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056B1 -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056B1
KR102240056B1 KR1020190149027A KR20190149027A KR102240056B1 KR 102240056 B1 KR102240056 B1 KR 102240056B1 KR 1020190149027 A KR1020190149027 A KR 1020190149027A KR 20190149027 A KR20190149027 A KR 20190149027A KR 102240056 B1 KR102240056 B1 KR 10224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l
unit
washing
brush
l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양구
Original Assignee
강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양구 filed Critical 강양구
Priority to KR102019014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2Cleaning travelling work, e.g. a web, articles on a convey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08B1/12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은 김발을 세척공정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김발에 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면서 브러시를 마찰시켜 세척하며 상기 김발을 여러 단계에 걸쳐 세척할 수 있도록 다단계로 이루어진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의 어느 한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김발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송풍부와,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척 완료된 김발의 표면을 코팅시키는 표면처리부와, 상기 표면처리부에 의해 표면처리된 김발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2차 송풍부와, 상기 2차 송풍부를 거쳐 이송되어 온 김발을 열풍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김발의 보풀을 태워 제거하는 보풀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은 김발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김발의 손상된 코팅막을 재생시킬 수 있으며, 김발에 생긴 보풀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Cleaning system of laver bed using for a laver farm}
본 발명은 김 양식장에서 사용된 김발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 세척할 수 있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을 양식하거나 성형할 때 사용하는 김발은 일렬로 정렬된 발장살들을 실로 엮어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김발 위에 양식장에서 채취한 물김을 펼쳐 놓고 탈수 및 건조하여 김을 만드는데, 마른 김을 떼어낸 김발에는 김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말라붙어 있다. 또한 김발에 물때가 많이 낀다. 따라서 사용한 김발을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다시 사용하면, 물김이 울퉁불퉁하게 펼쳐져 김의 표면 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전에 말라붙어 있던 찌꺼기 등의 이물질 때문에 마른 김이 김발에서 잘 떨어지지 않고 군데군데 뜯겨 김의 품질이 떨어지고, 위생적으로 좋지 않으며, 김발 또한 여러번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1514호(공개일자;2009년07월01일)에는 ‘김양식용 김발 세척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김발을 강산성 전해수에 침적시킨 다음 김발을 견인하면서 강알칼리 전해수를 분사하고 세척용 롤러브러시를 회전시켜 김발을 세척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김발 세척방법은, 김발을 구석구석 깨끗이 세척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김 성형과정이나 김발 세척과정 등에서 생채기를 입은 김발을 재생하지 못하여 세척한 김발을 사용하여 김 성형시 김의 품질이 떨어지며, 김발의 수명도 짧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1514호(공개일자;2009년07월0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김발을 구석구석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세척과정에서 김발에 생긴 코팅막 손상을 회복시키고 보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김발 세척시스템은 김발을 세척공정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김발에 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면서 브러시를 마찰시켜 세척하며, 상기 김발을 여러 단계에 걸쳐 세척할 수 있도록 다단계로 이루어진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의 어느 한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김발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송풍부와;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척 완료된 김발의 표면을 코팅시키는 표면처리부와; 상기 표면처리부에 의해 표면처리된 김발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2차 송풍부와; 상기 2차 송풍부를 거쳐 이송되어 온 김발을 열풍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김발의 보풀을 태워 제거하는 보풀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김발을 3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1차,2차,3차세척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세척유닛 중간에 설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의 표면에 밀착되는 세척용 스폰지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세척유닛에서 상기 3차세척유닛으로 이송되는 김발의 이송 