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002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002B1
KR102052002B1 KR1020187014304A KR20187014304A KR102052002B1 KR 102052002 B1 KR102052002 B1 KR 102052002B1 KR 1020187014304 A KR1020187014304 A KR 1020187014304A KR 20187014304 A KR20187014304 A KR 20187014304A KR 102052002 B1 KR102052002 B1 KR 10205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tank
urea water
reducing agent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775A (ko
Inventor
요시아키 쿠로카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정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의 배치를 최적화한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작업 차량인 트랙터(1)는, 메인 연료 탱크인 좌측 연료 탱크(32)와, 배기 정화 장치(2)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로서의 요소수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인 요소수 탱크(34)를 구비하고, 좌측 연료 탱크(32)는 급유구(322)를 갖고, 좌측 연료 탱크(32)와 요소수 탱크(34)를 기체의 좌우에 나누어 배치한다. 또한, 트랙터(1)는 요소수 탱크(34)에 나란히 마련되는 서브 연료 탱크인 우측 연료 탱크(33)와, 요소수 탱크(34) 및 우측 연료 탱크(33)를 지지하는 우측 지지대(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 정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농업용 트랙터나 토목 작업용 휠로더(wheel loader)와 같은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 중, 디젤 엔진을 탑재한 작업 차량에는, 배기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그을음, 퍼티큘레이트(particulate)) 또는 질소산화물(NOx) 등을 저감하는 배기 정화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선택 환원형 NOx 촉매(SCR 촉매)와 환원제를 이용해, NOx를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배기 정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온의 배기중에 분사한 요소수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여 NOx 촉매와 접촉시킴으로써, NOx를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것이 있다.
요소수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 차량에는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 요소 공급용의 요소수 분사 노즐, 요소수 분사 노즐에 요소수 탱크의 요소수를 압송하는 요소수 펌프가 탑재된다(특허 문헌 1 참조). 이에 따라, 요소수 탱크 내의 요소수가 요소수 분사 펌프로부터 요소수 분사 노즐로 압송되고, 요소수 분사 노즐로부터 요소 혼합관 내로 분사되어 요소 혼합관 내에서 엔진으로부터의 배기와 혼합된다. 요소수가 혼합된 배기는 SCR 촉매를 통과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이 저감되어, 머플러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4-151764호 공보
이와 같은 배기 정화 장치를 탑재하기 위해서는 큰 공간이 필요하고, 각 부재를 어떻게 배치할지가 큰 과제가 된다. 그 중에서도, 요소수 탱크는 크고 요소수를 보급할 필요도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연료 탱크 부근의 비어 있는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요소수 탱크가 캐빈의 전면 중 보닛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기 정화 장치를 탑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작업 차량을 설계함으로써, 배기 정화 장치의 각 부재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요소수 등의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에 대해서도 배치를 최적화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환원제 탱크의 배치를 최적화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료 탱크와, 배기 정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급유구를 갖고,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환원제 탱크를 기체의 좌우에 나누어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 탱크에 나란히 마련되는 서브 연료 탱크와, 상기 환원제 탱크 및 상기 서브 연료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연료 탱크와, 배기 정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한쪽에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환원제 탱크를 나란히 지지하는 지지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좌우 다른 쪽에 메인 연료 탱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연료 탱크와 환원제 탱크를 기체의 좌우에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연료의 급유구와 환원제의 급수구가 기체의 좌우에 나누어져, 연료와 환원제를 잘못 넣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제 탱크의 배치를 최적화한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환원제 탱크에 나란히 마련되는 서브 연료 탱크와, 환원제 탱크 및 서브 연료 탱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갖춤으로써, 환원제 탱크와 반대측 연료 탱크에서 용량을 확보하고, 서브 연료 탱크에서 용량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환원제 탱크는 연료 탱크보다 작기 때문에, 지지대의 빈 공간에 서브 연료 탱크를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기체의 좌우 한쪽에 연료 탱크 및 환원제 탱크를 나란히 지지하는 지지대를 마련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대에 연료 탱크와 환원제 탱크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원제 탱크의 배치를 최적화한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메인 연료 탱크에서 용량을 확보하고, 환원제 탱크에 나란히 지지되는 연료 탱크에서 용량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배기 정화 장치 주변 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배기 정화 장치 주변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및 연료 탱크 주변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프레임 및 지지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프레임 및 지지대의 하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및 연료 탱크 주변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및 지지대의 상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및 지지대의 하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및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든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대표적인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이용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는 휠 트랙터, 제2 실시 형태는 크롤러 트랙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 사양의 휠 트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ROPS 사양의 휠 트랙터라도 무방하다.
