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764B1 -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 - Google Patents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764B1
KR102240764B1 KR1020197002657A KR20197002657A KR102240764B1 KR 102240764 B1 KR102240764 B1 KR 102240764B1 KR 1020197002657 A KR1020197002657 A KR 1020197002657A KR 20197002657 A KR20197002657 A KR 20197002657A KR 102240764 B1 KR102240764 B1 KR 10224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loyment assembly
trigger
fixing member
rever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459A (ko
Inventor
동칭 차이
Original Assignee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아울디 애니매이션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광저우 알파 컬처 커뮤니케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아울디 애니매이션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광저우 알파 컬처 커뮤니케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파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4Stunt-cars, e.g. lifting front wheels, roll-over or invertible c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with cranes, win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6Missile-launching means on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convertible into other forms under the action of impact or shock, e.g. arrangements for imitating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100)는, 고정 부재(1)와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포함하고,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고정 부재(1)에 설치되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트리거 부재(41) 및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전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되어 고정 부재(1)의 제2 트리거(11)가 트리거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
본 발명은 완구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완구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자동차 완구는 일반적으로 1차 코인 클램핑 기능만 실현하여 흥미성이 낮다.
본 발명의 취지는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술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흥미성이 강한 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는 고정 부재; 및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된 제1 전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는 제1 트리거 부재 및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가 전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는 전개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는 흥미성이 강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는 제1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로킹 결합하여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를 폴딩시키는 로킹 상태와, 상기 고정 부재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구는 제1 접촉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체와 상기 제1 트리거 부재는 모두 자기 흡인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와 상기 제1 접촉체가 서로 자기 흡인할 경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는 상기 제1 접촉체에 의해 트리거되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접촉체와 상기 제1 트리거 부재 중 하나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운동하여 상기 제1 로킹 부재가 상기 로킹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구는 상기 고정 부재 아래쪽에 위치한 로킹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항상 상기 로킹 홀의 변두리와 로킹 결합하는 로킹 후크이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접촉체는 상기 로킹 후크를 추진하여 상기 로킹 홀로부터 이탈함으로써 로킹 해제를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에 리밋 배플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항상 상기 리밋 배플 아래쪽에 접촉하는 이동 위치 고정 부재이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는 상기 이동 위치 고정 부재를 이끌어서 상기 리밋 배플의 아래 쪽으로부터 이탈되어 로킹 해제를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리밋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리밋부와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밋부는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된 두 개의 리밋 블록과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 사이에 연결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항상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을 추진하여 서로 멀어지게 하여 두 개의 상기 리밋 홈과 각각 결합하여 로킹을 실현하며; 상기 이동부가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을 추진할 경우,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여 접근시키며 각각 두 개의 상기 리밋 홈 내부로부터 이탈하여 로킹 해제를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상기 리밋 블록에는 모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뒤로부터 앞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수직 이등분선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부에는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과 각각 결합하는 푸싱부를 구비하며, 상기 푸싱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로 이동할 경우,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을 추진하여 좌우로 접근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구는 제1 반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전 부재는 피벗(Pivoting)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트리거부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반전 부재가 피벗되어 상기 고정 부재를 허공에서 반전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구는 제2 반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반전 부재는 피벗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2 반전 부재가 피벗되어 상기 고정 부재를 허공에서 반전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구는 제2 전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는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반전 부재가 반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를 전개하도록 트리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완구는 제2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로킹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와 로킹 결합하여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를 폴딩시키는 로킹 상태와,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면과 이점은 아래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며, 일부분은 아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분명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완구가 초기 형태로 되어있는 저면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완구가 1차 트리거된 후의 저면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완구가 2차 트리거된 후의 저면 입체도이다.
도 4는 도 1에 표시된 완구가 초기 형태로 되어있는 부감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완구가 1차 트리거된 후의 부감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완구가 2차 트리거된 후의 부감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4에 표시된 완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5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표시된 완구의 다른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표시된 완구의 다른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 2에 따른 완구가 초기 형태로 되어있는 부감 입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표시된 완구가 2차 트리거된 후의 부감 입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표시된 완구가 초기 형태로 되어있는 저면 입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표시된 완구의 부분 도면이다.
도 17는 도 16에 표시된 완구의 부분 도면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표시된 리밋 블록과 탄성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3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고, 도면에서 제2 반전 부재는 반전되기 전의 로킹 상태로 되어있다.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 3에 따른 완구가 초기 형태로 되어있는 부감 입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표시된 완구가 2차 트리거된 후의 부감 입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표시된 완구가 초기 형태로 되어있는 저면 입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표시된 완구가 2차 트리거 후의 저면 입체도이며, 도면에서 제2 반전 부재는 반전되기 전의 로킹 상태로 되어있다.
도 25는 도 21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에 표시된 완구의 하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며, 그 중 시종일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의 개시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아래에서 특정된 예의 부재와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은 단지 예일뿐이며 당연히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예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간략화 및 명료성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논의된 각 실시예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특정된 공예와 재료의 예를 제공하였으나 당업자는 다른 공예로의 응용 및/또는 기타 재료의 사용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아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를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는 고정 부재(1), 제2 반전 부재(3), 제1 전개 어셈블리(4), 제1 접촉체(6) 및 제2 접촉체(7)를 포함한다. 여기서, 완구(100)는 제1 접촉체(6)와 제2 접촉체(7)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플레이어는, 이들을 예를 들면 철편, 동전 등 다른 생활용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완구(100)는 자동차 완구일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는 프레임 또는 바퀴가 달린 프레임 등일 수 있다. 제2 반전 부재(3)는 고정 부재(1)에 피벗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반전 부재(3)는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반전 부재(3)는 피벗 축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반전 부재(3)는 피벗 축에 의해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2 반전 부재(3)가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할 경우, 제2 반전 부재(3)는 고정 부재(1)가 놓인 지지면, 예를 들면 지면 등과 상호 작용하여, 고정 부재(1)를 허공에서 반전시킨다. 예를 들면, 제2 반전 부재(3)가 고정 부재(1)에 대해 앞에서부터 뒤로 고정 부재(1)의 아래 쪽을 거쳐 피벗할 경우, 제2 반전 부재(3)와 지지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2 반전 부재(3)의 고정 부재(1)와 함께 허공에서 뒤로 반전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 부재(1)가 지지면에 대해 앞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고정 부재(1)가 허공에서 뒤로 반전(즉, Back Somersault, 백 섬머솔트)할 경우, 고정 부재(1)는 앞으로의 관성을 가지므로 허공에서 반전한 후 계속 앞으로 주행한다.
