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309B1 -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 Google Patents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309B1
KR102240309B1 KR1020200103355A KR20200103355A KR102240309B1 KR 102240309 B1 KR102240309 B1 KR 102240309B1 KR 1020200103355 A KR1020200103355 A KR 1020200103355A KR 20200103355 A KR20200103355 A KR 20200103355A KR 102240309 B1 KR102240309 B1 KR 10224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ap body
cap
elas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선
권장순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Priority to KR102020010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너트와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단부를 보호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와 자성 결합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자성 결합하는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볼트로부터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BOLT CAP USING MAGNETIC SUBSTANCE}
본 발명은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캡에 자성체가 형성되어 볼트의 단부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에서는 천장에 설비 덕트, 각종 배관, 펜 코일 유닛, 시스템 에어컨 등과 같은 건축 설비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 설비들은 천장으로부터 돌출된 전산 볼트 및 전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지지된다.
예컨대, 천정 슬라브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전 전산 볼트를 채결할수 있는 앙카를 매설 시공한다.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건축 설비들을 천정에 설치하기 위하여 전산 볼트가 천정 슬라브에 매설되어 있는 앙카에 채결되어 일정 길이가 천정면 아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공된다. 그러나 전산 볼트는 건축 설비들이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맞춰 재단된 상태로 납품되지 않고, 건축 설비들 각각이 천장에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다르게 설계되기 때문에 천장으로부터 돌출된 전산 볼트를 각각의 건축 설비의 이격 거리에 맞춰 절단 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전산 볼트를 절단한 후에 건축 설비를 전산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시키면 전산 볼트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산화 작용에 의해 전산 볼트의 단부가 녹이 슬거나 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종래에는 외부로 노출된 볼트의 단부에 캡을 끼워 볼트의 단부를 보호하였지만, 종래의 캡은 볼트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볼트의 보호 효과가 미비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볼트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캡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캡은 볼트에 끼우는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자들이 누락시키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볼트캡에 자성체가 형성되어 볼트의 단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캡의 내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볼트캡이 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은 너트와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단부를 보호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와 자성 결합하기 위한 자성체가 형성된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볼트로부터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개방된 입구에서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사이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상기 캡 본체의 입구를 완전 밀폐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캡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볼트의 삽입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점착되는 탄성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은, 상기 볼트와 접촉하는 면에 점성의 물질이 도포된 점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은, 중심부를 향할수록 더욱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소정의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의 내부 둘레에서 상기 캡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상기 캡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연결되고, 중심부가 상기 캡 본체의 내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상기 볼트의 삽입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되고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볼트의 나사산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는,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와 체결되기 전어 상기 너트의 일측에 자성결합되고, 상기 너트가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너트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볼트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캡 본체가 외부로 노출된 볼트의 단부에 끼워져 볼트의 단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 본체가 자성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볼트와 자성결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캡 본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볼트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볼트캡에 내부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캡 본체가 볼트의 단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이 건축현장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볼트캡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볼트캡에 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예시한 단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예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10)이 건축현장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볼트캡(10)은 건축물의 천장(1)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너트(N)와 체결되어 건축 설비(2)를 고정시키는 볼트(B)의 단부에 끼워진다. 볼트캡(10)은 볼트(B)의 단부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너트(N) 외부로 인출된 볼트(B)의 단부가 산화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볼트캡(10)은 내부에 자성체가 형성된다. 즉, 볼트캡(10)은 볼트(B)에 끼워지면 볼트(B)와 자성결합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다.
도 1에서 볼트캡(10)은 너트(N)와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캡(10)은 볼트(B)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N)와 완전히 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B)는 헤드가 없고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볼트(B)는 일측이 건축물의 천장(1)에 매립되고, 타측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건축물에서 볼트(B)가 형성된 위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건축 설비(2)는 설비덕트 각종 배관, 전선 및 케이블, 펜 코일 유닛, 시스템 에어컨과 같이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설비(2)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볼트캡(10)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볼트캡(10)에 볼트(B)가 삽입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10)은 캡 본체(100)을 포함한다.
