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76B1 -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76B1
KR102244876B1 KR1020167012411A KR20167012411A KR102244876B1 KR 102244876 B1 KR102244876 B1 KR 102244876B1 KR 1020167012411 A KR1020167012411 A KR 1020167012411A KR 20167012411 A KR20167012411 A KR 20167012411A KR 102244876 B1 KR102244876 B1 KR 102244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rebound stop
press
tool part
tubula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803A (ko
Inventor
클라우스 리플라인
슈테판 호흐게장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7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F16F9/585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within the cylinder, in contact with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5Press-fi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 F16F2230/007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with, or used as an end stop or buffer; Limiting excessive axial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2)에 리바운드 스톱(1)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제1 방법 단계에서는 리바운드 스톱(1)이 피스톤 로드(2)에서 위치 설정되고, 제1 공구 부품(6)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된다. 또 다른 한 방법 단계에서는,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을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하기 위한 압입면(8)을 구비하는 제2 공구 부품(7)이 압입면(8)에 의해서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에 접한다. 제1 공구 부품(6) 및 제2 공구 부품(7)은 피스톤 로드(2)의 세로 축(A)에 대해 서로를 향한 축 방향 상대 운동을 실행하며, 하나 이상의 공구 부품(6, 7)은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을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 내부로 압입한다. 본 발명은, 압입면(8)의 축 방향 길이 연장부에 걸쳐 압입면의 경사각이 적어도 섹션별로 변함으로써, 공구 부품(6, 7)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1, FA2, FA3)과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1, FR2, FR3) 사이의 힘의 비율이,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1, FA2, FA3)은 감소하고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1, FR2, FR3)은 증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FASTENING A REBOUND STOP TO A PISTON ROD OF A VIBRATION DAMPER}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rebound stop)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피스톤 로드-리바운드 스톱-구성 유닛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 로드-리바운드 스톱-구성 유닛을 구성 부품으로서 구비하는 진동 댐퍼는 자동차 산업 분야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진동 댐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댐핑 매체로 채워진 하나 이상의 작동 실린더와, 이 작동 실린더의 세로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작동 실린더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작동 실린더를 2개의 작업 챔버로 세분하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은 일측에서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며, 이 피스톤 로드는 밀봉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 안내부에 의해 작업 실린더로부터 외부로 안내되고 자동차의 또 다른 고정 부품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은 일반적으로 2개의 작업 챔버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와, 이 개구를 일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하나 이상의 배플(baffle)를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로부터 멀리 배치된 작업 실린더의 단부는 통상적으로 실린더 바닥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자동차의 차량 휠을 지지하는 부품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이 작업 실린더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나의 작업 챔버가 축소되며, 이 경우 다른 작업 챔버는 확대된다. 두 챔버의 상대적인 크기 변동으로 인해, 두 챔버 사이에 압력차가 생성되며, 이 압력차는 댐핑 매체를 축소된 작업 챔버로부터 피스톤의 개구를 통과해서 확대된 작업 챔버 내부로 흐르게 한다. 배플이 댐핑 매체의 관류를 어렵게 함으로써, 댐핑 효과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포트 홀(pot-hole)을 지나갈 때와 같은 몇몇 작동 상태에서는, 피스톤이 고속으로 피스톤 로드 안내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안내부에 충돌하는 상황이 배제될 수 없다. 이는 피스톤 로드 밀봉부의 누설을 야기할 수 있거나 피스톤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 댐퍼에 리바운드 스톱이 설치되며, 이 리바운드 스톱은 피스톤 로드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전술된 바와 같은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 안내부의 충돌을 방지하는 과제를 갖는다.