경로상에 상기 1차 송풍부가 하나 설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이송부의 폭방향을 축으로 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브러시 왕복 유동부에 의해 상기 브러시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의 모는 상기 김발의 발장살들 사이 틈새에 침투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 왕복 유동부는 자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를 상기 회전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전자석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를 상기 전자석에 의한 유동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시작부분에 설치되어 김발들이 입고되는 입고부와, 이송부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세척 완료된 김발들이 출고되는 출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고부는 여러 장의 김발이 상기 이송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정렬되어 입고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배열된 복수개의 입고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고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정렬 이송된 김발들을 1~2열 단위로 분류하여 이송하는 복수개의 분류 라인들과, 복수개의 분류 라인들로부터 김발들이 하나씩 이송되어 하적방향을 따라 일렬로 하적되는 하적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김발을 상기 세척부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김발을 불리는 애벌공정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발 세척시스템은 먼저 김발을 불린 후, 불린 김발을 브러시에 의해 세척한 후 김발의 손상된 코팅막을 재생시키고 김발을 완전히 살균 및 건조시키며 나아가 김발의 보풀을 제거함으로써 김발을 구석구석 깨끗하게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김발 표면을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발을 재사용하여 김을 성형하더라도 김의 품질이 유지 및 보장될 수 있고, 김발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시 브러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브러시 축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발의 발장살 사이 틈새까지도 꼼꼼하게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김발 세척공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김발 세척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김발 세척시스템 중 제1이송부 측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김발 세척시스템 중 제2이송부 측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김발 세척시스템 중 입고부 및 1차세척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김발 세척시스템 중 2차세척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김발 세척시스템 중 3차세척유닛 및 표면처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김발 세척시스템 중 세척부의 브러시 측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김발 세척시스템 중 세척부의 브러시 측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은, 입고부(10)와, 출고부(10)와, 이송부(30,40)와, 세척부(50,60,70)와, 1차 송풍부(80)와, 표면처리부(90)와, 2차 송풍부(100)와, 건조부(110)와, 보풀제거부(120)를 포함한다.
입고부(10)는 이송부(30,40)의 시작부분에 결합되어 입고된 김발(2)이 바로 이송부(30,40)에 적재될 수 있게 한다. 입고부(10)는 반자동 투입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입고부(10)는 이송부(30,40)의 시작부분과 연통되며 인부가 김발(2)을 입고하는 공간이 형성된 입고 챔버(12)와, 입고 챔버(12) 내부에 투입된 김발(2)을 이송부(30,40)로 이송할 수 있도록 입고 챔버(12) 내 하측부에 설치되며 이송부(30,40)와 일렬로 연결되는 컨베이어 방식의 입고 라인(14)을 포함할 수 있다. 입고 라인(14)은 한 번에 여러 장, 예컨대 4장의 김발(2)들을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이송부(30,40)에 의한 이송방향과 직교한 폭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일렬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장, 예컨대 4장의 김발(2)들이 이송부(30,4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열, 예컨대 4열로 정렬되어 이송될 수 있다.
출고부(10)는 이송부(30,40)의 끝부분에 결합되어 이송부(30,40)에 의해 동시에 이송되어 온 여러 장의 김발(2)들을 하적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시킨 후 출고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장의 김발(2)들이 동시에 이송되어 오더라도 하나씩 순차적으로 하적할 수 있다. 출고부(10)는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출고부(10)는 동시에 이송되어 온 여러 장의 김발(2)들을 1~2열 단위로 분류하는 복수 열, 즉 3열의 분류 라인(21,22,23)과, 각 열의 분류 라인(21,22,23)의 김발(2)들이 하적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적재되어 하적되는 하나의 하적 라인(2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열의 분류 라인(21,22,23)은 이송부(30,40)와 이송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되는 제1분류영역(21a)과, 제1분류영역(21a)의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분류영역(2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열의 분류 라인(21,22,23)의 제2분류영역(21b)은 하적 라인(24)을 따라 