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661B1 -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 Google Patents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661B1
KR102044661B1 KR1020190081620A KR20190081620A KR102044661B1 KR 102044661 B1 KR102044661 B1 KR 102044661B1 KR 1020190081620 A KR1020190081620 A KR 1020190081620A KR 20190081620 A KR20190081620 A KR 20190081620A KR 102044661 B1 KR102044661 B1 KR 10204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triking
nets
roller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오
Original Assignee
김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오 filed Critical 김영오
Priority to KR102019008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35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4Rotary sca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물을 안착시켜 이송하도록 컨베어벨트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면에 적재함이 형성된 적재 이송부; 상기 적재 이송부에서 이송된 그물이 수납되는 함체와, 함체 내에 형성된 마이크로파 조사기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시키는 그물 건조부; 상기 그물 건조부에서 건조된 그물을 이송하며 다수의 롤러와, 다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컨베어벨트로 구성된 1차 배출부; 상기 1차 배출부에서 배출된 건조된 그물을 보관하고 넓게 펼쳐서 이송하는 그물투입부; 상기 그물투입부에서 투입된 그물의 상,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하도록 한쌍의 상,하부롤러로 된 1차 이송롤러부와, 상기 1차 이송롤러부의 하부롤러에 지지되어 통과하는 그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이 낙하하도록 하는 타격봉이 형성된 타격롤러가 형성된 타격함체로 구성된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서 배출되는 그물을 저장하는 2차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Maintenance equipment for fishing nets}
본 발명은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로 작업 후 그물에 잔재하는 해산물 찌꺼기와 포자 등을 제거하도록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업에 사용되는 각종 그물은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바다의 각종 생물이 그물에 부착되어 어망의 중량증가, 유수 저항 증가, 조류 방해등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어업용 그물은 일정 기간 사용 후에 재사용을 위해서 그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세척 과정은 햇볕에 그물을 자연 건조시켜서 부착물(유기물)을 썩히고, 건조된 그물을 다시 털이 기구(도리깨 등)를 이용하여 털어내는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많은 노동력과 작업 시간의 요구 및 주변 환경 오염의 문제를 야기하여왔다.
이를 개선하고자 다양한 기술이 특허출원된 바 있고,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8-0082313호, 제20-2009-0003645호 등에서, 자동화된 그물 세척 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종래 그물 세척 장치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그물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이물질을 터는 과정과 세척 과정에서 그물이 훼손되거나 이물질이 잘 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업이 끝난 그물에 남아있는 해조류, 균류 등의 잔재 이물질을 건조 공정과 타격공정에 의해 털어냄으로써 새로 정비하기 편리하고, 이물질 제거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공간에서 신속한 재정비가 가능해지도록 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물을 안착시켜 이송하도록 컨베어벨트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면에 적재함이 형성된 적재 이송부; 상기 적재 이송부에서 이송된 그물이 수납되는 함체와, 함체 내에 형성된 마이크로파 조사기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시키는 그물 건조부; 상기 그물 건조부에서 건조된 그물을 이송하며 다수의 롤러와, 다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컨베어벨트로 구성된 1차 배출부; 상기 1차 배출부에서 배출된 건조된 그물을 보관하고 넓게 펼쳐서 이송하는 그물투입부; 상기 그물투입부에서 투입된 그물의 상,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하도록 한쌍의 상,하부롤러로 된 1차 이송롤러부와, 상기 1차 이송롤러부의 하부롤러에 지지되어 통과하는 그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이 낙하하도록 하는 타격봉이 형성된 타격롤러가 형성된 타격함체로 구성된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서 배출되는 그물을 저장하는 2차 배출부;를 포함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이송롤러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그물을 펼쳐서 수평상태로 타격함체에 인입되도록 하는 그물전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물전개부는 그물의 양단부를 협지하도록 양측에 이격되어 대칭형성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송급풀리와, 상기 송급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전개부의 송급풀리에서 이송된 그물이 양측으로 펴진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측에 대칭형성되며, 상부슬롯판과 하부 슬롯판이 상하 배치되고 그 사이에 그물이 통과하는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양측 가이드부재 사이에 대칭 형성되어 그물이 지지되어 이송되도록 회전하는 급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 슬롯판의 일단이 상부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판이 형성되어 그물이 경사판에 지지되어 외측으로 당겨져 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와 타격함체의 인입부사이에 형성되어 그물을 당겨서 타격함체로 공급하는 인입풀리와, 상기 인입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풀리는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하 한쌍의 이송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그물이 통과되도록 다수쌍의 이송롤러가 수평하게 형성된 견인이송부; 상기 