여기서, 제2 반전 부재(3)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반전 부재(3)가 구속될(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3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될) 경우, 비틀림 스프링이 압축되어 탄성력이 축적되고, 제2 반전 부재(3)가 구속되지 않을(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3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될) 경우, 비틀림 스프링은 변형이 회복되면서 탄성력을 해제하여 제2 반전 부재(3)가 반전되도록 한다.
고정 부재(1)에는 제2 트리거 부재(11)가 있으며, 제2 트리거 부재(11)는 초기에 트리거 가능 상태와 트리거 불가능 상태의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2 트리거 부재(11)가 노출될 경우 트리거 가능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트리거 부재(11)가 가려질 경우 트리거 불가능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2 트리거 부재(11)는 가려져 숨겨질 수 있으며, 제2 트리거 부재(11)는 노출될 수도 있다. 그 중, 제2 트리거 부재(11)가 가려져 숨겨질 경우 제2 트리거 부재(11)는 트리거될 수 없으며, 제2 트리거 부재(11)가 노출될 경우 제2 트리거 부재(11)는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트리거 부재(11)는 제2 접촉체(7)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촉체(7)는 자기 흡인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트리거 부재(11)도 자기 흡인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접촉체(7)와 제2 트리거 부재(11)가 서로 자기 흡인하고 제2 접촉체(7)와 제2 트리거 부재(11)중 적어도 하나가 자기 흡인 작용에 의해 변위될 경우, 제2 트리거 부재(11)는 제2 접촉체(7)에 의해 트리거된다.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2 트리거 부재(11)를 가려 숨김으로써,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될 수 없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고정 부재(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부재(1)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전개 어셈블리(5)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 부재(1)에 설치되며, 고정 부재(1)에 폴딩시키는 폴딩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으며,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폴딩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2 트리거 부재(11)를 가려 숨길 수 있다.
그 중에서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전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조 부재는 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부재(예를 들면, 고정 부재(1) 또는 제2 전개 어셈블리(5))와 제1 탄성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서로 다른 구조 부재 사이는 제1 탄성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조 부재가 구속될(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될) 경우, 제1 탄성 부재는 구조 부재에 의해 압축되어 탄력이 축적되고,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폴딩 상태를 나타낸다. 구조 부재가 구속되지 않을(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 해제될) 경우, 제1 탄성 부재는 변형이 회복되어 탄성력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다른 구조 부재 사이 및 구조 부재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된 부재 사이는 모두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되어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전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나아가,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트리거 부재(41)를 포함하며, 제1 트리거 부재(41)는 초기에 트리거 가능한 하나의 상태만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1 트리거 부재(41)가 노출될 경우 트리거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1 트리거 부재(41)는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트리거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접촉체(6)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촉체(6)는 자기 흡인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트리거 부재(41)도 자기 흡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촉체(6)와 제1 트리거 부재(41)가 서로 자기 흡인하고, 제1 접촉체(6)와 제1 트리거 부재(41) 중 적어도 하나가 자기 흡인 작용에 의해 변위할 경우,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접촉체(6)에 의해 트리거된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되어 제2 트리거 부재(11)를 노출한다. 예를 들면, 제1 접촉체(6)가 제1 트리거 부재(41)를 트리거할 경우, 제1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되어, 제1 전개 어셈블리(4)의 구조 부재가 구속작용을 받지 않으며, 제1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폴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더 이상 제2 트리거 부재(11)를 가려 숨기지 않으므로 제2 트리거 부재(11)가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어 트리거 대기 상태로 된다.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될 경우,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되어 고정 부재(1)를 허공에서 반전시킨다. 예를 들면, 제2 접촉체(7)가 제2 트리거 부재(11)를 트리거할 경우, 제3 로킹 부재는 로킹 해제되어 제2 반전 부재(3)가 구속작용을 받지 않고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될 수 있으므로, 제2 반전 부재(3)가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하는 과정에서 제2 반전 부재(3)를 제1 전개 어셈블리(4) 등과 함께 허공에서 반전한다.
여기서, “제1 트리거 부재(41)가 노출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은 광의적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즉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에 의해 트리거될(예를 들면, 제1 접촉체(6)가 제1 트리거 부재(41)와 가까워질) 수 있다면, 제1 트리거 부재(41)가 노출 상태를 나타낸다고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본체부를 포함하며, 제1 본체부는 제1 클램핑 개구(40)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1 클램핑 개구(40)는 제1 본체부의 선단면의 아랫부분으로부터 뒤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본체부 내부에서 제1 클램핑 개구(40)와 가까운 곳에 설치된다. 이렇게 제1 클램핑 개구(40)가 가려지지 않을 경우, 제1 접촉체(6)는 제1 트리거 부재(41)에 가까워져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리거 부재(41)는 노출 상태를 나타낸다고 이해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리거 부재(41)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클램핑 개구(40)에 의해 제1 본체부의 밖으로 돌출되어 제1 접촉체(6)에 의해 트리거된다. 그러나,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본체부 내에 위치하고 제1 클램핑 개구(40)에 가까울 경우, 제1 접촉체(6)가 제1 트리거 부재(41)를 트리거한 후 제1 접촉체(6)는 제1 클램핑 개구(40)에 클램핑될 수 있으므로, 제1 접촉체(6)가 제1 트리거 부재(41)를 트리거한 후 튀어나와 주위 사람이 다치거나 물체가 상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여, 놀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완구(100) 전체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접촉체(6)가 클램핑 되는 방식은 많으며, 예를 들면, 제1 접촉체(6)가 종래기술의 클램핑 어셈블리에 의해 제1 클램핑 개구(40)에 클램핑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제2 트리거 부재(11)는 노출 상태를 나타낸다”는 광의적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즉 제2 트리거 부재(11)가 제2 접촉체(7)에 의해 트리거될(예를 들면, 제2 접촉체(7)가 제2 트리거 부재(11)와 가까워질) 수 있다면, 제2 트리거 부재(11)가 노출 상태를 나타낸다고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에는 제2 클램핑 개구(10)가 있으며, 예를 들면 제2 클램핑 개구(10)는 본체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뒤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트리거 부재(11)는 본체부 내에서 제2 클램핑 개구(10)와 가까운 곳에 설치된다. 이렇게 제2 클램핑 개구(10)가 가려지지 않을 경우, 제2 접촉체(7)는 제2 트리거 부재(11)에 가까워져 제2 트리거 부재(11)가 제2 접촉체(7)에 의해 트리거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트리거 부재(11)는 노출 상태를 나타낸다고 이해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트리거 부재(11)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클램핑 개구(10)에 의해 본체부 밖으로 돌출되어 제2 접촉체(7)에 의해 트리거된다. 