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043B1 -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043B1
KR102242043B1 KR1020190076933A KR20190076933A KR102242043B1 KR 102242043 B1 KR102242043 B1 KR 102242043B1 KR 1020190076933 A KR1020190076933 A KR 1020190076933A KR 20190076933 A KR20190076933 A KR 20190076933A KR 102242043 B1 KR102242043 B1 KR 10224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angle
reinforcing structure
solar cell
support substrat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210A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코
Priority to KR102019007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0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에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지상의 경사 각도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의한 태양광 지지 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자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지지 프레임 사이에 경사면을 가진 보강 구조체 및 경사각 조절부재를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SOLAR CELL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OBLIQUE ANGLE}
본 발명은 경사면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지지 기판 및 지지 프레임 사이에 경사면을 가진 보강 구조체 및 경사각 조절부재를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다수개의 태양전지패널로 이루어진 태양광모듈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방식으로 다른 발전방식에 비하여 대기오염, 소음, 발열, 진동 등의 공해가 전혀 없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장치는 소규모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뿐만 아니라 개인들도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여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문제점은 경사진 부분에 설치해야 할 때, 설치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태양전지 패널(10)을 지지하고 있는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지지 프레임(30)은 지상(91)과 수평선(92)의 각도인 θ만큼 기울여지기 때문에, 영역 A에서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은 지지 프레임(30)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번호 10-1751643 한국등록특허번호 10-1919956 한국등록특허번호 10-13267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경사면에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지상의 경사 각도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의한 태양광 지지 기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자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지지 프레임 사이에 경사면을 가진 보강 구조체 및 경사각 조절부재를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로 배열된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배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며,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배면과 이격된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을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이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경사진 지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사이에 제1 측면보다 제2 측면이 더 긴 보강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보강 구조체 사이에 경사각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의 상부면은 하부면에 대하여 5° 내지 20°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는 쐐기(wedg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에 노치(notch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의 하부에 각관을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상기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 및 각관은 제1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또한, 상기 각관과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관과 상기 지지부는 제2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는 제3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사면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에 의하면, 지상의 경사 각도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상부면과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하부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경사각도에서도 경사각 조절부재를 사용하여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하부면에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에서 경사각 조절의 원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와 경사각 조절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부재의 절단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경사각 조절부재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200)는 다수개로 배열된 태양전지 패널(10), 상기 태양전지 패널(10)의 배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며, 상기 태양전지 패널(10)의 배면과 이격된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을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30)은 경사진 지상에 고정되어 있고, 영역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30)과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사이에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30)과 보강 구조체(40) 사이에 경사각 조절부재(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사진 지상에 태양전지 패널(1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지지 프레임(30) 사이에 간격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지지 프레임(30) 사이를 매울 수 있는 보강 구조체(40)를 구비함으로써,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지지 프레임(30)의 접촉 면적은 실질적으로 넓어지게 되어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보강 구조체(40)는 특정 각도에 따라서 설계되어 태양광 패널 시공 현장에서 사용되며, 시공 환경에 따라 보강 구조체(40)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경사각 조절부재(80)의 원리를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3의 상부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 구조체(40)의 특정 각도 보다 지면의 경사각이 더 큰 경우에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 사이에 α의 간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도 3의 하부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 구조체(40)와 지지 프레임(30) 사이에 경사각 조절부재(80)를 설치하게 되면 보강 구조체(40)의 상부면과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의 하부면이 평행하게 되어 태양광 발전 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400)에서 경사각 조절의 원리를 나타낸다.
보강 구조체(40)와 지지 프레임(30) 사이에 경사각 조절부재(80)를 넣을 때,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 사이의 각도는 줄어들게 된다. 즉, 경사각 조절부재(80)가 S1의 거리만큼 들어갔을 때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 사이는 α1의 각도를 갖게 되고, 경사각 조절부재(80)가 S2의 거리만큼 들어갔을 때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 사이는 α2의 각도를 갖게 되고, 경사각 조절부재(80)가 S3의 거리만큼 들어갔을 때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 사이인 α3은 0°의 각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40A)와 경사각 조절부재(80A)를 나타낸다.
