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802B1 -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802B1
KR102239802B1 KR1020200032560A KR20200032560A KR102239802B1 KR 102239802 B1 KR102239802 B1 KR 102239802B1 KR 1020200032560 A KR1020200032560 A KR 1020200032560A KR 20200032560 A KR20200032560 A KR 20200032560A KR 102239802 B1 KR102239802 B1 KR 10223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ture
puncture blade
vehicle
lin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달성
Original Assignee
(주)도래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래샘 filed Critical (주)도래샘
Priority to KR102020003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63Heat dissipaters releasing heat from coola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인식을 통하여 허가된 차량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면서 허가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타이어 펑크 날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작용하여 펑크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반에 매설된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된 상면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에서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구동축과 동심축으로 결합된 축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구동축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 회전 시에는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에 눕혀진 상태로 인입되어 은폐되고, 후방 회전 시에는 하우징 커버의 출입공을 통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세워져 돌출된 상태로 인출되어 진입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내는 펑크 날을 구비한 펑크 어셈블리; 펑크 어셈블리의 구동축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가 감지한 차량에 대하여 진입이 허가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입이 허가된 차량이 아닌 경우 펑크 어셈블리의 펑크 날이 하우징 커버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TIRE KILLER TYPE VEHICLE ENTRY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진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인식을 통하여 허가된 차량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면서 허가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타이어 펑크 날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작용하여 펑크낼 수 있도록 한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등의 차량 보급률이 늘어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고, 또한 음주운전자가 증가하면서 도로에서 수배차량 단속 또는 음주단속이 빈번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배차량의 검색이나 음주운전 단속 시에는 경찰이 도로의 1개 또는 2개의 차선을 막은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를 살피거나 차량의 운전자를 상대로 음주상태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 경우 차량의 도주를 차단하기 위하여 차선의 전방에 도주방지용 바리케이드를 설치한다. 상기 바리케이드는 시가전이나 농성, 또는 폭탄테러 등과 같이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임시로 만든 방벽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바리케이드에는, 사용목적에 따라, 차량의 타이어에 구멍을 내는 타이어킬러(Tire Killer) 또는 차량의 도주를 막기 위한 로드블록(Road Blocker)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타이어킬러를 구비한 바리케이드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117253호(2017.10.23.)의 '타이어킬러를 구비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에는 타이어를 펑크내는 킬러부재가 일측과 타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이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양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 모두에 대하여 타이어를 펑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킬러부재가 타이어에 접촉하는 순간에 온전히 회전축에 의존하여 지지되는 관계로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킬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의 경우 단순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킬러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비대하게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케이싱의 외측에서는 모르타르 지반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필요한 보강구조가 마련되지 못하여 장기간에 걸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면서 반복적인 충격 및 하중을 받는 경우 케이싱과 모르타르 간에 박리가 생기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여기에 더해서 한 여름에 도심지 환경에서 제어박스 내부의 높은 열기로 인해 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도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117253호(2017.10.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인식을 통하여 허가된 차량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면서 허가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타이어 펑크 날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작용하여 펑크낼 수 있도록 한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는, 허가 없이 진입하려는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내어 차량 진입을 강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진입 차단장치로서,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지반에 매설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된 상면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에서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동심축으로 결합된 축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 회전 시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에 눕혀진 상태로 인입되어 은폐되고, 후방 회전 시에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출입공을 통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세워져 돌출된 상태로 인출되어 진입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내는 펑크 날을 구비한 펑크 어셈블리; 상기 펑크 어셈블리의 구동축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차량에 대하여 진입이 허가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입이 허가된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펑크 어셈블리의 펑크 날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펑크 날은, 상기 축결합부재의 제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1라인, 상기 축결합부재의 제1지점으로부터 후측으로 치우친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라인과의 이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라인, 상기 제2라인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꺾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1라인과의 이격을 점진적으로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라인, 상기 제3라인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꺾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3라인에 비해 상기 제1라인과의 이격을 더욱 급격히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라인과 