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054B1 -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054B1
KR102658054B1 KR1020230136196A KR20230136196A KR102658054B1 KR 102658054 B1 KR102658054 B1 KR 102658054B1 KR 1020230136196 A KR1020230136196 A KR 1020230136196A KR 20230136196 A KR20230136196 A KR 20230136196A KR 102658054 B1 KR102658054 B1 KR 10265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ump
blower
drain pipe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경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경주시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경주시
Priority to KR102023013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6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storag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2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liquids, e.g. containing solids, or liquids and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로 유입된 오수(20)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집수조(11) 및 하단은 상기 집수조(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은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결된 배수관(13)을 포함하는 오수중계펌프장(10)에 설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집수조(11)의 외부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1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는 송풍기(110); 상기 송풍기(110)의 배기구(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3)의 하단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4)에 삽입되어 송풍기(110)에서 발생한 풍압을 배수관(13)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공급된 풍압에 의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배관(120); 및 상기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저장량 또는 집수조(11)로 유입되는 오수유입량에 따라 송풍기(110)의 풍압이 조절되면서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20)의 배수량이 조절되도록 송풍기(11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SEWAGE PUMPING SYSTEM FOR SEWAGE RELAY PUMPING STATION}
본 발명은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중계펌프장에 설치되어 집수조에 저장된 오수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오수관로를 통해 오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수집되어 정화처리되는데 이러한 오수관로는 자연구배 방식으로 오수를 이송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지하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거리가 길어질수록 오수관로의 매설깊이가 깊어지게 되고 이를 위해 오수를 지표면 위치까지 퍼올리기 위한 오수중계펌프장이 지역별로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수중계펌프장을 통해 지표면까지 퍼올려진 오수를 오수처리장까지 이송할 수 있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펌프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오수펌프장치(1)의 하부에 흡입구(1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배수관(20)에 연결되는 토출구(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1a)와 토출구(1b)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임펠러(미도시)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제어판넬(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 흡입수류가 형성되면서 흡입구(1a)를 통해 집수조(10)에 저장된 오수가 내부로 흡입되고 토출구(1b)를 통해 배수관(20)으로 배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오수에는 부피가 큰 협잡물(A)이 포함되어 집수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협잡물(A)로 인해 오수펌프장치(1)의 흡입구(1a)가 막히게 되어 토출량이 대폭 감소하거나 심한 경우 구동모터나 임펠러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집수조(10)의 특성상 수중에 설치된 오수펌프장치(1)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고장발생시 집수조(10)에 저장된 오수를 퍼내어 비운후 작업자가 집수조(10)의 내부로 들어가 고장발생요인을 확인해야 했으며 현장에서 수리할 수 없는 경우 호이스트와 같은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고중량의 오수펌프장치(1)를 들어 내야 했기 때문에 정비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수조(10)에 저장된 오수로부터 생성되는 메탄가스나 황화수소 등의 악취성분으로 인해 중계펌프장 주변의 악취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수중계펌프장 내부의 작업환경이 열악해지고 심한 경우 악취성분에 의한 질식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04344호(2020.04.20), 막힘 방지기능이 구비된 오배수 펌프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중계펌프장 내에서 집수조의 외부에 배치된 송풍기의 풍압을 이용하여 집수조에 저장된 오수를 배수관으로 펌핑시켜 배출함으로써 기존의 오수펌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비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고장발생시 집수조에 저장된 오수를 비울 필요가 없어 정비가 용이하며 정비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중계펌프장의 기계실에 송풍기가 배치되면서 기계실의 실내공기로 오수를 배수관으로 펌핑하기 위한 풍압을 생성함으로써 실내공기에 포함된 메탄가스나 황화수소 등의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오수중계펌프장 주변의 악취 민원을 방지하고 오수중계펌프장 내부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은, 내부로 유입된 오수(20)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집수조(11) 및 하단은 상기 집수조(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은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결된 배수관(13)을 포함하는 오수중계펌프장(10)에 설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집수조(11)의 외부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1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는 송풍기(110); 상기 송풍기(110)의 배기구(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3)의 하단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4)에 삽입되어 송풍기(110)에서 발생한 풍압을 배수관(13)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공급된 풍압에 의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배관(120); 및 상기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저장량 또는 집수조(11)로 유입되는 오수유입량에 따라 송풍기(110)의 풍압이 조절되면서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20)의 배수량이 조절되도록 송풍기(11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142)이 