<휠 트랙터의 전체 구성>
도 1은 트랙터(1)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트랙터(1)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트랙터(1)의 상면도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트랙터(1)는 프레임(11), 엔진(12), 트랜스미션(13), 전방 차축(14), 후방 차축(15) 및 캐빈(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엔진(12)의 배기를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1)은 트랙터(1)의 골격을 이룬다. 프레임(11)은 트랜스미션(13), 전방 차축(14), 후방 차축(15)과 함께 트랙터(1)의 섀시를 구성한다. 엔진(12) 및 캐빈(16)은 방진(防振) 고무 등을 개재해 프레임(11)에 방진 지지된다.
엔진(12)은 디젤 엔진으로,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즉, 엔진(12)은 연료를 태움으로써 회전 동력을 만들어낸다. 한편, 엔진(12)에는 엔진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미도시). 엔진 제어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엔진(12)의 운전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엔진(12)에는 배기 정화 장치(2)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미션(13)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차축(14)이나 후방 차축(15)에 전달한다. 트랜스미션(13)에는 연결 기구를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트랜스미션(13)에는 무단 변속 장치(HST 또는 HMT, 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13)의 작동 상태를 변경한다.
전방 차축(14)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타이어(141)에 전달한다. 전방 차축(14)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전방 차축(14)에는 조타 장치가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미도시). 조타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62)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전방 타이어(141)의 타각을 변경한다.
후방 차축(15)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후방 타이어(151)에 전달한다. 후방 차축(15)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후방 차축(15)에는, PTO 출력 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PTO 출력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PTO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견인하는 작업기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캐빈(16)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되어 있고, 운전 좌석(161), 핸들(162), 액셀러레이터 페달(미도시), 시프트 레버(미도시), PTO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161)에 앉은 상태로 핸들(162), 액셀러레이터 페달, 시프트 레버 등을 조작함으로써 트랙터(1)를 조종할 수 있다.
<배기 정화 장치>
도 4는 트랙터(1)의 배기 정화 장치(2) 주변 부분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트랙터(1)의 배기 정화 장치(2) 주변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보닛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2)는 엔진(12)의 배기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그을음, 퍼티큘레이트)이나 질소산화물(NOx) 등을 제거하고, 정화된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배기 정화 장치(2)는 엔진(12)의 배기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디젤 퍼티큘레이트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DPF)로서의 제1 케이스(21), 및 제1 케이스(21)의 배기중의 질소산화물을 환원하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SCR) 시스템으로서의 제2 케이스(22)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21) 내에는 산화 촉매 및 수트 필터(soot filter)가 마련된다. 제2 케이스(22) 내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 및 산화 촉매가 마련된다.
제1 케이스(2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케이스(21)는 엔진(12)의 상면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케이스(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2 케이스(22)는 프레임(11)에 판상의 브래킷(27)을 개재해 고정된다.
또한, 배기 정화 장치(2)는, 배기가 흐르는 방향에서 상류측으로부터, 제1 케이스(21)의 출구에 접속되는 제1 배기관(23), 제1 배기관(23)의 출구에 접속되는 신축관(24), 신축관(24)의 출구와 제2 케이스(22)의 입구를 접속하는 제2 배기관(25) 및 제2 케이스(22)의 출구에 접속되는 제3 배기관(26)을 구비한다.
제2 배기관(25)의 중간에는 요소수 분사 노즐(28)이 배치된다. 요소수 분사 노즐(28)은 펌프 및 요소수 탱크에 접속되어, 제2 배기관(25) 내에 요소수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분사된 요소수는 제2 배기관(25) 내에서 배기와 혼합된다. 따라서, 제2 배기관(25)은 혼합기로서의 역할이 있다. 제2 배기관(25) 중 요소수 분사 노즐(28)로부터 하류측은, 배기와 요소수를 반응 가능한 온도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이중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배기관(26)은 제2 케이스(22)로부터의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이다. 제3 배기관(26)은 브래킷(262)을 개재해 캐빈(16)의 기둥에 고정되어 있다. 제3 배기관(26)의 주위는 커버 부재(261)에 의해 덮여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엔진(12)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는 배기 정화 장치(2)를 경유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배기 정화 장치(2)에 의해 배기중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입자상 물질, 질소산화물이 저감된다. 한편, 배기 정화 장치(2)는 요소수 이외의 환원제를 이용하는 형태라도 된다.