그러나, 제2 트리거 부재(11)가 본체부 내에 위치하고 제2 클램핑 개구(10)에 가까울 경우, 제2 접촉체(7)가 제2 트리거 부재(11)를 트리거한 후, 제2 접촉체(7)는 제2 클램핑 개구(10)에 클램핑될 수 있으므로 제2 접촉체(7)가 제2 트리거 부재(11)를 트리거한 후 튀어나와 주위 사람이 다치거나 물체가 상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여 놀이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완구(100) 전체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촉체(7)가 클램핑 되는 방식은 많으며, 예를 들면, 제2 접촉체(7)가 종래기술의 클램핑 어셈블리에 의해 제2 클램핑 개구(10)에 클램핑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완구(100)는 제2 반전 부재(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완구(100)는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된 후 2차 백 섬머솔트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을 수 있지만 다른 반응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완구가 음악장치나 발광장치 등을 포함할 경우, 완구는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된 후 음악을 틀거나 빛을 내는 등의 반응을 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의 놀이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접촉체(6)를 고정 부재(1)의 앞쪽에 놓고, 제2 접촉체(7)를 제1 접촉체(6)의 앞쪽에 놓고서, 고정 부재(1)를 앞으로 민다. 고정 부재(1)가 앞으로 주행하는 과정에 제1 접촉체(6)는 먼저 고정 부재(1)에 접촉되어 노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트리거 부재(41)를 우선적으로 트리거한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되어 제2 트리거 부재(11)를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부재(1)는 관성력의 작용으로 계속 앞으로 주행할 수 있다. 그 후 그 앞에 있는 제2 접촉체(7)와 접촉한다. 이때, 제2 접촉체(7)는 노출된 제2 트리거 부재(11)를 트리거할 수 있다.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된 후, 제2 반전 부재(3)는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할 수 있고, 제2 반전 부재(3)와 지지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고정 부재(1)는 백 섬머솔트 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가 바닥에 떨어진 후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 계속 앞으로 주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는 2차 트리거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흥미성이 강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완구(100)는 제1 반전 부재(2)를 더 포함하고, 제1 반전 부재(2)는 피벗 가능하게 고정 부재(1)에 설치된다. 즉, 제1 반전 부재(2)는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반전 부재(2)는 피벗 축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반전 부재(2)는 피벗 축에 의해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반전 부재(2)가 고정 부재(1)에 대해 피벗 할 경우, 제1 반전 부재(2)는 고정 부재(1)가 놓인 지지면, 예를 들면 지면 등과 상호작용하여, 고정 부재(1)를 허공에서 반전시킨다. 예를 들면, 제1 반전 부재(2)가 고정 부재(1)에 대해 앞에서부터 뒤로 고정 부재(1)의 아래 쪽을 거쳐 피벗 할 경우, 제1 반전 부재(2)와 지지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고정 부재(1)는 제1 반전 부재(2)와 함께 허공에서 뒤로 반전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 부재(1)가 지지면에 대해 앞으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고정 부재(1)가 허공에서 뒤로 반전할(즉, 백 섬머솔트할) 경우, 고정 부재(1)는 앞으로의 관성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허공에서 반전한 후 계속 앞으로 주행한다.
여기서, 제1 반전 부재(2)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연결되며 제1 반전 부재(2)가 구속될(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로킹 후크(42)에 의해 로킹될) 경우, 비틀림 스프링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고, 제1 반전 부재(2)가 구속되지 않을(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로킹 후크(42)가 로킹 해제될) 경우, 비틀림 스프링은 변형이 회복되어 탄성력을 해제하여 제1 반전 부재(2)가 피벗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완구(100)는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더 포함하며,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고정 부재(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부재(1)에 설치되고 고정 부재(1)에 폴딩되는 폴딩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전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분기부(50))를 포함하고, 구조 부재는 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부재(예를 들면, 고정 부재(1))와 제2 탄성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서로 다른 구조 부재 사이도 제2 탄성 부재(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조 부재가 구속될(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될) 경우, 제2 탄성 부재는 구조 부재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고, 이때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폴딩 상태를 나타낸다. 구조 부재가 구속되지 않을(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 로킹 부재에 의해 로킹 해제될) 경우, 제2 탄성 부재는 변형이 회복되어 탄성력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다른 구조 부재 사이 및 구조 부재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부재(예를 들면, 고정 부재(1)) 사이는 모두 제2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되어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전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제2 반전 부재(3)는 반전하는 과정에서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트리거하여 전개한다. 예를 들면, 제2 반전 부재(3)가 반전하는 과정에서 제2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전개 어셈블리(5)의 구조 부재는 구속작용을 받지 않으며 제2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폴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변환하여 완구(100)의 오락성을 향상시킨다.
아래에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되는 것, 제1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되는 것,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전개되는 것, 제1 반전 부재(2)가 피벗되는 것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로킹 부재는 고정 부재(1)와 로킹 결합하여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폴딩시키는 로킹 상태와, 고정 부재(1)에서 이탈하여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전개하도록 하는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1 로킹 부재는 로킹 상태와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제1 로킹 부재가 로킹 상태를 나타낼 경우, 제1 로킹 부재는 고정 부재(1)와 로킹 결합하여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구속한다.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폴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로킹 부재가 로킹 상태를 나타낼 경우, 제1 로킹 부재는 고정 부재(1)에서 이탈하여 제1 전개 어셈블리(4)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개 어셈블리(4)의 제1 트리거 부재(41)와 제1 로킹 부재의 연동작용에 의해, 제1 전개 어셈블리(4)의 전개와 폴딩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간략화를 실현하고 모듈성이 강하며 안정적인 작동을 실현한다. 또한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전개된 후 제1 트리거 부재(41)와 제1 로킹 부재는 완구(100) 전체의 모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모두 제1 전개 어셈블리(4)에 양호하게 융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방식에 의해 제1 전개 어셈블리(4)의 폴딩과 전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1) 밖에 설치된 로킹 구조 등에 의해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로킹 및 로킹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리거 부재(41)와 제1 접촉체(6)가 서로 자기 흡인 작용하여 상대 운동할 경우,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접촉체(6)에 의해 트리거된다. 이렇게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트리거 부재(41)와 제1 접촉체(6)는 상대 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접촉체(6)와 제1 트리거 부재(41) 중 하나는 고정 부재(1)에 대해 상대 운동하며, 제1 로킹 부재를 구동(예를 들면, 이끌거나 또는 추진)하여 로킹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면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확장할 수 있다.