마련된 가열챔버(141)와, 일단은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어 실내공기와 함께 악취성분(21)이 유입되고 타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일측에 장착되는 유입관(143)과, 일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타측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110)의 흡입구(111)와 연통되도록 송풍기(110)에 장착되어 악취성분(21)이 포함된 실내공기를 송풍기(110)에 공급하는 배출관(144) 및, 상기 내부공간(142)에 배치되어 설정온도로 발열구동하면서 내부공간(142)으로 유입된 악취성분(21)이 제거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코일(145)을 포함하는 악취제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구(151), 제1출구(152) 및 제2출구(15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송풍배관(120)에 입구(151)와 제1출구(152)가 연결되는 전자밸브(150); 및 상기 전자밸브(150)의 제2출구(153)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는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를 초과하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송풍배관(120)을 향하도록 하여 배수관(13)을 통해 오수(20)가 배출되도록 하며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 미만이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향하도록 하여 악취제거부(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에 의해 기계실(15) 내부에 순환기류가 형성되도록 전자밸브(150)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며,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71)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7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는 집수조용 송풍기(170); 및 일단은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의 배기구(1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풍배관(120)에 연결되어 집수조용 송풍기(170)에서 발생한 풍압을 송풍배관(1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집수조용 송풍배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흡입구(17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면서 배기구(172) 및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을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풍압을 발생시켜 송풍배관(120)에 연결된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으로 송풍배관(120)의 풍압이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송풍기(110)는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집수조(11)의 외부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1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며, 송풍배관(120)은 상기 송풍기(110)의 배기구(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3)의 타단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4)에 삽입되어 송풍기(110)에서 발생한 풍압을 배수관(13)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공급된 풍압에 의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으로 흡입되도록 하며, 제어모듈(130)은 상기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저장량 또는 집수조(11)로 유입되는 오수유입량에 따라 송풍기(110)의 풍압이 조절되면서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20)의 배수량이 조절되도록 송풍기(110)를 구동제어하는 것과 같이, 집수조(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를 펌핑하는 기존의 오수펌프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정비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고장발생시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를 비울 필요가 없어 정비가 용이하며 정비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오수중계펌프장(10)의 기계실(15)에 송풍기(110)가 배치되면서 기계실(15)의 실내공기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펌핑하기 위한 풍압을 생성함으로써 실내공기에 포함된 메탄가스나 황화수소 등의 악취성분(21)을 제거하여 오수중계펌프장(10) 주변의 악취 민원을 방지하고 오수중계펌프장(10) 내부의 작업환경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악취제거부(140)는, 내부공간(142)이 마련된 가열챔버(141)와, 일단은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어 실내공기와 함께 악취성분(21)이 유입되고 타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일측에 장착되는 유입관(143)과, 일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타측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110)의 흡입구(111)와 연통되도록 송풍기(110)에 장착되어 악취성분(21)이 포함된 실내공기를 송풍기(110)에 공급하는 배출관(144) 및, 상기 내부공간(142)에 배치되어 설정온도로 발열구동하면서 내부공간(142)으로 유입된 악취성분(21)이 제거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코일(145)을 포함함으로써, 오수중계펌프장(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확산될 수 있는 악취성분(21)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전자밸브(150)는 입구(151), 제1출구(152) 및 제2출구(15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송풍배관(120)에 입구(151)와 제1출구(152)가 연결되며,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는 상기 전자밸브(150)의 제2출구(153)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모듈(130)은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를 초과하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송풍배관(120)을 향하도록 하여 배수관(13)을 통해 오수(20)가 배출되도록 하며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 미만이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향하도록 하여 악취제거부(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에 의해 기계실(15) 내부에 순환기류가 형성되도록 전자밸브(15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배출하지 않는 시기에도 실내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21)이 악취제거부(140)에 의해 제거되면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집수조(11)의 내부공기로 집수조(11)의 내부공기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펌핑하기 위한 풍압을 생성하여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악취성분(21)이 가장 많고 악취성분(21)이 발생하는 발원지인 집수조(11)를 공기정화함으로써 악취성분(21)이 집수조(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71)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7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고,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은 일단이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의 