일렬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하적 라인(24)은 각 열의 분류 라인(21,22,23)의 제2분류영역(21b)에 연결되며 각 열의 분류 라인(21,22,23)의 제2분류영역(21b)들의 일렬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적 라인(24)은 별도로 설비된 포장 라인(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30,40)는 김발(2)을 세척공정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부(30,40)는 입고부(10)에 의해 복수 열로 정렬되어 입고된 여러 장의 김발(2)들을 정렬 유지하며 일괄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이송부(30,40)는 구조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공정 라인이 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부(30) 및 제2이송부(40) 둘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제1이송부(30)는 입고부(10)에 의해 적재된 김발(2)을 세척부(50,60,70)와, 1차 송풍부(80)와, 표면처리부(90)와, 2차 송풍부(100)에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2이송부(40) 김발(2)을 건조부(110)와, 보풀제거부(120)를 거쳐 출고부(10)로 이송할 수 있다. 제1이송부(30)에 의해 동시에 이송되는 김발(2)의 갯수와 제2이송부(40)에 의해 동시에 이송되는 김발(2)의 갯수는 각 세척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나 처리 용량 등에 따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1,제2이송부(30,40)는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32,42) 상에 일자형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제2이송부(30,40)는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32,42) 위에 일자형으로 설치되어 그 위에 김발(2)들이 적재되는 가이드 벨트(34)와, 적어도 일부는 쌍을 이루어 가이드 벨트(34)의 상하로 배열되며 이송부(30,40)의 폭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36)들과, 가이드 롤러(36)들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롤러(36)가 가이드 벨트(34) 상 김발(2)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용 스프링(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36)들 중 일부는 세척부(50,60,70) 일부와 함께 하나의 1차,2차,3차세척챔버(52,62,72)에 설치되어 세척부(50,60,70)와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36)들 중 일부는 건조부(110)와 함께 건조 챔버(112)에 설치되어 건조부(110)와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36)들 중 일부는 보풀제거부(120)와 함께 보풀제거챔버(122)에 설치되어 보풀제거부(120)와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세척부(50,60,70)는 김발(2)을 여러 단계에 걸쳐 세척할 수 있도록 다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척부(50,60,70)는 김발(2)을 3단계에 걸쳐 세척할 수 있도록 1차,2차,3차세척유닛(50,60,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세척유닛(50)은 1차세척챔버(52)와, 1차노즐(54)들과, 1개의 1차브러시(56)를 포함할 수 있다.
1차세척챔버(52)는 베이스 프레임(32,42) 위에 설치된다. 1차세척챔버(52)는 제1이송부(30) 관통될 수 있도록 제1이송부(30)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1차세척챔버(52)의 상면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토록 투시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1차노즐(54)은 1차세척챔버(52) 내부를 관통하여 이송되는 김발(2) 위에 공기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1차세척챔버(52) 상측부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또는 1차노즐(54)은 1차세척챔버(52)의 하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1차노즐(54)은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1차브러시(56)보다 앞쪽에 한 세트, 1차브러시(56)보다 뒤쪽에 또 다른 한 세트가 설치될 수 있다. 각 세트의 1차노즐(54)들은 이송부(30,40)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1차브러시(56)보다 앞쪽에 설치되는 세트의 1차노즐(54)들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김발의 이송방향으로만 분사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예컨대 60도 정도로 분사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1차브러시(56)보다 뒤쪽에 설치되는 세트의 1차노즐(54)들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김발의 이송방향 전후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예컨대 120도 정도로 분사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1차 세척시에는 공기만 분사될 수 있도록 1차노즐(54)들은 세척용 링브로(ring blower)(150)와 연결될 수 있다. 세척용 링브로워(150)는 베이스 프레임(32) 하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1차브러시(56)는 이송부(30,40)의 폭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1차브러시(56)는 제1이송부(30)의 가이드 벨트(34)의 상하로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1차브러시(56)는 이송부(30,40)의 폭방향을 축으로 하여 설치되는 브러시 원통(56a)과, 브러시 원통(56a)의 외측면에 식모되는 브러시 모(5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브러시(56)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탄성력에 의해 1차브러시(56)가 김발(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1차브러시용 스프링(58)이 설치될 수 있다.
