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898B1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898B1
KR102237898B1 KR1020200047900A KR20200047900A KR102237898B1 KR 102237898 B1 KR102237898 B1 KR 102237898B1 KR 1020200047900 A KR1020200047900 A KR 1020200047900A KR 20200047900 A KR20200047900 A KR 20200047900A KR 102237898 B1 KR102237898 B1 KR 102237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light blocking
film transistor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458A (ko
Inventor
박상호
강수형
심동환
강윤호
유세환
이민정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8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3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with a light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substrat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개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배치되며,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액티브 패턴, 상기 액티브 패턴 위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 패턴,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액티브 패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패턴보다 큰 면적을 갖는 차광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광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에서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층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층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채널층과 중첩되며, 상기 채널층의 아래에 또는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채널층을 구성하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는 외부 광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차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배치되며,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액티브 패턴, 상기 액티브 패턴 위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 패턴,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액티브 패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액티브 패턴보다 큰 면적을 갖는 차광 패턴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 영역, 상기 드레인 영역 및상기 채널은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게이트 라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티브 패턴과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 전체 및 상기 액티브 패턴 전체와 중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액티브 패턴과 중첩하는 영역,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채널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채널이 중첩하지 않는 영역과도 중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상기 차광 패턴과 상기 액티브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 패턴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차광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상기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을 커버하는 데이터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데이터 절연층 위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은, 실리콘-게르마늄 합금, 게르마늄 또는 산화 티타늄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의 두께는 100Å 내지 2,000Å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 아연(Zn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인듐 산화물(ZIO), 인듐 산화물(InO), 티타늄 산화물(Ti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또는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을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배치되며,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과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액티브 패턴, 상기 액티브 패턴 위에 배치된 게이트 절연 패턴,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액티브 패턴 사이에 배치되며,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하는 차광 패턴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은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 및 게르마늄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구조를 갖는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베이스 기판 위에 차광층을 형성한다. 상기 차광층 위에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패턴 위에 게이트 절연층 및 게이트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절연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반도체 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하고, 상기 차광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 패턴보다 큰 면적을 갖는 차광 패턴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을 형성한 후, 노출된 반도체 패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데이터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을 커버하는 데이터 절연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도체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차광층 위에 버퍼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버퍼층을 형성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탑게이트 구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반도체 패턴 및 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차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의 증가 없이, 또한 실질적으로 개구율의 감소 없이 상기 차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차광 패턴의 면적을 증가시켜, 누설광의 유입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하는 차광층을 이용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9, 도 12 및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하는 차광층의 투과도 및 흡광도를 파장에 대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차광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도 20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3은 도 27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베이스 기판(100),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액티브 패턴(120) 및 차광 패턴(140)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평면도 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은 서로 교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게이트 전극(G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GE)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120)은 채널(122), 소스 영역(124) 및 드레인 영역(126)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122), 상기 소스 영역(1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126)은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되어, 동일한 층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소스 영역(1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126) 사이에 상기 채널(122)이 위치한다.
상기 채널(122)은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채널(122) 위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채널(12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 패턴(160)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GE)은 채널(122)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게이트 전극(GE)의 면적은 채널(122)의 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넓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의 면적이 채널(122)의 면적보다 넓은 경우, 게이트 전극(GE)은 채널(122)과 중첩하지 않으면서 채널(122)보다 더 제2 방향(D2)으로 돌출된 영역 및/또는 채널(122)과 중첩하지 않으면서 채널(122)보다 더 제2 방향(D2)의 역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방향을 기준으로, 게이트 전극의 위 및/또는 아래는 채널(122)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이 있을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상기 드레인 영역(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PE)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 위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영역(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소스 영역(124)은 연결 전극(1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110) 위에는 데이터 절연층(115)이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한다.
상기 채널(122), 상기 소스 영역(124), 상기 드레인 영역(126)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을 통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GE)에 게이트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채널(122)이 도전성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신호가, 상기 연결 전극(130), 상기 소스 영역(124), 상기 채널(122) 및 상기 드레인 영역(126)을 통해 상기 화소 전극(PE)으로 전달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층(170)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170)을 커버하는 유기 절연층(180)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연결 전극(130)은 상기 유기 절연층(180) 위에 형성된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 위에 직접 형성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패시베이션층(170)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전극(130)은 상기 유기 절연층(180), 상기 패시베이션층(170) 및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콘택홀(CH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며, 상기 유기 절연층(180)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17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콘택홀(CH2)을 통하여 상기 소스 영역(124)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상기 유기 절연층(180)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170)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3 콘택홀(CH3)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영역(126)과 연결된다.