<요소수 탱크 및 연료 탱크의 배치>
도 6은 요소수 탱크 및 연료 탱크 주변 부분의 상면도이고, 도 7은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프레임 및 지지대의 상면도이고, 도 8은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프레임 및 지지대의 하면도이다.
프레임(11)은 트랙터(1)의 앞 부분에서의 골격을 이루는 전방 프레임(엔진 프레임, 111, 도 4 참조), 및 전방 프레임(111)의 후방에 고정되는 좌우의 후방 프레임(기체 프레임, 112)을 구비한다. 전방 프레임(111)은 엔진(12)을 탑재하고, 후방 프레임(112)은 트랜스미션(13) 및 캐빈(16)을 탑재한다.
또한, 프레임(11)은, 후방 프레임(112)에 매달려 고정되고 좌우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전방 횡가 프레임(113)과, 트랜스미션(13)의 하면에 고정된 후방 횡가 프레임(114)을 갖는다. 그리고, 전방 횡가 프레임(113) 및 후방 횡가 프레임(114)의 좌측 단부상에 좌측 지지대(30)가 건너질러 마련된다. 한편, 전방 횡가 프레임(113) 및 후방 횡가 프레임(114)의 우측 단부상에 우측 지지대(31)가 건너질러 마련된다.
좌측 지지대(30) 및 우측 지지대(31)는 대략 직사각 프레임 판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이다. 좌측 지지대(30)에는 좌측 연료 탱크(32)가 올려져 밴드(321)로 결속되어 고정된다. 한편, 우측 지지대(31)에는 우측 연료 탱크(33) 및 요소수 탱크(34)가 나란히 올려져 밴드(331, 341)로 결속되어 고정된다.
좌측 연료 탱크(32), 우측 연료 탱크(33) 및 요소수 탱크(34)는, 캐빈(16)의 아래 쪽이고 전방 타이어(141) 및 후방 타이어(151)의 사이이면서 후방 타이어(151)보다 안쪽(프레임(11)쪽)에 배치된다. 좌측 연료 탱크(32)와, 우측 연료 탱크(33) 및 요소수 탱크(34)는 기체(프레임(11))의 좌우에 나누어 배치된다.
좌측 연료 탱크(32)는 용량이 큰 메인 연료 탱크이며, 우측 연료 탱크(33)는 좌측 연료 탱크(32)보다 용량이 작은 서브 연료 탱크이다. 좌측 연료 탱크(32)와 우측 연료 탱크(33)의 하부는 연료 연결관(35)으로 연결되고, 상부는 공기 연결관(36)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측 연료 탱크(32)에서 용량을 확보하고, 서브인 우측 연료 탱크(33)에서 용량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우측 연료 탱크(33)는 생략해도 된다.
연료의 급유구(322)는 좌측 연료 탱크(32)의 전단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요소수의 급수구(342)는 요소수 탱크(34)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급유구(322)와 급수구(342)를 기체의 좌우에 배분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를 잘못 넣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급유구(322)는 우측 연료 탱크(33)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급유구(322)와 급수구(342)를 기체의 좌우 같은 쪽에 배치하게 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를 같은 쪽에서 보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요소수 탱크(34)는 좌측 연료 탱크(32)보다 작기 때문에, 우측 지지대(31)의 빈 공간에 서브 연료 탱크인 우측 연료 탱크(33)를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대(31)에 연료 탱크(33)와 요소수 탱크(34)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34)를 제2 케이스(22)와 같은 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우측)에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배관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소수 탱크(34)를 앞쪽에, 우측 연료 탱크(33)를 뒤쪽에 나란히 배치하고 있지만, 전후 반대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연료 탱크를 기체의 좌측에, 요소수 탱크(34) 및 서브 연료 탱크를 우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좌우 반대로 배치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 사양의 크롤러 트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ROPS 사양의 크롤러 트랙터라도 무방하다.