아래에서 한 가지 방면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본체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트리거 부재(41)와 제1 접촉체(6)가 서로 자기 흡인 작용할 경우, 제1 접촉체(6)는 제1 클램핑 개구(4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경우, 제1 접촉체(6)는 제1 트리거 부재(41)를 흡인하여 제1 접촉체(6)로 접근하도록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램핑 개구(40) 외부를 향해 앞으로 운동한다. 이때, 운동하는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로킹 부재를 이끌어서 로킹 해제 작동을 하여, 제1 로킹 부재가 제1 전개 어셈블리(4)에 대한 구속을 풀어주게 함으로써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전개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그 중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예를 들면, 아래의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한다)에서, 고정 부재(1)에는 리밋 배플(12C)이 있으며 제1 로킹 부재는 항상 리밋 배플(12C) 아래에 폴딩하는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이고,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트리거 부재(41)는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를 이끌어서 리밋 배플(12C)의 아래쪽으로부터 이탈되어 로킹 해제를 실현하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고정 부재(1)에 대해 위로 피벗되어 들리므로 전개를 실현한다.
예를 들면, 제1 트리거 부재(41)는 자석일 수 있으며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와 동기적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제1 본체부 내부에 설치된다. 제1 접촉체(6)가 제1 트리거 부재(41)를 흡인하여 앞으로 이동할 경우, 제1 트리거 부재(41)는 그에 씌워진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를 이끌어 앞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는 리밋 배플(12C)의 아래 쪽으로부터 앞으로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의 상단까지 운동하여 리밋 배플(12C)의 가림을 받지 않게 된다. 이때, 리밋 배플(12C)은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에 대한 구속 작용을 잃게 되고,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앞부분이 위로 들린 전갈 꼬리 모양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는 항상 리밋 배플(12C) 아래쪽에 폴딩한다”는,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가 로킹 해제되지 않는 동안에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는 항상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잠그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는 리셋 스프링에 의해 제1 본체부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리셋 스프링은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를 탄성 이동시켜 항상 리밋 배플(12C)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를 이끌어서 앞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는 리셋 스프링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압축하여 리셋 스프링이 변형되어 탄력을 축적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접촉체(6)가 제1 트리거 부재(41)를 더 이상 흡인하지 않고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고정 부재(1)에 폴딩할 경우, 리셋 스프링은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를 추진하여 재차 리밋 배플(12C)의 아래에 멈추어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1 전개 어셈블리(4)에 대한 재차 로킹을 실현한다.
아래에서 다른 한 가지 방면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본체부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제1 트리거 부재(41)와 제1 접촉체(6)가 서로 자기 흡인 작용할 경우, 제1 트리거 부재(41)는 제1 접촉체(6)를 흡인하여 제1 트리거 부재(41)에 접근하도록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램핑 개구(40) 내부로 뒤로 운동한다. 이때, 운동하는 제1 접촉체(6)는 제1 로킹 부재를 추진하여 로킹 해제 작동함으로써, 제1 로킹 부재가 제1 전개 어셈블리(4)에 대한 구속을 풀어주게 하여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전개한다.
예를 들면, 그 중에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예를 들면, 아래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한다)에서, 고정 부재(1)의 밑부분에는 로킹 홀(21)이 있다. 예를 들면 로킹 홀(21)은 고정 부재(1)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반전 부재(2)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 로킹 부재는 항상 로킹 홀(21)의 변두리와 로킹 결합하는 로킹 후크(42)이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접촉체(6)는 로킹 후크(42)를 추진하여 로킹 홀(21)로부터 이탈하여 로킹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제1 트리거 부재(41)는 자석일 수 있고 제1 본체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로킹 후크(42)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제1 본체부에 설치된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를 흡인하여 뒤로 이동할 경우, 제1 접촉체(6)는 로킹 후크(42)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할 수 있고 로킹 후크(42)가 뒤로 이동한 후 로킹 홀(21)에 맞춰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 로킹 홀(21) 변두리의 위치 결정 구속작용을 받지 않는다.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정좌한 사람의 상체 모양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로킹 후크(42)는 항상 로킹 홀(21)의 변두리와 로킹 결합한다”는, 로킹 후크(42)가 로킹 해제되지 않는 동안에 로킹 후크(42)가 항상 로킹 홀(21)의 변두리에 로킹한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로킹 후크(42)는 리셋 스프링에 의해 제1 본체부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리셋 스프링은 로킹 후크(42)를 탄성 이동시켜 항상 로킹 홀(21)의 변두리와 로킹한다. 제1 접촉체(6)가 로킹 후크(42)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할 경우, 로킹 후크(42)는 리셋 스프링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압축하여 리셋 스프링이 변형되어 탄력을 축적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를 더 이상 흡인하지 않고 로킹 후크(42)를 추진하며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고정 부재(1)에 폴딩될 경우, 리셋 스프링은 로킹 후크(42)를 추진하여 재차 로킹 홀(21)의 변두리와 로킹되어 제1 전개 어셈블리(4)의 재차 로킹을 실현한다. 여기서, 로킹 후크(42)와 로킹 홀(21) 변두리가 로킹과 로킹 해제를 실현하는 방식은 첨부 도면과 같이 통상의 지식에 해당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로킹 홀(21)은 제1 반전 부재(2)에 형성되고, 이렇게 로킹 후크(42)와 로킹 홀(21) 변두리의 로킹 결합은, 제1 전개 어셈블리(4)의 전개를 구속하는 외에 제1 반전 부재(2)의 피벗 운동도 구속한다. 따라서 로킹 후크(42)와 로킹 홀(21)이 이탈할 경우, 제1 반전 부재(2)는 로킹 후크(42)에 대해 구속되지 않으며,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된다. 이와 동시에 로킹 후크(42)도 제1 반전 부재(2)에 대해 구속되지 않으며 이때, 제1 반전 부재(2)는 피벗되어, 고정 부재(1)를 허공에서 반전시킨다.
