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22B1 -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22B1
KR102242422B1 KR1020190045029A KR20190045029A KR102242422B1 KR 102242422 B1 KR102242422 B1 KR 102242422B1 KR 1020190045029 A KR1020190045029 A KR 1020190045029A KR 20190045029 A KR20190045029 A KR 20190045029A KR 102242422 B1 KR102242422 B1 KR 10224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routes
transfer
recommended
depa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146A (ko
KR102242422B9 (ko
Inventor
전철민
남현우
전인우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22B1/ko
Publication of KR1022424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2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는 탐색 정보 수신부, 상기 출발지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스케줄 수신부, 상기 탐색 정보 및 상기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시각에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SEARCHING PATH OF MASS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안내 서비스는 사용자가 출발지(또는 현재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제공하면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이동 경로를 찾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현재의 길안내 서비스는 차량 운전자를 위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거나, 보행자를 위해 대중교통 수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보행자를 위한 길안내 서비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중교통수단을 대상으로 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거나, 최적이라고 판단되는 하나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길안내 서비스는 주로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데, 그 중, 대중교통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들은 일반적으로 그래프 이론을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고, 데이터 구조로는 정류장을 나타내는 노드와 노드 간 연결을 나타내는 링크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각 링크에는 이동 시간, 이동거리 등의 비용이 저장된다. 또한, 경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환승 저항 등도 링크의 비용으로 이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그래프 이론 기반의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운행시간표를 이용하는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운행시간표 기반의 알고리즘들은 기존 노드-링크 방식의 데이터 구조가 아니라 노선별 운행시간표를 저장하는 고유의 데이터 형식을 이용하고, 그래프 이론의 경로 탐색 방식보다 연산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대부분의 운행시간표 기반 알고리즘들은 운행계획에 따른 정류장 출·도착 시각만을 경로 탐색에 이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승 횟수가 많더라도 물리적인 이동 시간이 최소라면, 해당 경로를 가장 빠른 도착 경로로 판단한다.
하지만 대중교통 승객들은 과도한 환승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므로, 환승 저항이 고려된 최단 경로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교통수단이 있는 대중교통 네트워크에서는 개인의 경로 선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도록 복수의 대안 경로를 탐색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자로부터 이동 경로 개수 및 환승 유형별 선호도를 입력받아 대중교통의 운행시간표에 기초한 복수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보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로 하여금, 무분별하게 많은 이동 경로를 확인할 필요 없이 자신이 원하는 환승 유형에 맞춘 이동 경로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보다 만족스러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는 탐색 정보 수신부, 상기 출발지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스케줄 수신부, 상기 탐색 정보 및 상기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시각에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탐색 정보 및 상기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시각에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출발지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탐색 정보 및 상기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시각에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보행자로부터 이동 경로 개수 및 환승 선호도를 입력받아 대중교통의 운행시간표에 기초한 복수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보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행자로 하여금, 무분별하게 많은 이동 경로를 확인할 필요 없이 자신이 원하는 환승 유형에 맞춘 이동 경로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보다 만족스러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에게 이동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하되, 보행자의 도보 속도에 기초한 이동 경로 별 시간을 산출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행자로 하여금, 이동 경로에 따른 정확한 이동 시간을 확인하여 복수의 이동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정보 수신부 및 표출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노드-링크 방식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행시간표를 이용한 경로 탐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의 도착시각 산출 과정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산출부의 경로 제외 기준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상기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100)는 탐색 정보 수신부(110), 운행 스케줄 수신부(130), 경로 산출부(150) 및 표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탐색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탐색 정보 수신부(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GPS부를 통해 사용자의 출발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탐색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후술되는 표출부(170)를 통해 복수의 입력란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입력받는 탐색 정보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의 제한 개수인 경로 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탐색 정보 수신부(110)가 사용자로부터 경로 개수를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개수만큼의 추천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받는 탐색 정보는 종류별 또는 노선별 대중교통에 대한 환승 선호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승 선호도는 다른 종류 또는 다른 노선의 대중교통으로 환승하는 환승 유형들 각각에 대한 선호도를 정량화한 값인 유형별 환승 선호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유형별 환승 선호도는, 버스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경우, 지하철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경우, 버스와 지하철 간에 환승하는 경우에 대한 선호도일 수 있다.