도 5 (a)는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5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 구조체(40A)의 제1 측면(41a)보다 제2 측면(41b)의 길이가 길고, 또한 상부면은 하부면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측면(41a)보다 제2 측면(41b)을 길게 함으로써, 보강 구조체(40A)는 하부면과 상부면의 각도를 5° 내지 20°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는 하부면과 상부면의 각도가 1°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 내지 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는 지상의 기울어진 기울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나, 상기 범위에서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적절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보강 구조체(40A)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홀(43a)을 구비한다. 이러한 홀(43a)을 통하여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및 각관(60)을 고정할 수 있다. 홀(43a)의 개수는 1개일 수 있고, 2개 이상일수 있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및 각관(60)을 고정하면 홀(43a)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b)는 경사각 조절부재(80A)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경사각 조절부재(80A)는 보강 구조체(40A)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5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 조절부재(80A)는 U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경사각 조절부재(80A)는 제1 연장부(83-1a) 및 제2 연장부(83-2a)의 U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강 구조체(40A)의 홀(43a)에 통과된 체결 수단은 경사각 조절부재(80A)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경사각 조절부재(80A)는 쐐기(wedge)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경사각 조절부재(80A)의 제1 측면(81-1a,81-2a)보다 제2 측면(82a)의 길이가 길고, 또한 상부면은 하부면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부재(80B, 80C,80D)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6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 조절부재(80B)에는 상부면에 U자형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노치(notchs)가 특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연장부에 위치한 제1 노치(84-11,84-21,84-31)은 제2 연장부에 위치한 제2 노치(84-12,84-22,84-32)와 평행하다. 또한, 제1 노치(84-11,84-21,84-31) 및 제2 노치(84-12,84-22,84-32)는 노치가 특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 6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 조절부재(80C)에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U자형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노치(notchs)가 특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경사각 조절부재(80C)에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노치는 경사각 조절부재(80C)의 서로 수직한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노치에서 상부면의 노치(84-12) 및 하부면의 노치(84-4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외부 힘에 의하여 쉽게 절단될 수 있다.
도 6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 조절부재(80D)에는 경사각 조절부재(80d)의 상부면에 U자형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노치(notchs)가 특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경사각 조절부재(80)의 상부면에 완충 구조체(84)를 구비함으로써,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D)의 경사각의 오차를 더욱 줄여 줄 수 있다. 지상으로부터 경사 또는 시공 상의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오차를 탄성을 갖는 완충 구조체(84)를 구비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완충 구조체(84)로서,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내구성의 관점에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c)는 도 6 (a)에 기재된 경사각 조절부재(80b)의 상부면에 완충 구조체(84)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6 (b)에 기재된 경사각 조절부재(80b)의 상부면에도 완충 구조체(84)를 구비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부재의 노치 부분을 절단하는 예를 나타낸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보강 구조체(40)는 설치 각도가 맞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의 경사각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동일한 보강 구조체(40)를 사용하게 되면 경사각의 제어 오차가 생기고, 이를 경사각 조절부재(80)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 조절부재(80)에 노치 부분을 적절하게 절단함으로써, 별도로 경사각 조절부재(80)를 가공할 필요없이 태양광 발전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각 조절부재(80)를 삽입하는 길이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고, 경사각 조절부재(80)의 불필요한 부분을 노치를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나 경사각 조절부재는 알루미늄, 구리, 텅스텐, 스텐인레스, 철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강 구조체나 경사각 조절부재로서 금속을 사용하게 되면 접지 전극의 역할도 하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터널부(45b)를 갖는 보강 구조체(40B)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 구조체(40B)의 제1 측면(41b)보다 제2 측면(42b)의 길이가 길고, 또한 상부면은 하부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여기서, 보강 구조체(40B)의 하부면에 한 쌍의 터널부(45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터널부(45b)는 U자형 경사각 조절부재의 양 끝단이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대응된다.
