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594B1 - 러프 터레인 크레인 - Google Patents

러프 터레인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594B1
KR102240594B1 KR1020177018703A KR20177018703A KR102240594B1 KR 102240594 B1 KR102240594 B1 KR 102240594B1 KR 1020177018703 A KR1020177018703 A KR 1020177018703A KR 20177018703 A KR20177018703 A KR 20177018703A KR 102240594 B1 KR102240594 B1 KR 10224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ing agent
urea water
disposed
water tank
rough ter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931A (ko
Inventor
카즈야 오모리
후미츠구 쿠사카
켄타 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7009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a single prime mover for both crane 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요소수 탱크가 최적인 위치에 레이아웃된 SCR 탑재의 러프 터레인 크레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디젤 엔진(20)의 측방에 인접하여 배기 정화 장치(30)가 탑재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요소수 탱크(50)를 구비하고, 차체 후방부에 레이아웃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50)는 배기 정화 장치(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5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볼 때 디젤 엔진(20)의 좌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러프 터레인 크레인{ROUGH TERRAIN CRANE}
본 발명은 선택 환원형 촉매 장치(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이하, 「SCR」이라고 칭함)를 탑재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SCR의 구성 요소로서의 요소수 탱크의 레이아웃에 관한 것이다.
디젤 엔진의 배기 중에는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이하 「PM」이라고 칭함)이나 질소산화물(이하, 「NOx」라고 칭함)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기 오염의 방지를 위하여 이들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 정화 장치가 종래부터 개발되어 있다. 이 배기 정화 장치는 PM을 포집하기 위한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DPF」라고 칭함), NOx를 제거하기 위한 산화 촉매 장치(Diesel Oxidation Catalyst: 이하, 「DOC」라고 칭함), 환원제 공급 장치(Decomposition Reactor Tube: 이하, 「DRT」라고 칭함) 및 선택 환원형 촉매 장치(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하, 「SCR」이라고 칭함)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이들이 조합됨으로써 소요의 배기 정화 장치가 구성된다.
디젤 엔진은 여러 가지 차량에 탑재되지만,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배기 정화 처리의 필요성은 최근 점점 더 향상되어 있어 승용차, 트럭, 크롤러식 건설기계 등에도 SCR가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SCR에 의한 배기 정화 처리에서는 요소수가 사용되기 때문에 차량에는 요소수를 비축해 두는 요소수 탱크가 가장(架裝)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4륜 구동이며 또한 4륜 조타가 가능한 주행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우수한 소선회성 및 부정지 주행성을 발휘한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단일의 운전석을 갖고, 오퍼레이터가 운전석으로부터 차량 주행 및 크레인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는 특수한 성능을 갖는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이러한 특수한 성능(메리트)을 발휘하기 위해서 컴팩트 설계가 이루어져 있고, 차체 전체 길이가 짧게 설정됨과 아울러, 차체 후방에 엔진이 배치되고, 게다가 크레인 조작이 전부 유압에 의해 제어된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는 경우에 있어서, 차체의 전체 길이 및 전체 폭에 대해서 사이즈 업이 회피되지 않으면 안되고, 게다가 오퍼레이터가 단일의 운전석으로부터 크레인 조작 및 차량 주행을 행할 때의 넓은 시계 및 높은 시인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정화 장치가 차체 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사각(死角)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게다가 크레인 조작 시 및 크레인 선회 시에 운전석이나 카운터 웨이트 등과 간섭하지 않도록 DOC, DRT 및 SCR가 레이아웃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제4851370호 공보 일본 특허 제50546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5-213076호 공보
그런데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에서는 프런트 액슬 또는 리어 액슬이 복수축 구조로 되어 있고, 게다가 아우트리거 및 붐이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되는 것을 전제로 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프런트 액슬 또는 리어 액슬이 복수축 구조가 되는 이유는 오로지 축중이 일정 이하로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아우트리거나 붐이 착탈 가능한 구조가 되는 이유는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이 사용되는 국가 또는 지역의 법제에 의한 것이다. 즉, 어떤 국가나 지역에서는 공도를 주행하는 차량에 엄격한 중량 제한(축중 제한)이 걸려 있고, 그 때문에 대형 러프 터레인 크레인이 공도 상을 이동할 때에는 차체, 아우트리거 및 붐이 각각 트레일러 반송을 부득이하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요청 1).
