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456B1 - 기액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기액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456B1
KR102244456B1 KR1020190108178A KR20190108178A KR102244456B1 KR 102244456 B1 KR102244456 B1 KR 102244456B1 KR 1020190108178 A KR1020190108178 A KR 1020190108178A KR 20190108178 A KR20190108178 A KR 20190108178A KR 102244456 B1 KR102244456 B1 KR 10224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heat exchange
exchange member
liquid
collec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750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웨이하이 디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하이 디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웨이하이 디엠에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냉각효과가 우수하고 약액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기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는 중간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액체가 분리된 기류가 배출되는 출구부를 갖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몸체유닛;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로 유입된 기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재;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기류에서 분리된 액체가 집수되며 상부가 개방된 집수챔버; 그리고 상기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기류안내유닛을 포함하는 기액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액 분리 장치{Gas-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기액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씨디(LCD)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조 기술분야에서 박리설비에 사용되는 기액 분리 장치이다.
기존의 LCD공정의 처리과정 중 박리설비의 약액(藥液) 구간은 공정의 수요에 따라 설비의 운전 온도가 높은 편이며 안개 상태의 약액이 약액조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약액의 안개가 지나치게 많으면, 이웃하는 세정조로 안개가 넘어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약액의 안개를 약액조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 시스템이 설치된다.
그러나, 대량의 약액이 배기 시스템을 통하여 배출됨으로 인하여 대량의 약액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낭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비에 기액분리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기액분리장치에서는 냉각액 관로의 액체 유량이 너무 적고, 기액분리 장치의 출구부 측에 흡입력이 지나치게 클 경우 액체받이의 내부공간에 수집된 일부 액체가 흡입되어 기체에 의하여 함께 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49398(공고일자: 2004년 09월 18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냉각효과가 우수하고 약액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기액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는 중간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액체가 분리된 기류가 배출되는 출구부를 갖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몸체유닛;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로 유입된 기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재;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기류에서 분리된 액체가 집수되며 상부가 개방된 집수챔버; 그리고 상기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기류안내유닛을 포함하는 기액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집수챔버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바닥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 바닥벽과, 상기 내부 바닥벽의 테두리영역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측벽, 상기 기류안내유닛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벽은 상기 집수챔버로 유입된 기류가 상승하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측벽의 외측면 및 상기 외부측벽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면서 기류가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바닥벽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 바닥벽의 내측면은 기류를 상기 출구부로 안내하는 제3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상기 내부측벽 내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수챔버에서 상기 제1 유로를 따라 기류가 배출될 때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액체가 기류를 따라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액체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안내유닛의 내측 공간 단면적은 상기 중간몸체에서 상기 집수챔버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재는 상기 상부몸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재와, 상기 제1 열교환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부재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는 병렬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상기 제1 열교환부재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1 열교환부재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파이프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파이프와; 상기 제1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2 공급파이프에 연결되어 동시에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1 배출파이프와 상기 제2 배출파이프에 연결되는 메인 배출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부재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적층되는 제1 와인딩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제1 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제1 배출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상기 집수챔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챔버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집수챔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집수챔버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파이프는 상기 하부 바닥벽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 열교환부재 및 제2 열교환부재가 병렬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기류에 대한 냉각효과를 높이고, 이를 통하여 기류에 포함된 약액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집수챔버에 구비된 내부측벽의 내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액체차단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집수챔버로 유입된 기류가 배출될 때 상기 집수챔버 내부공간에 집수된 액체가 상승하는 기류를 따라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집수챔버로 유입된 기류가 기류안내유닛, 하부몸체의 상부벽 및 집수챔버의 내부측벽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집수챔버의 내부측벽과 하부몸체의 외부측벽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를 통하여 하강기류를 형성한 후 집수챔버의 하부영역과 하부챔버의 하부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유로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됨으로 인하여 액체가 집수챔버에 효율적으로 집수됨과 동시에 기류가 이동되는 경로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중간몸체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기류안내유닛의 내측 공간 단면적이 중간몸체에서 집수챔버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중간몸체에서 낙하되는 액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집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집수챔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면서 집수챔버의 하부를 지지하는 배수파이프가 설치되되, 배수파이프가 하부몸체의 하부 바닥벽을 관통하면서 하부몸체의 외부로 액체를 배출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기액분리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기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1 와인딩 파이프 및 제2 와인딩파이프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제1 와인딩 파이프 및 제2 와인딩 파이프의 합산길이가 단일의 와인딩 파이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더라도 기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기류를 저온으로 냉각시켜 기류에 포함된 약액 미스트를 응결하는 방식으로 약액을 포집하게 된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몸체유닛, 열교환부재, 집수챔버(50), 기류안내유닛(60) 및 배수파이프(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유닛은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11)가 형성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와 결합되는 중간몸체(20)와, 상기 중간몸체(20)의 하부에 배치되되 액체가 분리된 기류가 배출되는 출구부(39)를 갖는 하부몸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몸체(10), 상기 중간몸체(20) 및 상기 하부몸체(30)는 연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하부몸체(30)는 상기 중간몸체(20)와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5)과, 상기 상부하우징(35)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하우징(38)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하우징(35)은 상기 중간몸체(20)와 결합되는 상부플랜지(31)와, 상기 상부플랜지(31)와 외측 반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벽(32)과, 상기 상부벽(32)의 테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외부측벽(3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38)은 상기 외부측벽(33)과 결합되는 하부 바닥벽(36)과, 상기 하부 바닥벽(36)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되는 하부플랜지(37)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플랜지(37)에는 상기 출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측벽(33)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은 상기 상부플랜지(31)의 내부공간 및 상기 하부플랜지(37)의 내부공간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외부측벽(33)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는 기류에서 분리된 액체가 집수되는 상기 집수챔버(50)가 배치된다.