접하면서 상기 제1라인과 함께 차량의 타이어를 천공하는 날카로운 삼각형 선단부를 형성하는 제4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라인은 상기 펑크 날의 후방 회전 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면 커버의 인입공 후측 내벽에 밀접하게 걸쳐지면서 상기 펑크 날이 더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펑크 날이 후방 회전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라인이 상기 상면 커버의 인입공 후측 내벽에 밀접하게 걸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2라인의 선단은 상기 상면 커버의 상면과 교차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펑크 날이 전방 회전에 의해 눕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3라인 전체가 상기 상면 커버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에서 수용공간 저면에는 상기 축결합부재를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축받침대가 상기 축결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축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축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반원형 단면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표면은 상기 축결합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저마찰제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은 동일 높이를 갖고 연통되는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공간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증가하는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은 상하부가 동일한 전후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까지 전방으로 추가 확장된 확장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펑크 날이 전방 회전하여 눕혀졌을 때 상기 펑크 날의 삼각형 선단부가 상기 확장영역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확장영역에는 상기 펑크 날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눕혀진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펑크 날의 삼각형 선단부를 안착시켜주는 안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재는, 저면과 전면이 상기 확장영역의 저면과 전면벽에 대면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면은 상기 상면 커버의 하면과 대면 접촉하는 전방 지지부, 상기 전방 지지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방 지지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단차를 둔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펑크 날의 삼각형 선단부를 안착시켜주는 안착면을 구비한 후방 안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공간 전면벽 외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접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 제1보강부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공간 후면벽 외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접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제1보강부재;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그 하측으로 이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전방 제2보강부재;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그 하측으로 이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후방 제2보강부재;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와 전방 제2보강부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접합되되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와 전방 제2보강부재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U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 연결부재;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와 후방 제2보강부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접합되되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와 후방 제2보강부재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U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연결부재; 및 상기 전방 제2보강부재와 후방 제2보강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해주는 전후방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한 강도보강 및 모르타르에 의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의 후방 안착부 후측면에는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흡음성 완충재가 상기 펑크 날의 제1라인을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의 후방 안착부에는 상기 흡음성 완충재가 상기 펑크 날과의 접촉으로 인해 가압될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펑크 날 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펑크 날 감지센서는 상기 펑크 날에 대응하여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펑크 날을 최대한 후방으로 회전시켜 예비 인출한 상태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최고점을 세팅하는 단계 후, 상기 액추에이터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펑크 날을 최대한 전방으로 회전시켜 예비 인입한 상태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저점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추에이터를 최저점에 위치시켜 상기 펑크 날을 예비 인입한 초기 상태에서 정방향 구동에 의해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 위치시켰다가 역방향 구동에 의해 다시 최저점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3 내지 5회 반복 실시하는 예비동작 단계; 상기 예비동작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진단모듈이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모든 펑크 날 감지센서가 반복적으로 상기 펑크 날을 감지하여 동시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펑크 날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모든 펑크 날 감지센서가 상기 펑크 날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펑크 날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일부 펑크 날 감지센서만 반복적으로 상기 펑크 날을 감지하는 경우 다른 펑크 날 감지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진단 단계;로 이루어지는 장치 진단방법에 의해 장치를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열전소자가 평면상에서 흡열면과 발열면이 각각 일측과 타측을 향하도록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 열전플레이트가 상기 제어기가 설치된 제어패널을 수용하는 제어박스의 일측면에 일측 흡열면이 대면하도록 더 설치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수용공간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열전플레이트는 상기 제어박스의 일측면에 대응하여 대면할 수 있도록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플레이트의 타측 발열면에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대면하여 부착되어 냉각수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상기 열전소자의 열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주는 열교환박스와, 지하에 매설되어 냉각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박스 주변의 대기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열교환박스로 냉각수를 순환시켜주는 냉각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는 차량 인식을 통하여 허가된 차량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지만, 허가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펑크 날이 전방 경사지게 순간적으로 돌출되어 타이어에 대향하는 동시에 후측으로는 상면 커버의 인입공 후측벽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타이어에 대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펑크 