타격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견인이송부의 한쌍의 이송롤러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 이송롤러 보다 하부에 형성되며 그물이 지지되어 만곡지게 통과되도록 하는 복수의 견인운반롤러; 2개의 견인운반롤러 사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타격봉이 형성되고, 다수의 타격봉이 2개의 견인운반롤러의 외주면을 접촉하면서 타격하도록 하는 타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봉은 타격롤러에 부착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외관체; 상기 외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체; 상기 외관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탄성체에의해 신축작동되며 선단부가 견인운반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타격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운반롤러는 외면에 다수의 돌출된 헤드가 형성되고, 각 헤드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타격봉의 타격시 스프링에 의해 진동력이 극대화될 수 있어 그물을 털어내는 힘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함체에 연결되어 타격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타격함체의 출구에 연결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된 분진을 포집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포집된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에서 배출된 분진을 보관하여 숙성시켜 퇴비화시키는 퇴비탱크 및 상기 퇴비탱크에 형성되어 숙성된 퇴비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업이 끝난 그물에 남아있는 해조류, 균류 등의 잔재 이물질을 건조 공정과 타격공정에 의해 털어냄으로써 미세 균류 포자까지 제거할 수 있어 청결한 세척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러한 그물의 이물질 제거 및 건조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공간에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의 절감과 면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제거된 해조류 찌꺼기는 퇴비로 재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식물의 양분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선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의 '타격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타격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의 '그물전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의 '타격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타격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의 '그물전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는, 그물을 안착시켜 이송하도록 컨베어벨트(21)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어벨트(21)의 상면에 적재함(22)이 형성된 적재 이송부(2); 상기 적재 이송부(2)에서 이송된 그물(100)이 수납되는 함체(30)와, 함체(30) 내에 형성된 마이크로파 조사기(31)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시키는 그물 건조부(3); 상기 그물 건조부(3)에서 건조된 그물을 이송하며 다수의 롤러(41)와, 다수의 롤러(41)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컨베어벨트(42)로 구성된 1차 배출부(4); 상기 1차 배출부에서 배출된 건조된 그물을 보관하고 넓게 펼쳐서 이송하는 그물투입부(5); 상기 그물투입부(5)에서 투입된 그물의 상,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하도록 한쌍의 상,하부롤러(610,620)로 된 1차 이송롤러부(61)와, 상기 1차 이송롤러부(61)의 하부롤러(620)에 지지되어 통과하는 그물(100)을 타격하여 이물질이 낙하하도록 하는 타격봉(63)을 갖는 타격롤러(62)가 형성된 타격함체(64)로 구성된 타격부(6); 상기 타격부(6)에서 배출되는 세척된 그물(100)을 저장하는 2차 배출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차 이송롤러부(61)의 일단에 형성되며 그물(100)을 펼쳐서 수평상태로 타격함체(64)에 인입되도록 하는 그물전개부(8)가 그물투입부(5)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그물전개부(8)는 그물(100)의 양단부를 협지하도록 양측에 이격되어 대칭형성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송급풀리(82)와, 상기 송급풀리(8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그물전개부(8)의 송급풀리(82)에서 이송된 그물(100)이 양측으로 펴진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간격유지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측에 구비된 송급풀리(82)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물(100)을 끌어당겨서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9)는 양측에 대칭형성되며, 상부 슬롯판(921)과 하부 슬롯판(922)이 상하 배치되고 그 사이에 그물(100)이 통과하는 슬롯(93)이 형성된 가이드부재(92)와, 양측 가이드부재(92) 사이에 대칭 형성되어 그물(100)이 지지되어 이송되도록 회전하는 급송롤러(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유지부(9)의 가이드부재(92)는 상부 슬롯판(921)과 하부 슬롯판(922)이 상하에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그물(100)의 양측단이 통과되도록 슬롯(9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슬롯판(922)은 일단이 상부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판(923)이 형성되어 그물(100)이 경사판(923)에 지지되어 외측으로 당겨져 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물(100)의 양측단에 납추가 구비되어 무게 중심이 쏠리게 되므로 그물(100)의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10~20cm 안쪽부위를 상부로 들어줌으로써 그물 양측단이 고르게 펼쳐지도록 하여 그물(100)의 엉킴이나 뭉침이 방지될 수 있고 전반적으로 고르게 펴진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이물질 제거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92)의 단부와 타격함체(64)의 인입부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100)을 당겨서 타격함체(64)로 공급하는 인입풀리(96)와, 상기 인입풀리(96)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인입풀리(96)를 회전시키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풀리(96)는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서 