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752B1 -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752B1
KR102244752B1 KR1020200029372A KR20200029372A KR102244752B1 KR 102244752 B1 KR102244752 B1 KR 102244752B1 KR 1020200029372 A KR1020200029372 A KR 1020200029372A KR 20200029372 A KR20200029372 A KR 20200029372A KR 102244752 B1 KR102244752 B1 KR 10224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housing
coupling
rear housing
fro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정
Original Assignee
강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정 filed Critical 강선정
Priority to KR102020002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여 후방의 공기를 전방을 향해 공급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며,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직각으로 소정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방사형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후방하우징 및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 날개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고,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3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밀착되어 결합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하우징 및 상기 전방하우징은 각각, 서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부착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ELECTRIC FAN WITH EASY DETACHABLE STRUCTURE OF FRONT AND REAR HOUSING}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하우징과 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란, 모터 등 구동장치로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장치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후방의 공기를 전방을 향해 공급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가전기기를 뜻한다.
한편 선풍기는, 회전하는 회전날개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날개의 전후방에 중심으로부터 테두리까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살을 각각 구비하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을 포함한다.
후방하우징은, 회전날개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날개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구동장치와 회전날개의 사이에 설치된다. 전방하우징은 회전날개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날개의 전방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전방하우징은, 후방하우징의 전방과 밀착되어 결합된다.
구동중인 선풍기는, 공기 중에 산재해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하, 먼지 등)이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이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살과 회전날개 등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쌓인 먼지 등이 회전하는 회전날개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일정시간 구동 후 전방하우징과 후방하우징을 분리하여 청소를 하여야 한다.
종래의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결합구조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이 밀착된 상태에서 전방하우징 및/또는 후방하우징 테두리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고정클립 및 고정클립과 결합되는 체결구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고정클립은 테두리의 진행방향으로 테두리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얇고 긴 형상을 가진다. 체결구는 고정클립의 중심부에 천공된 홈에 끼워진다. 고정클립과 체결구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큰 힘으로 압력을 가해야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0393호 (2017. 10. 3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여 후방의 공기를 전방을 향해 공급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며,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직각으로 소정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방사형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후방하우징 및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 날개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고,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3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밀착되어 결합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하우징 및 상기 전방하우징은 각각, 서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부착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결합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에 방사형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일단의 너비가 타단의 너비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외측단을 따라 ‘ㄱ’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전방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방하우징 및 상기 후방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의 상기 ‘ㄱ’ 형상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및 상기 전방하우징의 일정 회전 후, 상기 결합홈의 일단에 막혀 상기 전방하우징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전방하우징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결합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후방나사산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외주연에 상기 후방나사산과 대응되어 상기 후방나사산과 서로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전방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결합부재는, 상기 제3 돌출부의 외주연 일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전방푸시걸림돌기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하우징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각운동되고, 상기 전방푸시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방푸시걸림돌기와 서로 교차하여 결합되는 후방푸시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상기 후방푸시걸림돌기가 상기 전방푸시걸림돌기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후방하우징 및 상기 전방하우징을 탈부착하는 푸시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결합부재는, 상기 제3 돌출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연과 접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며, 탄성을 가져 상기 전방하우징이 상기 후방하우징과 결합한 후 상기 전방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압축력을 제공하여, 상기 전방하우징이 상기 후방하우징과 결합한 후 상기 전방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탄성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결합부재는, 상기 전방하우징의 테두리 외주연에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멍이 천공된 결합날개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외주연에 상기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구멍의 내부로 탈착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에 따르면,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전방하우징, 후방하우징 및 회전날개에 쌓인 먼지 등의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6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7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1000)는, 전원이 인가되어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몸체부(300), 구동장치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후방의 공기를 전방을 향해 공급하는 회전날개(400), 회전하는 