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254B1 -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 Google Patents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254B1
KR102243254B1 KR1020190177792A KR20190177792A KR102243254B1 KR 102243254 B1 KR102243254 B1 KR 102243254B1 KR 1020190177792 A KR1020190177792 A KR 1020190177792A KR 20190177792 A KR20190177792 A KR 20190177792A KR 102243254 B1 KR102243254 B1 KR 10224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collection space
air
concrete structur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문오
Original Assignee
양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문오 filed Critical 양문오
Priority to KR102019017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수집하여 소정 거리로 이격 설치된 폐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폐수중계펌프장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주택이나 공장 인근지반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폐수가 유입되는 설정체적의 수집공간(S)이 외부와 밀폐되게 구축되는 콘크리트구조물(10);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하는 양수기(20);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되는 폐수에 혼입시키는 압축기(30);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배치되고, 내/외부 공기압력과 수집공간(S)에 유입되는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양수기(20)와 압축기(3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펌프장 내부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강제로 흡입해서 탱크에 압축 저장함으로써,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가져 폐수가 유입되더라도 오염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된 오염공기를 폐수에 혼입시켜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압송함에 따라 악취처리에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Wastewater pumping station with odor blocking and odor treatment}
본 발명은 주택이나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수집하여 소정 거리로 이격 설치된 폐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폐수중계펌프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장 내부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강제로 흡입해서 탱크에 압축 저장함으로써,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가져 폐수가 유입되더라도 오염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된 오염공기를 폐수에 혼입시켜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압송함에 따라 악취처리에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펌프장의 내부압력이 대기압 보다 낮아 원활한 폐수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외기가 자동 유입됨에 따라 오염공기에 의한 시설물의 부식이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시에도 오염공기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택이나 건물 또는 공장과 같은 발생원에서 버려지는 폐수(하수)는 폐수처리장에서 약품 따위로 중화시킨 후에 독성을 제거하여 하천으로 방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폐수처리장은 하천 인근지역에 대형으로 구축되어 있어 이와 동 떨어진 지역에는 폐수를 수집하여 폐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펌프장이 구축된다.
이러한 펌프장은 폐수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저지대나 지반에 일부가 매립된 상태로 구축된다.
즉, 내부에 폐수가 소정 수위까지 채워지는 즉시 펌프를 통해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한다.
그런데 폐수로 인해 펌프장의 내부에는 상시 악취를 품은 오염공기로 채워진 상태를 가진다.
즉, 이 상태에서 폐수가 유입되면, 채워지는 폐수의 체적만큼 오염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따라서 펌프장 주변 인근에는 상시 악취가 발생하여 심각한 불편을 야기하게 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리고 펌프장 내부에 악취의 원인인 다양한 가스로 인해 내부 유지보수 시 작업자의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도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펌프를 통해 내부 오염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필터로 정화시키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오염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원인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각종 약품과, 여과재료, 전기장치가 요구됨에 따라 전반적인 처리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55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펌프장 내부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강제로 흡입해서 탱크에 압축 저장함으로써,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가져 폐수가 유입되더라도 오염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오염공기를 폐수에 혼입시켜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압송함에 따라 악취처리에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장의 내부압력이 대기압 보다 낮아 원활한 폐수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외기가 자동 유입됨에 따라 오염공기에 의한 시설물의 부식이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시에도 오염공기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택이나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수집하여 소정 거리로 이격 설치된 폐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폐수중계펌프장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주택이나 공장 인근지반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폐수가 유입되는 설정체적의 수집공간이 외부와 밀폐되게 구축되는 콘크리트구조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하는 양수기;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되는 폐수에 혼입시키는 압축기;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에 배치되고, 내/외부 공기압력과 수집공간에 유입되는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양수기와 압축기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은, 상기 수집공간에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압축기를 거치하는 지지대; 상기 수집공간의 하측에 장착되어 버려지는 폐수가 유입되는 공급배관; 상기 수집공간의 중앙에 배치되어 양수기의 배출구와 폐수처리장에 각각 연결되는 배출배관; 상기 수집공간의 상측에 지표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기배관은, 상기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수집공간으로 송풍시키는 블로워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와 연통되어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압축 저장하는 공기챔버; 상기 공기챔버에 저장된 오염공기를 배출배관에 공급하는 혼입배관; 상기 흡입펌프에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혼입배관에 공급시키는 바이패스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집공간의 하측에 장착되어 최저수위를 감지하는 양수정지센서;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장착되어 최고수위를 감지하는 양수작동센서; 상기 수집공간의 상측에 장착되어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부에 지표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외부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 상기 수집공간의 상측에 장착되어 양수기와 압축기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집공간에 폐수가 유입되어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압축기를 작동시켜 수집공간의 오염공기를 압축 저장하고, 오염공기의 압축 저장으로 내부압력이 대기압인 외부압력보다 낮아져 오염공기의 유출이 방지됨과 함께 외부 청정공기가 자동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집공간에 유입되는 폐수가 최고수위에 도달되면, 양수기를 작동시켜 수집공간에 채워진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하고, 최고 저장용량에 도달된 오염공기는 압송되는 폐수에 혼입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펌프장 내부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강제로 흡입해서 탱크에 압축 저장함으로써, 내부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가져 폐수가 유입되더라도 오염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오염공기를 폐수에 혼입시켜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압송함에 따라 악취처리에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장의 내부압력이 대기압 보다 낮아 원활한 폐수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외기가 자동 유입됨에 따라 오염공기에 의한 시설물의 부식이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시에도 오염공기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펌프장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펌프장이 폐수를 압송하면서 악취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 구성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주택이나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수집하여 소정 거리로 이격 설치된 폐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폐수중계펌프장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콘크리트구조물(10)과 양수기(20) 및 압축기(30)와 제어기(4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이다.