상기 채널(122) 아래에는 상기 차광 패턴(140)이 배치된다.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채널(122)의 하면을 커버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의 하부로부터 상기 채널(122)에 외부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채널(122)을 포함하는 상기 액티브 패턴(120) 전체와 중첩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전체와 중첩한다. 즉, 게이트 전극(GE) 중 채널(122)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이 있는 경우, 차광 패턴(140)은 채널(122)과 중첩함과 동시에 채널(122)과 중첩하지 않는 게이트 전극(GE)과도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120)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12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140)과 상기 액티브 패턴(120) 사이에는 버퍼 패턴(150)이 배치되며, 상기 차광 패턴(140)은 데이터 절연층(115) 위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베이스 기판(110)과 차광 패턴(140) 사이에는 버퍼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 위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베이스 기판(110) 위에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유리 기판, 쿼츠 기판, 실리콘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110)위에 데이터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금속층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식각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구리, 은, 크롬, 몰리브덴, 알루미늄, 티타늄, 망간,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구리층 및 상기 구리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티타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구리층 및 상기 구리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산화물층은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갈륨 아연 산화물(gallium zinc oxide, GZO),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zinc aluminium oxide, ZA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라인(DL)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110) 위에, 데이터 절연층(115), 차광층(240), 버퍼층(250) 및 반도체층(2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은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커버하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240)은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 위에 형성된다. 상기 차광층(240)을 식각하는 이후의 공정에서, 상기 반도체층(220)이 에천트에 노출되므로, 상기 차광층(240)은 상기 반도체층(220)에 대하여 식각 선택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층(240)은 금속, 합금, 절연성 무기 물질, 유기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광층(240)은 실리콘-게르마늄 합금, 게르마늄, 산화 티타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광층(24)은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채널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파장이 약 450 nm 이하인 자외선에 대하여 특히 취약한데, 상기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은 자외선의 차광 능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광원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채널을 보호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광층(24)이 상기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하는 경우,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은 아모포스(amorphous)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차광층(240)은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의 단일층 구조 또는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과 게르마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게르마늄층은 상기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광층(240)의 두께는 약 100Å 내지 약 2,000Å일 수 있다. 상기 차광층(240)의 두께가 100Å 미만인 경우, 차광 능력이 저하되어 채널의 전기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차광층(240)의 두께가 2,000Å를 초과하는 경우, 액티브 패턴(120)의 소스 영역(124) 또는 드레인 영역(126)과 커패시턴스를 형성하여 신호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광층(240)의 두께는 약 600Å 내지 약 2,000Å일 수 있다. 상기 차광층(240)의 두께가 600Å 이상인 경우, 높은 흡광도(optical density)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하는 차광층의 투과도 및 흡광도를 파장에 대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1)은 두께 약 3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의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2)는 두께 약 1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과 두께 약 300Å의 게르마늄층의 이중층 구조를 가지며, (3)은 두께 약 5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의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4)는 두께 약 3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과 두께 약 300Å의 게르마늄층의 이중층 구조를 가지며, (5)는 두께 약 7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의 단일층 구조를 가지며, (6)은 두께 약 5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과 두께 약 300Å의 게르마늄층의 이중층 구조를 가지며, (7)은 두께 약 700Å의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과 두께 약 300Å의 게르마늄층의 이중층 구조를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의 단일층 구조를 갖는 차광층에 비하여,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층과 게르마늄층의 이중층 구조를 갖는 차광층이 보다 낮은 투광도와 높은 흡광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차광층의 두께가 약 600Å 이상인 경우, 450nm 이하의 광에 대하여 약 1% 이하의 투광도를 가지며, 차광층의 두께가 약 1,000 Å 이상인 경우, 450nm 이하의 광에 대하여 약 0%에 가까운 투광도 및 4 이상의 흡광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실리콘-게르마늄 합금을 포함하는 차광층을 이용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250)은 상기 차광층(240) 위에 형성되며, 실리콘 산화물, 산화 알루미늄, 산화 하프늄, 산화 이트륨 등의 절연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220)은 상기 버퍼층(250) 위에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220)은 다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 인듐, 갈륨, 주석, 티타늄, 인의 산화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산화 아연(Zn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인듐 산화물(ZIO), 인듐 산화물(InO), 티타늄 산화물(Ti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 상기 차광층(240), 상기 버퍼층(250) 및 상기 반도체층(220)은 물질에 따라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용액 코팅법, 스푸터링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층(22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패턴(2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층(220) 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층(220)을 식각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패턴(222) 및 상기 버퍼층(250) 위에 게이트 절연층(260) 및 게이트 금속층(29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을 커버하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금속층(290)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 위에 형성되며, 구리, 은, 크롬, 몰리브덴, 알루미늄, 티타늄, 망간,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금속층(290)은 구리층 및 상기 구리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티타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게이트 금속층(290)은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금속층(290)은 구리층 및 상기 구리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층은 인듐 아연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 갈륨 아연 산화물,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금속층(29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절연 패턴(160)을 형성한다.