캡 본체(100)는 볼트캡(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볼트(B)의 단부가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 단(103)이 개방되고 타단에는 바닥면(104)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캡 본체(100)의 내부 단면적은 볼트(B)의 단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 본체(100)의 재질은 금속의 재질, 연질 또는 연성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캡 본체(100)는 연질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경우, 일정 두께를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캡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자성체가 형성된다. 자성체는 캡 본체(100)의 내주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캡 본체(100)를 이루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캡 본체(100)는 자성체에 의해서 볼트(B)와 자성 결합할 수 있다.
즉, 캡 본체(100)는 내부에 볼트(B)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아도 자성체에 의해 볼트(B)와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 본체(100)는 너트(N)와 접하는 면에도 자성체가 형성될 수 있다. 캡 본체(100)는 볼트(B)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N)와 자성 결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100)가 볼트(B)의 단부에 끼워지면 캡 본체(100)는 개방된 일측이 너트(N)의 일측과 기밀하게 자성 결합되어 볼트(B)의 단부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캡 본체(100)는 볼트(B)와 너트(N)가 체결되기 전에 너트(N)와 자성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너트(N)와 볼트(B)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너트(N)가 볼트(B)의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할수록 볼트(B)는 너트(N)를 관통하여 너트(N)의 외부로 점차적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너트(N)의 외부로 점차적으로 인출되는 볼트(B)의 단부는 너트(N)와 자성 결합된 채로 구비된 캡 본체(100)의 내부로 점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10)은 너트(N)를 볼트(B)에 체결하는 동작과 캡 본체(100)를 볼트(B)에 끼워 넣는 동작을 각각 수행하지 않아도, 볼트(B)와 너트(N)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볼트(B)의 단부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점차적으로 삽입되어 자성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고정수단(도 4의 110, 도 5의 120, 도 6의 130, 도 7의 140 중 어느 하나)이 캡 본체(100)를 볼트(B)로부터 고정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고정수단(도 4의 110, 도 5의 120, 도 6의 130, 도 7의 140 중 어느 하나)은 캡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캡 본체(100)와 볼트(B)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20)에 형성된 고정수단(110)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캡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캡 본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10)은 캡 본체(100)의 내벽에서 볼트(B)의 삽입 방향(도 4(A)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수단(110)은 고정돌기(110)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고정돌기(11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0)는 볼트(B)의 단부가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면 볼트(B)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사이에 끼워진다. 예컨대, 고정돌기(110)는 볼트(B)의 단부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볼트(B)의 나사산에 밀려 캡 본체(100)의 내벽을 향해 휘어지고,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형태가 원상복구 되면서 볼트(B)의 나사산 사이의 측면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110)는 볼트(B)의 나사산에 접촉 또는 밀착됨으로써 볼트캡(10)과 볼트(B)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고정돌기(110)는 캡 본체(100)의 내벽에서 볼트(B)의 삽입 방향(즉, 본체(100)의 개방된 입구(103)에서 바닥면(10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용이하게 하되, 반대로 볼트캡(10)이 볼트(B)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10)는 캡 본체(100)의 내벽에 한 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고정돌기(110)는 캡 본체(100)의 내벽에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30)에 형성된 고정수단(120, 121)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캡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캡 본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20, 121)은 탄성막(120) 및 점착면(121)을 포함한다.
탄성막(12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막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막(120)은 볼트(B)가 삽입되는 캡 본체(100)의 개방된 입구(103)에 배치되어 입구(103) 전체를 완전 밀폐하게 형성된다. 탄성막(120)의 상면에는 점착면(121)이 형성된다.
탄성막(120)은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캡 본체(100)의 내부(즉, 볼트(B)의 삽입 방향)를 향해 늘어난다. 탄성막(120)은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늘어난 탄성막(120)의 점착면(121)에 의해 볼트(B)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점착된다.