2차세척유닛(60) 또한 2차세척챔버(62)와, 2차노즐(64)들과, 3개의 2차브러시(66)들과, 2차브러시용 스프링(68)으로 구성될 수 있다. 2차세척챔버(62)의 상면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토록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2차노즐(64)들은 세척용 링브로워(150)와 연결되어 김발(2)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거나, 세척수 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김발(2)을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3개의 2차브러시(66)들은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2차세척유닛(60) 중간에는 세척용 스폰지 롤러(160)가 더 설비될 수 있다. 세척용 스폰지 롤러(160)는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3개의 2차브러시(66)들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2차브러시(66) 사이에 설비될 수 있다. 세척용 스폰지 롤러(160)는 제1이송부(30)의 가이드 벨트(34) 위에서 회전하면서 김발(2)에 밀착되도록 2차세척챔버(6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용 스폰지 롤러(160)는 이송부(30,40)의 폭방향을 축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162)와, 회전체(162)의 외측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김발(2)에 밀착되는 스폰지 부재(164)와, 스폰지 부재(164) 위에 상하로 탄성 가능토록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세척용 스폰지 롤러(160)가 김발(2)에 밀착되게 하는 스폰지 롤러용 스프링(166)을 포함할 수 있다.
3차세척유닛(70) 또한 3차세척챔버(72)와, 3차노즐(74)들과, 1개의 3차브러시(76)와, 3차브러시용 스프링(78)으로 구성될 수 있다. 3차노즐(74)들은 세척용 링브로워(150) 또는 세척수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1차 송풍부(80)는 세척부(50,60,70)의 어느 한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김발(2)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차 송풍부(80)는 2차세척유닛(60)에서 3차세척유닛(70)으로 이송되는 김발(2)의 이송 경로상에 설비되어 마지막 3차세척유닛(70)의 세척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1차 송풍부(80)는 제1이송부(30)의 베이스 프레임(32) 하측부에 설치되는 1차 송풍용 링브로워(82)와, 1차 송풍용 링브로워(82)와 연결되며 제1이송부(30)의 가이드 벨트(34) 위에 설치되어 가이드 벨트(34) 위 김발(2)을 향해 압송된 공기를 분사하는 1차 송풍용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처리부(90)는 세척부(50,60,70)에 의해 세척 완료된 김발(2)의 표면을 코팅시킨다. 표면처리부(90)는 김발 이송방향을 따라 3차세척유닛(70) 바로 뒤에 설치될 수 있다. 표면처리부(90)는 표면처리챔버(92)와, 코팅액 공급유닛(93)과, 표면처리용 노즐(94)과, 표면처리용 롤러(96,97)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처리챔버(92)는 제1이송부(30) 관통될 수 있도록 김발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제1이송부(30)의 가이드 벨트(34)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표면처리용 노즐(94)은 김발(2)을 향해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표면처리챔버(92)의 상측부와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표면처리용 롤러(96,97)는 코팅액이 김발(2) 표면에 빈틈없이 고르게 할 수 있도록 스폰지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표면처리용 롤러(96,97)는 이송부(30,40)의 폭방향을 축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표면처리용 회전축(96a,97a)과, 표면처리용 회전축(96a,97a)의 외측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끼워지며 김발(2)에 밀착되는 표면처리용 스폰지 부재(96b,9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처리용 롤러(96,97)는 표면처리품질을 위해, 쌍을 이루어 가이드 벨트(34) 상하로 배열되는 두 쌍의 제1표면처리용 롤러(96)와, 가이드 벨트(34)의 상측에만 배열된 2개의 제2표면처리용 롤러(97)로 이루어질 수 이다. 두 쌍의 제1표면처리용 롤러(96)는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2표면처리용 롤러(97)보다 앞쪽에 설치되며, 제2표면처리용 롤러(97)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송풍부(100)는 표면처리부(90)에 의해 표면처리된 김발(2)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것으로, 제1이송부(30)의 베이스 프레임(32) 하측부에 설치되는 2차 송풍용 링브로워(102)와, 2차 송풍용 링브로워(102)와 연결되며 제1이송부(30)의 가이드 벨트(34) 위에 설치되어 가이드 벨트(34) 위 김발(2)을 향해 압송된 공기를 분사하는 2차 송풍용 노즐(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2차 송풍용 노즐(104)은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이송부(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는 제1이송부(30)의 가이드 벨트(34) 밑에 설치되어 김발(2)들로부터 떨어진 오염수가 집진되는 1차, 2차 물받이(200,20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부(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는 1차, 2차 물받이(200,202)에 집진된 오염수가 포집되는 1차,2차 물통(210,212)이 설치될 수 있다. 1차 물받이(200)는 김발 이송방향을 따라 1차세척유닛(50)의 시작 부분에서 3차세척유닛(70) 바로 앞에까지 걸쳐 설치될 수 있다. 2차 물받이(202)는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3차세척유닛(70)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1차,2차 물통(210,212)은 오염수를 처리하는 오염수 처리부(220)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부(30)의 베이스 프레임(32)에는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3차세척유닛(70)에서 후술할 2차 송풍기 설치 부분까지 설치되어 잔류 코팅액이 집진되는 약물받이(204)와, 약물받이(204) 하측에 설치되어 집진된 잔류 코팅액이 포집되는 약물통(214)이 설치될 수 있다.