상기 요소수 탱크에 수용된 요소수는 배기가스 중의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하지만, 저온 환경에서 동결하고, 고온 환경에서 품질이 열화된다는 성질이 있다. 그 때문에 러프 터레인 크레인이 한랭지에서 사용될 경우에 요소수의 동결이 회피되지 않으면 안 되고, 반면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요소수의 온도는 일정 이하(바람직하게는 52℃ 이하)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요청 2).
가령 상기 요소수 탱크가 상기 각 요청을 따르는 일 없이 차체 프레임 둘레의 임의의 공간에 배치되면, 요소수를 SCR에 공급하는 배관이 쓸데없이 길어지거나 요소수 탱크로의 요소수의 충전 작업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환경 온도에 의해 요소수가 동결 또는 품질 열화를 일으켜버리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요소수 탱크의 배치는 특별한 고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우트리거나 붐이 착탈 가능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으로서, 콤팩트하며 우수한 소선회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또한 저온 환경 및 고온 환경에서도 SCR이 양호하게 기능을 발휘하도록 요소수 탱크가 최적 위치에 레이아웃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이 달성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프런트 액슬 및 리어 액슬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배치된 붐 장치와, 주행 및 유압 액추에이터를 개재한 붐 조작을 행하는 단일의 조종부를 갖고, 상기 하부 주행체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아우트리거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액슬을 구동하며 또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엔진을 갖는다. 이 러프 터레인 크레인은 환원제가 저류된 환원제 탱크와,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상기 환원제 공급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기 정화 장치는 상기 엔진의 측방에 인접하여 탑재되어 있다.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전방이며 또한 상기 엔진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배기가 정화되어 최근 엄격한 배기 가스 규제를 클리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원제 탱크는 배기 정화 장치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하부 주행체의 전체 길이 및 전체 폭이 증대하는 일 없이 환원제 탱크로부터 환원제 공급 장치를 개재한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까지의 배관이 간단해지고, 효율적으로 환원제가 환원제 공급 장치에 공급된다. 게다가 환원제의 주입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환원제 탱크는 엔진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엔진의 복사열을 받기 쉽다. 또한, 엔진의 냉각수를 환원제 탱크에 공급하여 상기 환원제 탱크를 가열·보온하는 배관이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위치에 환원제 탱크가 배치되므로 아우트리거가 착탈 가능한 구조이어도 환원제 탱크의 배치 설계에 제한이 걸리는 일은 없다.
(2)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환원제 탱크로부터 환원제 공급 장치까지의 배관이 한층 더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3)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깊이 들어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환원제 탱크의 일부가 상기 상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환원제 탱크가 하부 주행체의 상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으므로 환원제의 주입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환원제 탱크가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깊이 들어가 있으므로 보다 컴팩트하게 레이아웃된다.
(4)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환원제 탱크를 둘러싸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프레임에 의해 환원제 탱크가 보호됨과 아울러, 이 보호 프레임이 작업자의 스텝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붐 장치를 하부 주행체에 연결되어 있는 붐 근원 지점핀의 분리 작업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보호 프레임이 스텝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배기가스 규제의 요청도 만족할 수 있다.
(5)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기 환원제 탱크를 둘러싸는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작업 중의 환경 온도가 높을 때, 또는 엔진으로부터의 복사열이 클 경우에 환원제 탱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원제의 열화가 방지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트리거가 착탈 가능한 구조이어도 환원제 탱크의 배치 설계에 제한이 걸리는 일은 없다. 또한, 환원제 탱크는 엔진의 복사열을 받기 쉽고, 또한 엔진의 냉각수를 환원제 탱크에 공급하여 상기 환원제 탱크를 가열·보온하는 배관이 용이하다. 게다가 환원제 탱크로부터 환원제를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에 공급하는 배관도 용이하다. 즉,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소선회성 및 부정지 주행성 및 크레인 조작에 있어서의 양호한 시인성 또는 시계가 희생되는 일 없이 환원제 탱크가 최적 위치에 레이아웃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하부 주행체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 및 디젤 엔진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하부 주행체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 및 디젤 엔진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측면도이며, 요소수 탱크의 주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적당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설명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의 일실시형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가 변경되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전체 구성과 특징점]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사시도이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하부 주행체(11)와, 하부 주행체(11)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작업체(12)를 갖는다.