날이 눕혀진 상태에서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면 커버의 인입공 공간까지 활용함으로써 펑크 날의 전후 폭을 상면 커버의 두께만큼이나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펑크 날이 구조적으로 훨씬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보강부재들이 하우징 본체 외측에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본체에 대한 모르타르의 지지강도를 매우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펑크 날이 돌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타이어를 대향하여 충돌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커다란 충격 및 하중을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받더라도 하우징 본체가 모르타르로부터 미세하게 박리되면서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박스 전용의 냉각계통을 구비하여 한 여름철에 제어박스 내부의 높은 열기로 인해 장치 구동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펑크 날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장치 구동계통에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사전에 진단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서 상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서 제어박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계통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장치 진단방법의 흐름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서 상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들(120a~120h), 구동축(130a)과 축결합부재(131)와 펑크 날(132)로 이루어진 펑크 어셈블리(130)와, 구동축(130a)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미도시됨), 축받침대(140), 안착부재(150), 흡음성 완충재(160), 펑크 날 감지센서(170), 제어박스(180) 및 상기 제어박스(180)를 강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계통(190)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이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허가된 차량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고 허가 없이 진입하려는 차량에 대해서는 펑크 날(132)에 의해 타이어를 펑크내어 차량 진입을 강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지반에 매설된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펑크 날(132)이 인입되는 다수의 인입공(112a)을 구비한 상면 커버(112)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에서 수용공간 저면에는 축결합부재(131)를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축받침대(140)가 축결합부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의 수용공간은 동일 높이를 갖고 연통되는 하부공간(111a)과 상부공간(11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공간(111a)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증가하는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111b)은 상하부가 동일한 전후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의 상부공간(111b)에는 하부공간(111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까지 전방으로 추가 확장된 확장영역(111ba)을 구비하여 펑크 날(132)이 전방 회전하여 눕혀졌을 때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가 확장영역(111ba)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장영역(111ba)에는 펑크 날(132)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눕혀진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동시에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를 안착시켜주는 안착부재(1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들로서, 전방 제1보강부재(120a), 후방 제1보강부재(120b), 전방 제2보강부재(120c), 후방 제2보강부재(120d), 전방 연결부재(120e), 후방 연결부재(120f) 및 한 쌍의 전후방 연결부재(120g,120h)가 설치된다. 이들에 대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120a)는 하우징(110) 본체(111)의 상부공간(111b) 전면벽 외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접합된 판상의 몸체(121) 상단부와 하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122)를 각각 구비하여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120b)는 하우징(110) 본체(111)의 상부공간(111b) 후면벽 외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접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120b)는 전방 제1보강부재(120a)와 배치만 달리하였을 뿐 동일한 부재를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제2보강부재(120c)는 전방 제1보강부재(120a)와 동일한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그 하측으로 이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후방 제2보강부재(120d)의 경우에도 후방 제1보강부재(120b)와 동일한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그 하측으로 이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전방 연결부재(120e)는 전방 제1보강부재(120a)와 전방 제2보강부재(120c)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접합되되 전방 제1보강부재(120a)와 전방 제2보강부재(120c)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짧게 형성된 판상의 몸체(123)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124)를 각각 구비하여 U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성기 후방 연결부재(120f)는 후방 제1보강부재(120b)와 후방 제2보강부재(120d)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접합되되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120b)와 후방 제2보강부재(120d)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U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후방 연결부재(120f)는 전방 연결부재(120e)와 배치만 달리하였을 뿐 동일한 부재를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 연결부재(120g,120h)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이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 제2보강부재(120c)와 후방 제2보강부재(120d)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해준다.
이처럼 전술된 다양한 보강부재들(120a~120g)이 하우징(110) 본체(111)의 외측에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10) 본체(11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해주고 모르타르(M)에 의한 지지력을 높여준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가 단순히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축(130a)을 중심으로 비대칭적으로 형태를 갖는 펑크 날(132)에 대응하여 상부의 전단부가 길게 돌출된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10) 본체(111)가 최소한의 공간만으로 펑크 날(132)을 수용하면서 상기 보강부재들과의 사이에 충분한 양의 모르타르(M)가 유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모르타르(M)에 의한 하우징(110) 본체(111)의 지지력은 훨씬 안정적이 되는 것이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펑크 날(132)이 돌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타이어를 대향하여 충돌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커다란 충격 및 하중을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받더라도 하우징(110) 본체(111)가 모르타르(M)로부터 미세하게 박리되면서 장치가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연결부재(120e)와 후방 연결부재(120f)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체(125)가 접합되고, 그 결합체(125)에는 앵커(126)가 체결되어 모르타르(M)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강화시켜준다.