건조부(110)는 2차 송풍부(100)를 거쳐 이송되어 온 김발(2)을 열풍 건조한다. 건조부(110)는 건조 챔버(112)와, 건조용 열교환기(114)와, 건조용 송풍기(1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챔버(112)는 제2이송부(40)의 베이스 프레임(42) 위에 설치되며, 제2이송부(40)의 가이드 벨트가 관통되는 것 외에 열풍 손실이 없도록 밀폐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건조 챔버(112)에는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에 각각 열풍이 순환되는 건조용 순환 파이프(118)가 연결될 수 있다. 건조 챔버(112)의 일측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토록 투명창(112a)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용 열교환기(114) 및 건조용 송풍기(116)는 제2이송부(40)의 베이스 프레임(42)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부(110)에 의한 건조 온도는 김발(2)의 발장살, 엮음실의 소재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김발(2)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살균도 가능토록 대략 70도 정도가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보풀제거부(120)는 건조부(110)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부(110)에 의해 건조된 김발(2)의 보풀을 태워 제거한다. 보풀제거부(120)는 김발 이송방향을 따라 건조부(110)에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보풀제거부(120)는 보풀제거챔버(122)와, 보풀제거용 열교환기(124)와, 보풀제거용 송풍기(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풀제거챔버(122)는 제2이송부(40)의 베이스 프레임(42) 위에 설치되며, 제2이송부(40)의 가이드 벨트가 관통되는 것 외에 열풍 손실이 없도록 밀폐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보풀제거챔버(122)에는 김발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에 각각 열풍이 순환되는 보풀제거용 순환 파이프(128)가 연결될 수 있다. 보풀제거챔버(122)의 일측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토록 투명창(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보풀제거용 열교환기(124) 및 보풀제거용 송풍기(126)는 제2이송부(40)의 베이스 프레임(42)에 설치될 수 있다. 보풀제거부(120)에 의한 보풀제거온도는 김발(2)의 발장살, 엮음실의 소재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풀제거온도는 김발(2)의 발장살 및 엮음실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엮음실이나 발장살의 표면에 일어난 미세 보풀만 고열에 의해 그슬려 태워질 수 있도록 대략 120도 전후가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김발(2)을 세척하기 전에 김발(2)을 세척수에 불리는 애벌공정라인(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애벌공정라인(1)은 이송부(30,40)에 의한 자동 이송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김발 불림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감안하여 이송부(30,40)에 의한 세척공정라인과 구조적으로 별도로 설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린 김발(2)들을 입고부(10)에 투입하면, 김발(2)들이 이송부(30,40)의 폭방향으로 다수 열로 정렬된 상태로 제1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된다. 제1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는 김발(2)들은 먼저 1차세척유닛(50)에 의해 1차 세척된다. 즉 1차노즐(54)로부터 김발(2)을 향해 공기가 분사되면서 김발(2)에 붙어있는 김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날려 제거되고, 1차브러시(56)의 회전 마찰에 의해 김발(2)이 닦이면서 또한 이물질이 제거된다.