리바운드 스톱을 피스톤 로드에 고정하는 과정은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바운드 스톱은 피스톤 로드에 용접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피스톤 로드와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는 이상적인 경우 피스톤 로드의 제조 후에 변형되어서는 안되는 고도로 정밀한 부품이기 때문에, 리바운드 스톱을 피스톤 로드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로우면서 고비용과 연계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는 예를 들어 독일 실용신안 출원 DE 78 10 988 U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환형 그루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그루브는 스냅 링(snap ring)을 수용하고, 피스톤 로드에서 리바운드 스톱을 축 방향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고정 방식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스냅 링을 피스톤 로드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스냅 링이 개방되어야만 하며, 이로써 결국 스냅 링은 환형 그루브에 이르기까지 피스톤 로드의 섹션을 가능하다면 접촉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스냅 링은 피스톤 로드의 환형 그루브 내부에 삽입되고, 리바운드 스톱을 피스톤 로드에 축 방향으로 고정한다. 추가로, 리바운드 스톱이 강한 하중을 받을 때 스냅 링이 그루브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도록, 스냅 링을 피스톤 로드에 고정하기 위한 축 방향 고정 가능성도 구현되어야만 한다. 이로써, 전술된 고정 방식도 마찬가지로 비용 집약적일 수 있다.
또한, 독일 실용신안 출원 DE 78 10 988 U1호 또는 독일 실용신안 출원 DE 85 20 989 U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에 의해서 리바운드 스톱을 피스톤 로드에 축 방향으로 고정함으로써, 피스톤 로드와 리바운드 스톱의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도 구현될 수 있다.
독일 공고 특허 출원서 DE 10 2011 089 140 B3호도 마찬가지로, 피스톤 로드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고, 피스톤 로드에서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 안내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리바운드 스톱을 보여준다. 이 리바운드 스톱은 피스톤 로드와 마찰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독일 공보 DE 10 2011 089 140 B3호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는 환형 그루브를 구비하며, 이 경우 리바운드 스톱은 그루브 내부로 압입됨으로써, 피스톤 로드와 리바운드 스톱 사이에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이 구현되었다.
일반적인 선행 기술에는,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방법 단계를 갖는 고정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제1 방법 단계에서는, 리바운드 스톱이 피스톤 로드에서 위치 설정된다. 리바운드 스톱은 피스톤 로드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고, 디스크 모양의 섹션 및 이 섹션에 인접하는, 피스톤 로드 쪽을 향하는 관형 섹션을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는 환형 그루브를 구비한다.
리바운드 스톱은 디스크 모양의 섹션에 의해 제1 공구 부품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은 피스톤 로드의 환형 그루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제2 방법 단계에서는, 피스톤 로드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제2 공구 부품이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에 접하게 된다. 제2 공구 부품의 접촉면은 비스듬하게, 특히 원뿔 모양으로 일정한 경사로 구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원뿔은 방사 방향 내부로, 즉 피스톤 로드의 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
그 다음에, 제1 공구 부품 및 제2 공구 부품은 피스톤 로드의 세로 축에 대해 서로를 향한 축 방향 상대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공구 부품들 사이의 간격은 규정된 최종 치수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이때, 제2 공구 부품은 디스크 모양 섹션의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과, 방사 방향 내부로 향하는, 즉 피스톤 로드 중앙 쪽을 향하는 가압력을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에 가하고, 이 관형 섹션을 피스톤 로드의 환형 그루브 내부로 압입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책에서는, 최적으로 가압됨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환형 그루브 내에서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이 최적으로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공구 부품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점점 더 큰 방사 방향 가압력이 필요하다는 상황이 단점으로 간주 될 수 있다.
축 방향 가압력이 증가하는 한편, 공구 부품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증가 및 감소가 필연적으로 공구의 신속한 마모를 야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피스톤 로드의 환형 그루브 내에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이 최적으로 접하도록, 하지만 공구 마모는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전술된 고정 방법들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변형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이로써, 압입면의 경사각을 변경시킴으로써, 공구 부품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과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 사이의 힘의 비율이 변경되며, 그 결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은 감소하고,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은 증가한다.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큰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환형 그루브 내에서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이 최적으로 접하게 되며, 이 경우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은 가압 과정 동안에 공구를 보호하도록 감소한다.
한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 따라, 제2 공구 부품의 압입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바운드 스톱의 관형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환형 표면을 갖는 압입 섹션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 및 장점들은 도면들과 연계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 1의 a) 내지 도 1의 c)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고정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고정 방법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3은 선행 기술의 고정 방법에 따른 힘의 비율을 도시한다.
도 4는 특허 청구항 1의 고정 방법에 따른 힘의 비율을 도시한다.