상기 펑크 어셈블리(130)는 전술된 것처럼 구동축(130a)과 축결합부재(131)와 펑크 날(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130a)의 경우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의 수용공간에서 미도시된 액추에이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축결합부재(131)는 상기 구동축(130a)과 동심축으로 결합된다. 상기 펑크 날(132)은 축결합부재(13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130a)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 회전 시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하우징(110) 본체(111)의 수용공간에 눕혀진 상태로 인입되어 은폐되고, 후방 회전 시에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 커버(112)의 출입공을 통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세워져 돌출된 상태로 인출되어 진입 차량의 타이어를 대향하여 펑크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펑크 날(132)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축결합부재(131)의 제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1라인(132a), 상기 축결합부재의 제1지점으로부터 후측으로 치우친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라인(132a)과의 이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라인(132b), 상기 제2라인(132b)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꺾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1라인(132a)과의 이격을 점진적으로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라인(132c), 상기 제3라인(132c)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꺾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3라인(132c)에 비해 상기 제1라인(132a)과의 이격을 더욱 급격히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라인(132a)과 접하면서 상기 제1라인(132a)과 함께 차량의 타이어를 천공하는 날카로운 삼각형 선단부(132e)를 형성하는 제4라인(132d)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라인(132b)은 펑크 날(132)의 후방 회전 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면 커버(112)의 인입공(112a) 후측 내벽에 밀접하게 걸쳐지면서 상기 펑크 날(132)이 더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상기 제2라인(132b)이 상면 커버(112)의 인입공(112a) 후측 내벽에 걸쳐지도록 하면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가 차량의 타이어와 접촉하는 순간 전달되는 커다란 충격 및 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디면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펑크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펑크 날(132)이 후방 회전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라인(132b)이 상면 커버(112)의 인입공(112a) 후측 내벽에 밀접하게 걸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2라인(132b)의 선단은 상면 커버(112)의 상면과 교차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펑크 날(132)이 전방 회전에 의해 눕혀진 상태가 되면 제3라인(132c) 전체가 상면 커버(112)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서 상기 펑크 날(132)이 눕혀진 상태가 될 때 펑크 날(132)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지 하우징(110) 본체(111)의 수용공간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면 커버(112)의 인입공(112a) 공간까지 활용한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이로써 펑크 날(132)의 제1라인(132a)과 제3라인(132c) 간 폭을 상면 커버(112)의 두께만큼이나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펑크 날(132)이 구조적으로 훨씬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펑크 어셈블리(130)의 구동축(130a)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는 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축(130a) 간에는 감속 기어조립체와 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는 실린더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 직선운동을 구동축(130a)에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중간 연결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축받침대(140)는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에서 수용공간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축결합부재(131)를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축받침대(140)는 다수 구비되어 축결합부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축받침대(140)의 상면에는 축결합부재(131)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반원형 단면의 안착홈(1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41)의 표면은 축결합부재(131)와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저마찰제로 도포 혹은 윤활처리된다.