1차 세척 후 김발(2)들은 제1이송부(30)에 의해 2차세척유닛(60)으로 이송되어 2차 세척된다. 2차 세척시에도 마찬가지로 2차노즐(64)로부터 김발(2)을 향해 공기나 세척수가 분사되고, 김발(2)이 2차브러시(66)와 회전 마찰되어 김발(2)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와 아울러 2차 세척 중 세척용 스폰지 롤러(160)에 의해 젖은 김발(2)이 닦아지면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2차 세척 후 김발(2)들은 제1이송부(30)에 의해 1차 송풍부(80)로 이송된다. 1차 송풍부(80)에서는 김발(2)을 향해 공기가 압송되면서 김발(2)에 남아 있던 이물질 및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1차세척유닛(50) 및 2차세척유닛(60), 그리고 1차 송풍부(80)에 의해 김발(2)로부터 제거된 이물질 및 김발(2)로부터 흘러내린 수분은 1차 물받이(200)에 의해 집진되어 1차 물통(210)에 수거된다.
다음, 김발(2)들은 1차 송풍부(80)를 지나 제1이송부(30)에 의해 3차세척유닛(70)으로 이송되어 3차 세척된다. 3차 세척시에도 마찬가지로 3차노즐(74)로부터 김발(2)을 향해 공기나 세척수가 분사되고, 김발(2)이 3차브러시(76)와 회전 마찰되어 김발(2)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제거된다.
3차 세척까지 마친 김발(2)들은 세척 완료되어 충분히 깨끗한 상태로 재생될 수있다.
3차 세척시 김발(2)로부터 제거된 이물질 및 수분은 2차 물받이(202)에 집진된 다음 2차 물통(212)에 수거된다.
3차 세척 후 김발(2)들은 제1이송부(30)에 의해 표면처리부(90)로 이송된다. 표면처리부(90)에서는 표면처리용 노즐(94)로부터 김발(2)을 향해 코팅액이 분사되고, 김발(2) 위에 분사된 코팅액이 1차, 2차 표면처리용 스폰지 롤러(96,97)에 의해 빈틈없이 고르게 김발(2) 표면에 코팅된다.
표면처리 후, 김발(2)은 제1이송부(30)에 의해 2차 송풍부(100)로 이송된다. 2차 송풍부(100)에서 김발(2)을 향해 공기가 압송되면서 김발(2)에 코팅된 코팅액 속 수분이 제거되어 김발(2)의 코팅액이 빠르게 건조되며, 김발(2)의 표면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김발(2)이 제1이송부(30)에 의해 표면처리부(90) 및 2차 송풍부(100)에 이송되는 동안 김발(2)로부터 흘러내린 코팅액 및 수분은 약물받이(204)에 집진되어 약물통(214)에 수거된다.
2차 송풍부(100)에 의해 공정까지 마친 김발(2)들은 제2이송부(40)에 의해 건조부(110)로 이송된다. 건조부(110)에서는 건조용 순환 파이프(118)에 의해 건조 챔버(112)를 순환하는 공기가 건조용 열교환기(114)에 의해 건조 온도로 가열되어 공급됨으로써, 건조 챔버(112)를 순환하는 열풍에 의해 김발(2)에 남아 있는 수분이 제거되면서 살균 처리된다.
건조 후 김발(2)은 제2이송부(40)에 의해 보풀제거부(120)로 이송된다. 보풀제거챔버(122)에는 건조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이 순환되기 때문에 김발(2)의 발장살이나 엮음실의 미세 보풀이 그을려 태워짐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보풀까지 제거된 김발(2)은 세척공정이 완료되며, 제2이송부(40)에 의해 출고부(10)로 이송된다.
출고부(10)로 이송된 김발(2)들은 1~2열 단위로 분류 라인(21,22,23)에 의해 분류된 다음, 하적 라인(24)에 하적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포장 라인(130) 등으로 이송된다.