먼저, 상기 게이트 금속층(290)을 패터닝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게이트 라인(GL)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GL)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절연 패턴(16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160)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을 패터닝하는 과정에서 상기 반도체 패턴(222)이 노출되나,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과 다른 물질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식각 선택성을 가지므로, 상기 반도체 패턴(222)은 식각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과 상기 버퍼층(250)은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절연층(260)을 식각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퍼층(250)도 함께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퍼층(25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차광층(240)이 노출되며, 상기 반도체 패턴(222) 하부에 위치한 버퍼층(250)은 잔류하여 버퍼 패턴(150)을 형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160) 및 상기 반도체 패턴(22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차광층(240)을 식각하여 차광 패턴(14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이 노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차광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게이트 라인(GL)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제1 부분(142), 상기 제1 부분(142)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하는 제2 부분(144) 및 상기 제2 부분(144)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반도체 패턴(222)과 중첩하는 제3 부분(14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분(142)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부분(144)은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3 부분(146)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2 부분(144)의 가장자리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상기 제3 부분(146)의 가장 자리는 상기 반도체 패턴(222)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패턴(222)과 중첩하는 차광 패턴(140)의 제1 방향의 길이(W1)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의 제1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와 중첩하는 차광 패턴(140)의 제2 방향의 길이(W2)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제2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패턴(140)은 게이트 라인(GL) 전부와 중첩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게이트 라인(GL) 중,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인접하는 일부하고만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되어, 광반사율이 높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하면에 광이 입사될 경우, 반사된 광이 상기 채널(122)로 들어감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버퍼 패턴(150)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차광 패턴(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반도체 패턴(222)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하는차광 패턴(140)은 전체적으로 십자가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차광 패턴(140)의 형상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 자 형상, 정사각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차광 패턴은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중첩하지 않고,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반도체 패턴(222)과 중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광 패턴(141)은 상기 게이트 전극(GE)와 중첩하는 제1 부분(143) 및 상기 제1 부분(143)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도체 패턴(222)과 중첩하는 제2 부분(145)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부분(143)의 가장자리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상기 제2 부분(145)의 가장 자리는 상기 반도체 패턴(222)의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패턴(222)과 중첩하는 차광 패턴(141)의 제1 방향의 길이(W1)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의 제1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와 중첩하는 차광 패턴(141)의 제2 방향의 길이(W2)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제2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차광 패턴(140)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개의 마스크를 이용할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에서 화소의 개구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차광층(240)은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게이트 라인(GL) 및 상기 반도체 패턴(22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패터닝됨으로써, 별도의 마스크 없이 상기 차광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개구율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 보다 큰 면적을 가짐으로써, 차광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패턴(222)으로부터 채널(122), 소스 영역(124) 및 드레인 영역(12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16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반도체 패턴(222)을 소스 영역(124) 및 드레인 영역(126)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영역(124) 및 드레인 영역(126)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 패턴(222)을 플라즈마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H2), 헬륨(He), 포스핀(PH3), 암모니아(NH3), 실란(SiH4), 메탄(CH4), 아세틸렌(C2H2), 디보란(B2H6), 이산화탄소(CO2), 저메인(GeH4), 셀렌화수소(H2Se), 황화수소(H2S), 