하부 주행체(11)는 하부 프레임(13)을 갖고, 하부 프레임(13)에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이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의 구동원이 되는 디젤 엔진(20)(도 2, 3 참조)이 하부 프레임(13)의 후단부 상측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디젤 엔진(20)은 엔진 본체(도시하지 않음) 및 이것을 덮는 엔진 커버(49)를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커버(49)도 포함하여 디젤 엔진(20)으로 칭해진다.
프런트 액슬(14) 및 리어 액슬(15)의 차륜(16, 17)은 디젤 엔진(20)에 의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트랜스미션을 통해 구동되며,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타된다.
하부 프레임(13)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프론트 아우트리거(18) 및 리어 아우트리거(19)가 장착되어 있고, 상부 작업체(12)의 가동 시에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 차량 외측에 부착된다. 프론트 아우트리거(18)는 하부 프레임(13)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리어 아우트리거(19)는 하부 프레임(13)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프론트 아우트리거(18) 및 리어 아우트리거(19)와 하부 프레임(13)의 연결은 핀 그 외의 기지의 수단이 채용된다.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나, 상부 작업체(12)에 설치된 유압 액추에이터(29)나, 상부 작업체(12)에 설치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하부 프레임(13)에 설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는 디젤 엔진(20)에 의해 구동된다.
상부 작업체(12)는 후단에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 가능한 선회대(22)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대(22)는 하부 프레임(13)에 선회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붐 장치(23)가 붐 근원 지점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선회대(22)에 연결되어 있다. 붐 장치(23)는 붐 근원 지점핀에 의해 기복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 장치(23)는 유압 액추에이터(29)가 신축함으로써 기복된다. 신축 붐(24)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가 작동됨으로써 신축한다. 붐 장치(23)는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동되는 윈치(27)를 구비하고 있고, 윈치(27)가 작동함으로써 워크가 승강된다. 또한, 붐 장치(23)는 상부 작업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하부 주행체(11)의 운전 및 상부 작업체(12)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단일의 조종부(26)가 하부 주행체(11)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1)의 운전이란, 예를 들면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을 주행시키기 위한 차륜(16, 17)의 구동 및 조타이다. 상부 작업체(12)의 조작이란, 예를 들면 유압 액추에이터(29) 및 신축 붐(24)에 내장된 유압 액추에이터를 개재한 붐 장치(23)의 기복 및 신축(붐 조작)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디젤 엔진(20)에 인접하여 후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배기 정화 장치(30)가 탑재되어 있고, 배기 정화 장치(30)에 포함되는 요소수 탱크(50)(청구범위에 기재된 「환원제 탱크」에 상당)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레이아웃되어 있는 점이다.
[배기 정화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배면도이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디젤 엔진(2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공급을 받아 이것을 정화하는 장치이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볼 때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디젤 엔진(20)에 인접하여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30)에 커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34)는 배기 정화 장치(30)가 비나 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하부 주행체(11)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부 주행체(11)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은 배기 정화 장치(30) 및 디젤 엔진(20)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에 따라서는 커버(34)나 엔진 커버(49)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소정의 환원제(본 실시형태에서는 요소수)를 저류한 요소수 탱크(50)와, 배기 정화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30)는 산화 촉매 장치(이하, 「DOC」라고 칭해짐)(31)와, 요소수를 통해 배기 중의 산화질소를 환원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이하, 「SCR」이라고 칭해짐)(32)와, SCR(32)에 상기 요소수를 공급하는 환원제 공급 장치(이하, 「DRT」라고 칭해짐)(33)를 구비하고 있다.
디젤 엔진(20)으로부터의 배기는 우선 DOC(31)에 공급되어 순차적으로 DRT(33) 및 SCR(32)을 통과하여 배기가스로서 머플러(37)로부터 대기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머플러(37)는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의 소리를 저감하는 것(소위 소음 장치)이며, SCR(32)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DOC(31)는 디젤 엔진(20)의 배기관(38)에 접속되어 있다. DOC(31)의 구조는 기지이다. DOC(31)는 배기 중에 포함되는 미연 연료(HC 등)나 일산화탄소(CO)의 처리, 및 배기 중의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질소(NO2)로 산화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DOC(31)는 배기 온도의 상승에 따라 CO를 이산화탄소(CO2)로 산화하여 HC를 연소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OC(31)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케이싱의 외형형상은 원기둥 형상이다. DOC(31)의 중심축선은 차량의 전후 방향, 즉 하부 프레임(13)의 길이 방향(39)을 따르고 있다. 배기관(38)으로부터 나온 배기는 DOC(31)를 길이 방향(39)의 전방으로 흐른다.