회전날개(400)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날개(400)의 전방을 감싸며 중심으로부터 테두리까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살을 구비하는 전방하우징(200) 및 회전하는 회전날개(400)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날개(400)의 후방을 감싸며 중심으로부터 테두리까지 연결하는 복수개의 살을 구비하는 후방하우징(100)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1000)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여 후방의 공기를 전방을 향해 공급하는 회전날개(400)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회전날개(40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날개(400)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며,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0, 도 2) 및 제1 돌출부(110, 도 2)와 직각으로 소정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20, 도 2)를 포함하고, 제2 돌출부(120, 도 2)에는 방사형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부재(121, 도 2)가 구비되는 후방하우징(100) 및 후방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되고, 회전날개(40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날개(400)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고,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3 돌출부(210, 도 2)를 구비하고, 제3 돌출부(210, 도 2)는 후방하우징(100)의 전방에서 제1 돌출부(110, 도 2) 및 제2 돌출부(120, 도 2)와 밀착되어 결합하며, 제3 돌출부(210, 도 2)는 지지부재(121, 도 2)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300) 및 회전날개(400)는, 각각 공지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에는 각각, 서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부착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123, 211, 113, 213, 115, 218, 219, 131, 231, 133, 233, 140, 도 2 내지 도 15)는 여러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하기에서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 실시예는 서로 독립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예가 서로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탈부착결합부재의 각 구성(123, 211, 113, 213, 115, 218, 219, 131, 231, 133, 233, 140, 도 2 내지 도 15)이 다른 실시예에서도 함께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방하우징(100)은, 회전날개(400)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전날개(400)의 후방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후방하우징(100)은 회전날개(400)와 구동장치 사이에 설치된다. 후방하우징(100)의 테두리 상부면은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돌출부(110)는, 후방하우징(100)의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원형으로 감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는, 후술하게 될, 전방하우징(200)의 제3 돌출부(210)가 밀착 및 접하도록 내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는 제1 돌출부(110)와 직각으로 소정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돌출부(120)는, 후술하게 될, 전방하우징(200)의 제3 돌출부(210)가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접하도록 내입될 때 소정길이 만큼 내입된 후 더 이상 내입되지 않도록 내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20)는 제1 돌출부(110)의 일단에서 제3 돌출부(210)가 내입될 수 있도록 결정된 길이만큼의 내측 소정위치에 구비된다. 제2 돌출부(120)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재(121)가 구비된다. 지지부재(121)는 제2 돌출부(120) 상에서 방사형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후술하게될, 전방하우징(200)의 제3 돌출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하우징(200)은, 회전날개(400)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날개(400)의 전방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전방하우징(200)은, 후방하우징(100)의 전방과 밀착되어 결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하우징(200)은,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3 돌출부(2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돌출부(210)는, 전방하우징(200)이 구비한 복수개의 살과 직각방향을 가지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의 전방에서 후방하우징(100)을 향해 결합될 때,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은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과 밀착하여 접하도록 결합된다.
전방하우징(200)은 후방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내입된다.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내입될 때,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은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밀착하여 접하도록 내입되며, 제3 돌출부(210)의 일단이 제2 돌출부(120)에 접하여 더 이상 내입이 차단될 때까지 내입된다. 즉, 제3 돌출부(210)는 후방하우징(100)의 전방에서 제1 돌출부(110) 및 제2 돌출부(120)와 밀착되도록 내입된다.
제3 돌출부(210)의 일단이 제2 돌출부(120)에 접하여 내입이 차단되었을 때 제3 돌출부(210)의 내주연은, 전술한, 지지부재(121)와 밀착되도록 접촉된다. 지지부재(121)는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으로 내입된 제3 돌출부(210)가 전방을 제외한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도록 전방하우징(2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돌출부(120) 및 제3 돌출부(210)는 각각 결합홈(123) 및 결합홈(12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11)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은, 제2 돌출부(120)에 구비되며, 지지부재(121)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123)은 일단의 너비(a)가 타단의 너비(b)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211)는, 제3 돌출부(210)에 구비되며, 제3 돌출부(210)의 외측단을 따라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삽입부재(211)는 ‘ㄱ’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과 결합되기 위해 제3 돌출부(210)가 제1 돌출부(110)와 밀착될 때, 삽입부재(211)는 결합홈(123) 내로 삽입된다.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 내로 삽입될 때, 바람직하게는, 결합홈(123)의 일단을 향해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의 일단의 너비(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단의 너비(b)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의 일단을 향해 삽입될 때 삽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삽입부재(211)의 길이방향의 가장 긴 길이(d)는 결합홈(123)의 일단의 길이(c)와 같거나 다소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11)는 결합홈(123)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경우 삽입 위치에 따라 걸리는 일이 없어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의 일단을 향해 삽입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 내로 삽입된 이후, 전방하우징(2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삽입부재(211)는 결합홈(123)의 타단을 향해 이동한다.