또한, 입력받는 탐색 정보는, 도보 이동 속도에 대응되는 값인 도보 속도 계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탐색 정보 수신부(110)가 사용자의 도보 속도 계수를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도보 속도에 맞춘 경로별 예상 도착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운행 스케줄 수신부(130)는 출발지 및 출발지로부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대중교통은 버스 및 지하철을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산출부(150)는 탐색 정보 및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시각에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산출부(150)는 환승 지점에서 하차한 대중교통과 동종의 대중교통에 탑승하는 경로는 추천 경로에서 제외하고, 또한, 제 1 종의 제 1 대중교통(예를 들어, XX 번 버스)에서 제 2 종의 제 2 대중교통(예를 들어, YY 지하철)으로 환승하는 경로가 복수 개인 경우 예상 도착시각이 빠른 경로를 추천 경로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경로 산출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 개수만큼의 추천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산출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로 개수가 2개인 경우, 최단 시간, 최단 경로 및 환승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2개의 추천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경로 산출부(150)는 환승 선호도에 대응되는 환승 시간을 반영하여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유형별 환승 선호도가 버스와 지하철 간에 환승이 가장 높은 경우, 경로 산출부(150)는 버스와 지하철 간에 환승 시간을 반영하여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산출부(150)는 도보 속도 계수에 더 기초하여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경로 산출부(150)가 도보 속도 계수에 더 기초하여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도보 속도에 맞춘 경로별 예상 도착시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표출부(170)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출부(170)는 지도의 형태 위에 각각의 추천 경로와 그에 대응하는 예상 도착시각을 텍스트의 형태로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정보 수신부 및 표출부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탐색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각각 출발 시각, 출발지, 도착지, 도보 속도 계수 및 환승 선호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되는 각각의 입력란을 통해 출발 시각, 출발지, 도착지, 도보 속도 계수 및 환승 선호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표출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출발 시각, 출발지, 도착지, 도보 속도 계수 및 환승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출발시각에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포함하는 표출 인터페이스(230)를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출 인터페이스(230)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예상 도착시각, 환승횟수 및 노선이름 등과 같은 추천 경로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보가 텍스트의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노드-링크 방식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행시간표를 이용한 경로 탐색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노드-링크 방식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노드-링크 방식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정류장을 노드, 각 정류장 간의 노선을 링크로 나타낼 수 있다(310). 여기서, 각 링크에 포함되는 이동시간은 출발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링크(311)와 제 2 링크(313)처럼 같은 링크에 포함되는 이동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출발시간에 따라 상이한 시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노드-링크 방식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탐색된 복수의 경로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탐색 요청된 경로가 데이터베이스(330)에 기저장된 경로인 경우,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저장된 경로를 불러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필요한 데이터베이스(330)의 크기가 매우 크고, 미리 결정되어 있는 조건으로만 경로가 제공된다. 나아가, 대중교통 운행스케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노드-링크 구조나 데이터베이스(330)를 다시 갱신하여야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행시간표를 이용한 경로 탐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스케줄 수신부(130)는 환승 지점에서의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경로 산출부(150)는 이렇게 수신된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노선 중 가장 빠른 노선을 선택하여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스케줄 수신부(130) 출발지를 경유하는 51번, 52번 83번 버스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경로 산출부(150)는 이렇게 수신된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해, 가장 빠른 노선인 51번 버스를 선택하여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 운행시간표를 이용한 경로 탐색 방식은, 앞서 설명한 노드-링크 방식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보다 빠르게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값이 아닌 실시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운행시간표를 이용한 경로 탐색 방식은, 복수의 경로를 중복 없이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경로 개수, 환승 선호도, 도보 속도 계수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의 도착시각 산출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의 도착시각 산출 과정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류장 B에서 정류장 G로 이동하는 경우, 단계 S510에서 경로 산출부(150)는 두 정류장을 모두 지나는 노선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로 산출부(150)는 각각의 정류장 B 및 정류장 G를 지나는 복수의 노선 중, R1, R3 노선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경로 산출부(150)는 각각의 정류장 ID를 이용하여 선택된 노선에서 해당 정류장의 순서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로 산출부(150)는 두 개의 노선 중 하나인 R1 노선에서 정류장 B 및 정류장 G의 순서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정류장 ID란 각각의 대중교통 정류장에 지정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운행 스케줄 수신부(130)는 탐색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고, 경로 산출부(150)는 정류장 순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출발 시각을 이용하여 선택된 노선에서 현재 가장 신속히 탑승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출발시각 및 도착시각을 탐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로 산출부(150)는 R1 노선의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장 신속히 탑승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출발시각 및 도착시각을 탐색할 수 있다.