예컨대, 캡 본체(100)가 연질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된 경우, 캡 본체(100)의 내부에 볼트(B)가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캡 본체(100)의 외부를 볼트(B)를 향해 가압하면서 탄성막(120)의 점착면(121)을 볼트의 외주면에 점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막(120)은 중심부를 향할수록 더욱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막(120)은 중심부가 더욱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중심부의 내구성이 중심부와 인접한 위치보다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볼트(B)는 단부가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기 때문에 매끄러운 표면을 갖지 않고 날카로운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탄성막(120)이 훼손될 수 있다. 탄성막(120)은 중심부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높아진 내구성에 의해 볼트(B)의 절단면과 밀착되더라도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막(120)의 중심부에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보호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탄성막(120)은 점착면(121)에 의해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볼트(B)의 외면에 점착되어 캡 본체(100)와 볼트(B)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볼트(B)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점착되기 때문에 볼트(B)의 외주면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볼트(B)가 산화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막(120)은 캡 본체(100)의 단면적 직경이 볼트(B)의 단면적 직경보다 더 크더라도,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볼트(B)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캡 본체(100)와 볼트(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점착면(121)의 표면에는 보호지(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보호지의 일측에는 캡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보호지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지는 캡 본체(100)가 볼트(B)에 끼워지기 전에 작업자에 의해 탈거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40)에 형성된 고정수단(120, 121, 130)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캡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캡 본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탄성막(120) 및 점착면(121)은 도 5의 (A), (B)를 통해 설명한 탄성막(120) 및 점착면(121)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락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20, 121, 130)은 가압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재(130)는 소정의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가압부재(130)는 캡 본체(100)의 내부 둘레에서 캡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가압부재(130)는 볼트(B)가 삽입되는 캡 본체(100)의 입구(103)부터 바닥면(104)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0)는 실리콘, 일정 밀도를 가지는 폼(FOAM),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30)는 캡 본체(100)의 개방된 입구(103)에서 바닥면(104)을 향할수록 캡 본체(100)의 중심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가압부재(130)는 캡 본체(100)의 바닥면(104) 쪽의 두께가 캡 본체(100)의 입구(103) 쪽의 두께보다 더욱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130)는 캡 본체(100)의 내부에 볼트(B)가 삽입될 때 볼트(B)의 외주면에 밀려 압축되고, 다시 팽창하면서 볼트(B)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압부재(130)는 탄성막(120)을 볼트(B)의 외주면을 향해 밀어내게 되고 탄성막(120)은 가압부재(130)의 팽창에 의해 볼트(B)의 외주면에 기밀하게 점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130)는 캡 본체(100)의 단면적 직경이 볼트(B)의 단면적 직경보다 더 크더라도,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볼트(B)를 압착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캡 본체(100)와 볼트(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130)는 캡 본체(100)의 내부로 볼트(B)가 삽입될 때 탄성막(120)을 볼트(B)의 외주면을 향해 밀어냄으로써 탄성막(120)이 볼트(B)의 외주면에 용이하고 기밀하게 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50)에 형성된 고정수단(140, 141)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캡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캡 본체(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40, 141)은 탄성 플레이트(140) 및 탄성 돌기(141)를 포함한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탄성 플레이트(14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 플레이트(140)는 양단이 캡 본체(100)의 내벽에 연결되고, 중심부가 캡 본체(100)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다. 여기서 탄성 플레이트(140)의 양단은 각각 캡 본체(100)의 길이 방향(즉, 볼트(B)의 삽입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 플레이트(140)는 중심부가 캡 본체(10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캡 본체(100)의 내벽을 향해 소정의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플레이트(140)의 일면에는 탄성 돌기(141)가 형성된다.