SCR(32)은 배기 중에 환원제를 공급하여 질소산화물(NOx)을 환원하고, 최종적으로 배기를 질소(N2)와 물(H2O)의 혼합기로 변환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RT(33)는 배기 중의 NOx를 환원하기 위해서 요소수를 공급한다. DRT(33)가 배기 중에 요소수를 분사하면, 가수분해되어서 암모니아(NH3)가 생성되고, 이 NH3에 의해 NOx가 환원된다. 또한, SCR(32)의 구조 및 DRT(33)의 구조도 기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RT(33)는 원통형상 파이프(42)와, 원통형상 파이프(42)에 연속된 공급 밸브(43)를 구비하고 있고, 요소수 탱크(50)로부터 요소수를 도입한다. 공급 밸브(43)는 요소수 탱크(50)에 파이프(53)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소정의 압력으로 요소수를 원통형상 파이프(42) 내에 분사한다. DRT(33)는 DOC(31)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DRT(33)의 중심축선이 DOC(31)의 중심축선과 일치하고 있고, DRT(33)는 DOC(31)의 길이 방향(39)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DOC(31)를 통과한 배기는 길이 방향(39)을 따라 흘러 DRT(33)의 원통형상 파이프(42)에 유입하고, 공급 밸브(43)로부터 요소수의 공급을 받는다.
SCR(32)은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외형형상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SCR(32)의 중심축선은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길이 방향(39)을 따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CR(32)은 DOC(31)과 병렬 배치되어 있고, 양자를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파이프(44)가 연결되어 있다. DRT(33)를 통과한 배기는 연결 파이프(44)에 진입하고, U턴하여 DRT(33)의 하류에 배치된 SCR(32)에 유입한다. SCR(3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 정화되어 N2 및 H2O로서 배출된다.
[요소수 탱크]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요소수 탱크(50)는 일반적으로 요소수에 대하여 내식성이 높고,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수지나 스테인리스 등의 재료로 형성된다. 요소수 탱크(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측면도이며, 요소수 탱크(50)의 주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리어 액슬(15) 중 전방측 액슬보다 후방이며, 또한 후방측 액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DOC(31), DRT(33), 및 SCR(3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5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볼때 디젤 엔진(20)의 좌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요소수 탱크(50)는 배기 정화 장치(30)의 전방이며 또한 디젤 엔진(2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지지대(5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54)는 하부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대(54)는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이다. 요소수 탱크(50)는 요소수 탱크(50)의 하부가 지지대(54)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로 지지대(5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54)의 하방에는 하부 프레임(13)에 고정된 보강 프레임(55)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54)는 보강 프레임(5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54)는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54)의 상방에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50)는 이 개구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상면(56)으로부터 하방으로 깊이 들어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50)의 상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서 하부 주행체(11)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여 노출하고 있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는 요소수 탱크(50)를 둘러싸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있다. 보호 프레임(60)은 요소수 탱크(50)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보호 프레임(60)은 지지대(54)의 상단부(57)(도 3 참조)에 비스(5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호 프레임(60)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두께를 늘리거나, 상기 각 프레임을 굴곡시키거나 함으로써 보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호 프레임(60)은 작업자가 오르는 스텝으로서 기능한다.
보호 프레임(60)은 요소수 탱크(50)를 둘러싸는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단열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글라스 울 등의 섬유계 단열재이어도 좋고, 우레탄폼 등의 발포계 단열재이어도 좋다. 단열재는 보호 프레임(60)의 외측에 부착된다. 또한, 단열재는 보호 프레임(60)의 내측에 부착되어도 좋고, 보호 프레임(60)의 외측 및 내측의 쌍방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단열재는 부착 이외의 수단에 의해 보호 프레임(60)에 부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보호 프레임(60)이 중공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열재가 보호 프레임(6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도 좋다.