이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되는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다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세척부의 브러시(300)가 모터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브러시 왕복 유동부(310)에 의해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왕복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브러시(300)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부의 폭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브러시(300)는 브러시 왕복 유동부(310)에 의해 브러시(300)의 회전축방향, 즉 이송부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 원통(302)의 일측 단부는 모터의 회전축(320)과 결합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320)의 끝단에는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300)를 향해 일정 길이의 제1가이드 핀(322)이 돌출될 수 있다. 제1가이드 핀(322)은 브러시(300)가 모터의 회전축(320)과 일체로 회전 가능토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 원통(302)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제1가이드 핀(322)이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끼워지되, 브러시(300)가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 가능토록 끼워질 수 있는 제1가이드 홈(302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원통(302)의 나머지 타측 단부는 브러시(300)의 축방향으로 브러시(300)와 일렬로 배열되어 고정된 브러시 브라켓(330)과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 브라켓(330)에는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300)를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된 제2가이드 핀(332)이 돌출될 수 있다. 제2가이드 핀(332)은 브러시(300)가 브러시 브라켓(33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토록 브러시(300)의 축중심에 대응되는 1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 원통(302)의 타측 단부에는 제2가이드 핀(332)이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끼워지되,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300)가 왕복 유동 가능토록 끼워지는 제2가이드 홈(302b)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320)과 브러시 브라켓(330)의 사이 간격은 그 사이에서 브러시(300)가 왕복 유동 가능토록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3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계된다.
브러시 왕복 유동부(310)는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300)를 왕복 유동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이든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브러시 왕복 유동부(310)는 자력에 의해 브러시(300)를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전자석(312)과,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300)를 전자석(312)에 의한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탄성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312)은 고정된 브러시 브라켓(3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브러시 브라켓 측 브러시(300)의 타측 단부에는 전자석(312)과의 사이에 자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금속체가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314)는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체(314)는 모터의 회전축(320)과 브러시(300)의 일측 단부 사이에 하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14)는 브러시(300)의 타측 단부와 브러시 브라켓(330) 사이에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브러시 모(304)는 김발(2)의 발장살 사이 틈새까지 침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브러시 원통(302)과 김발(2) 사이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에 의해 브러시(300)가 회전되면서 김발의 이송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브러시 모(304)가 김발(2)과 마찰된다.
이와 아울러 전자석(312)의 전원 온(ON)시 전자석(312)에 의해 형성된 자력에 의해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브러시(300)가 전자석(312) 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탄성체(314)가 탄성 변형되며, 전원 오프(OFF)시 탄성체(3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브러시(300)가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자석(312)의 전원을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키면 브러시(300)가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된다. 이에 따라서 브러시(300)의 회전 및 왕복 이송에 의해 김발(2)이 브러시(300)와 마찰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특히 김발(2)의 발장살 사이 틈새로 침투된 브러시 모(304)가 김발(2)의 발장살 사이 틈새에서 브러시(30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되며 김발(2)의 발장살 사이 틈새까지 깨끗하게 세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입고부 20; 출고부
30; 제1이송부 40; 제2이송부
50; 1차세척유닛 60; 2차세척유닛
70; 3차세척유닛 80; 1차 송풍부
90; 표면처리부 100; 2차 송풍부
110; 건조부 120; 보풀제거부
310; 브러시 왕복 유동부 312; 전자석
314; 탄성체

Claims (5)

  1. 김발을 세척공정 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김발에 공기와 세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면서 브러시를 마찰시켜 세척하며, 상기 김발을 여러 단계에 걸쳐 세척할 수 있도록 다단계로 이루어진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의 어느 한 단계에서 그 다음 단계로 이송되는 김발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송풍부와;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척 완료된 김발의 표면을 코팅시키는 표면처리부와;