도 5는 제2 공구 부품의 한 가지 가능한 변형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의 a), 도 1의 b), 도 1의 c) 및 도 3에 해당하는 도면들에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고정 방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에 따라 리바운드 스톱(1)은 피스톤 로드(2)에서 위치 설정되어 고정된다. 리바운드 스톱(1)은 피스톤 로드(2)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며, 디스크 모양의 섹션(3) 및 이 섹션에 인접하고 피스톤 로드(2) 쪽을 향하는 관형 섹션(4)을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2)는 환형 그루브(5)를 구비한다. 그루브(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형 섹션(4)에 접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2)의 세로 축(A)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현된 접촉 섹션(9)을 구비한다. 또한, 그루브는, 노치 효과(notch effect)를 방지하기기 위해 이용되는 반경(R1)을 갖는다.
리바운드 스톱(1)은 디스크 모양의 섹션(3)에 의해 제1 공구 부품(6)에서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이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축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제2 공구 부품(7)은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에서 그 압입면(8)에 접한다. 제2 공구 부품(7)의 압입면(8)의 형상은 제2 공구 부품(7) 내에 있는 원뿔 모양의 리세스(10)에 의해서 규정되고, 피스톤 로드(2)의 세로 연장 축(A)에 대해 일정한 경사로 비스듬하게 진행하며, 이 경우 원뿔은 자신의 전체 길이 연장부에 걸쳐 방사 방향으로, 즉 피스톤 로드(2)의 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
그러면, 제1 공구 부품(6) 및 제2 공구 부품(7)은 피스톤 로드(2)의 세로 축(A)에 대해 서로를 향한 축 방향 상대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공구 부품들(6; 7) 사이의 간격은 규정된 최종 치수(11)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이때, 제2 공구 부품(7)은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에 법선력(FN)을 가하며, 이 법선력은 법선 벡터의 방향으로, 즉 압입면(8)에 대해 수직으로 향하고,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을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 내부로 압입한다.
기능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법선력(FN)은 축 방향으로 디스크 모양 섹션의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과, 방사 방향 내부로, 다시 말해 피스톤 로드 중심 축(A) 쪽으로 향하는 가압력(FR)으로 벡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압입면(8)의 일정한 경사각에 의해, 법선력(FN)의 작용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고, 이로써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과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 사이의 힘의 비율도 항상 일정하다.
도 3에는,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에 작용하는 힘들의 힘의 비율이 3개 작용 지점(P1, P2 및 P3)에서 압입 섹션(14)을 따라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이들 지점(P1, P2 및 P3)에서 작용하는 법선력(FN1, FN2 및 FN3)의 작용 방향은 일정한 경사로 인해 항상 동일하며, 이로써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각각의 관련 힘(FA1, FA2, FA3)에 대한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힘(FR1, FR2, FR3) 사이의 개별적인 힘의 비율도 마찬가지로 항상 동일하게 유지된다.
리바운드 스톱(1)이 그루브(5) 내에서 접촉 섹션(9)의 표면에 최적으로 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매우 높은 가압력(FR)이 관형 섹션(4)에 가해져야만 한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가압력은 가압 과정 동안에 연속으로 증가한다.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 사이의 힘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인해,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은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의 상승에 비례해서 증가하는데, 이는 공구 부품(6; 7)에 강한 하중이 가해진다.
도 2의 a), 도 2의 b) 및 도 4에 해당하는 도면들은, 청구항 1에 따른 고정 방법을 보여준다. 제2 공구 부품(7)의 압입면(8)은, 압입면(8)의 축 방향 길이 연장부에 걸쳐 그 경사각이 적어도 섹션별로 변함으로써, 공구 부품들(6, 7)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과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 사이의 힘의 비율이 변경되며, 그 결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이 감소하고,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이 증가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로써 도달할 수 있는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매우 높은 가압력(FR)이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을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 내부로 압입하여, 결과적으로 관형 섹션(4)은 그루브(5)의 접촉 섹션(9)에 그리고 이 접촉 섹션에 인접하는 반경(R1)에 최적으로 접할 수 있게 된다. 제2 공구 부품(7)에 의한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높은 가압력(FR)에 의해 밀린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의 재료는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를 거의 완전하게 채운다.