상기 안착부재(150)는 상기 하우징(110) 본체(111)의 수용공간 중 상부공간(111b)의 확장영역(111ba)에 설치되어 펑크 날(132)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눕혀진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동시에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를 안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재(15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저면과 전면이 상기 확장영역(111ba)의 저면과 전면벽에 대면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면은 상기 상면 커버(112)의 하면과 대면 접촉하는 전방 지지부(151)와, 상기 전방 지지부(151)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방 지지부(15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단차를 둔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를 안착시켜주는 안착면을 구비한 후방 안착부(152)가 일체로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같은 안착부재(150)는 상기 확장영역(111ba)에서 전방 지지부(15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후방 안착부(152)가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흡음성 완충재(160)는 안착부재(150)에 설치되어 펑크 날(132)이 안착부재(150)에 안착될 때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음성 완충재(160)는 안착부재(150)의 후방 안착부(152) 후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흡음성 완충재(160)의 상단부는 안착부재(150)의 후방 안착부(152) 안착면보다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펑크 날(132)이 눕혀질 때 펑크 날(132)의 제1라인(132a)을 대면하여 접촉하게 된다. 상기 흡음성 완충재(160)는 상기 펑크 날(132)과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할 수 있으며 우레탄 스펀지, 다공성 폴리우레탄, 고무 등의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펑크 날 감지센서(170)는 압력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감지센서로 구비되며 안착부재(150)의 후방 안착부(152)에서 흡음성 완충재(160)의 하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펑크 날 감지센서(170)는 상기 흡음성 완충재(160)가 펑크 날(132)과의 접촉으로 인해 가압될 때 압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펑크 날(132)이 안착부재(150)에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기서 상기 펑크 날 감지센서(170)가 상기 펑크 날(132)의 삼각형 선단부(132e)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흡음성 완충재(160)를 통해 충분히 감소된 상태의 압력을 간접적으로 받아 감지하기 때문에 펑크 날(132)과의 접촉으로 인해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박스(180)는 제어기가 설치된 제어패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단부에는 차량의 진입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기(183)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차량 감지센서(182)가 설치된다. 상기 차량 감지센서(182)는 통상적으로 차량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초음파센서나 레이저센서로 구비된다.
상기 냉각계통(190)은 제어박스(180)에서 발생한 열을 강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열전플레이트(191), 열교환박스(192), 냉각수탱크(193), 냉각수펌프(194) 및 유량조절밸브(195)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계통(190)에서 열전플레이트(191)는 다수의 열전소자가 평면상에서 흡열면과 발열면이 각각 일측과 타측을 향하도록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 것으로, 도 1, 2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박스(180)의 일측면에 일측 흡열면이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열전플레이트(191)에 구비된 다수의 열전소자 흡열면에 의해 제어박스(180)(140)를 강제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전플레이트(191)는 제어박스(180) 일측면에 대면할 수 있도록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박스(192)는 열전플레이트(191)의 타측 발열면에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대면하여 부착되며, 냉각수를 내부로 경유시키면서 열전소자의 열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준다. 이같은 열교환박스(192)를 구비하게 되면 특히 대기온도가 높은 한 여름철에 열전플레이트(191)의 열전소자 발열면이 제대로 열을 방출하지 못하면서 열전소자 흡열면에서 흡열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수탱크(193)는 냉각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박스(180) 주변의 대기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냉각수펌프(194)의 펌핑에 의해 열교환박스(192)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탱크(193)는 외부 대기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는 지하에 매설되도록 하여 대기온도가 높은 여름철에 별도의 전기를 소모하지 않고서도 냉각수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는 장치 진단방법에 의해 자체적으로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펑크 날 감지센서(170)는 상기 펑크 날(132)에 대응하여 복수 지점에 설치되어 각 지점에서 펑크 날(132)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진입 차단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장치 진단방법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액추에이터의 최고점 세팅 단계(S110), 액추에이터의 최저점 세팅 단계(S120), 액추에이터의 작동구간 설정 단계(S130), 예비동작 단계(S180), 진단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 세팅 단계(S110)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펑크 날(132)을 최대한 후방으로 회전시켜 예비 인출한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을 세팅한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저점 세팅 단계(S120)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을 세팅하는 단계 후, 상기 액추에이터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펑크 날(132)을 최대한 전방으로 회전시켜 예비 인입한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저점을 세팅한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구간 설정 단계(S130)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구간을 산출하여 설정한다.
상기 예비동작 단계(S180)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최저점에 위치시켜 상기 펑크 날(132)을 예비 인입한 초기 상태에서 정방향 구동에 의해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 위치시켰다가 역방향 구동에 의해 다시 최저점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3 내지 5회 반복 실시하면서 예비적으로 동작시켜준다.