아르곤(Ar), 질소(N2), 산화질소(N2O), 플루오르포름(CHF3) 등의 플라즈마 기체(PT)를 상기 노출된 반도체 패턴(222)에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원 처리된 노출된 반도체 패턴(222)을 구성하는 반도체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환원되어 금속성의 도체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환원 처리된 반도체 패턴(222)은 상기 소스 영역(124) 및 드레인 영역(126)을 형성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160)에 의해 커버된 부분은 잔류하여 채널(122)을 형성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소스 영역(124) 및 드레인 영역(126)을 형성하기 위하여, 환원 기체의 분위기에서 상기 반도체 패턴(222)을 열처리하거나,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소스 영역(1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126)은 상기 차광층(240)을 패터닝한 이후에 수행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광층(240)을 패터닝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소스 영역(124), 상기 드레인 영역(126) 및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층(170)을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170) 위에 유기 절연층(180)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70)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층(18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표면을 평탄화하며,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상기 패시베이션층(170) 위에 스핀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 상기 패시베이션층(170) 및 상기 유기 절연층(180)을 패터닝하여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절연층(115), 상기 패시베이션층(170) 및 상기 유기 절연층(180)을 패터닝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노출하는 제1 콘택홀(CH1)을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170) 및 상기 유기 절연층(180)을 패터닝하여, 상기 소스 영역(124)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2 콘택홀(CH2) 및 상기 드레인 영역(126)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3 콘택홀(CH3)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절연층(180)를 노광한 후, 상기 유기 절연층(180)에 현상액을 가하여, 비노광 영역 또는 노광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유기 절연층(180)을 패터닝할 수 있으며, 상기 패터닝된 유기 절연층(18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패시베이션층(170) 및 데이터 절연층(115)을 식각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콘택홀들(CH1, CH2, CH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 절연층(180) 위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인듐 아연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도 2에 도시된 연결 전극(130) 및 화소 전극(PE)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 전극(130)은 상기 제1 콘택홀(CH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접촉하며, 상기 제2 콘택홀(CH2)을 통하여 상기 소스 영역(124)에 접촉한다. 상기 화소 전극(PE)는 상기 제3 콘택홀(CH3)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영역(124)에 접촉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패턴(222)을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패턴(222)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차광 패턴(140)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의 증가 없이 또한 실질적으로 개구율의 감소 없이 상기 차광 패턴(1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반도체 패턴(222) 보다 큰 면적을 가짐으로써, 누설광의 유입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설명된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EL표시장치 등의 다른 표시장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회로 기판, 반도체 장치 등의 전자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00)은 베이스 기판(310),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DL), 액티브 패턴(320) 및 차광 패턴(340)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320)은 채널(322), 소스 영역(324) 및 드레인 영역(326)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322), 상기 소스 영역(3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326)은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되어, 동일한 층 위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소스 영역(3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326) 사이에 상기 채널(322)이 위치한다. 상기 드레인 영역(326)은 화소 전극(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채널(32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 패턴(360)이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베이스 기판(310) 위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영역(3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절연층(315)은 상기 데이터 라인(DL) 및 상기 베이스 기판(310)을 커버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베이스 기판(310) 위에 직접 형성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패시베이션층(370)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층(370)은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액티브 패턴(320) 및 상기 데이터 절연층(315)을 커버하며, 유기 절연층(380)은 상기 패시베이션층(370)을 커버한다.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연결 전극(330)은 상기 유기 절연층(380) 위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 전극(330)은 제1 콘택홀(CH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며, 제2 콘택홀(CH2)을 통하여, 상기 소스 영역(324)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제3 콘택홀(CH3)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영역(326)과 연결된다.