콘크리트구조물(10)은 주택이나 공장 인근지반에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매립 설치된다.
즉, 콘크리트구조물(10)은 도 1처럼 내부에 폐수가 유입되는 설정체적의 수집공간(S)이 외부와 밀폐된 상태로 구축된다.
이러한 콘크리트구조물(10)은 지지대(11), 공급배관(12), 배출배관(13), 공기배관(14)이 구성된다.
지지대(11)는 수집공간(S)에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압축기(30)를 거치한다.
이러한 지지대(11)에 의해 수집공간(S)이 하측과 상측으로 구분되는데, 상하가 서로 연통되도록 압축기(30)를 제외한 부위에는 철망으로 구성된다.
공급배관(12)은 수집공간(S)의 하측에 외부와 연통되게 장착되어 버려지는 폐수가 유입된다.
배출배관(13)은 수집공간(S)의 중앙에 T형으로 배치되어 양수기(20)의 배출구와 폐수처리장에 각각 연결된다.
즉, 수직하는 배관의 하단에는 양수기(20)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수평하는 좌측 단부는 후술하는 압축기(30)의 혼입배관(33)이 연결된다.
그리고 수평하는 우측 단부는 콘크리트구조물(10)을 통과하여 폐수처리장에 연결된다.
여기서 콘크리트구조물(10)은 폐수처리장 보다 저지대에 위치하므로, 폐수처리장에 연결되는 배관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장착된다.
공기배관(14)은 수집공간(S)의 상측에 지표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배관(14)의 입구는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지표를 향해 장착된다.
이때, 공기배관(14)에는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블로워(15)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로워(15)는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수집공간(S)으로 송풍시켜준다.
여기서 블로워(15)는 통과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배관(12), 배출배관(13), 공기배관(14)에는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가 구성된다.
즉, 공급배관(12)과 공기배관(14)에는 수집공간(S)으로 폐수와 외부공기의 유입만을 허용하고, 배출배관(13)에는 폐수의 배출만이 허용되게 체크밸브로 구성된다.
물론,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도 구성할 수 있다.
양수기(20)는 도 1처럼 콘크리트구조물(10)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한다.
이러한 양수기(20)의 좌측 하단에는 폐수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지고, 우측 상단에는 폐수가 배출되며 배출배관(13)이 연결되는 배출구를 갖는다.
즉, 양수기(20)는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수집공간(S)에 유입되는 폐수를 배출배관(13)으로 압송한다.
여기서 양수기(20)는 수집공간(S)에 모두 노출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흡입구를 제외하고 격벽에 의한 구획된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30)는 도 1처럼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폐수처리장으로 압송되는 폐수에 혼입시킨다.
여기서 압축기(30)는 콘크리트구조물(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설치환경에 따라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압축기(30)는 흡입펌프(31), 공기챔버(32), 혼입배관(33), 바이패스배관(34)으로 구성된다.
흡입펌프(31)는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흡입펌프(31)의 우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가지고, 좌측에는 공기챔버(32)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를 전달하는 배관이 연결된다.
물론, 배관에는 공기챔버(32)로 전달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공기챔버(32)는 흡입펌프(31)의 좌측에 배치되고,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압축 저장하여 버퍼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챔버(32)는 고무, 비닐, 코팅된 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한 공기주머니나 대형 플라스틱 박스, 철재 박스, 콘크리트 박스로 구성될 수 있다.
