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696B1 - 전동식펌프 - Google Patents

전동식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696B1
KR102239696B1 KR1020200034571A KR20200034571A KR102239696B1 KR 102239696 B1 KR102239696 B1 KR 102239696B1 KR 1020200034571 A KR1020200034571 A KR 1020200034571A KR 20200034571 A KR20200034571 A KR 20200034571A KR 102239696 B1 KR102239696 B1 KR 10223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communication path
pump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태
Original Assignee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7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01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며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로가 형성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펌핑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와 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며 벽체의 내부에 상기 토출로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된 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하우징에 설치되는 제어하우징과, 하단이 상기 연통로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어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로로부터 상기 연통로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식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펌프{Electric pump}
본 발명은 전동식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이를 차량의 각 기관으로 순환시키는 전동식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식펌프란,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이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의 유체는 오일(Oi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수 등이 될 수도 있다. 전동식 전동식펌프는, 전기적 힘을 통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시킨다. 이를 위하여, 전동식 전동식펌프는, 펌프부와, 펌프부를 작동시키는 모터부와, 모터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동식펌프는,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센서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전동식펌프에 의하면, 압력센서와 제어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와이어 및 커넥터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압력센서와 제어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와이어 및 커넥터를 추가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압력센서를 제어부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전동식펌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며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로가 형성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펌핑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와 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며 벽체의 내부에 상기 토출로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된 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하우징에 설치되는 제어하우징과, 하단이 상기 연통로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어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로로부터 상기 연통로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식펌프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하우징은, 상기 압력센서가 삽입되는 센서홀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제어하우징에 형성된 센서홀에 삽입되는 센서본체와, 상기 센서본체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통로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센서본체와 모터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삽입부재를 감싸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씰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센서본체와의 대향면에 형성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펌프에 의하면, 모터하우징의 벽체 내부에 유체의 토출로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압력센서가 일단이 연통로에 배치되고 타단이 제어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별도로 와이어 및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압력센서를 제어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은 토출로로부터 연통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펌프(100)는, 펌프부(110), 모터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부(110)는, 펌핑수단(111) 및 펌프하우징(112)을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111)은,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시킨다. 상기 펌프하우징(112)은, 상기 펌핑수단(111)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펌핑수단(111)에 의해 압축된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부(120)는, 모터(121), 회전축(122), 모터하우징(123)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121)는, 상기 펌프부(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122)은, 상기 모터(12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펌핑수단(111)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121)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펌핑수단(111)을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하우징(123)은, 상기 펌프하우징(112)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121) 및 회전축(122)을 내부에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하우징(123)은, 벽체의 내부에 상기 토출로(113)와 연통되는 연통로(124)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로(113)는 상기 회전축(12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로(124)는 상기 회전축(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로(1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 중 일부는, 상기 연통로(124)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며, 상기 토출로(113)는 상기 회전축(122)과 수직이 아닌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어수단(131), 제어하우징(132), 압력센서(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수단(131)은, 상기 모터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12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하우징(132)은, 상기 제어수단(131)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모터하우징(123)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압력센서(134)는, 상기 모터하우징(123)과 제어하우징(132)의 사이에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연통로(124)에 삽입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어하우징(132)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수단(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134)는, 상기 토출로(113)로부터 상기 연통로(124)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전동식펌프(10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산출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센서(134)는, 센서본체(135), 삽입부재(136) 및 연결부재(13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우징(132)에는, 상기 연통로(124)보다 직경이 큰 센서홀(133)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본체(135)는, 상기 센서홀(133)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삽입부재(136)는, 상기 센서본체(135)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통로(12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136)는, 상기 연통로(124)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136)는, 상기 센서본체(135)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외주면이 상기 연통로(124)의 내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로(124)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재(136)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통로(124)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136)는, 상기 연통로(124)의 내벽에 나사산 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삽입부재(136)와 연통로(124)의 내벽은, 나사산 결합이 아닌 압입 또는 삽입 후 별도의 볼트가 서로 조립되는 방식을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모터부(120)는, 씰링부재(1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씰링부재(126)는, 상기 모터하우징(123)과 상기 센서본체(135)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재(136)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하우징(123)은, 상기 센서본체(135)와의 대향면에 상기 씰링부재(126)가 안착되는 안착홈(1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25)은, 상기 삽입부재(136)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씰링부재(126)가 상기 안착홈(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134)가 상기 연통로(124)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터하우징(123)의 상면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씰링부재(126)가 상기 센서본체(135)에 의해 가압되어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씰링부재(126)는, 상기 센서본체(135)와 모터하우징(123)의 사이를 보다 긴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상기 안착홈(125)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안착홈(125)은, 상기 삽입부재(136)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거나, 상향 및 하향 어디로도 경사지지 않은 플랫(Flat)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37)는, 상기 센서본체(13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수단(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재(137)는, 상기 제어수단(131)과 솔더(납)로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암형 단자(Female terminal)를 상기 제어수단(131)에 설치한 후 상기 암형 단자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제어수단(1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7)는, 상기 센서본체(135)보다는 직경이 작고, 상기 연결부재(137)보다는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7)는, 상기 삽입부재(136)가 측정한 유체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수단(131)으로 전달한다.
다만,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전동식펌프(10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연통로(124)는 상기 센서홀(133)과 직경이 같거나, 상기 센서홀(13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136)는, 상기 센서본체(135)와 직경이 같거나, 상기 센서본체(135)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7) 역시, 상기 센서본체(135)와 직경이 같거나, 상기 센서본체(135)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펌프(100)에 의하면, 모터하우징(123)의 벽체 내부에 유체의 토출로(113)와 연통되는 연통로(124)가 형성되고, 압력센서(134)가 일단이 연통로(124)에 배치되고 타단이 제어하우징(13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별도로 와이어 및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압력센서를 제어부(130)에 설치할 수 있으며,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은 토출로(113)로부터 연통로(124)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100 : 전동식펌프 110 : 펌프부
120 : 모터부 130 : 제어부