그물(100)을 돌기에 걸어 끌어당길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입풀리(96)는 외주면에 우레탄 혼합물이 코팅되어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그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원활하게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혼합물의 일 실시예는, 우레탄 혼합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우레탄 70~80중량부, 폴리아미드 5~8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 3~4중량부, 스티렌 고무 10~11중량부,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ecopolymer) 10~12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ecopolymer)는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도막의 방오성, 방식성, 내후성, 내열성, 전기절연성, 신장성과 균일한 경화성 및 부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우레탄 혼합물의 다른 실시예는, 우레탄 혼합물 100중량을 기준으로, 우레탄 70~80중량부, 폴리아미드 5~8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 3~4중량부, 스티렌 고무 10~13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5~8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2Sodiumcarboxymethylcellulose)은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도막의 고온성, 내염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분산안정성, 거품안정성, 내마모성과 균 일한 경화성 및 부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타격함체(64)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하 한쌍의 이송롤러(61)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롤러(61) 사이에 그물(100)이 통과되도록 다수쌍의 이송롤러(61)가 수평하게 형성된 견인이송부(T);
상기 타격함체(64)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견인이송부(T)의 한쌍의 이송롤러(61)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 이송롤러(61) 보다 하부에 형성되며 그물(100)이 지지되어 만곡지게 통과되도록 하는 복수의 견인운반롤러(67);
2개의 견인운반롤러(67) 사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타격봉(63)이 형성되고, 다수의 타격봉(63)이 2개의 견인운반롤러(67)의 외주면을 접촉하면서 타격하도록 하는 타격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격봉(63)은 타격롤러(62)에 부착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외관체(622); 상기 외관체(622)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체(623); 상기 외관체(622)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탄성체(623)에 의해 신축작동되며 선단부가 견인운반롤러(67)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타격하는 헤드부재(6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체(623)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헤드부재(624)는 반구형이며 탄성을 갖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운반롤러(67)는 외면에 다수의 돌출된 헤드(672)가 형성되고, 각 헤드(672)는 스프링(674)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타격봉(63)의 타격시 스프링(674)에 의해 진동력이 극대화될 수 있어 그물(100)을 털어내는 힘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타격함체(64)의 내부에는 타격 후 이송되는 그물(100)의 표면에 방향물질을 분사하여 코팅되도록 하는 방향물질코팅부(69);가 포함될 수 있다.
방향물질코팅부(69)는 방향물질을 무화상태로 분무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물질은 기능성 오일이며, 방향제 80~90중량%에 기능성 오일 10~20중량%가 혼합되며, 상기 기능성 오일은 라벤더 에센셜오일 40중량%와, 레몬 에센셜오일 40중량%와, 솔잎추출 오일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방향물질은 실리콘과 항균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항균제는 세균을 죽이는 기능을 하게 되며, 무기계 항균제와 유기계 항균제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계 항균제가 적용된다.
무기계 항균제로는 나노입자의 수산화 알루미늄(Al(OH)3), 나노입자의 수산화 지르코늄(Zr(OH)4), 나노입자의 은(Ag), 나노입자의 백금(Pt)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택일된다.
한편 상기 타격함체(64)에 연결되어 타격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900)는 타격함체(64)의 출구에 연결되는 흡입부(910)와, 상기 흡입된 분진을 포집하는 챔버(930)와, 상기 챔버(930)에 포집된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덕트(920)와, 상기 배출덕트(920)에서 배출된 분진을 보관하여 숙성시켜 퇴비화시키는 퇴비탱크(940) 및 상기 퇴비탱크(940)에 형성되어 숙성된 퇴비를 배출하는 토출구(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타격후 발생된 해조류 분진 등을 흡입하여 퇴비탱크(940)로 집진시킨 후 이를 용기에 담아 외부로 반출하고, 이 해조류 분진은 영양분이 높으므로 작물의 퇴비로 사용되어 식물의 생장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적재 이송부 3 : 그물 건조부
4 : 1차 배출부 5 : 그물투입부
6 : 타격부 7 : 2차 배출부
8 : 그물전개부 22 : 적재함
31 : 마이크로파 조사기 61 : 1차 이송롤러부
62 : 타격롤러 64 : 타격함체
82 : 송급풀리 92 : 가이드부재
94 : 급송롤러 96 : 인입풀리
100 : 그물

Claims (10)

  1. 그물을 안착시켜 이송하도록 컨베어벨트가 형성되고, 상기 컨베어벨트의 상면에 적재함이 형성된 적재 이송부;
    상기 적재 이송부에서 이송된 그물이 수납되는 함체와, 함체 내에 형성된 마이크로파 조사기에 의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시키는 그물 건조부;
    상기 그물 건조부에서 건조된 그물을 이송하며 다수의 롤러와, 다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컨베어벨트로 구성된 1차 배출부;
    상기 1차 배출부에서 배출된 건조된 그물을 보관하고 넓게 펼쳐서 이송하는 그물투입부;