도 5에 해당하는 도면은 도 1에 따른 제2 공구 부품(7)의 한 가지 예로 든 변형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2 공구 부품(7)은, 피스톤 로드(2)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 보어(13)로서 실시될 수 있는 수용 섹션(12) 및 그에 인접하는 압입면(8)을 구비한다. 제2 공구 부품(7)의 압입면(8)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입면(8)은 단면도로 도시된 반경(R2)을 갖는다. 당연히 압입면(8)은 반경 없이도 구현될 수 있으며, 오히려 예를 들어 상이한 경사를 갖는 복수 섹션의 순차적인 연결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실시예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1 리바운드 스톱
2 피스톤 로드
3 디스크 모양의 섹션
4 관형 섹션
5 그루브
6 제1 공구 부품
7 제2 공구 부품
8 압입면
9 접촉 섹션
10 원뿔 모양의 리세스
11 최종 치수
12 수용 섹션
13 수용 보어
14 압입 섹션
A 세로 연장 축
R1 반경
R2 반경
P1 작용 지점
P2 작용 지점
P3 작용 지점
FN 법선력
FN1 작용 지점(P1)에서의 법선력
FN2 작용 지점(P2)에서의 법선력
FN3 작용 지점(P3)에서의 법선력
FR1 작용 지점(P1)에서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힘
FR2 작용 지점(P2)에서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힘
FR3 작용 지점(P3)에서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힘
FA1 작용 지점(P1)에서 축 방향으로 향하는 힘
FA2 작용 지점(P2)에서 축 방향으로 향하는 힘
FA3 작용 지점(P3)에서 축 방향으로 향하는 힘

Claims (3)

  1.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2)에 리바운드 스톱(1)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 방법 단계에서, 리바운드 스톱(1)이 피스톤 로드(2)에 위치 설정되며,
    - 리바운드 스톱(1)은, 피스톤 로드(2)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고 제1 공구 부품(6)에서 피스톤 로드(2)의 세로 축(A)에 대해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관형 섹션(4)을 구비하고,
    - 피스톤 로드(2)는 환형 그루브(5)를 구비하며,
    - 리바운드 스톱(1)의 축 방향 위치는,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이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선택되며,
    - 또 다른 한 방법 단계에서,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을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하기 위한 압입면(8)을 구비하는 제2 공구 부품(7)이 압입면(8)에 의해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에 접하며,
    - 제1 공구 부품(6) 및 제2 공구 부품(7)은 피스톤 로드(2)의 세로 축(A)에 대해 서로를 향한 축 방향 상대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공구 부품들(6, 7) 사이의 간격은 규정된 최종 치수(11)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하며,
    - 제1 공구 부품(6) 및 제2 공구 부품(7) 중 적어도 하나는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 FA1, FA2, FA3)과, 방사 방향 내부로 향하는, 즉 피스톤 로드 중앙 쪽을 향하는 가압력(FR, FR1, FR2, FR3)을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에 가하여, 상기 관형 섹션을 피스톤 로드(2)의 환형 그루브(5) 내부로 압입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압입면(8)의 축 방향 길이 연장부에 걸쳐 압입면의 경사각이 적어도 섹션별로 변함으로써, 공구 부품들(6, 7)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 FA1, FA2, FA3)과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 FR1, FR2, FR3) 사이의 힘의 비율이, 축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A, FA1, FA2, FA3)은 감소하고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가압력(FR, FR1, FR2, FR3)은 증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공구 부품(7)의 압입면(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2)에 리바운드 스톱(1)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리바운드 스톱(1)의 관형 섹션(4)은 압입 섹션(14)을 구비하며, 압입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환형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2)에 리바운드 스톱(1)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67012411A 2013-10-14 2014-09-19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2244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20627.5 2013-10-14
DE102013220627.5A DE102013220627B3 (de) 2013-10-14 2013-10-14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Zuganschlags an einer Kolbenstange eines Schwingungsdämpfers
PCT/EP2014/069977 WO2015055375A1 (de) 2013-10-14 2014-09-19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zuganschlags an einer kolbenstange eines schwingungsdämpf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803A KR20160070803A (ko) 2016-06-20
KR102244876B1 true KR102244876B1 (ko) 2021-04-28

Family