<크롤러 트랙터의 전체 구성>
도 9는 트랙터(100)의 우측면도이고, 도 10은 트랙터(100)의 좌측면도이고, 도 11은 트랙터(100)의 상면도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0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의 트랙터(1)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랙터(100)는 프레임(11), 엔진(12), 트랜스미션(13), 전방 차축(14), 크롤러식 주행 장치(51), 캐빈(16) 및 펜더(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랙터(100)는 엔진(12)의 배기를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51)는 전방 차축(14)에 지지된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511), 및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511)에 각각 권취된 크롤러 벨트(512)를 갖는다. 전방 차축(14)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구동 스프로킷(511)에 전달한다. 전방 차축(14)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전방 차축(14)에는 조타 장치가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미도시). 조타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62)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좌우의 크롤러 벨트(512)의 속도 및 회전 방향을 변경한다. 펜더(17)는 좌우의 크롤러 벨트(512)를 덮도록 좌우 한쌍이 마련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 및 연료 탱크의 배치>
도 12는 요소수 탱크 및 연료 탱크 주변 부분의 상면도이고, 도 13은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및 지지대의 상면도이고, 도 14는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및 지지대의 하면도이고, 도 15는 요소수 탱크, 연료 탱크 및 지지대의 우측면도이다.
트랜스미션(13) 후부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트랜스퍼 케이스(131)가 고정되어 있다. 두 트랜스퍼 케이스(131)의 상단부에는 각각 대략 'ㄷ'형의 지지 부재(40)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지지 부재(40)의 상면에는 좌측 지지대(41)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우측 지지 부재(40)의 상면에는 우측 지지대(42)가 고정되어 있다.
좌측 지지대(41) 및 우측 지지대(42)는 대략 직사각 프레임 판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이다. 좌측 지지대(41)에는 좌측 연료 탱크(43)가 올려져 밴드(431)로 결속되어 고정된다. 한편, 우측 지지대(42)에는 우측 연료 탱크(44) 및 요소수 탱크(34)가 나란히 올려져 밴드(441, 341)로 결속되어 고정된다. 요소수 탱크(34)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좌측 연료 탱크(43), 우측 연료 탱크(44) 및 요소수 탱크(34)는 펜더(17)의 내측에 설치된다. 좌측 연료 탱크(43)와, 우측 연료 탱크(44) 및 요소수 탱크(34)는 기체(프레임(11))의 좌우에 나누어 배치된다.
좌측 연료 탱크(43)는 용량이 큰 연료 탱크이고, 우측 연료 탱크(44)는 좌측 연료 탱크(43)보다 용량이 작은 연료 탱크이다. 좌측 연료 탱크(43)와 우측 연료 탱크(44)의 하부는 연료 연결관(45)으로 연결되고, 상부는 공기 연결관(46)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측 연료 탱크(43)에서 용량을 확보하고, 우측 연료 탱크(44)에서 용량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우측 연료 탱크(44)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연료의 급유구(442)는 우측 연료 탱크(44)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요소수의 급수구(342)는 요소수 탱크(34)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급유구(442)와 급수구(342)를 기체의 좌우 같은 쪽에 배치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를 같은 쪽에서 보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우측의 펜더(17)에는 급유구(442)에 접근하기 위한 덮개(171)와, 급수구(342)에 접근하기 위한 덮개(172)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도 9 참조).
한편, 급유구(442)는 좌측 연료 탱크(43)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급유구(442)와 급수구(342)를 기체의 좌우에 배분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를 잘못 넣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요소수 탱크(34)는 좌측 연료 탱크(43)보다 작기 때문에, 우측 지지대(42)의 빈 공간에 우측 연료 탱크(44)를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대(42)에 연료 탱크(44)와 요소수 탱크(34)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급유구(442)를 급수구(342)와 같은 쪽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34)를 제2 케이스(22)와 같은 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오른쪽)에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배관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소수 탱크(34)를 앞쪽, 우측 연료 탱크(44)를 뒤쪽에 나란히 배치하고 있지만, 전후 반대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연료 탱크를 기체의 좌측에, 요소수 탱크(34) 및 서브 연료 탱크를 우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좌우 반대로 배치해도 무방하다.
이상,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요소수 탱크의 배치를 최적화한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배기 정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이용 가능하다.
