072287U (zh) 一种适用于多种规格的修边机
CN203482957U (zh) 可调整倾斜角度的鞋面划线机
JP2012006091A (ja) 歯車用自動面取り装置
JP2003300136A (ja) レンズ加工装置
CN209207430U (zh) 一种切割机用支撑云台
KR101539534B1 (ko) 보도 블럭 절단 장치
US20080271664A1 (en) Feedback Systems for Adjustment Mechanisms on Power Tools
KR102151865B1 (ko) 판재절단용 전동식 원형톱장치
JP5685276B2 (ja) 鋸身のバックテーパ加工装置
CN202292856U (zh) 一种切边设备
CN205438799U (zh) 一种小型木工锯床
CN206855786U (zh) 圆锯切割机
KR100820186B1 (ko) 연삭기용 탈착형 면취기
KR101816071B1 (ko) 드릴머신 고정장치
CN215547256U (zh) 一种机械零件刃磨用可控制进量砂轮机
KR102619787B1 (ko) 모따기 장치
CN219727711U (zh) 一种大理石表面纹路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