도 9는 터널부(45c)를 갖는 보강 구조체(40C)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 구조체(40C)의 제1 측면(41bx)보다 제2 측면(42bx)의 길이가 길고, 또한 상부면은 하부면에 대하여 경사지며, 제1 측면(41bx)의 하부에 제1 단부(41by)를 구비하고, 제2 측면(42bx)의 하부에 제2 단부(41by)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측면(41bx) 및 제2 측면(42bx)이 각각 제1 단부(41by) 및 제2 단부(42by)를 구비함으로써 보강 구조체(40B)와 각관(60)의 고정 강도를 높여 지상으로부터 태양광 발전 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보강 구조체(40C)의 하부면에 한 쌍의 터널부(45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터널부(45c)는 U자형 경사각 조절부재의 양 끝단이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대응된다.
보강 구조체나 경사각 조절부재는 주조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다. 여기서, 보강 구조체의 내부는 중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구조체의 내부를 중공으로 하는 경우, 재료가 절약되며, 나아가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각관 사이에 보강 구조체가 압력을 받는 경우 유연성을 지닐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보강 구조체의 부피를 100으로 하는 경우, 중공의 부피는 3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의 부피가 30미만이면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각관의 압력에 의하여 보강 구조체의 변형이 일어나고, 중공의 부피가 70을 초과하면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각관의 압력에도 유연성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경사각 조절부재가 설치된 태양광 발전 장치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도 5 (a)의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가 장착된 태양광 발전 장치(600)의 확대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각관(60) 사이에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 및 경사각 조절부재(80)을 구비한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 경사각 조절부재(80) 및 각관(60)은 제1 체결 수단(5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 및 각관(60)은 제1 공통 홀을 구비하고, 경사각 조절부재(80)는 U자형 사이를 통하여 제1 체결 수단(51)에 의하여 체결되고, 제1 체결 수단(51)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관(60)과 지지 프레임(30)의 측면에 지지부(70)를 구비한다. 각관(60)과 지지부(70)는 제2 체결 수단(5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30)과 지지부(70)는 제3 체결 수단(5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관(60)과 지지부(70)는 제2 공통 홀을 구비하여 제2 체결 수단(52)에 의하여 체결되고, 제2 체결 수단(52)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0)과 지지부(70)는 제3 공통 홀을 구비하여 제3 체결 수단(53)에 의하여 체결되고, 제3 체결 수단(53)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 수단은 바람직하게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도 8의 터널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A)가 장착된 태양광 발전 장치(700)의 확대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각관(60) 사이에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B), 경사각 조절부재(80)를 구비한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B), 경사각 조절부재(80) 및 각관(60)은 제1 체결 수단(5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경사각 조절부재(80)의 U자형 단부의 각각의 폭은 보강 구조체(40B)의 터널부(45b)의 폭보다 좁다. 이와 같이, 보강 구조체(40B)에 터널부(45b)가 형성됨으로써 경사각 조절부재(80)의 진행 방향은 고정될 수 있어, 경사각 조절부재(80)가 보강 구조체(40B) 하부에서 진행되는 방향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도 9의 터널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C)가 장착된 태양광 발전 장치(800)의 확대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과 각관(60) 사이에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C) 및 경사각 조절부재(80)를 구비한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C), 경사각 조절부재(80) 및 각관(60)은 제1 체결 수단(5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구조체(40C)의 제1 측면(41bx)보다 제2 측면(42bx)의 길이가 길고, 또한 상부면은 하부면에 대하여 경사지며, 제1 측면(41bx)의 하부에 제1 단부(41by)를 구비하고, 제2 측면(42bx)의 하부에 제2 단부(42by)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측면(41bx) 및 제2 측면(42bx)이 각각 제1 단부(42bx) 및 제2 단부(42by)를 구비함으로써 보강 구조체(40C)와 각관(60)의 고정 강도를 높여 지상으로부터 태양광 발전 장치(8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20), 경사부를 갖는 보강 구조체(40C) 및 각관(60)은 제1 공통 홀을 구비하며, 경사각 조절부재(80)는 U자형 사이를 통하여 제1 체결 수단(51)에 의하여 체결되고, 제1 체결 수단(51)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관(60)과 지지 프레임(30)의 측면에 지지부(70)를 구비한다. 각관(60)과 지지부(70)는 제2 체결 수단(5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30)과 지지부(70)는 제3 체결 수단(5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관(60)과 지지부(70)는 제2 공통 홀을 구비하여 제2 체결 수단(52)에 의하여 체결되고, 제2 체결 수단(52)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0)과 지지부(70)는 제3 공통 홀을 구비하여 제3 체결 수단(53)에 의하여 체결되고, 제3 체결 수단(53)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되게 형성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태양광 발전 장치
10: 태양전지 패널
20: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30: 지지 프레임
40, 40A, 40B, 40C: 보강 구조체
51, 52, 53, 54: 체결수단
60: 각관
70: 지지부
80,80A,80B,80C,80D: 경사각 조절부재
84: 완충구조체
91: 지상
92: 수평선

Claims (5)