단계 S570에서 경로 산출부(150)는 탐색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착시각 등을 산출하며, 이렇게 산출된 도착시각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산출부의 경로 제외 기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산출부의 경로 제외 기준에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사용자가 왼쪽 정류장에서 대중교통 R1을 탑승하여 오른쪽 정류장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사용자가 R1노선에서 R2노선으로 환승할때 다른 환승 정류장 A, B, C에서 환승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R1, R2는 각각 동종의 대중교통으로서, 동일한 노선의 버스 또는 지하철이 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R1에 탑승하여 한 번에 도착 정류장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R1에 탑승한 후, 중간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에 같은 정류장에서 동종의 대중교통인 R1에 재탑승하는 경로는 도착 정류장까지의 도착 시각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경로로 저장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로는 경로 탐색 시, 실질적으로 같은 경로로 볼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산출부(250)는 이를 중복하여 저장하지 않도록 하차한 정류장에서 이전에 이용한 노선으로 다시 탑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산출부(150)는 환승 지점에서 하차한 대중교통과 동일한 노선의 대중교통에 탑승하는 경로는 추천 경로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경로 산출부(150)는 노선 별 순서를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노선 순서를 이용한 경로는 최소 도착 시각만 비교하여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의 경우, 사용자가 A, B, C 중 어디서 환승하는 지에 따라 이동 소요시간은 약간 달라질 수 있지만, 이용한 노선은 일치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 경로 산출부(150)는 노선 순서가 R1(제 1 종의 제 1 대중교통)→R2(제 2 종의 제 2 대중교통)인 경로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저장된 경로와 현재 탐색한 경로의 도착 시각을 비교하여 빠른 도착 시각을 갱신하여 동일한 노선 순서를 이용한 경로를 중복으로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경로 산출부(150)는 중복되는 노선의 경우, 이동 시간이 짧은 경로를 보다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탐색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운행 스케줄 수신부(130)는 출발지 및 출발지로부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경로 산출부(150)는 탐색 정보 및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시각에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770에서 표출부(170)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110: 탐색 정보 수신부
130: 운행 스케줄 수신부
150: 경로 산출부
170: 표출부

Claims (12)

  1.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에 있어서,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는 탐색 정보 수신부;
    상기 출발지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운행 스케줄 수신부;
    상기 탐색 정보 및 상기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시각에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산출부는,
    상기 환승 지점에서 하차한 대중교통과 동종의 대중교통에 탑승하는 경로는 상기 추천 경로에서 제외하고,
    제 1 종의 제 1 대중교통에서 제 2 종의 제 2 대중교통으로 환승하는 경로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예상 도착시각이 빠른 하나의 경로만을 상기 추천 경로에 포함시켜,
    상기 추천 경로에 동종의 대중교통을 동일한 순서로 이용하는 경로가 중복하여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탐색 정보 수신부는 도보 이동 속도에 대응되는 값인 도보 속도 계수와, 종류별 또는 노선별 대중교통에 대한 환승 선호도를 상기 탐색 정보로서 더 입력받고,
    상기 경로 산출부는 상기 도보 속도 계수와, 상기 환승 선호도에 더 기초하여 상기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환승 선호도는, 버스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경우, 지하철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경우, 버스와 지하철 간에 환승하는 경우에 대한 유형별 환승 선호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탐색 정보는, 경로 개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산출부는 상기 경로 개수만큼의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에 있어서,
    출발지, 도착지 및 출발시각을 포함하는 탐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및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승 지점에서 탑승 가능한 대중교통의 운행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탐색 정보 및 상기 운행시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시각에 상기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상기 도착지에 도달하는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환승 지점에서 하차한 대중교통과 동종의 대중교통에 탑승하는 경로는 상기 추천 경로에서 제외하고,
    제 1 종의 제 1 대중교통에서 제 2 종의 제 2 대중교통으로 환승하는 경로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예상 도착시각이 빠른 하나의 경로만을 상기 추천 경로에 포함시켜,