Claims (6)

  1.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며 압축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로가 형성된 펌프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펌핑수단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와 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며 벽체의 내부에 상기 토출로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된 모터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하우징에 설치되는 제어하우징과, 하단이 상기 연통로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어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로로부터 상기 연통로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우징은, 상기 연통로의 상측에 센서홀이 형성된 전동식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홀에 삽입되는 전동식펌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제어하우징에 형성된 센서홀에 삽입되는 센서본체와,
    상기 센서본체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통로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식펌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센서본체와 모터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삽입부재를 감싸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펌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상기 씰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센서본체와의 대향면에 형성된 전동식펌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펌프.
KR1020200034571A 2020-03-20 2020-03-20 전동식펌프 KR10223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571A KR102239696B1 (ko) 2020-03-20 2020-03-20 전동식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571A KR102239696B1 (ko) 2020-03-20 2020-03-20 전동식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696B1 true KR102239696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571A KR102239696B1 (ko) 2020-03-20 2020-03-20 전동식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6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824A (ko) * 2013-11-29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US20190271309A1 (en) * 2016-07-27 2019-09-05 Nidec Tosok Corporation Electric pump
EP3623625A1 (en) * 2018-09-12 2020-03-18 FTE automotive GmbH Pump unit for providing a hydraulic pressure for actuating an actuator in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824A (ko) * 2013-11-29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US20190271309A1 (en) * 2016-07-27 2019-09-05 Nidec Tosok Corporation Electric pump
EP3623625A1 (en) * 2018-09-12 2020-03-18 FTE automotive GmbH Pump unit for providing a hydraulic pressure for actuating an actuator in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964B2 (en) Sensor for hermetic machine
KR102198051B1 (ko) 압축기
WO2006112268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US3952218A (en)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for submersible apparatus
CA2963566C (en) Crushed seal arrangement for motor electrical connection of submersible well pump
US20070004263A1 (en) Compressor having a terminal cluster block with locking end fittings
JPH08136391A (ja) 電気装置の気密テスト用構造
CN101960146B (zh) 具有电线保持器的压缩机
CN114270637B (zh) 用于建立电连接的插入式连接件的密封装置和用于驱动具有该密封装置的压缩机的设备
GB2480511A (en) Multifunction Plug Connector Of An Oil Pan Of A Vehicle
KR102239696B1 (ko) 전동식펌프
EP1867874B1 (en) Electric motor-driven compressor
JP3025690B2 (ja) 圧縮機
JP5045550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CN109103636B (zh) 插接端子组件、无吸程水泵、水泵组装方法及控制方法
CN102865209B (zh) 用于在终端壳体与密封式压缩机内部之间连接的密封环
KR100277434B1 (ko) 수중 모터펌프의 터미널 보드
RU2395004C2 (ru) Подвес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погружная винтовая насосная система
CN109185169B (zh) 无吸程水泵、水泵组装方法及其控制方法
CN113389722A (zh) 液体泵
CN109217039B (zh) 无负压水泵插接端子、无负压水泵、组装方法及控制方法
JP6823421B2 (ja) 水中モータ及び防水コネクタ
CN111852864A (zh) 电动压缩机及电动压缩机的组装方法
CN109185170B (zh) 无负压水泵、水泵组装方法及其控制方法
JP4476288B2 (ja) 近接センサ支持体、コンプレッサ、バルブプレートおよび冷却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