ID=5158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411A KR102244876B1 (ko) 2013-10-14 2014-09-19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2284B2 (ko)
KR (1) KR102244876B1 (ko)
CN (1) CN105658989B (ko)
DE (1) DE102013220627B3 (ko)
WO (1) WO2015055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5220B2 (en) * 2015-10-05 2017-12-0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rebound system
DE102021200486B4 (de) 2021-01-20 2022-08-11 Zf Friedrichshafen Ag Presswerkzeug zum Befestigen eines Zuganschlagrings an einer Kolbenstange eines Kraftfahrzeugschwingungsdämpf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745A (ja) 2003-01-20 2004-08-12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リバウンド構造
WO2013092084A1 (de) 2011-12-20 2013-06-2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m hydraulischen endanschla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5834A (en) * 1922-08-02 1928-10-02 Ohio Brass Co Process of manufacturing insulator pins
DE7810988U1 (de) * 1978-04-13 1978-08-10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Stoßdämpfer oder Federbein für Fahrzeuge
DE7837029U1 (de) 1978-12-14 1979-04-12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Stoßdämpfer oder Federbein mit mechanischem Zuganschlag
DE8520989U1 (de) * 1985-07-20 1985-09-19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Schwingungsdämpfer für Fahrzeuge
CN87203523U (zh) * 1987-03-14 1988-02-24 罗良祖 高储能、系列化、车辆筒式减震器
DE19826046A1 (de) 1998-06-12 1999-12-16 Bosch Gmbh Robert Ventil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04039702B4 (de) * 2004-08-17 2008-02-07 Zf Friedrichshafen Ag Kolben-Zylinder-Aggregat
DE102005029938B3 (de) 2005-06-28 2006-11-09 Zf Friedrichshafen Ag Zusatzfeder für ein Kolben-Zylinderaggregat
KR20070076225A (ko) * 2006-01-18 2007-07-24 주식회사 만도 스트러트 로드의 리바운드 스토퍼 조립시스템
DE102007014247B4 (de) * 2007-03-24 2008-10-30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hubabhängigen Anschlagfeder
KR20110047974A (ko) * 2009-10-30 2011-05-09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CN202079382U (zh) * 2010-11-26 2011-12-21 天津天德减震器有限公司 活塞杆分总成压卡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745A (ja) 2003-01-20 2004-08-12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リバウンド構造
WO2013092084A1 (de) 2011-12-20 2013-06-2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m hydraulischen endansch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8989A (zh) 2016-06-08
KR20160070803A (ko) 2016-06-20
DE102013220627B3 (de) 2015-01-15
US10012284B2 (en) 2018-07-03
US20160258505A1 (en) 2016-09-08
WO2015055375A1 (de) 2015-04-23
CN105658989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7803B2 (en) Hydraulic damper with a hydraulic stop arrangement
KR102131400B1 (ko) 유압 압축 정지 어셈블리를 갖는 유압 댐퍼
US10533624B2 (en) Cylinder device
CN109690122B (zh) 频率选择的减振阀组件
EP3176464A1 (en) Hydraulic suspension damper with a hydro-mechanical stroke stop
CN107882912B (zh) 用于机动车辆的振动阻尼器和用于在阻尼器内管与至少一个分隔板之间产生压配合的方法
CN108138890B (zh) 与频率有关的阻尼阀装置的控制组件及塑性变形的方法
CN106233026B (zh) 缓冲器
CN110886805B (zh) 具有液压牵拉止挡的振动减震器
US10066696B2 (en) Damper
CN109690121B (zh) 与频率相关的减振阀组件
US9599184B2 (en) Fluid damper assembly having a multi-functional bushing
KR102244876B1 (ko)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에 리바운드 스톱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US20060097434A1 (en) Pneumatic spring
KR102478966B1 (ko) 주파수 의존 댐핑 밸브 장치
KR20130064718A (ko) 실린더 장치
JP6810603B2 (ja) シリンダ装置
JP4883279B2 (ja) シリンダ装置
JP2015197142A (ja) シリンダ装置
CN115962246A (zh) 具有液压式端部止动件的机动车减振器
KR101230553B1 (ko) 쇽업소버의 유압 스토퍼 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101375802B1 (ko) 로드 가이드용 마찰식 댐핑 부재
KR101374879B1 (ko) 다이나믹 댐핑 구조
WO2018225711A1 (ja) シリンダ装置
CN116221325A (zh) 液压压缩止动套筒及具有液压压缩止动件的阻尼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