예를 들면, 그 중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예를 들면, 아래의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한다)에서, 고정 부재(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리밋 홈(12B)이 있고, 제1 로킹 부재는 리밋부(432)와 이동부(431)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리밋부(432)는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된 두 개의 리밋 블록(4321)과 두 개의 리밋 블록(4321) 사이에 연결된 탄성 부재(4322)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4322)는 항상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여 서로 분리되어 두 개의 리밋 홈(12B)과 각각 결합함으로써 로킹을 실현한다. 즉, 외력의 작용을 받지 않을 경우,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은 서로 접근하지 못하고 각각 두 개의 리밋 홈(12B)에서 이탈하여 로킹 해제를 실현한다. 이동부(431)가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할 경우,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은 탄성 부재(4322)를 압축하여 접근함으로써, 각각 두 개의 리밋 홈(12B)에서 이탈하여 로킹 해제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리거 부재(41)는 자석일 수 있고 제1 본체부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동부(431)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제1 본체부에 설치되고,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를 흡인하여 뒤로 이동할 경우, 제1 접촉체(6)는 이동부(431)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부(431)가 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여 접근하게 한다. 즉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여 양자 연결선의 중심을 향하여 운동하여 좌측의 리밋 블록(4321)을 좌측의 리밋 홈(12B)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우측의 리밋 블록(4321)을 우측의 리밋 홈(12B)으로부터 이탈시켜 더 이상 리밋 홈(12B)의 위치 결정에 구속작용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제1 탄성 부재(4322)의 작용에 의해 전개된다. 예를 들면,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사자의 머리 모양으로 전개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4322)를 설치함으로써 제1 트리거 부재(41)는 더 이상 제1 접촉체(6)를 흡인하고 이동부(431)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시키지 않으며, 제1 전개 어셈블리(4)가 고정 부재(1)에 폴딩될 경우, 탄성 부재(4322)는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고 분리하여 각각 두 개의 리밋 홈(12B) 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은 각각 두 개의 리밋 홈(12B) 내부에 결합되어 제1 전개 어셈블리(4)에 대한 재차 로킹을 실현한다. 이와 동시에,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은 좌우 분리 운동을 하는 동시에 이동부(431)를 추진하여 앞으로 이동하고 리셋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431)의 전후 이동에 의해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여 좌우 분리 및 접근하는 실현방식은 많으며, 여기서는 그 중 하나의 간단한 접근 방식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각 리밋 블록(4321)에는 모두 가이드 레일(43210)이 있으며, 가이드 레일(43210)은 뒤에서 앞으로 탄성 부재(4322)의 수직 이등분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이동부(431)에는 두 개의 리밋 블록(4321) 위의 가이드 레일(43210)의 외측과 각각 결합하는 푸싱부(4311)를 구비하며, 푸싱부(4311)가 가이드 레일(43210)을 따라 뒤로 이동할 경우,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여 좌우로 접근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동부(431)와 리밋 블록(4321)에 서로 흡인하는 자석을 설치하여 실현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이동부(431)가 두 개의 리밋 블록(4321) 사이로 뒤로 점점 들어갈 경우, 이동부(431)는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흡인하는 동시에 이동부(431)에 접근하여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의 좌우 접근을 실현할 수도 있다.
아래에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되는 것, 제3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되는 것,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되는 것, 제2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되는 것,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전개되는 것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제2 트리거 부재(11)가 제2 접촉체(7)에 의해 트리거될 경우,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을 실현하고, 고정 부재(1)가 허공에서 반전을 실현하는” 하나의 실시방식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나, 본 발명이 당해 실시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부재(1)의 선단에는 제2 클램핑 개구(10)가 있을 수 있으며, 제2 트리거 부재(11) 예를 들면, 자석은 제2 클램핑 개구(10)의 뒤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제3 로킹 부재는 제2 클램핑 개구(10) 뒤 측에 설치되고 고정 부재(1)에 대해 전후로 이동 가능한 고리(12)이며, 제2 반전 부재(3)는 피벗 가능하게 고정 부재(1)의 밑부분에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상호작용하며, 제2 반전 부재(3)에는 고정홀(31)이 있고, 고리(12)는 스프링 등에 의해 항상 고정홀(31)의 변두리와 로킹 결합된다.
제2 트리거 부재(11)와 제2 접촉체(7)가 상호 자기 흡인 작용할 경우, 제2 트리거 부재(11)는 트리거되고, 이때 제2 트리거 부재(11)와 제2 접촉체(7)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제2 트리거 부재(11)가 고정 부재(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게 설치될 경우, 제2 트리거 부재(11)는 제2 접촉체(7)를 흡인하여 뒤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접촉체(7)는 고리(12)를 추진하여 동기적으로 뒤로 이동하여 고정홀(31)의 변두리에서 이탈하며, 고정홀(31)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제2 반전 부재(3)는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피벗된다.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하는 과정에서, 제2 반전 부재(3)의 자유단과 지지면의 상호작용에 의해, 완구(100)를 허공에서 반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하는 과정에서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트리거하여 전개하는” 하나의 실시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당해 실시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완구(100)는 제2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로킹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1)에 설치되며 제2 전개 어셈블리(5)와 로킹 결합하여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폴딩시키는 로킹 상태와, 제2 전개 어셈블리(5)에서 이탈하여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전개할 수 있는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2 로킹 부재는 로킹 상태와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가 로킹 상태를 나타낼 경우, 제2 로킹 부재와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로킹 결합하여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구속함으로써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폴딩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제2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 상태를 나타낼 경우, 제2 로킹 부재와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이탈하여 제2 전개 어셈블리(5)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이때,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전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개 어셈블리(5)에는 제2 위치 고정 부재(예를 들면, 아래의 실시예 1의 제1 위치 고정홀(51), 실시예 2의 제2 위치 고정홀(52) 및 실시예 3의 위치 고정홈(53))가 있으며, 제2 로킹 부재는 제1 위치 고정 부재(예를 들면, 아래의 실시예 1의 제1 위치 고정 고리(132A), 실시예 2의 제2 위치 고정 고리(132B) 및 실시예 3의 위치 고정편(132C))와 제1 텀블러부(131)를 구비하는 이동 부재(13)이고, 이동 부재(13)는 스프링 등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위치 고정 부재를 항상 제2 위치 고정 부재와 결합하도록 한다. 즉, 이동 부재(13)가 외력 작용을 받지 않을 경우, 제1 위치 고정 부재는 제2 위치 고정 부재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제2 반전 부재(3)의 피벗 축에는 제2 텀블러부(32)가 있으며,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하는 과정에 제2 텀블러부(32)는 제1 텀블러부(131)를 텀블러하여 앞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텀블러부(131)는 이동 부재(13)를 이끌어서 앞으로 이동한다. 이동 부재(13)가 앞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위치 고정 부재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 고정 부재 내부로부터 이탈되며, 이때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구속작용을 받지 않으며 제2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13)가 스프링 등에 의해 고정 부재(1)와 연결되므로 이동 부재(13)는 자동 리셋을 실현할 수 있고 다시 제2 전개 어셈블리(5)를 수납상태로 로킹하므로 완구(100)의 오락성을 향상시킨다.