상기 진단 단계(S150)에서는, 상기 예비동작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진단모듈은,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모든 펑크 날 감지센서(170)가 반복적으로 상기 펑크 날(132)을 감지하여 동시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펑크 날(132)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만일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모든 펑크 날 감지센서(170)가 펑크 날(132)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펑크 날(132)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일부 펑크 날 감지센서(170)만 반복적으로 펑크 날(132)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다른 펑크 날 감지센서(17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후 상기 진단모듈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외부 통신망을 이용하여 장치의 정보를 송,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리자가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하우징 보강부재들: 120a~120h
130: 펑크 어셈블리 130a: 구동축
131: 축결합부재 132: 펑크 날
140: 축받침대 150: 안착부재
160: 흡음성 완충재 170: 펑크 날 감지센서
180: 제어박스 190: 냉각계통

Claims (9)

  1. 허가 없이 진입하려는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내어 차량 진입을 강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진입 차단장치로서,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지반에 매설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된 상면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에서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동심축으로 결합된 축결합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 회전 시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에 눕혀진 상태로 인입되어 은폐되고, 후방 회전 시에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출입공을 통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세워져 돌출된 상태로 인출되어 진입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내는 펑크 날을 구비한 펑크 어셈블리; 상기 펑크 어셈블리의 구동축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한 차량에 대하여 진입이 허가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입이 허가된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펑크 어셈블리의 펑크 날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펑크 날은,
    상기 축결합부재의 제1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제1라인, 상기 축결합부재의 제1지점으로부터 후측으로 치우친 제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라인과의 이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라인, 상기 제2라인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꺾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1라인과의 이격을 점진적으로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라인, 상기 제3라인의 선단을 기점으로 하여 꺾인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3라인에 비해 상기 제1라인과의 이격을 더욱 급격히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라인과 접하면서 상기 제1라인과 함께 차량의 타이어를 천공하는 날카로운 삼각형 선단부를 형성하는 제4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라인은 상기 펑크 날의 후방 회전 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면 커버의 인입공 후측 내벽에 밀접하게 걸쳐지면서 상기 펑크 날이 더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펑크 날이 후방 회전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라인이 상기 상면 커버의 인입공 후측 내벽에 밀접하게 걸쳐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2라인의 선단은 상기 상면 커버의 상면과 교차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펑크 날이 전방 회전에 의해 눕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3라인 전체가 상기 상면 커버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서 수용공간 저면에는 상기 축결합부재를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축받침대가 상기 축결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축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축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반원형 단면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표면은 상기 축결합부재와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저마찰제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수용공간은 동일 높이를 갖고 연통되는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공간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증가하는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은 상하부가 동일한 전후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공간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까지 전방으로 추가 확장된 확장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펑크 날이 전방 회전하여 눕혀졌을 때 상기 펑크 날의 삼각형 선단부가 상기 확장영역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확장영역에는 상기 펑크 날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눕혀진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펑크 날의 삼각형 선단부를 안착시켜주는 안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재는, 저면과 전면이 상기 확장영역의 저면과 전면벽에 대면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상면은 상기 상면 커버의 하면과 대면 접촉하는 전방 지지부, 상기 전방 지지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전방 지지부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단차를 둔 지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펑크 날의 삼각형 선단부를 안착시켜주는 안착면을 구비한 후방 안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공간 전면벽 외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접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 제1보강부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공간 후면벽 외측면을 따라 좌우로 