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의 타단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전방하우징(200)과 후방하우징(1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2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ㄱ’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삽입부재(211)의 ‘ㄱ’ 형상의 절곡된 부분(e)은,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에 삽입된 후 전방하우징(2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회전 후, 결합홈(123)의 타단(f)에 막혀 전방하우징(20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전방하우징(20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 및 삽입부재(21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방사형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 및 삽입부재(2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도록 제2 돌출부(120) 및 제3 돌출부(210)에 각각 방사형으로 4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과 삽입부재(211)는 특정위치(g, h, i)가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각 곡선은 결합홈(123)과 삽입부재(211)의 삽입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의 일단과 타단의 경계에 있는 부분(g)이 곡선인 경우, 전방하우징(200)의 시계방향 회전시 삽입부재(21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즉, 결합홈(123)의 일단과 타단의 경계에 있는 부분(g)은 삽입부재(211)의 삽입부재(211)의 ‘ㄱ’ 형상의 절곡된 부분(e)과 접하여 삽입부재(211)의 이동 시 곡선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의 일단 사선부분(h)이 곡선인 경우, 전방하우징(200)과 후방하우징(1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재(211)의 사선부분(i)이 곡선인 경우,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부재(211)가 결합홈(123)에 삽입될 때, 삽입부재(211)의 사선부분(i)은 결합홈(123)의 일단에 접하며, 삽입부재(211)의 사선부분(i)이 곡선의 형상을 가져, 삽입부재(211)는 결합홈(123)의 일단과 접하되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어 삽입부재(211)의 결합홈(123) 내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각 좌측 도면은 제2 돌출부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바라봤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각 우측 도면은 제3 돌출부를 측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홈(123)에 삽입부재(211)가 삽입된 후 전방하우징(200)이 시계방향(j)으로 회전하면,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은 서로 결합된다. 반대로 전방하우징(200)이 반시계방향(k)으로 회전하게되면, 삽입부재(211)는 결합홈(123)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방하우징(200)과 후방하우징(100)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전방하우징(200)의 회전방향과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전방하우징(2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결합되고, 전방하우징(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분리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홈(123) 및 삽입부재(211)의 형성된 방향에 따라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의 회전 시 결합 및 분리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는, 전술한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후방나사산(113) 및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전방나사산(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나사산(113)과 전방나사산(213)은 서로 대응되며, 따라서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의 결합을 위해,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과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될 때, 전방하우징(2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방하우징(200)과 후방하우징(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과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산(113, 213)은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 및 분리 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결정된다. 각 나사산(113, 21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는 푸시버튼(115)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버튼(115)은 가압되는 압력에 의해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이 분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는, 일측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전방푸시걸림돌기(218)를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돌출부(110)의 일측에는, 전방하우징(200)의 전방푸시걸림돌기(2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푸시버튼(115)이 설치된다. 푸시버튼(115)은 후방하우징(100)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부재(116)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부재(116)는, 양단이 제1 돌출부(110)의 내부에서 제1 돌출부(110)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115)은, 후방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 힌지부재(116)를 중심으로 각운동 된다. 푸시버튼(115)이 후방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압력이 가해지는 내부공간에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부재(1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117)에 의해 푸시버튼(115)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115)의 힌지부재(116) 하단방향(도면 상)에는, 제3 돌출부(210)에 구비된 전방푸시걸림돌기(2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전방푸시걸림돌기(218)와 서로 교차하여 결합되는 후방푸시걸림돌기(118)가 구비된다. 푸시버튼(115)의 내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후방푸시걸림돌기(118)와 전방푸시걸림돌기(218)는 서로 이탈될 수 있다. 서로 이탈되는 후방푸시걸림돌기(118)와 전방푸시걸림돌기(218)에 의해 전방하우징(200)과 후방하우징(100)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200)과 후방하우징(100)이 다시 결합될 때에는, 전방푸시걸림돌기(218)의 후방을 향한 후단이, 후방푸시걸림돌기(118)의 전방을 향한 전단을, 후방을 향해 가압하여 푸시버튼(115)을 후방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각운동시키며, 일정 간격 가압한 후 결합될 수 있다.
전방푸시걸림돌기(218) 및 푸시버튼(115)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전방푸시걸림돌기(218) 및 푸시버튼(115)는 한 쌍의 단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개가 각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상단에 하나, 하단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일의 전방푸시걸림돌기(218) 및 푸시버튼(115)을 구비하는 경우, 단일의 전방푸시걸림돌기(218) 및 푸시버튼(115)이 위치한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이 고정되는 힌지구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클립구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는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탄성돌기(2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돌기(219)는,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탄성돌기(219)는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로 압축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과 결합될 때,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은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과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다.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탄성돌기(219)는 내부로 압축되어 서로 결합되는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돌기(219)는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 및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는, 결합날개(231)와 결합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날개(231)는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결합날개(231)는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날개(23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멍이 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131)는, 제1 돌출부(110)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결합돌기(131)는 결합날개(231)의 내부에 천공된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날개(231)가 방사형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결합돌기(131)도 마찬가지로 방사형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결합날개(231)가 사방으로 구비되는 경우, 결합돌기(131)도 마찬가지로 사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131)는 결합날개(231)의 내부에 천공된 결합구멍과 끼움결합될 수 있다.