탄성 돌기(141)는 탄성 플레이트(140)의 일면에서 볼트(B)의 삽입 방향(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된다. 탄성 돌기(141)는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볼트(B)의 나사산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밀착될 수 있다. 탄성 돌기(14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플레이트(140)는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볼트(B)의 외주면에 밀려 중심부가 캡 본체(100)를 향해 압축된다. 그리고 탄성 플레이트(140)는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다시 팽창하면서 탄성 돌기(141)를 볼트(B)를 향해 밀어낸다. 탄성 돌기(141)는 탄성 플레이트(140)의 팽창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볼트(B)의 나사산의 측면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탄성 돌기(141)는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볼트(B)의 나사산에 밀려 캡 본체(100)의 내벽을 향해 휘어지고,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형태가 원상복구 되면서 볼트(B)의 나사산의 측면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탄성 플레이트(140)는 압축 및 팽창 동작을 통해 캡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볼트(B)를 압착 고정시키기 때문에 캡 본체(100)의 단면적 직경이 볼트(B)의 단면적 직경보다 더 크더라도 캡 본체(100)와 볼트(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돌기(141)는 캡 본체(100)의 내벽에서 볼트(B)의 삽입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볼트(B)가 캡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용이하게 하되, 반대로 캡 본체(100)와 볼트(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플레이트(140) 및 탄성 돌기(141)는 캡 본체(100)의 내벽에 한 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캡 본체(100)의 내벽에서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천장
2: 건축 설비
10: 볼트캡
100: 캡 본체

Claims (9)

  1. 너트와 체결되는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단부를 보호하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에 있어서,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볼트의 단부가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볼트와 자성 결합하기 위한 자성체가 형성된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볼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상기 캡 본체의 입구를 완전 밀폐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캡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볼트의 삽입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탄성막과, 상기 탄성막에서 상기 볼트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고 점성 물질이 도포된 점착면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캡 본체의 내부 둘레에서 상기 캡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막은 중심부를 향할수록 더욱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캡 본체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상기 캡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캡 본체의 내부에 상기 볼트가 삽입될 때 압축된 후 팽창하면서 상기 탄성막이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 점착면의 표면에는 보호지가 부착되는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03355A 2020-08-18 2020-08-18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KR10224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55A KR102240309B1 (ko) 2020-08-18 2020-08-18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55A KR102240309B1 (ko) 2020-08-18 2020-08-18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309B1 true KR102240309B1 (ko) 2021-04-14

Family

ID=7547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55A KR102240309B1 (ko) 2020-08-18 2020-08-18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3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867U (ko) * 1990-10-11 1992-05-29
KR200264371Y1 (ko) * 2001-11-07 2002-02-19 전광재 볼트의 보호덮개
KR200383524Y1 (ko) * 2005-02-25 2005-05-04 신도산업 주식회사 너트 보호캡
KR200439026Y1 (ko) * 2007-09-28 2008-03-17 김세년 앵커볼트 보호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867U (ko) * 1990-10-11 1992-05-29
KR200264371Y1 (ko) * 2001-11-07 2002-02-19 전광재 볼트의 보호덮개
KR200383524Y1 (ko) * 2005-02-25 2005-05-04 신도산업 주식회사 너트 보호캡
KR200439026Y1 (ko) * 2007-09-28 2008-03-17 김세년 앵커볼트 보호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184B2 (ja) 開口に密封システムを提供する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US7810847B1 (en) Sleeve coupling
US9581271B2 (en) Sealing gland
US20070151183A1 (en) Universal firestopping collar assembly
US8671645B1 (en) Safing insulation with pre-applied smoke sealant
KR102240309B1 (ko) 자성체가 형성된 볼트캡
KR102240317B1 (ko) 길이 가변이 가능한 볼트캡
US5154375A (en) Pipe hanging clamp
US3965629A (en) Conduit apparatus
US5641940A (en) Poke-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retainer
GB2214994A (en) Caulking materials
JP2019157501A (ja) シース接続口成形用挿入具及びシース接続口の成形方法
KR101921028B1 (ko) 거푸집구조체
KR100228544B1 (ko) 광케이블 내관 이동방지 장치
JP5015466B2 (ja) 耐震性可撓管路の継手構造
US5345677A (en) Method of connecting sections of metal conduits
US20230041088A1 (en) Method of Protecting a Fixing
JP6367737B2 (ja) 防振セパレーター
JPH0654995U (ja) 金属管の端面防食ゴム
JPH11117338A (ja) 水中構造物の接合装置
JP3003096U (ja) スペーサー
JP6248254B1 (ja) 補修用器具及びガス漏洩孔補修方法
JP2002242594A (ja) 構造物の継手
EP1615311A1 (en) Watertight feedthrough wall fitting
JP6820213B2 (ja) 電線管の取付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