혼입배관(33)은 배출배관(13)과 공기챔버(32)에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고, 공기챔버(32)에 저장된 오염공기를 배출배관(13)에 공급한다.
이러한 혼입배관(33)에도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복수의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바이패스배관(34)은 흡입펌프(32)에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공기챔버(32)에 공급하지 않고, 혼입배관(33)에 바로 공급해준다.
이러한 바이패스배관(34)에는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된다.
즉, 폐수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인해 흡입펌프(31)가 연속 가동할 경우에는 바이패스배관(34)을 통해 혼입배관(33)에 바로 공급한다.
따라서 흡입펌프(31)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혼입배관(33)의 일단에는 양 갈래로 분기되어 하나는 배출배관(13)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공기정화기 또는 폐수처리장과 직접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어기(40)는 도 1처럼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배치되고, 내/외부 공기압력과 수집공간(S)에 유입되는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양수기(20)와 압축기(30)로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기(40)는 양수정지센서(41), 양수작동센서(42), 내부압력센서(43), 외부압력센서(44), 제어모듈(45)로 구성된다.
양수정지센서(41)와 양수작동센서(42)는 최저수위와 최고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수집공간(S)의 하측과 지지대(11)의 저부에 각각 장착된다.
내/외부압력센서(43)(44)는 공기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것으로, 내부압력센서(43)는 수집공간(S)의 상측에 장착되고, 외부압력센서(44)는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부에 지표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제어모듈(45)은 수집공간(S)의 상측에 장착되어 양수기(20)와 압축기(30)로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펌프장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처럼 양수기(20)가 수집공간(S)에 채워진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모두 압송시킬 수가 없어 일부 폐수가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잔류되는 폐수로 인해 도 2와 같이 수집공간(S)의 빈 공간에 채워진 공기는 악취가 나는 오염공기로 변화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배관(12)으로 폐수가 유입되면, 도 3처럼 수집공간(S)에 수위가 상승되면서 내부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즉,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제어모듈(45)은 도 4와 같이 흡입펌프(31)를 작동시켜 수집공간(S)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오염공기를 공기챔버(32)에 압축 저장한다.
따라서 오염공기의 압축 저장으로 인해 내부압력이 대기압인 외부압력보다 낮아짐에 따라 오염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공기배관(14)을 통해 외부 청정공기가 자동 유입된다.
이어서 폐수의 수위가 최고수위인 양수작동센서(42)에 도달되면, 제어모듈(45)은 양수기(20)를 작동시켜 수집공간(S)에 채워지는 폐수를 배출배관(13)을 통해 폐수처리장으로 압송시킨다.
여기서 공기챔버(32)의 최고 저장용량에 도달된 오염공기는 도 5처럼 혼입배관(33)을 거쳐 배출배관(13)에 자동 혼입된다.
즉, 배출배관(13)에 압송되는 폐수에 오염공기가 공급되면, 흐르는 폐수에 공기방울로 전환되면서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배출된다.
만일 지속적인 폐수의 유입으로 수위가 최고수위를 일정시간 유지할 경우, 도 6과 같이 바이패스배관(34)을 개방하여 흡입펌프(31)에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혼입배관(33)에 바로 공급한다.
마지막으로 폐수의 수위가 최저수위인 양수정지센서(41)에 도달되면, 양수기(20)와 압축기(30)의 작동을 중지시켜 대기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처음부터 흡입펌프(31)에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공기챔버(32)로 보내지 않고, 바이패스배관(34)을 통해 혼입배관(33)에 바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여건에 따라 공기챔버(32)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폐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압축기(30)가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폐수유입과 상관없이 수동이나 설정주기마다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 수집공간
10: 콘크리트구조물
11: 지지대
12: 공급배관
13: 배출배관
14: 공기배관
15: 블로워
20: 양수기
30: 압축기
31: 흡입펌프
32: 공기챔버
33: 혼입배관
34: 바이패스배관
40: 제어기
41: 양수정지센서
42: 양수작동센서
43: 내부압력센서
44: 외부압력센서
45: 제어모듈

Claims (8)

  1. 주택이나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수를 수집하여 소정 거리로 이격 설치된 폐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폐수중계펌프장에 있어서,
    적어도 주택이나 공장 인근지반에 매립 설치되고, 내부에 폐수가 유입되는 설정체적의 수집공간(S)이 외부와 밀폐되게 구축되는 콘크리트구조물(10);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으로 유입되는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하는 양수기(20);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배치되고,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되는 폐수에 혼입시키는 압축기(30);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에 배치되고, 내/외부 공기압력과 수집공간(S)에 유입되는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양수기(20)와 압축기(3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은,
    상기 수집공간(S)에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장착되어 압축기(30)를 거치하는 지지대(11);