배기구(1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풍배관(120)에 연결되어 집수조용 송풍기(170)에서 발생한 풍압을 송풍배관(120)의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흡입구(17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면서 배기구(172) 및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을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기계실(15)의 실내공기와 집수조(11)의 내부공기에 각각 포함된 악취성분(21)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풍압을 발생시켜 송풍배관(120)에 연결된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으로 송풍배관(120)의 풍압이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수펌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이 오수중계펌프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밸브 및 순환기류용 배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흡입구가 집수조에 배치되어 집수조의 내부공기를 정화하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용 송풍기 및 집수조용 송풍배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오수(20)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집수조(11) 및, 하단은 상기 집수조(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은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결된 배수관(13)을 포함하는 오수중계펌프장(10)에 설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시스템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10), 송풍배관(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송풍기(110)는 기존의 오수펌프장치(1, 도 1 참고)를 대신하여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가 배수관(13)으로 배출되도록 펌핑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집수조(11)의 외부 위치(예를 들면, 기계실(15))에 배치되고 내부의 임펠러(미도시)를 회전시켜 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1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나의 송풍기(110)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수(20)를 펌핑시키는데 필요한 풍압에 따라 복수 개가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압의 풍압이 필요한 경우 압축탱크가 구비되어 압축기 방식으로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고압의 풍압을 배기구(112)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배관(120)은 송풍기(110)에서 발생한 풍압을 집수조(11)의 배수관(13)으로 이송하는 배관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10)의 배기구(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3)의 타단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4)에 삽입되어 송풍기(110)에서 발생한 풍압을 배수관(13)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공급된 풍압에 의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으로 흡입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풍배관(120)의 타단을 통해 송풍배관(120)으로 풍압이 배출되면 송풍배관(120)의 내부에 저장된 오수(20)가 풍압에 의해 배수관(13)을 따라 이송되면서 오수유입구(14) 주변의 오수(20)가 오수유입구(14)로 향하는 수류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류에 의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으로 흡입되면서 오수처리장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송풍배관(120)의 직경이 배수관(1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풍압 및 풍량에 따라 배수관(1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30)은 송풍기(11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저장량 또는 집수조(11)로 유입되는 오수유입량에 따라 송풍기(110)의 풍압이 조절되면서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20)의 배수량이 조절되도록 송풍기(110)를 구동제어한다.
이를 위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저장량을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 및, 집수조(11)의 유입관(12) 또는 집수조(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집수조(11)로 유입되는 오수(20)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미도시) 중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130)에는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에 따라 송풍기(110)가 구동시작하거나 구동정지하도록 설정되는 배수동작 기준치 및 배수정지 기준치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30)은 수위센서나 유량센서로부터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의 측정치을 수신하여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배출하기 위해 송풍기(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수저장량을 기준으로 송풍기(110)가 구동제어되는 경우 배수동작 기준치가 1,000L이고 배수정지 기준치가 100L이면 제어모듈(130)은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된 오수저장량 측정치가 1,000L를 초과하면 송풍기(110)가 풍압을 발생하도록 구동제어하여 발생한 풍압에 의해 오수(20)가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이후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된 오수저장량 측정치가 100L 미만이면 송풍기(110)가 정지하여 배수관(13)을 통한 오수(20)의 배출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30)에는 조작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송풍기(110)를 구동조작하거나 시스템의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조작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시스템의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110), 송풍배관(120) 및 제어모듈(13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집수조(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를 펌핑하는 기존의 오수펌프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정비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고장발생시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를 비울 필요가 없어 정비가 용이하며 정비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은 오수(20)에서 발생한 메탄가스나 황화수소 등의 악취성분이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오수중계펌프장(10)의 기계실(15)에 송풍기(110)가 배치되면서 기계실(15)의 실내공기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펌핑하기 위한 풍압을 생성함으로써 실내공기에 포함된 메탄가스나 황화수소 등의 악취성분(21, 악취가스)을 제거하여 오수중계펌프장(10) 주변의 악취 민원을 방지하고 오수중계펌프장(10) 내부의 작업환경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은 악취제거부(140)를 통해 악취성분(21)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제거부(140)는, 내부공간(142)이 마련된 가열챔버(141)와, 