    상기 표면처리부에 의해 표면처리된 김발을 향해 공기를 압송하는 2차 송풍부와;
    상기 2차 송풍부를 거쳐 이송되어 온 김발을 열풍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상기 건조부에 의해 건조된 김발의 보풀을 태워 제거하는 보풀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김발을 3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1차,2차,3차세척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세척유닛 중간에 설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의 표면에 밀착되는 세척용 스폰지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세척유닛에서 상기 3차세척유닛으로 이송되는 김발의 이송 경로상에 상기 1차 송풍부가 하나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이송부의 폭방향을 축으로 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브러시 왕복 유동부에 의해 상기 브러시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유동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의 모는 상기 김발의 발장살들 사이 틈새에 침투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 왕복 유동부는 자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를 상기 회전 축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전자석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를 상기 전자석에 의한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시작부분에 설치되어 김발들이 입고되는 입고부와, 이송부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세척 완료된 김발들이 출고되는 출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고부는 여러 장의 김발이 상기 이송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정렬되어 입고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배열된 복수개의 입고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고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다수 열로 정렬 이송된 김발들을 1~2열 단위로 분류하여 이송하는 복수개의 분류 라인들과, 복수개의 분류 라인들로부터 김발들이 하나씩 이송되어 하적방향을 따라 일렬로 하적되는 하적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발을 상기 세척부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김발을 불리는 애벌공정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KR1020190149027A 2019-11-19 2019-11-19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KR10224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27A KR102240056B1 (ko) 2019-11-19 2019-11-19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27A KR102240056B1 (ko) 2019-11-19 2019-11-19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056B1 true KR102240056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27A KR102240056B1 (ko) 2019-11-19 2019-11-19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0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514A (ko) 2009-04-27 2009-07-01 황용안 김양식용 김발 세척 시스템
KR20090011925U (ko) * 2008-05-20 2009-11-25 정봉옥 회전구동장치와, 이를 이용한 회전구동 세척솔
KR101706566B1 (ko) * 2015-12-01 2017-02-15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제거장치
KR20180086689A (ko)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씨앤엔솔루션 어망 세척 및 건조 설비
KR102044661B1 (ko) * 2019-07-05 2019-11-13 김영오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925U (ko) * 2008-05-20 2009-11-25 정봉옥 회전구동장치와, 이를 이용한 회전구동 세척솔
KR20090071514A (ko) 2009-04-27 2009-07-01 황용안 김양식용 김발 세척 시스템
KR101706566B1 (ko) * 2015-12-01 2017-02-15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제거장치
KR20180086689A (ko) * 2017-01-23 2018-08-01 주식회사 씨앤엔솔루션 어망 세척 및 건조 설비
KR102044661B1 (ko) * 2019-07-05 2019-11-13 김영오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58B1 (ko) 구근류 세척 및 건조장치
CN101069575B (zh) 清洗水果蔬菜表面的方法及系统
US20130014783A1 (en)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in particular glass panes
KR20170135508A (ko) 오목한 꼭지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과일세척장치
KR20120139927A (ko) 파레트 살균 소독 장치
CN211571148U (zh) 一种纺织面料清洗装置
US2979746A (en) Egg washing machine
CN208513283U (zh) 一种周转箱清洗杀菌线
KR102240056B1 (ko)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JP3119137B2 (ja) 殻付卵の洗浄殺菌装置
KR20090009500A (ko) 농작물 세정 장치
JP2002220110A (ja) 卵搬送コンベア
JP4168175B2 (ja) 鶏卵あるいは球状果菜類の表面付着物除去装置
JP2006263654A (ja) 洗浄装置
KR20020026618A (ko) 고구마 자동 세척시스템
KR200412096Y1 (ko) 자동 골프채 세척기
KR101881670B1 (ko) 신발 세척장치
KR20230000716A (ko) 식판 세정 시스템
KR200304701Y1 (ko) 계란세척기
JP3549875B2 (ja) 野菜洗浄装置
KR200276517Y1 (ko) 식기 및 불판 세척기
CN214022487U (zh) 一种鸡蛋托底板清洗机
JP2000139811A (ja) 履物洗浄装置
JPH11155413A (ja) 卵の処理装置
KR20030018699A (ko) 반도체 패키지의 세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