    상기 수집공간(S)의 하측에 장착되어 버려지는 폐수가 유입되는 공급배관(12);
    상기 수집공간(S)의 중앙에 배치되어 양수기(20)의 배출구와 폐수처리장에 각각 연결되는 배출배관(13);
    상기 수집공간(S)의 상측에 지표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배관(1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압축기(30)는,
    상기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수집공간(S)에 채워진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31);
    상기 흡입펌프(31)와 연통되어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압축 저장하는 공기챔버(32);
    상기 공기챔버(32)에 저장된 오염공기를 배출배관(13)에 공급하는 혼입배관(33);
    상기 흡입펌프(31)에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혼입배관(33)에 공급시키는 바이패스배관(3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관(14)은,
    상기 제어기(40)의 신호에 따라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수집공간(S)으로 송풍시키는 블로워(15)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0)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수집공간(S)의 하측에 장착되어 최저수위를 감지하는 양수정지센서(41);
    상기 지지대(11)의 저부에 장착되어 최고수위를 감지하는 양수작동센서(42);
    상기 수집공간(S)의 상측에 장착되어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내부압력센서(43);
    상기 콘크리트구조물(10)의 외부에 지표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외부압력을 측정하는 외부압력센서(44);
    상기 수집공간(S)의 상측에 장착되어 양수기(20)와 압축기(3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4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수집공간(S)에 폐수가 유입되어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압축기(30)를 작동시켜 수집공간(S)의 오염공기를 압축 저장하고, 오염공기의 압축 저장으로 내부압력이 대기압인 외부압력보다 낮아져 오염공기의 유출이 방지됨과 함께 외부 청정공기가 자동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0)는,
    상기 수집공간(S)에 유입되는 폐수가 최고수위에 도달되면, 양수기(20)를 작동시켜 수집공간(S)에 채워진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압송하고, 최고 저장용량에 도달된 오염공기는 압송되는 폐수에 혼입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동반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KR1020190177792A 2019-12-30 2019-12-30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KR10224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792A KR102243254B1 (ko) 2019-12-30 2019-12-30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792A KR102243254B1 (ko) 2019-12-30 2019-12-30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254B1 true KR102243254B1 (ko) 2021-04-22

Family

ID=7573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792A KR102243254B1 (ko) 2019-12-30 2019-12-30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2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11B1 (ko) * 2002-08-14 2005-03-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수 처리 장치 및 폐수 처리 방법
WO2016046016A1 (en) * 2014-09-26 2016-03-31 Odor Control Europe Ab Arrangement for treatment of waste water
KR20170005552A (ko) 2015-07-06 2017-01-16 원영식 오염공간의 내부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711B1 (ko) * 2002-08-14 2005-03-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수 처리 장치 및 폐수 처리 방법
WO2016046016A1 (en) * 2014-09-26 2016-03-31 Odor Control Europe Ab Arrangement for treatment of waste water
KR20170005552A (ko) 2015-07-06 2017-01-16 원영식 오염공간의 내부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93973A1 (en) Automatic pneumatic pump
KR101616274B1 (ko) 방수 및 방습기능을 갖는 터보 송풍기
JP5269759B2 (ja) 廃水ポンプ輸送装置
KR101185621B1 (ko) 이젝터 및 에어탱크를 이용한 슬러지 준설 장치
KR100984267B1 (ko)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KR102243254B1 (ko)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KR100824810B1 (ko) 진공 하수수집 시스템용 매설형 진공펌프장
KR100945081B1 (ko) 이젝터를 이용한 슬러지의 진공흡입 준설 및 탈수 장치
KR20120094192A (ko) 기능성 친환경 지하수관정 청소 장치
CN111456189A (zh) 气塞式强力排污装置和排污系统
CA2789624A1 (en) Wastewater pumping system
EP1566498A1 (en) Method of pumping wastewater, and wastewater pump
PL223286B1 (pl) Tłocznia ścieków
KR101995494B1 (ko) 여재층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우수처리장치
KR20120094426A (ko) 기능성 친환경 지하수관정 청소 장치
KR102658054B1 (ko)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JP4302455B2 (ja) 真空ステーション
CN207511849U (zh) 一种用于工业园区的水污染预防和治理装置
JP2010005558A (ja) 水処理装置
JP3901337B2 (ja) 下水圧送装置
KR102434590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CN211470879U (zh) Tmf污水处理系统
CN219639074U (zh) 一种抢险设备的自吸泵装置及抢险设备
CN213682459U (zh) 一种mto装置用生产污水池
KR100735882B1 (ko) 수압을 이용한 잔수 및 슬러지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