일단은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어 실내공기와 함께 악취성분(21)이 유입되고 타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일측에 장착되는 유입관(143)과, 일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타측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110)의 흡입구(111)와 연통되도록 송풍기(110)에 장착되어 악취성분(21)이 포함된 실내공기를 송풍기(110)에 공급하는 배출관(144) 및, 상기 내부공간(142)에 배치되어 설정온도로 발열구동하면서 내부공간(142)으로 유입된 악취성분(21)이 제거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코일(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코일(145)은 제어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발열구동하는 타이밍 및 가열온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가열챔버(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나 유입속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악취제거부(140)를 통해 오수중계펌프장(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확산될 수 있는 악취성분(21)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저장량이나 유입량이 적어 오수(20)를 배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기(110)가 동작되지 않으면서 오수(20)에서 발생한 악취성분(21)이 오수중계펌프장(10)의 내부 및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서는 전자밸브(150) 및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이용하여 송풍기(110)를 공기정화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밸브(150)는 입구(151), 제1출구(152) 및 제2출구(15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송풍배관(120)에 입구(151)와 제1출구(15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는 상기 전자밸브(150)의 제2출구(153)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130)은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를 초과하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송풍배관(120)을 향하도록 하여 배수관(13)을 통해 오수(20)가 배출되도록 하며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 미만이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향하도록 하여 악취제거부(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에 의해 기계실(15) 내부에 순환기류가 형성되도록 전자밸브(150)를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배출하지 않는 시기에도 실내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21)이 악취제거부(140)에 의해 제거되면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배출하는 시기에는 송풍기(110)의 풍압을 오수 배수용도로 이용하고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배출하지 않는 시기에는 송풍기(110)의 풍압을 공기정화용도로 이용함으로써 항시 발생하는 악취성분(21)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은 악취성분(21)이 발생하는 발원지인 집수조(11)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악취성분(21)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집수조(11)의 내부공기로 집수조(11)의 내부공기로 오수(20)를 배수관(13)으로 펌핑하기 위한 풍압을 생성하여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악취성분(21)이 가장 많고 악취성분(21)이 발생하는 발원지인 집수조(11)를 공기정화함으로써 악취성분(21)이 집수조(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은 집수조용 송풍기(170) 및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이 더 구비되어 기계실(15)과 집수조(11)의 악취성분(21)을 동시에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71)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7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은 일단이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의 배기구(1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풍배관(120)에 연결되어 집수조용 송풍기(170)에서 발생한 풍압을 송풍배관(120)의 내부로 공급한다.
더불어,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흡입구(17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면서 배기구(172) 및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을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배관(120)에 연결되어 풍압을 공급하되 송풍배관(120) 내에서 송풍기(110)의 풍압이 이송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되어 집수조용 송풍기(170)에 의한 풍압에 의해 송풍기(110)의 풍압이 저하되지 않으며 각 풍압이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계실(15)의 실내공기와 집수조(11)의 내부공기에 각각 포함된 악취성분(21)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송풍기(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풍압을 발생시켜 송풍배관(120)에 연결된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으로 송풍배관(120)의 풍압이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이 송풍배관(120)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용에 따라 배수관(13)에 연결되어 배수관(13)의 오수유입구(14)로 집수조용 송풍기(170)의 풍압을 배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송풍기 111...흡입구
112...배기구 120...송풍배관
130...제어모듈 140...악취제거부
141...가열챔버 142...내부공간
143...유입관 144...배출관
145...히터코일 150...전자밸브
151...입구 152...제1출구
153...제2출구 160...순환기류용 배기구
170....집수조용 송풍기 180...집수조용 송풍배관
10...오수중계펌프장 11...집수조
12...유입관 13...배수관
15...기계실 16...콘크리트 바닥판
20...오수 21...악취성분

Claims (6)

  1. 내부로 유입된 오수(20)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집수조(11) 및 하단은 상기 집수조(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은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결된 배수관(13)을 포함하는 오수중계펌프장(10)에 설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펌핑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 내에서 집수조(11)의 외부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1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는 송풍기(110);
    상기 송풍기(110)의 배기구(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관(13)의 하단에 형성된 오수유입구(14)에 삽입되어 송풍기(110)에서 발생한 풍압을 배수관(13)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공급된 풍압에 의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가 배수관(13)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배관(120); 및