길게 접합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제1보강부재;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그 하측으로 이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전방 제2보강부재;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그 하측으로 이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후방 제2보강부재;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와 전방 제2보강부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접합되되 상기 전방 제1보강부재와 전방 제2보강부재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U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 연결부재;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와 후방 제2보강부재를 상하로 연결한 상태로 접합되되 상기 후방 제1보강부재와 후방 제2보강부재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U자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연결부재; 및
    상기 전방 제2보강부재와 후방 제2보강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해주는 전후방 연결부재;
    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측에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한 강도보강 및 모르타르에 의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후방 안착부 후측면에는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흡음성 완충재가 상기 펑크 날의 제1라인을 대면하여 접촉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후방 안착부에는 상기 흡음성 완충재가 상기 펑크 날과의 접촉으로 인해 가압될 때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펑크 날 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 날 감지센서는 상기 펑크 날에 대응하여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펑크 날을 최대한 후방으로 회전시켜 예비 인출한 상태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최고점을 세팅하는 단계 후, 상기 액추에이터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펑크 날을 최대한 전방으로 회전시켜 예비 인입한 상태로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저점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액추에이터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추에이터를 최저점에 위치시켜 상기 펑크 날을 예비 인입한 초기 상태에서 정방향 구동에 의해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 위치시켰다가 역방향 구동에 의해 다시 최저점에 위치시키는 동작을 3 내지 5회 반복 실시하는 예비동작 단계;
    상기 예비동작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진단모듈이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모든 펑크 날 감지센서가 반복적으로 상기 펑크 날을 감지하여 동시에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펑크 날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모든 펑크 날 감지센서가 상기 펑크 날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펑크 날의 회전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최저점에 위치할 때마다 일부 펑크 날 감지센서만 반복적으로 상기 펑크 날을 감지하는 경우 다른 펑크 날 감지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진단 단계;로 이루어지는 장치 진단방법에 의해 장치를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진입 차단장치.
  9. 삭제
KR1020200032560A 2020-03-17 2020-03-17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KR10223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560A KR102239802B1 (ko) 2020-03-17 2020-03-17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560A KR102239802B1 (ko) 2020-03-17 2020-03-17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802B1 true KR102239802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560A KR102239802B1 (ko) 2020-03-17 2020-03-17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75141A (zh) * 2024-03-08 2024-07-02 中汽研汽车试验场股份有限公司 爆胎试验装置和爆胎试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231A (ko) * 2004-06-10 2005-12-14 주식회사 금강엘리베이터 차량 차단장치
KR20170117253A (ko) 2016-04-12 2017-10-23 주식회사 광림 타이어킬러를 구비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231A (ko) * 2004-06-10 2005-12-14 주식회사 금강엘리베이터 차량 차단장치
KR20170117253A (ko) 2016-04-12 2017-10-23 주식회사 광림 타이어킬러를 구비하는 매설형 바리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75141A (zh) * 2024-03-08 2024-07-02 中汽研汽车试验场股份有限公司 爆胎试验装置和爆胎试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802B1 (ko)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
US10189429B2 (en) Vehicle sensor cleaning based on a vehicle occupancy status
US10071732B2 (en) Windshield stone impact response
KR102301082B1 (ko)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JP6374787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JP4461330B2 (ja) 車両強制停止装置と該装置を使用した車両強制停止方法
JP5344863B2 (ja) 阻止装置及び阻止棒
KR20190075201A (ko) 차량 및 그 차량의 엔진 오프 타이머 진단방법
CN108945100A (zh) 用于辅助车辆泊车的系统和方法
US10364766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inclination of a wheel relative to the horizontal
KR20000068348A (ko) 주차 차량의 퇴출 저지 장치
JP4097622B2 (ja) 侵入規制装置
JP2010209560A (ja) 駐車ロック装置
CN111560879B (zh) 具有破胎功能的翻转式路桩及其翻转方法
US20120150456A1 (en) System for preventing and detecting fuel theft
KR100792566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장착 장치
CN204331369U (zh) 车辆落水自救的装置和车辆
CN207392094U (zh) 一种新型多功能路障
CN109693520B (zh) 追尾保护用尾门以及具有其的车辆
CN209182503U (zh) 一种包含路面侦测功能的倒车雷达系统
CN112960301A (zh) 箱体组件、车辆和箱体的状态检测方法
KR100552537B1 (ko) 스패어 타이어 고정 장치
KR20140145352A (ko) 자동차의 위험 경보 장치
CN109853420A (zh) 一种多车道后轮拦截的转动式车辆阻拦系统
CN214650839U (zh) 箱体组件和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