결합날개(23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이 결합할 때는 결합돌기(131)와 결합날개(231)가 서로 끼움결합되며,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이 분리될 때는 서로 끼움결합된 결합돌기(131)와 결합날개(231)가 서로 이탈되어 분리된다.
한편, 결합날개(231) 내부에 천공된 결합구멍 및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31)를 통한 결합 및 분리를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날개(231)의 내부에 천공된 결합구멍 대신, 결합날개(23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단턱(미도시) 및 제1 단턱과 대응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110)의 외주연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 단턱(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단턱(미도시)는 끊어짐 없이 제1 돌출부(110) 외주연의 외측에서 원형으로 제1 돌출부(110)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6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는,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ㅣ’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33) 및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ㄱ’ 형상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부재(233)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133) 및 슬라이드부재(23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방사형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재(233)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돌기(133) 및 슬라이드부재(233)는,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내입된 후, 회전하여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내입될 때는 슬라이드부재(233)는 가이드돌기(133)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다가간다. 한편, 가이드돌기(133)는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구비되고, 슬라이드부재(233)는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따라서, 도 11에서는 가이드돌기(133)는 실선으로 표현하였고, 슬라이드부재(233)는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33)의 일측단은 수평방향으로(도면 상) 형성되고, 타측단을 향해 하방으로(도면 상)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드부재(233)의 타측단에는, 슬라이드부재(233)와 가이드돌기(133)가 서로 결합될 때 가이드돌기(133)와 접하는 슬라이드돌출부(23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돌출부(234)는, 가이드돌기(133)를 향한 방향으로 곡선의 경사를 가진다. 슬라이드부재(2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작되며, 슬라이드부재(233)와 가이드돌기(133)가 서로 결합될 때 슬라이드부재(233)의 일측단은 제3 돌출부(210)에 고정되고, 슬라이드부재(233)의 타측단은 가이드돌기(133)로부터 가압되어 탄성을 가진 채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233)의 타측단이 탄성을 가진 채 유연하게 휘어진 상태로 계속 전방하우징(200)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돌기(133)는 슬라이드부재(233)의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에 안착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서는,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하였기 때문에, 가이드돌기(133)와 슬라이드부재(233)를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6 실시예를 종합하면, 탈부착결합부재는, 제1 돌출부(110)의 내주연에 ‘ㅣ’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33) 및 제3 돌출부(210)의 외주연에 ‘ㄱ’ 형상으로 돌출되며, 가이드돌기(133)의 일면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재(23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부재(233)의 측단에는 가이드돌기(133)를 향한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돌출부(234)를 구비하여, 후방하우징(100) 및 전방하우징(20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돌기(133) 및 슬라이드부재(233)가 결합하여 고정된다. 또한, 후방하우징(100) 및 전방하우징(200)의 분리를 하는 경우, 반대의 순서로 진행되며, 예를 들면, 슬라이드돌출부(234)를 가이드돌기(133)의 반대편으로 가압한 후, 전방하우징(20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방하우징(100) 및 전방하우징(200)의 분리가 가능하다.
[제7 실시예]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의 제7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결합부재는 코일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재(140)는 전자기코일일 수 있으며, 전자기 현상을 응용한 것이다. 코일부재(140)는 제1 철심부재(141)와 도선부재(1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철심부재(141)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 돌출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선부재(142)는 제1 철심부재(141)의 외주연에 복수회 감겨 형성된다. 도선부재(142)의 양 단은 구동장치의 전원과 연결된다. 도선부재(142)는 구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코일부재(140)에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재(140)를 통과하는 자기선속의 변화에 의하여 유도기전력이 생긴다. 도선부재(142)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재(140)의 주위에는 동심원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코일부재(140)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부재(14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코일부재(140)의 단면을 통과하는 자기선속이 생긴다. 코일부재(140)에 흐르는 전류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면 자기선속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생기고 자기선속의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도기전력이 생긴다. 코일부재(140)에 전류를 흘려주면 그 외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한편, 구동장치에 인가된 전원이 끊어지면 코일부재(140) 주위의 자기장이 없어진다.