    상기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저장량 또는 집수조(11)로 유입되는 오수유입량에 따라 송풍기(110)의 풍압이 조절되면서 배수관(13)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20)의 배수량이 조절되도록 송풍기(11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기계실(15)의 내부로 유출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실내공기와 함께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기계실(15)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공간(142)이 마련된 가열챔버(141)와,
    일단은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어 실내공기와 함께 악취성분(21)이 유입되고 타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일측에 장착되는 유입관(143)과,
    일단은 내부공간(142)과 연통되도록 가열챔버(141)의 타측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송풍기(110)의 흡입구(111)와 연통되도록 송풍기(110)에 장착되어 악취성분(21)이 포함된 실내공기를 송풍기(110)에 공급하는 배출관(144) 및,
    상기 내부공간(142)에 배치되어 설정온도로 발열구동하면서 내부공간(142)으로 유입된 악취성분(21)이 제거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코일(145)을 포함하는 악취제거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입구(151), 제1출구(152) 및 제2출구(15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송풍배관(120)에 입구(151)와 제1출구(152)가 연결되는 전자밸브(150); 및
    상기 전자밸브(150)의 제2출구(153)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실(1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는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30)은,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를 초과하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송풍배관(120)을 향하도록 하여 배수관(13)을 통해 오수(20)가 배출되도록 하며 오수저장량 또는 오수유입량이 배수동작 기준치 미만이면 입구(151)로 유입된 풍압이 제2출구(153)를 통해 순환기류용 배기구(160)를 향하도록 하여 악취제거부(140)를 거쳐 정화된 공기에 의해 기계실(15) 내부에 순환기류가 형성되도록 전자밸브(15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중계펌프장(10)은,
    콘크리트 바닥판(16)에 의해 집수조(11)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면서 집수조(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오수처리장 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기계실(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110)는 흡입구(11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고 배기구(112)를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구(171)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구(172)로 배출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키는 집수조용 송풍기(170); 및
    일단은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의 배기구(172)에 연결되고 타단은 송풍배관(120)에 연결되어 집수조용 송풍기(170)에서 발생한 풍압을 송풍배관(1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집수조용 송풍배관(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수조용 송풍기(170)는,
    흡입구(171)가 집수조(11)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기계실(15)에 배치되어 집수조(11)에 저장된 오수(20)의 악취성분(21)이 흡입구(111)로 유입되면서 배기구(172) 및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을 통해 배수관(13)으로 배출되면서 집수조(11)로부터 제거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풍압을 발생시켜 송풍배관(120)에 연결된 집수조용 송풍배관(180)으로 송풍배관(120)의 풍압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KR1020230136196A 2023-10-12 2023-10-12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KR10265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196A KR102658054B1 (ko) 2023-10-12 2023-10-12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196A KR102658054B1 (ko) 2023-10-12 2023-10-12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054B1 true KR102658054B1 (ko) 2024-04-17

Family

ID=908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196A KR102658054B1 (ko) 2023-10-12 2023-10-12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0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737U (ko) * 1996-12-05 1998-09-05 원백희 고압공기를 이용한 오수 인양용 펌프
KR200460536Y1 (ko) * 2009-10-23 2012-05-25 박동연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KR102104344B1 (ko) 2019-07-19 2020-04-27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막힘 방지기능이 구비된 오배수 펌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737U (ko) * 1996-12-05 1998-09-05 원백희 고압공기를 이용한 오수 인양용 펌프
KR200460536Y1 (ko) * 2009-10-23 2012-05-25 박동연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KR102104344B1 (ko) 2019-07-19 2020-04-27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막힘 방지기능이 구비된 오배수 펌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618B2 (en) Vacuum station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1996035880A1 (en) Automatic pneumatic pump
KR101185621B1 (ko) 이젝터 및 에어탱크를 이용한 슬러지 준설 장치
KR102658054B1 (ko) 오수중계펌프장용 오수펌핑 시스템
US20060207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moving radon gas in a sump well
JP5269759B2 (ja) 廃水ポンプ輸送装置
RU2720085C1 (ru) Сифонный водозабор
CN101737362A (zh) 自控流体喷射引流提升泵
KR100824810B1 (ko) 진공 하수수집 시스템용 매설형 진공펌프장
CN102149485A (zh) 一种土壤通风装置及地下污染物治理系统
KR20160103256A (ko) 진공흡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및 이를 탑재한 차량
GB2224777A (en) Apparatus for pumping liquids from containers
CN210769218U (zh) 一种气液两用抽提泵
KR101531016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102243254B1 (ko)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HU227734B1 (en) Pump station
KR20140005898A (ko) 하수도에서의 오수 처리 시스템
CN103133293A (zh) 一种定比例气动水泵
KR200492508Y1 (ko) 자동 압축공기식 펌핑장치
EP0107950B1 (en) Industrial suction apparatus
JP2517774Y2 (ja) ドレン排出装置
RU189126U1 (ru) Вакуум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даления водяных пробок из газопровода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CN210419407U (zh) 分散式污水处理装置
CN217354688U (zh) 一种自动打水装置
CN107725382A (zh) 一种真空排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