[배기 정화 장치에 의한 작용 효과]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은 배기 정화 장치(30)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배기가 정화되어 최근 엄격한 배기가스 규제를 클리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기 정화 장치(30)에 포함되는 요소수 탱크(50)는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주행체(11) 및 상부 작업체(12)의 전체 길이 및 전체 폭이 증대하는 일 없이 요소수 탱크(50)로부터 DRT(33)를 개재하여 SCR(32)까지의 배관이 간단해져 효율적으로 요소수가 DRT(33)에 공급된다. 게다가 요소수 탱크(50)는 도 5가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요소수 탱크(50)가 차체측면의 외방을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50)로의 요소수의 주입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요소수 탱크(5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볼 때 디젤 엔진(20)의 좌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요소수 탱크(50)는 디젤 엔진(20)의 복사열을 받기 쉽다. 또한, 디젤 엔진(20)의 냉각수를 요소수 탱크(50)에 공급하여 요소수 탱크(50)를 가열·보온하는 배관이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위치에 요소수 탱크(50)가 배치되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프 터레인 크레인(10)과 같이 아우트리거(18, 19)가 착탈 가능한 구조이어도 요소수 탱크(50)의 레이아웃 설계에 제한이 걸리는 일은 없다. 이상으로부터 러프 터레인 크레인(10)의 소선회성 및 부정지 주행성 및 크레인 조작에 있어서의 양호한 시인성 또는 시계가 희생되는 일 없이 요소수 탱크(50)가 최적 위치에 레이아웃된다.
또한,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50)가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으로부터 노출하고 있으므로 요소수 탱크(50)로의 요소수의 주입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요소수 탱크(50)가 하부 주행체(11)의 상면(56)으로부터 하방으로 깊이 들어가 있으므로 요소수 탱크(50)가 보다 컴팩트하게 레이아웃된다.
또한,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프레임(60)이 요소수 탱크(50)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보호 프레임(60)에 의해 요소수 탱크(50)가 보호됨과 아울러, 보호 프레임(60)이 작업자의 스텝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붐 장치(23)를 하부 주행체(11)에 연결되어 있는 붐 근원 지점핀의 분리 작업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보호 프레임(60)이 작업자의 스텝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배기가스 규제의 요청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프레임(60)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 중의 환경 온도가 높을 때, 또는 디젤 엔진(20)으로부터의 복사열이 클 경우에 요소수 탱크(5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소수의 열화가 방지된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소수 탱크(50)는 도 5가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파이프(53)의 배관이 다소 복잡해지는 것이 허용되면, 요소수 탱크(5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디젤 엔진(20)의 우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요소수 탱크(50)는 프런트 액슬(14)과 리어 액슬(15) 사이의 스페이스에 배치되어도 좋다. 요컨대, 요소수의 주입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디젤 엔진(20)의 복사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위치이면 다른 부위에 요소수 탱크(50)가 배치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30)는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후방으로부터 볼 때 디젤 엔진(20)의 좌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배기 정화 장치(30)는 차량 후방으로부터 볼 때 디젤 엔진(20)의 우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소수 탱크(50)는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30)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지만, 요소수 탱크(50)는 배기 정화 장치(3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요소수 탱크(50)는 연결 파이프(44) 전방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요소수 탱크(50)가 연결 파이프(44) 전방측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요소수 탱크(50)로부터 DRT(33)까지의 배관이 한층 더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10 : 러프 터레인 크레인 11 : 하부 주행체
12 : 상부 작업체 13 : 하부 프레임
14 : 프런트 액슬 15 : 리어 액슬
18 : 프론트 아우트리거 19 : 리어 아우트리거
20 : 디젤 엔진 23 : 붐 장치
26 : 조종부 29 : 유압 액추에이터
30 : 배기 정화 장치 31 : DOC(산화 촉매 장치)
32 : SCR(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 33 : DRT(환원제 공급 장치)
50 : 요소수 탱크

Claims (5)

  1. 프런트 액슬 및 리어 액슬을 갖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배치된 붐 장치와, 주행 및 유압 액추에이터를 개재한 붐 조작을 행하는 단일의 조종부를 갖고, 상기 하부 주행체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아우트리거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단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액슬을 구동하며 또한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유압을 공급하는 엔진을 갖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으로서,
    환원제가 저류된 환원제 탱크와,
    환원제 공급 장치 및 상기 환원제 공급 장치의 하류에 배치된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정화 장치는 상기 엔진의 측방에 인접하여 탑재되고,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전방이며 또한 상기 엔진의 측방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환원제 탱크를 둘러싸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기 붐 장치와 상기 하부 주행체의 연결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깊이 들어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환원제 탱크의 일부가 상기 상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기 환원제 탱크를 둘러싸는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는 러프 터레인 크레인.