아래에 본 발명의 3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완구(10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며, 완구(100)는 2차 코인 클램핑 완구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완구(100)는 고정 부재(1), 고정 부재(1) 밑부분에 설치된 제1 반전 부재(2)와 제2 반전 부재(3), 고정 부재(1)에 설치된 제2 전개 어셈블리(5) 및 제2 전개 어셈블리(5)에 설치된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제1 전개 어셈블리(4)와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모두 고정 부재(1)에 폴딩될 경우, 완구(100) 전체는 자동차 형태를 나타내고,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반전 부재(2)가 피벗되고 고정 부재(1)가 백 섬머솔트 되며 동시에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사람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될 경우,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되고 고정 부재(1)가 백 섬머솔트 되며 동시에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동물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이렇게, 완구(100)가 제1 형태(예를 들면, 자동차 형태)일 경우, 제1 클램핑 개구(40) 내부의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를 흡착한다면(즉, 완구(100)가 1차 코인 클램핑을 실현한 후), 제1 접촉체(6)는 로킹 후크(42)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하며, 로킹 후크(42)는 제1 반전 부재(2)의 로킹 홀(21)에서 이탈하고,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되어 들리고, 제2 클램핑 개구(10)와 제2 트리거 부재(11)를 노출시키며 동시에 제1 반전 부재(2)가 피벗되고 고정 부재(1)가 백 섬머솔트 된다. 제2 클램핑 개구(10) 내부의 제2 트리거 부재(11)가 제2 접촉체(7)를 흡착할 경우(즉, 완구(100) 2차 코인 클램핑을 실현한 후), 제2 접촉체(7)는 고리(12)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하며 고리(12)와 제2 반전 부재(3)의 고정홀(31)은 이탈하고,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되어 고정 부재(1)를 백 섬머솔트시킨다. 동시에 제2 반전 부재(3)가 이동 부재(13)를 추진하여 앞으로 이동시켜 이동 부재(13)의 제1 위치 고정 고리(132A)와 제1 위치 고정홀(51)은 분리되고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전개된다. 이때, 완구(100)는 제2 형태(예를 들면, 동물에 사람이 앉아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완구(100)의 오락성이 강하고, 완구(100)가 제2 형태로부터 제1 형태로 변경될 경우, 두 개의 절차만 거치면 수납될 수 있으며, 완구(100)는 또한 손을 다치는 경우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놀이의 안전성이 높다.
실시예 2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완구(100)는 고정 부재(1), 고정 부재(1)의 밑부분에 설치된 제2 반전 부재(3), 고정 부재(1)에 설치된 제2 전개 어셈블리(5) 및 제2 전개 어셈블리(5)에 설치된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제1 전개 어셈블리(4)와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모두 고정 부재(1)에 폴딩될 경우, 완구(100) 전체는 자동차 형태를 나타낸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동물 머리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될 경우, 제2 반전 부재(3)는 피벗되고 고정 부재(1)가 백 섬머솔트 된다. 동시에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동물 몸체와 사자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이렇게 완구(100)가 제1 형태(예를 들면, 자동차 형태)일 경우, 제1 클램핑 개구(40) 내부의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를 흡착한다면(즉, 완구(100)가 1차 코인 클램핑을 실현한 후), 제1 접촉체(6)는 이동부(431)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하고, 이동부(431)는 두 개의 리밋 블록(4321)을 추진하여 좌우로 접근시켜 두 개의 리밋 홈(12B) 내부로부터 이탈시키고,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되어 들리고 제2 클램핑 개구(10)와 제2 트리거 부재(11)를 노출시킨다. 제2 클램핑 개구(10) 내부의 제2 트리거 부재(11)가 제2 접촉체(7)를 흡착할 경우(즉, 완구(100)가 2차 코인 클램핑을 실현한 후), 제2 접촉체(7)는 고리(12)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하며 고리(12)와 제2 반전 부재(3)의 고정홀(31)이 이탈되고 제2 반전 부재(3)는 피벗되어 고정 부재(1)를 백 섬머솔트 시킨다. 동시에 제2 반전 부재(3)는 이동 부재(13)를 추진하여 앞으로 이동하며 이동 부재(13)의 제2 위치 고정 고리(132B)와 제2 위치 고정홀(52)은 분리되어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전개된다. 이때, 완구(100)는 제2 형태(예를 들면, 사자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완구(100)의 오락성이 강하고, 완구(100)는 제2 형태로부터 제1 형태로 변형할 경우 두 개 절차만 거치면 수납할 수 있다. 동시에 완구(100)는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놀이 안전성이 높다.