  1. 다수개로 배열된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배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며,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배면과 이격된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및
    상기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을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이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경사진 지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태양전지 패널 지지 기판 사이에 제1 측면보다 제2 측면이 더 긴 보강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보강 구조체 사이에 경사각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는 쐐기(wedg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U자형 구조를 갖고,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어느 한 면 또는 양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노치(notchs)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5. 삭제
KR1020190076933A 2019-06-27 2019-06-27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24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33A KR102242043B1 (ko) 2019-06-27 2019-06-27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33A KR102242043B1 (ko) 2019-06-27 2019-06-27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10A KR20210001210A (ko) 2021-01-06
KR102242043B1 true KR102242043B1 (ko) 2021-04-29

Family

ID=7412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33A KR102242043B1 (ko) 2019-06-27 2019-06-27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1476B1 (en) * 2022-06-07 2024-02-22 Nordic Solar As Mounting system for solar panel, solar panel compris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solar panel sheets on a solar pa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06B1 (ko) 2011-03-08 2013-02-13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분리식 브라켓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지지구조체
KR101286197B1 (ko) 2013-04-04 2013-07-15 박일순 태양광 발전용 정션박스
KR101626877B1 (ko) 2015-08-18 2016-06-02 주식회사 에스에치 태양광 패널 설치용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1754135B1 (ko) 2016-11-23 2017-07-20 주식회사 이멕스 베이스레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 지붕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19B1 (ko) 2013-09-24 2013-11-08 주식회사 블루스톤코퍼레이션 태양광모듈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51643B1 (ko) 2016-06-22 2017-07-11 아이솔라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패널 설치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19956B1 (ko) 2018-04-30 2018-11-20 조규현 태양전지 패널과 경사 브라켓이 구비되는 방음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06B1 (ko) 2011-03-08 2013-02-13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분리식 브라켓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지지구조체
KR101286197B1 (ko) 2013-04-04 2013-07-15 박일순 태양광 발전용 정션박스
KR101626877B1 (ko) 2015-08-18 2016-06-02 주식회사 에스에치 태양광 패널 설치용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1754135B1 (ko) 2016-11-23 2017-07-20 주식회사 이멕스 베이스레일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 지붕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10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989B2 (ja) 太陽電池架台装置
JP6430721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102242043B1 (ko) 경사각을 조절하여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JP536593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装置
JP201622032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および太陽光発電装置
KR101772049B1 (ko) 수동 각도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44538A (ko) 태양광 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101797899B1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
KR101781064B1 (ko) 비탈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 조인트 어셈블리
JP2015078579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JP5836094B2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および太陽電池装置
JP2005290755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装置
JP2015195701A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
KR102254431B1 (ko) 경사면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 발전 장치
JP3213752U (ja) 太陽光パネル用架台
KR101462568B1 (ko) 샌드위치패널의 구조물 설치용 베이스브라켓
PH12016501449B1 (en) Members for constituting mount for installing solar panels
KR101629388B1 (ko) 태양에너지수집판 높이조절장치
JP6667280B2 (ja) 架台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20190133933A (ko) 태양광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KR20230081236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
JP6296222B2 (ja) ソーラーパネルの支持構造
JP2016077119A (ja) 太陽光発電装置の施工方法、太陽光発電装置、太陽光発電パネル載置架台の施工方法、太陽光発電パネル載置架台
JP6242728B2 (ja) 太陽電池パネル架台
JP2016127716A (ja) ソーラーパネルのフレームの支持架台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