상기 집수챔버(50)는 상부가 개방되어 오목홈의 형상을 가지되, 개방되는 영역은 상기 중간몸체(20)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집수챔버(50)는 상기 하부 바닥벽(36)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바닥벽(51)과, 상기 내부바닥벽(51)의 테두리영역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외부측벽(3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측벽(53)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측벽(53)의 직경은 상기 상부플랜지(31)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외부측벽(33)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측벽(53)의 높이는 상기 외부측벽(3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집수챔버(50)는 상기 하부몸체(3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하부몸체의 내측면, 즉 외부측벽(33)의 내측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짐과 동시에 하부몸체의 하부 바닥벽(36)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기류안내유닛(60)은 상기 중간몸체(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20)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상기 집수챔버(50)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기류안내유닛(60)의 반경은 상기 내부측벽(5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측벽(53), 상기 기류안내유닛(60)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벽(32)은 상기 집수챔버(50)로 유입된 기류가 상승하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미도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내부측벽(53)의 내측면, 상기 기류안내유닛(60)의 외측면 및 상기 상부벽(32)의 내측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측벽(53)의 외측면 및 상기 외부측벽(33)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면서 기류가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미도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바닥벽(51)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 바닥벽(36)의 내측면은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면서 기류를 상기 출구부(39)로 안내하는 제3 유로(미도시)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집수챔버(50)로 유입된 기류가 제1 유로를 통하여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하여 하강기류를 형성한 후 제3 유로를 따라 이동한 후 출구부(39)를 따라 배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기류의 기체보다 자중이 무거운 액체가 집수챔버(50)에 효율적으로 집수될 수 있으면서도 기류가 이동되는 경로가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재(40)는 상기 중간몸체(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20)로 유입된 기류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재(40)는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에 적층되는 와인딩 파이프(42)를 포함한다. 상기 와인딩 파이프(42)는 상기 프레임(41)에 나선형태로 감겨지고, 상기 와인딩 파이프(42)의 내부에는 기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매체, 예를 들면 냉각수가 흐른다.
상기 와인딩 파이프(42)의 일단은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83)와 연결되고, 상기 와인딩 파이프(42)의 타단은 와인딩 파이프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파이프(8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부바닥벽(51)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파이프(70)가 배치된다. 상기 배수파이프(70)는 상기 집수챔버(5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집수챔버(5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집수챔버(50)에 수집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파이프(70)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바닥벽(36)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몸체(30)의 외부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집수챔버(50)의 내부바닥벽(51)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파이프(70)는 상기 배수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파이프(70)는 원기둥형상이며, 상기 배수파이프(70)의 직경은 3/4인치, 즉 1.905cm로 형성되어 약액이 집수챔버(50)에 수집되면 배수파이프(70)를 통하여 바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집수챔버(50)의 하부에서 상기 집수챔버(50)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 바닥벽(36)을 관통하면서 하부몸체(30)의 외부로 액체를 배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배수파이프(70)를 설치함으로 인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기액분리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기류가 상기 기액분리장치에 유입되어 기류에 포함된 약액이 수집된 후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흡인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출구부(39)에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면, 기류가 입구부(11)를 통하여 상부몸체(10)로 유입된 후 중간몸체(2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부재(40)를 경유하면서 냉각된다.
상기 기류가 냉각되면서 상기 기류에 포함된 약액 미스트는 액체 방울을 이루게 되고, 액체 방울은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면서 집수챔버(50)로 집수된다.