전방하우징(200)의 제3 돌출부(210) 내부에는 원형으로 제2 철심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후방하우징(100)의 코일부재(14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는 경우, 코일부재(140)와 제2 철심부재의 사이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날개(40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서 전술한 탈부착결합부재에 의해 전방하우징(200) 및 후방하우징(100)이 분리되는 조건이 이루어지더라도 코일부재(140) 및 제2 철심부재의 인력에 의해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즉, 코일부재(140) 및 제2 철심부재는 안전사고를 이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구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부재(140) 및 제2 철심부재는, 구동장치의 전원이 해제되는 경우에만 전방하우징(200)이 후방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도시의 편의 상, 본 발명에 따른 코일부재(140)가 제1 돌출부(110) 및 제2 돌출부(120)에 접하며 제1 돌출부(11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돌출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철심부재(141)는 코일부재(140) 내부의 자기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선택적으로 코일부재(140)에 포함되거나 불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후방하우징
110 : 제1 돌출부
113 : 후방나사산
115 : 푸시버튼
116 : 힌지부재
117 : 스프링부재
118 : 후방푸시걸림돌기
120 : 제2 돌출부
121 : 지지부재
123 : 결합홈
131 : 결합돌기
133 : 가이드돌기
140 : 코일부재
141 : 제1 철심부재
142 : 도선부재
200 : 전방하우징
210 : 제3 돌출부
211 : 삽입부재
213 : 전방나사산
218 : 전방푸시걸림돌기
219 : 탄성돌기
231 : 결합날개
233 : 슬라이드부재
234 : 슬라이드돌출부
300 : 몸체부
400 : 회전날개
1000 :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Claims (6)

  1.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여 후방의 공기를 전방을 향해 공급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며,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직각으로 소정길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방사형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후방하우징; 및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날개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날개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중심과 테두리를 연결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살을 포함하고, 테두리 상부면 전체를 감싸며 후방을 향해 돌출된 제3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후방하우징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밀착되어 결합하며,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하우징 및 상기 전방하우징은 각각, 서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부착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탈부착결합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에 방사형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일단의 너비가 타단의 너비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제3 돌출부의 외측단을 따라 ‘ㄱ’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전방하우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방하우징 및 상기 후방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삽입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의 상기 ‘ㄱ’ 형상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및 상기 전방하우징의 일정 회전 후, 상기 결합홈의 타단에 막혀 상기 전방하우징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전방하우징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29372A 2020-03-10 2020-03-10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KR10224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72A KR102244752B1 (ko) 2020-03-10 2020-03-10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72A KR102244752B1 (ko) 2020-03-10 2020-03-10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752B1 true KR102244752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372A KR102244752B1 (ko) 2020-03-10 2020-03-10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7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496A (ja) * 1983-04-12 1984-10-29 Sanyo Electric Co Ltd 送風機
JP2016191385A (ja) * 2016-07-08 2016-11-1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扇風機および扇風機の羽根
KR20170120393A (ko) 2016-04-21 2017-10-31 신일산업 주식회사 선풍기의 전후면망 결합 분리 구조
KR20180007802A (ko) * 2016-07-14 2018-01-24 윤지훈 필터가 구비된 선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496A (ja) * 1983-04-12 1984-10-29 Sanyo Electric Co Ltd 送風機
KR20170120393A (ko) 2016-04-21 2017-10-31 신일산업 주식회사 선풍기의 전후면망 결합 분리 구조
JP2016191385A (ja) * 2016-07-08 2016-11-10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扇風機および扇風機の羽根
KR20180007802A (ko) * 2016-07-14 2018-01-24 윤지훈 필터가 구비된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635B1 (ko) 선풍기
US7438567B2 (en) Safety mechanism, electrical outlet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217897B2 (en) Backpanel insertion switch
IE910043A1 (en) Appliance housings
CA2971172A1 (en) Hinge assembly, trip unit and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same
KR102244752B1 (ko) 전후방하우징의 용이한 탈부착 구조를 가지는 선풍기
KR100483557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보호커버 장착장치
US3675324A (en) Electric dry shaver
CN111987845A (zh) 轮内马达
FR2617653A1 (fr) Moteur electrique avec disjoncteur
KR102489300B1 (ko) 캔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 조립체
CN101876225A (zh) 锁安装装置
US3146007A (en) Apparatus for removably mounting on a drive shaft a part driven by the shaft
US2532219A (en) Electrical outlet
KR19980024051A (ko)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CA2560258A1 (en) Indexing mechanism
JP4748040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07087893A (ja) テーブルタップ
KR100362609B1 (ko) 돔카메라장치
KR19980059011A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셔틀결합구조
JPH04368727A (ja) トリガースイッチ
KR200384168Y1 (ko) 로터리스위치의 스토퍼
KR100342206B1 (ko) 교류발전기
JP3578352B2 (ja) コンセント
JP2008280950A (ja) 空気圧縮機等の操作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