1: 트랙터(작업 차량)
2: 배기 정화 장치
30, 41: 좌측 지지대
31, 42: 우측 지지대
32, 43: 좌측 연료 탱크
33, 44: 우측 연료 탱크(서브 연료 탱크)
34: 요소수 탱크(환원제 탱크)
100: 트랙터(작업 차량)
322: 급유구
342: 급수구
442: 급유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기체의 상부에 마련된 캐빈과, 트랜스미션과, 연료 탱크와, 배기 정화 장치에서 이용하는 환원제를 저장하는 환원제 탱크를 구비한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좌우 한쪽에,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환원제 탱크를 나란히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기 트랜스미션에 연결해 배치하고,
    상기 캐빈의 후부 하방에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환원제 탱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하부 후방에 펜더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 및 상기 환원제 탱크는 상기 펜더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펜더는, 상기 연료 탱크가 갖는 급유구에 면하는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덮개와, 상기 환원제 탱크가 갖는 급수구에 면하는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덮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트랜스미션에 고정되는 트랜스퍼 케이스를 개재해, 상기 트랜스미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187014304A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KR102052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9406 2015-10-23
JP2015209406A JP2017081259A (ja) 2015-10-23 2015-10-23 作業車両
PCT/JP2016/081268 WO2017069239A1 (ja) 2015-10-23 2016-10-21 作業車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265A Division KR102090054B1 (ko)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775A KR20180072775A (ko) 2018-06-29
KR102052002B1 true KR102052002B1 (ko) 2019-12-04

Family

ID=585572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304A KR102052002B1 (ko)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KR1020207007134A KR20200029630A (ko)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KR1020197035265A KR102090054B1 (ko)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134A KR20200029630A (ko)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KR1020197035265A KR102090054B1 (ko) 2015-10-23 2016-10-21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2017081259A (ko)
KR (3) KR102052002B1 (ko)
WO (1) WO2017069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7634B2 (ja) * 2018-05-31 2021-07-07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US11660955B2 (en) 2019-03-18 2023-05-30 Kubota Corporation Fuel tank of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962A (ja) * 2001-04-09 2002-10-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クローラトラクタ
JP2010236208A (ja) 2009-03-30 2010-10-2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JP2014121921A (ja) 2012-12-20 2014-07-03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4151764A (ja) * 2013-02-08 2014-08-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WO2015147232A1 (ja) * 2014-03-28 2015-10-0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9661A (ja) * 1982-06-01 1983-12-06 Nissan Motor Co Ltd フオ−クリフトのフレ−ム構造
JPS5965825U (ja) * 1982-10-27 1984-05-0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サブ燃料タンク付車輛の燃料タンクシステム
DE10305057A1 (de) * 2003-02-07 2004-08-19 Daimlerchrysler Ag Abgasnachbehandlungssystem und Nutzfahrzeug mit Abgasnachbehandlungssystem
JP5562777B2 (ja) * 2010-09-16 2014-07-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2138732B1 (ko) * 2013-04-26 2020-07-28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JP2015045235A (ja) * 2013-08-27 2015-03-1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5117597A (ja) * 2013-12-17 2015-06-2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177118B2 (ja) * 2013-12-11 2017-08-09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6492922B2 (ja) * 2015-04-20 2019-04-03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JP2019209661A (ja) * 2018-06-08 2019-12-12 日本製鉄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962A (ja) * 2001-04-09 2002-10-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クローラトラクタ
JP2010236208A (ja) 2009-03-30 2010-10-2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JP2014121921A (ja) 2012-12-20 2014-07-03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4151764A (ja) * 2013-02-08 2014-08-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WO2015147232A1 (ja) * 2014-03-28 2015-10-0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560A (ko) 2019-12-06
KR102090054B1 (ko) 2020-03-17
JP2022022274A (ja) 2022-02-03
JP2020193621A (ja) 2020-12-03
KR20180072775A (ko) 2018-06-29
KR20200029630A (ko) 2020-03-18
JP2017081259A (ja) 2017-05-18
WO2017069239A1 (ja) 2017-04-27
JP6985470B2 (ja)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167B2 (ja) 建設機械
KR101776120B1 (ko) 건설기계
KR102664511B1 (ko) 작업 차량
KR102183434B1 (ko) 트랙터
JP2022022274A (ja) トラクタ
JP6000931B2 (ja) 作業車両
EP3235674B1 (en) Rough terrain crane
JP7348937B2 (ja) トラクタ
JP7055854B2 (ja) トラクタ
KR20240070691A (ko) 작업 차량
JP2020059502A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