동시에 약액 미스트가 제거된 기류는 집수챔버(50)로 유입되었다가 제1 유로를 따라 상승하여 이동한 후 다시 제2 유로를 따라 하강한 후, 제3 유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출구부(3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수챔버(50)에 집수된 액체는 상기 배수파이프(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는 몸체유닛, 열교환부재, 집수챔버(50), 기류안내유닛(400), 액체 차단부재(300) 및 배수파이프(70)를 포함한다.
상기 기액분리장치에 구비된 몸체유닛, 집수챔버(50), 배수파이프(7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구비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교환부재는 상부몸체(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재(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는 병렬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로 동시에 유입되는 냉각매체의 온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에 의하여 냉각된 기류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더 냉각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 및 제2 열교환부재(120)가 병렬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기류에 대한 냉각효과를 높이고, 이를 통하여 기류에 포함된 약액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파이프(240)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파이프(250), 상기 제1 공급파이프(240)와 상기 제2 공급파이프(250)에 연결되어 동시에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공급파이프(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파이프(210)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파이프(220)와, 상기 제1 배출파이프(210)와 상기 제2 배출파이프(220)에 연결되는 메인 배출파이프(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는 제1 프레임(111)과, 상기 제1 프레임(111)에 적층되는 제1 와인딩 파이프(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113)는 나선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113)의 일단은 상기 제1 공급파이프(2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113)의 타단은 상기 제1 배출파이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는 제2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1)에 적층되는 제2 와인딩 파이프(123)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121) 및 제2 와인딩파이프(123)의 구조적 특징은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의 세부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제1 와인딩 파이프(113) 및 제2 와인딩파이프(123)의 합산길이는 도 1에 도시된 와이딩파이프(4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 와인딩파이프(113) 및 제2 와인딩파이프(123)의 합산길이가 도 1의 와인딩파이프(4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더라도, 제1 와인딩(113) 파이프 및 제2 와인딩파이프(123)가 병렬 연결됨으로써 단위시간당 중간몸체(20)를 경유하는 냉각수의 유량이 많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제1 와인딩 파이프(113) 및 제2 와인딩파이프(123)의 병렬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와인딩파이프(42)보다 기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류에 포함된 약액 미스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 및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는 상기 중간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열교환부재(110)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120)의 이격거리는 상기 중간몸체(20)의 높이에 대하여 1~3:10의 비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중간몸체(20)의 높이에 대하여 1:5의 비율을 가진다.
상기 액체 차단부재(300)는 집수챔버(50)에 구비된 내부측벽(53)의 내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수챔버(50)에서 제1 유로를 따라 기류가 배출될 때 상기 집수챔버(50) 내부공간의 액체가 기류를 따라 배출되는 차단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액체 차단부재(300)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도 2의 집수챔버(50)에서 빠져나가는 기류의 유속은 도 1의 집수챔버(50)에서 빠져나가는 기류의 유속보다 낮아지게 되어 도 2의 집수챔버(50)에 수집된 액체가 기류를 따라 출구부(39)를 따라 배출될 가능성은 더 낮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액체 차단부재(300)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집수챔버(50)에 액체가 효율적으로 집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액체 차단부재(300)는 환형의 링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액체 차단부재(300)의 내경은 외경에 대하여 6~19:20의 비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차단부재(300)의 내경은 외경에 대하여 9:10의 비율을 가진다.
상기 액체 차단부재(300)로부터 상기 집수챔버(50)에 구비되는 내부바닥벽(51)의 저면까지의 제1 수직높이는 상기 집수챔버(50)에 구비되는 내부측벽(53)의 제2 수직높이에 대하여 1~4: 5의 비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직높이는 상기 제2 수직높이에 대하여 7:10의 비율을 가진다.