상기 채널(322) 아래에는 차광 패턴(140)이 배치된다. 상기 차광 패턴(140)은 상기 채널(322)을 포함하는 상기 액티브 패턴(320) 전체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전체와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320)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320)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2에 도시된 버퍼 패턴(150)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320)과 상기 액티브 패턴(320)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베이스 기판(310)과 차광 패턴(340) 사이에는 버퍼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베이스 기판(310) 위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00)은 버퍼 패턴(15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9은 도 14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베이스 기판(310) 위에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310) 위에 데이터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금속층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식각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한 후, 상기 베이스 기판(310) 위에, 데이터 절연층(315), 차광층(440) 및 반도체층(4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층(42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패턴(4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층(420) 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층(420)을 식각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패턴(422) 및 상기 차광층(440) 위에 게이트 절연층(460) 및 게이트 금속층(490)을 형성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금속층(49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4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라인 및 게이트 절연 패턴(360)을 형성한다. 먼저, 상기 게이트 금속층(49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층(4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절연 패턴(36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절연층(460) 하부의 차광층(440)이 노출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360) 및 상기 반도체 패턴(42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차광층(440)을 식각하여 차광 패턴(3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340)은 상기 게이트 전극(360) 전체 및 상기 반도체 패턴(422) 전체와 실질적으로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 패턴(340)은 도 10에 도시된 차광 패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422)으로부터 채널(322), 소스 영역(324) 및 드레인 영역(32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36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반도체 패턴(422)에 플라즈마 기체(PT) 등을 가하여, 소스 영역(324) 및 드레인 영역(326)으로 변환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360)에 의해 커버된 부분은 채널(322)을 형성한다.
상기 노출된 반도체 패턴(422)에 플라즈마 기체를 가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층(440)을 패터닝한 이후에 또는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소스 영역(324), 상기 드레인 영역(326) 및 상기 데이터 절연층(315)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 위에 유기 절연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절연층(315), 상기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유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 절연층 위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도 14에 도시된 연결 전극(330) 및 화소 전극(PE)을 형성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00)은 베이스 기판(510),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DL), 액티브 패턴(520) 및 차광 패턴(540)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520)은 채널(522), 소스 영역(524) 및 드레인 영역(526)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522), 상기 소스 영역(5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526)은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소스 영역(5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526) 사이에 상기 채널(522)이 위치한다. 상기 드레인 영역(526)은 화소 전극(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채널(52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 패턴(560)이 배치된다.
패시베이션층(570)은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액티브 패턴(520) 및 상기 베이스 기판(510)을 커버하며, 유기 절연층(580)은 상기 패시베이션층(570)을 커버한다.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연결 전극(530)은 상기 유기 절연층(580) 위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 전극(530)은 제1 콘택홀(CH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며, 제2 콘택홀(CH2)을 통하여, 상기 소스 영역(524)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제3 콘택홀(CH3)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영역(526)과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패시베이션층(570) 위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영역(5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채널(522) 아래에는 차광 패턴(540)이 배치된다. 상기 차광 패턴(540)은 상기 채널(522)을 포함하는 상기 액티브 패턴(520) 전체와 중첩하며, 상기 액티브 패턴(520)과 중첩하지 않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일부와도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520)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520)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00)은 도 2에 도시된 버퍼 패턴(150)및 데이터 절연층(115)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520)과 상기 베이스 기판(510)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00)은 버퍼 패턴(150) 및 데이터 절연층(115)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 라인(DL)이 패시베이션층(570) 위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6은 도 20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510) 위에 차광층(640) 및 반도체층(6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층(62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패턴(6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층(620) 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층(620)을 식각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패턴(622) 및 상기 차광층(640) 위에 게이트 절연층(660) 및 게이트 금속층(690)을 형성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금속층(69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6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라인 및 게이트 절연 패턴(560)을 형성한다. 먼저, 상기 게이트 금속층(69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층(6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절연 패턴(56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절연층(660) 하부의 차광층(640)이 노출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560) 및 상기 반도체 패턴(62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차광층(640)을 식각하여 차광 패턴(5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540)은 상기 게이트 전극(560) 전체 및 상기 반도체 패턴(622) 전체와 실질적으로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 패턴은 도 10에 도시된 차광 패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622)으로부터 채널(522), 소스 영역(524) 및 드레인 영역(52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56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반도체 패턴(622)에 플라즈마 기체(PT) 등을 가하여, 소스 영역(524) 및 드레인 영역(526)으로 변환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560)에 의해 커버된 부분은 채널(522)을 형성한다.