    상기 그물투입부에서 투입된 그물의 상,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하도록 한쌍의 상,하부롤러로 된 1차 이송롤러부와, 상기 1차 이송롤러부의 하부롤러에 지지되어 통과하는 그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하는 타격롤러가 형성된 타격함체로 구성된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서 배출되는 세척된 그물을 저장하는 2차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이송롤러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그물을 펼쳐서 수평상태로 타격함체에 인입되도록 하는 그물전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물전개부는
    그물의 양단부를 협지하도록 양측에 이격되어 대칭형성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송급풀리와, 상기 송급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그물전개부의 송급풀리에서 이송된 그물이 양측으로 펴진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양측에 대칭형성되며, 상부슬롯판과 하부 슬롯판이 상하 배치되고 그 사이에 그물이 통과하는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양측 가이드부재 사이에 대칭 형성되어 그물이 지지되어 이송되도록 회전하는 급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부 슬롯판의 일단이 상부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경사판이 형성되어 그물이 경사판에 지지되어 외측으로 당겨져 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와 타격함체의 인입부사이에 형성되어 그물을 당겨서 타격함체로 공급하는 인입풀리와, 상기 인입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풀리는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하 한쌍의 이송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롤러 사이에 그물이 통과되도록 다수쌍의 이송롤러가 수평하게 형성된 견인이송부;
    상기 타격함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견인이송부의 한쌍의 이송롤러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 이송롤러 보다 하부에 형성되며 그물이 지지되어 만곡지게 통과되도록 하는 견인운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롤러는 2개의 견인운반롤러 사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타격봉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타격봉이 2개의 견인운반롤러의 외주면을 접촉하면서 타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은
    상기 타격롤러에 부착되고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외관체;
    상기 외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체;
    상기 외관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탄성체에의해 신축작동되며 선단부가 견인운반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타격하는 헤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운반롤러는
    외면에 다수의 돌출된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타격봉의 타격시 스프링에 의해 진동력이 극대화될 수 있어 그물을 털어내는 힘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1620A 2019-07-05 2019-07-05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KR10204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620A KR102044661B1 (ko) 2019-07-05 2019-07-05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620A KR102044661B1 (ko) 2019-07-05 2019-07-05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661B1 true KR102044661B1 (ko) 2019-11-13

Family

ID=6853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620A KR102044661B1 (ko) 2019-07-05 2019-07-05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6B1 (ko) * 2019-11-19 2021-04-13 강양구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82A (ko) * 2000-12-21 2002-06-27 김수태 폐자재를 이용한 보일러 시스템
KR20100111978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그물 정렬 장치
KR20120012925A (ko) * 2010-08-03 2012-02-13 정덕수 정치어망 청소장치
KR101545845B1 (ko) * 2015-04-10 2015-08-20 극동환경화학 주식회사 어망 건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72662B1 (ko) * 2018-02-21 2018-06-28 주식회사 비케이에스 기능성 양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82A (ko) * 2000-12-21 2002-06-27 김수태 폐자재를 이용한 보일러 시스템
KR20100111978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그물 정렬 장치
KR20120012925A (ko) * 2010-08-03 2012-02-13 정덕수 정치어망 청소장치
KR101545845B1 (ko) * 2015-04-10 2015-08-20 극동환경화학 주식회사 어망 건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72662B1 (ko) * 2018-02-21 2018-06-28 주식회사 비케이에스 기능성 양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6B1 (ko) * 2019-11-19 2021-04-13 강양구 양식장용 김발 세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2430B1 (ja) 旋転送風機能を有する医療器械消毒乾燥設備
CN209423945U (zh) 一种环保家具生产油漆喷涂装置
KR101217090B1 (ko) 정치어망 청소장치
CN210773274U (zh) 一种用于甲壳素提取的烘干除杂一体化装置
KR101545845B1 (ko) 어망 건조 및 이물질 제거장치
CN103931520B (zh) 自动禽蛋清洗机
KR102044661B1 (ko) 어업용 그물의 정비장치
CN206683370U (zh) 一种罐头清洗及烘干设备
KR101190617B1 (ko) 과일 열수 세척장치
CN211571148U (zh) 一种纺织面料清洗装置
KR20120139927A (ko) 파레트 살균 소독 장치
KR101557047B1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CN209504268U (zh) 一种冻肉切片机的高效清洁送料系统
CN107821224A (zh) 养鸡场鸡粪自动收集装置
JP3580865B2 (ja) 蚕の無菌飼育方法
JP2020051657A (ja) 換気装置
CN211096326U (zh) 一种规模化猪养殖场消毒装置
CN106490647A (zh) 一种蔬菜清洗干燥系统
CN113418373A (zh) 一种有机无机复混肥用的烘干设备
CN109500056B (zh) 垃圾分拣机
KR100772209B1 (ko) 2단 고추 건조장치
KR102179662B1 (ko) 이동 설치형 집란기용 그립퍼 세척장치
KR20160004616A (ko) 외기의 소독 및 이물질 제거가능한 외기공급장치
JP4711047B2 (ja) 野菜等の洗浄装置
CN207927533U (zh) 一种具有筛分功能的养鸡用喂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