실시예 3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완구(100)는 고정 부재(1), 고정 부재(1) 밑부분에 설치된 제2 반전 부재(3), 고정 부재(1)에 설치된 제2 전개 어셈블리(5), 및 제1 전개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제1 전개 어셈블리(4)와 제2 전개 어셈블리(5)가 모두 고정 부재(1)에 폴딩될 경우, 완구(100) 전체는 자동차 형태를 나타낸다. 제1 트리거 부재(41)가 트리거될 경우,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갈 몸체와 꼬리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제2 트리거 부재(11)가 트리거될 경우, 제2 반전 부재(3)는 피벗되며 고정 부재(1)가 백 섬머솔트 되는 동시에 제2 전개 어셈블리(5)는 전갈의 두 개 다리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이렇게 완구(100)가 제1 형태(예를 들면, 자동차 형태)일 경우, 제1 클램핑 개구(40) 내부의 제1 트리거 부재(41)가 제1 접촉체(6)를 흡착한다면(즉, 완구(100)가 1차 코인 클램핑을 실현한 후), 제1 트리거 부재(41)는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를 이끌어서 앞으로 이동하여 리밋 배플(12C)의 아래쪽을 거쳐 앞으로 이탈된다. 제1 전개 어셈블리(4)는 전개되어 들리고 제2 클램핑 개구(10)와 제2 트리거 부재(11)를 노출시킨다. 제2 클램핑 개구(10) 내부의 제2 트리거 부재(11)가 제2 접촉체(7)를 흡착할 경우(즉, 완구(100)가 2차 코인 클램핑을 실현한 후), 제2 접촉체(7)는 고리(12)를 추진하여 뒤로 이동하며 고리(12)와 제2 반전 부재(3)의 고정홀(31)이 이탈되고 제2 반전 부재(3)가 피벗되어 고정 부재(1)가 백 섬머솔트 되는 동시에 제2 반전 부재(3)는 이동 부재(13)를 추진하여 앞으로 이동한다. 이동 부재(13)의 좌우 두 개의 위치 고정편(132C)은 제2 전개 어셈블리(5)의 좌우 두 개 분기부(50)의 위치 고정홈(53)에서 앞으로 이탈되어 제2 전개 어셈블리(5)의 두 개의 분기부(50)는 좌우로 전개된다. 이때, 완구(100)는 제2 형태(예를 들면, 전갈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완구(100)의 오락성이 강하고, 완구(100)가 제2 형태로부터 제1 형태로 변경될 경우 두 개의 절차만 거치면 수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완구(100)는 손을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놀이의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바로는, 용어 “중심”, “세로”, “가로”, “길이”, “너비”, “두께”, “상”, “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상단”, “밑부분”, “내”, “외”, “순시침”, “역시침”, “축방향”, “반경방향”, “둘레방향”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첨부도면이 표시한 방위 또는 위치관계를 기초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하고 간략화 하기 위한 것이며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거나 특정된 방위구조와 조작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따라서, "제1"및 "제2"를 한정하는 특징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형"의 의미는 달리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 한 2개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설치”,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달리 명확한 규정 및 한정되지 않은 한 광의적으로 이해해야 하며 예를 들면, 직접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두 개 소자 내부의 관통 또는 두 개 소자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업자에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달리 명확한 규정 및 한정되지 않은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는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 접촉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체에 의해 간접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특징이 제2 특징 “위”, “위쪽” 및 “윗면”에 있다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쪽 또는 경사진 위쪽에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다만 제1 특징 수평 고도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 “아래”, “아래쪽” 및 “아래면”에 있다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아래 또는 경사진 아래쪽에 있거나 다만 제1 특징 수평 고도가 제2 특징보다 낮다는 것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고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일부 예” 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가 설명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설명서에서, 상기 용어는 반드시 같은 실시예 또는 예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설명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한다. 또한, 서로 모순되는 경우,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부동한 실시예 또는 예 및 부동한 실시예 또는 예의 특징을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 설명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예에 대해 여러 가지 변화, 수정, 치환 및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완구(100);
고정 부재(1); 제2 클램핑 개구(10); 제2 트리거 부재(11); 고리(12); 리밋 홈(12B); 리밋 배플(12C); 이동 부재(13); 제1 텀블러부(131); 제1 위치 고정 고리 (132A); 제2 위치 고정 고리(132B); 위치 고정편(132C);
제1 반전 부재(2); 로킹 홀(21);
제2 반전 부재(3); 고정홀(31); 제2 텀블러부(32);
제1 전개 어셈블리(4); 제1 클램핑 개구(40); 제1 트리거 부재(41); 로킹 후크(42); 이동부(431); 푸싱부(4311); 리밋부(432); 리밋 블록(4321); 가이드 레일(43210); 탄성 부재(4322); 이동 위치 고정 부재(433);
제2 전개 어셈블리(5); 분기부(50); 제1 위치 고정홀(51); 제2 위치 고정홀(52); 위치 고정홈(53);
제1 접촉체(6); 제2 접촉체(7).

Claims (11)

  1. 좌우 양측에 각각 리밋 홈을 구비하는 고정 부재; 및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된 제1 전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는 제1 트리거 부재;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가 전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를 로킹하거나 해제하는 제1 로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는 전개되어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리밋부와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밋부는 좌우로 이격하여 설치된 두 개의 리밋 블록과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 사이에 연결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항상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을 추진하여 서로 멀어지게 하여 두 개의 상기 리밋 홈과 각각 결합시켜 로킹을 실현하며;
    상기 이동부가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을 추진할 경우,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여 접근시키며 각각 두 개의 상기 리밋 홈 내부로부터 이탈하여 로킹 해제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로킹 결합하여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를 폴딩시키는 로킹 상태와, 상기 고정 부재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 전개 어셈블리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제1 접촉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체와 상기 제1 트리거 부재는 모두 자기 흡인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와 상기 제1 접촉체가 서로 자기 흡인할 경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는 상기 제1 접촉체에 의해 트리거되며, 상기 제1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접촉체와 상기 제1 트리거 부재 중 하나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운동하여 상기 제1 로킹 부재가 상기 로킹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리밋 블록에는 모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뒤로부터 앞으로 상기 탄성 부재의 수직 이등분선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부에는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의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과 각각 결합하는 푸싱부를 구비하며, 상기 푸싱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뒤로 이동할 경우, 두 개의 상기 리밋 블록을 추진하여 좌우로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제1 반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전 부재는 피벗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트리거부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1 반전 부재가 피벗되어 상기 고정 부재를 허공에서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제2 반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반전 부재는 피벗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될 경우, 상기 제2 반전 부재가 피벗되어 상기 고정 부재를 허공에서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제2 전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는 폴딩 및 전개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반전 부재가 반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를 전개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는 제2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로킹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와 로킹 결합하여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를 폴딩시키는 로킹 상태와,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 전개 어셈블리를 전개할 수 있도록 하는 로킹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