    상기 추천 경로에 동종의 대중교통을 동일한 순서로 이용하는 경로가 중복하여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탐색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도보 이동 속도에 대응되는 값인 도보 속도 계수와, 종류별 또는 노선별 대중교통에 대한 환승 선호도를 상기 탐색 정보로서 더 입력받고,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보 속도 계수와 상기 환승 선호도에 더 기초하여 상기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환승 선호도는, 버스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경우, 지하철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경우, 버스와 지하철 간에 환승하는 경우에 대한 유형별 환승 선호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탐색 정보는, 경로 개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추천 경로 및 예상 도착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 개수만큼의 상기 추천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경로 탐색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45029A 2019-04-17 2019-04-17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KR10224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29A KR102242422B1 (ko) 2019-04-17 2019-04-17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29A KR102242422B1 (ko) 2019-04-17 2019-04-17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46A KR20200122146A (ko) 2020-10-27
KR102242422B1 true KR102242422B1 (ko) 2021-04-20
KR102242422B9 KR102242422B9 (ko) 2021-07-26

Family

ID=7313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029A KR102242422B1 (ko) 2019-04-17 2019-04-17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922A (ja) 2000-12-04 2002-06-14 Nec Corp 最適経路情報の通知サービス方法とシステム及び検索サービスセンター装置
JP2003179979A (ja) 2001-10-01 2003-06-27 Navitime Japan Co Ltd 情報配信方法
JP2011185780A (ja) 2010-03-09 2011-09-22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58889A (ja) * 2010-09-07 2012-03-22 Navitime Japan Co Ltd 時刻表表示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システムにおける時刻表編集方法
KR101271541B1 (ko) * 2011-10-24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길 찾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95A (ko) * 2015-01-30 2016-08-09 남휘 경로정보의 시각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922A (ja) 2000-12-04 2002-06-14 Nec Corp 最適経路情報の通知サービス方法とシステム及び検索サービスセンター装置
JP2003179979A (ja) 2001-10-01 2003-06-27 Navitime Japan Co Ltd 情報配信方法
JP2011185780A (ja) 2010-03-09 2011-09-22 Navitime Japan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58889A (ja) * 2010-09-07 2012-03-22 Navitime Japan Co Ltd 時刻表表示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システムにおける時刻表編集方法
KR101271541B1 (ko) * 2011-10-24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길 찾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46A (ko) 2020-10-27
KR102242422B9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830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サーバ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JP4266173B2 (ja) 案内経路探索装置
US90576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fied directions
JP201221557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00057357A1 (en) Device for selecting area to be introduced and method thereof
CN108139222A (zh) 驾驶舒适度算出装置、驾驶舒适度算出方法、以及驾驶舒适度算出系统
JP2007114030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サーバ
KR101513588B1 (ko) 길찾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US9448077B2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method, and route search program
JP2014142364A (ja) 経路検索システム、経路検索方法、及び経路検索プログラム
Noh et al. Hyperpaths in network based on transit schedules
JP2008151570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6789608B2 (ja) 広告出稿システム、広告出稿プログラム、サーバおよび広告出稿方法
KR102580576B1 (ko)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시스템
JP4131745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4292062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サーバ、携帯端末、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プログラム
US10495473B2 (en) Route search apparatus, route search metho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and data structure
JP2018160109A (ja) バス検索システム及び入力手段
JP200828659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US20180266831A1 (en) Method of displaying a traveling rout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42422B1 (ko) 대중교통 경로 탐색 서버 및 방법
KR100983482B1 (ko) 도로 정보를 이용한 정류장 검색 방법 및 시스템
US20190033083A1 (en) Route analysis device, route analysi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60405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5615777B2 (ja)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