또한, 상기 기류안내유닛(400)의 내측 공간 단면적은 상기 중간몸체(20)에서 상기 집수챔버(50)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류안내유닛(60)은 네킹(necking)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류안내유닛(60)의 내측 공간 단면적이 상기 중간몸체(20)에서 상기 집수챔버(50)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간몸체(20)에서 낙하되는 액체가 보다 효율적으로 집수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상부몸체 20: 중간몸체
30: 하부몸체 31: 상부플랜지
32: 상부벽 33: 외부측벽
35: 상부하우징 36: 하부 바닥벽
38: 하부하우징 40: 열교환부재
50: 집수챔버 51: 내부바닥벽
53: 내부측벽 60, 400: 기류안내유닛
70: 배수파이프 300: 액체 차단부재

Claims (8)

  1. 기류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는 중간몸체와, 상기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액체가 분리된 기류가 배출되는 출구부를 갖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몸체유닛;
    상기 중간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로 유입된 기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재;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기류에서 분리된 액체가 집수되며 상부가 개방된 집수챔버; 그리고
    상기 중간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몸체에서 배출되는 기류를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기류안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챔버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바닥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 바닥벽과, 상기 내부 바닥벽의 테두리영역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측벽, 상기 기류안내유닛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벽은 상기 집수챔버로 유입된 기류가 상승하도록 안내하는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측벽의 외측면 및 상기 외부측벽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면서 기류가 하강하도록 안내하는 제2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바닥벽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 바닥벽의 내측면은 기류를 상기 출구부로 안내하는 제3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측벽의 내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수챔버에서 상기 제1 유로를 따라 기류가 배출될 때 상기 집수챔버 내부공간의 액체가 기류를 따라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액체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안내유닛의 내측 공간 단면적은 상기 중간몸체에서 상기 집수챔버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재는 상기 상부몸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재와, 상기 제1 열교환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교환부재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는 병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부재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로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1 열교환부재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파이프와;
    상기 제2 열교환부재를 경유한 냉각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파이프와;
    상기 제1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2 공급파이프에 연결되어 동시에 냉각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1 배출파이프와 상기 제2 배출파이프에 연결되는 메인 배출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부재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적층되는 제1 와인딩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제1 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와인딩 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제1 배출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챔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수챔버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집수챔버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집수챔버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는 상기 하부 바닥벽을 관통하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로 액체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KR1020190108178A 2018-09-03 2019-09-02 기액 분리 장치 KR102244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429703.6 2018-09-03
CN201821429703 2018-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750A KR20200026750A (ko) 2020-03-11
KR102244456B1 true KR102244456B1 (ko) 2021-04-23

Family

ID=6981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78A KR102244456B1 (ko) 2018-09-03 2019-09-02 기액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4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98B1 (ko) 2012-07-24 2013-02-25 (주) 에스엠디코리아 에어 드라이어
CN203154861U (zh) 2013-03-27 2013-08-28 昆山鼎鑫电子有限公司 气液分离器
CN203540223U (zh) 2013-10-19 2014-04-16 卢高 一种冷却旋风气液分离器
US20170115068A1 (en) 2014-06-10 2017-04-27 Vmac Global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oling and separating a mixture of hot gas and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6175B2 (ja) * 2000-03-24 2012-03-28 株式会社カマタテクナス 気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098B1 (ko) 2012-07-24 2013-02-25 (주) 에스엠디코리아 에어 드라이어
CN203154861U (zh) 2013-03-27 2013-08-28 昆山鼎鑫电子有限公司 气液分离器
CN203540223U (zh) 2013-10-19 2014-04-16 卢高 一种冷却旋风气液分离器
US20170115068A1 (en) 2014-06-10 2017-04-27 Vmac Global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oling and separating a mixture of hot gas and liq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750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054B1 (en) Condenser for dehumidifying gas
JP2012139681A (ja) ガスから液体を分離する配置
RU2342182C2 (ru) Сепараторная ванна
JP4932333B2 (ja) 消泡装置
JP4753886B2 (ja) 気体浄化装置
CN107469584A (zh) 一种气水分离设备
CN106422531A (zh) 换热器内置的卧式气水分离器及其气水分离方法
TWI645828B (zh) 從注液真空泵或壓缩機的氣體流中分離液體的裝置和方法
KR102244456B1 (ko) 기액 분리 장치
JP5246051B2 (ja) 有水式ガスホルダ及びその内部集塵装置並びに有水式ガスホルダ内部における集塵方法
KR100858538B1 (ko) 유수 분리기
JP4978981B2 (ja) 吸引作業車の水・空気分離装置及びこの装置を搭載した吸引作業車
RU88986U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каплеотбойник
CN108786341B (zh) 用于从喷液式压缩机内的气流中分离液体的装置及其方法
KR102001655B1 (ko) 고효율 습식 스크러버
JPH08332336A (ja) 空気清浄機
KR20210003392A (ko) 습식형 미세 분진 제거장치
KR20160010035A (ko) 습식 집진기
CN213942147U (zh) 一种防堵塞的冷凝物料采出装置
CN117531319B (zh) 一种水气分离设备
CN216170044U (zh) 一种丙烯汽提塔
JP5387232B2 (ja) スラッジ除去装置
KR100281694B1 (ko)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용 오니분리장치
JP2005349265A (ja) 気液分離装置
CN113663350A (zh) 一种丙烯汽提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