KR1020197002657A 2016-06-27 2016-08-08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 KR102240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93577.X 2016-06-27
CN201610493577.XA CN107537160B (zh) 2016-06-27 2016-06-27 可二次夹币玩具
PCT/CN2016/093901 WO2018000522A1 (zh) 2016-06-27 2016-08-08 可二次夹币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459A KR20190041459A (ko) 2019-04-22
KR102240764B1 true KR102240764B1 (ko) 2021-04-16

Family

ID=6078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657A KR102240764B1 (ko) 2016-06-27 2016-08-08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17063B2 (ko)
EP (1) EP3476450B1 (ko)
KR (1) KR102240764B1 (ko)
CN (1) CN107537160B (ko)
BR (1) BR112018077275A2 (ko)
ES (1) ES2883269T3 (ko)
RU (1) RU2707946C1 (ko)
WO (1) WO2018000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7160B (zh) * 2016-06-27 2023-04-2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二次夹币玩具
CN107537161B (zh) * 2016-06-27 2023-03-3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弹射配件的玩具
CN206198683U (zh) * 2016-09-28 2017-05-3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子母玩具
CN111195437A (zh) * 2020-03-09 2020-05-26 吕爱文 一种拼接玩具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3719A (ja) * 2012-08-07 2014-02-24 Tokyo Unique:Kk 走行玩具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6823A (en) * 1929-08-01 1932-02-23 Louis Marx & Company Toy
SU140356A1 (ru) * 1961-01-02 1961-11-30 В.Ф. Карманов Игрушка-автопогрузчик
US3772824A (en) * 1971-12-30 1973-11-20 Marvin Glass & Associates Toy vehicle apparatus
JPS6071291U (ja) * 1983-10-21 1985-05-20 株式会社トミー 走行玩具
US5816888A (en) * 1996-10-30 1998-10-06 Myers; Jeff D. Remote controlled three-in-one vehicle
JP4022126B2 (ja) * 2002-10-24 2007-12-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自動車玩具
US6672937B1 (en) * 2002-12-23 2004-01-06 Stephen J. Motosko Miniature toy vehicle
US20060270319A1 (en) * 2005-05-24 2006-11-30 Mattel, Inc. Reconfigurable toy extreme sport skier
JP4859206B2 (ja) * 2006-02-20 2012-01-25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玩具
US7654879B2 (en) * 2006-05-04 2010-02-02 Mattel, Inc. Jumping toy with disassembly action
JP5606033B2 (ja) * 2008-11-04 2014-10-15 株式会社セガ トイズ 変形玩具
US8777689B1 (en) * 2010-02-13 2014-07-15 Phillip H. Neal Environmentally-responsive transforming vehicles
US20130109270A1 (en) * 2011-01-11 2013-05-02 Ruben Martinez Expander and Action Figure with an Expander
US8814629B2 (en) * 2011-06-21 2014-08-26 Andrew Lewis Johnston Non-rollable to rollable transforming toy
KR101327305B1 (ko) *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US8998673B2 (en) * 2012-03-16 2015-04-07 Mattel, Inc. Toy with projectile launcher
KR101400980B1 (ko) * 2013-04-03 2014-05-29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CN203829639U (zh) * 2014-03-22 2014-09-17 广州千骐动漫有限公司 一种变形玩具车
CN104368155B (zh) * 2014-10-28 2017-02-22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夹持玩具物的玩具
CN204233757U (zh) * 2014-10-28 2015-04-0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夹持玩具物的翻转变形玩具车
CN204193492U (zh) * 2014-10-28 2015-03-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单臂夹持功能的翻转变形玩具车
CN204193494U (zh) * 2014-10-28 2015-03-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单臂夹持功能的翻转玩具车
CN104353243B (zh) * 2014-10-28 2016-09-14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夹持玩具物的翻转变形玩具车
CN204193493U (zh) * 2014-10-28 2015-03-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臂夹持功能的翻转玩具车
CN204637561U (zh) * 2015-04-23 2015-09-16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炫酷逼真的夹持变形玩具车
KR101746917B1 (ko) * 2015-05-11 2017-06-27 최종일 팝업 완구
CN106457053B (zh) * 2015-05-12 2019-11-01 初淘乐玩具梦工厂有限公司 变形玩具
KR101563467B1 (ko) 2015-05-14 2015-11-02 최종일 개량형 변신 자동차 완구
CN204709791U (zh) * 2015-05-25 2015-10-2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吸附变形的玩具车
KR101635319B1 (ko) * 2015-06-12 2016-06-30 최종일 변신 완구
CN205323217U (zh) * 2015-11-27 2016-06-22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磁性夹持翻转玩具车
CN205832603U (zh) * 2016-06-27 2016-12-2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二次夹币玩具
CN107537160B (zh) * 2016-06-27 2023-04-2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二次夹币玩具
CN107537161B (zh) * 2016-06-27 2023-03-3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可弹射配件的玩具
CN206198683U (zh) * 2016-09-28 2017-05-31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子母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3719A (ja) * 2012-08-07 2014-02-24 Tokyo Unique:Kk 走行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83269T3 (es) 2021-12-07
US20190201798A1 (en) 2019-07-04
RU2707946C1 (ru) 2019-12-02
EP3476450A1 (en) 2019-05-01
CN107537160A (zh) 2018-01-05
EP3476450B1 (en) 2021-05-19
EP3476450A4 (en) 2020-02-19
US11117063B2 (en) 2021-09-14
WO2018000522A1 (zh) 2018-01-04
BR112018077275A2 (pt) 2019-05-14
CN107537160B (zh) 2023-04-21
KR20190041459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764B1 (ko) 2차 코인 클램핑 가능한 완구
JP6236131B2 (ja) 幼児ベビーカー装置
KR101815363B1 (ko) 발사장치를 구비한 다단 변신 완구
RU2719145C1 (ru) Игрушка для ребенка и матери
KR101605604B1 (ko) 아이템 투척 완구용 자동차
KR101859808B1 (ko) 변신 완구
KR102164206B1 (ko) 부품을 발사가능한 완구
JP2022164832A (ja) チャイルドセーフティーシート
TWI820503B (zh) 兒童安全座椅及其側撞保護機構
KR20130098297A (ko) 손가락 만입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숨겨진 물체를 방출하도록 형성된 코어
US9707489B2 (en) Playset with a pivotal track
KR101653887B1 (ko) 변신 완구
CN209997191U (zh) 可分裂组合的玩具套装
CN212453388U (zh) 引导结构及曲臂型遮阳篷
CN209475553U (zh) 可嵌套变形的玩具套装
CN110251953B (zh) 可嵌套变形的玩具套装
JP2022546801A (ja) 折り畳み式遊具
KR101939916B1 (ko) 다단 분리 변신 완구
KR101677850B1 (ko) 변신완구
CN219927521U (zh) 底座组件以及儿童汽车安全座椅
KR100635866B1 (ko)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CN109985396B (zh) 可多次空翻玩具及可二次空翻的玩具车
CN110251964B (zh) 多面体玩具
CN109847377B (zh) 单体变形车及合体车
WO2019128490A1 (zh) 翻转组合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