KR1020177018703A 2014-12-19 2015-08-17 러프 터레인 크레인 KR102240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7065 2014-12-19
JP2014257065A JP6497060B2 (ja) 2014-12-19 2014-12-19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PCT/JP2015/073019 WO2016098384A1 (ja) 2014-12-19 2015-08-17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931A KR20170099931A (ko) 2017-09-01
KR102240594B1 true KR102240594B1 (ko) 2021-04-15

Family

ID=5612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703A KR102240594B1 (ko) 2014-12-19 2015-08-17 러프 터레인 크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3123B2 (ko)
EP (1) EP3235674B1 (ko)
JP (1) JP6497060B2 (ko)
KR (1) KR102240594B1 (ko)
CN (1) CN107107738B (ko)
WO (1) WO2016098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3619B2 (ja) * 2018-06-01 2023-05-15 マニタウォック クレイン カンパニーズ, エルエルシー クレーン下部走行体上のエンジン排気後処理システムのための取り付け配設
CN111762267A (zh) * 2020-06-15 2020-10-1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汽车起重机的底盘总成以及汽车起重机
US11970375B2 (en) 2021-10-04 2024-04-30 Caterpillar Inc. Pipelayer machine with forward towing winch configuration
US11970374B2 (en) 2021-10-04 2024-04-30 Caterpillar Inc. Pipelayer machine with rear engine configur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936A (ja) 2001-07-03 2003-01-24 Komatsu Ltd NOx還元触媒用液体還元剤タンクの配置構造
JP2009040602A (ja) 2007-08-10 2009-02-26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
JP2009076422A (ja) 2007-09-25 2009-04-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荷電粒子線用収差補正レンズ
US20100038162A1 (en) 2007-06-26 2010-02-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JP201300208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WO2014192197A1 (ja) 2013-12-27 2014-12-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0051B2 (ja) 1992-02-06 1997-01-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タンク構造
JP4851370B2 (ja) 2007-03-06 2012-01-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900163B2 (ja) * 2007-09-26 2012-03-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928474B2 (ja) * 2008-01-08 2012-05-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JP5054613B2 (ja) 2008-05-16 2012-10-24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EP2910691A4 (en) * 2012-10-19 2016-08-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WORK MACHINE WITH WHEELS
JPWO2014188997A1 (ja) * 2013-05-22 2017-02-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936A (ja) 2001-07-03 2003-01-24 Komatsu Ltd NOx還元触媒用液体還元剤タンクの配置構造
US20100038162A1 (en) 2007-06-26 2010-02-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JP2009040602A (ja) 2007-08-10 2009-02-26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
JP2009076422A (ja) 2007-09-25 2009-04-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荷電粒子線用収差補正レンズ
JP201300208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WO2014192197A1 (ja) 2013-12-27 2014-12-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8384A1 (ja) 2016-06-23
US20180273351A1 (en) 2018-09-27
JP6497060B2 (ja) 2019-04-10
KR20170099931A (ko) 2017-09-01
EP3235674B1 (en) 2021-01-13
EP3235674A4 (en) 2018-07-18
EP3235674A1 (en) 2017-10-25
CN107107738A (zh) 2017-08-29
US10273123B2 (en) 2019-04-30
JP2016117347A (ja) 2016-06-30
CN107107738B (zh)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511B2 (en) Exhaust emission control device for rough terrain crane
KR102240594B1 (ko) 러프 터레인 크레인
KR102183434B1 (ko) 트랙터
US10155198B2 (en) Rough terrain crane
KR102664511B1 (ko) 작업 차량
JP5054613B2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6131129B2 (ja) ラフテレーンクレーン
KR102052002B1 (ko) 작업 차량
JP4634858B2 (ja) 除雪トラックの選択還元型NOx触媒システム
JP2018193927A (ja)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排気浄化装置
EP3339073B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2228238B1 (ko) 후방 패널 모듈형 요소수 탱크
JP2007161048A (ja) 運搬車両の尿素水貯蔵装置
KR20240070691A (ko) 작업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