상기 노출된 반도체 패턴(622)에 플라즈마 기체를 가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층(640)을 패터닝한 이후에 또는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소스 영역(524), 상기 드레인 영역(526) 및 상기 베이스 기판(510)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층(570)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570) 위에 데이터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패시베이션층(570)을 커버하는 유기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570) 및 상기 유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 라인(DL) 위에 직접 유기 절연층을 형성하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절연층을 형성한 후, 상기 데이터 절연층 위에 유기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 절연층 위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도 20에 도시된 연결 전극(530) 및 화소 전극(PE)을 형성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7은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0)은 베이스 기판(710),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DL), 액티브 패턴(720), 버퍼 패턴(750) 및 차광 패턴(740)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720)은 채널(722), 소스 영역(724) 및 드레인 영역(726)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722), 상기 소스 영역(7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726)은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소스 영역(724) 및 상기 드레인 영역(726) 사이에 상기 채널(722)이 위치한다. 상기 드레인 영역(726)은 화소 전극(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채널(72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 패턴(760)이 배치된다.
패시베이션층(770)은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액티브 패턴(720) 및 상기 베이스 기판(710)을 커버하며, 유기 절연층(780)은 상기 패시베이션층(770)을 커버한다. 상기 화소 전극(PE) 및 상기 연결 전극(730)은 상기 유기 절연층(780) 위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 전극(730)은 제1 콘택홀(CH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며, 제2 콘택홀(CH2)을 통하여, 상기 소스 영역(724)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제3 콘택홀(CH3)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 영역(726)과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패시베이션층(770) 위에 형성되며, 상기 소스 영역(7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채널(722) 아래에는 차광 패턴(740)이 배치된다. 상기 차광 패턴(740)은 상기 채널(722)을 포함하는 상기 액티브 패턴(720) 전체와 중첩하며, 상기 액티브 패턴(720)과 중첩하지 않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의 일부와도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720)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액티브 패턴(720)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상기 차광 패턴(740)과 상기 액티브 패턴(720) 사이에는 버퍼 패턴(750)이 배치된다. 상기 버퍼 패턴(750)은 상기 차광 패턴(7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0)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절연층(115)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광 패턴(720)과 상기 베이스 기판(710)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0)은 데이터 절연층(115)을 포함하지 않고, 데이터 라인(DL)이 패시베이션층(770) 위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 내지 도 33은 도 27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710) 위에 차광층(840), 버퍼층(850) 및 반도체층(8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층(820)을 패터닝하여, 반도체 패턴(8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층(820) 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PR)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층(820)을 식각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패턴(822) 및 상기 버퍼층(850) 위에 게이트 절연층(860) 및 게이트 금속층(890)을 형성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금속층(890) 및 상기 게이트 절연층(8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라인 및 게이트 절연 패턴(760)을 형성한다. 먼저, 상기 게이트 금속층(89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게이트 라인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절연층(860)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절연 패턴(76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절연층(860) 하부의 버퍼층(850)이 노출된다.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760) 및 상기 반도체 패턴(82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버퍼층(850) 및 상기 차광층(840)을 식각하여, 버퍼 패턴(750) 및 차광 패턴(7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버퍼 패턴(750) 및 차광 패턴(740)은 상기 게이트 전극(760) 전체 및 상기 반도체 패턴(822) 전체와 실질적으로 중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광 패턴(740)은 도 10에 도시된 차광 패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822)으로부터 채널(722), 소스 영역(724) 및 드레인 영역(72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76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 반도체 패턴(822)에 플라즈마 기체(PT) 등을 가하여, 소스 영역(724) 및 드레인 영역(726)으로 변환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게이트 절연 패턴(760)에 의해 커버된 부분은 채널(722)을 형성한다.
상기 노출된 반도체 패턴(822)에 플라즈마 기체를 가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층(840)을 패터닝한 이후에 또는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소스 영역(724), 상기 드레인 영역(726) 및 상기 베이스 기판(710)을 커버하는 패시베이션층(770)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770) 위에 데이터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데이터 라인(DL)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상기 패시베이션층(770)을 커버하는 유기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770) 및 상기 유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 절연층 위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도 27에 도시된 연결 전극(730) 및 화소 전극(PE)을 형성한다.
이상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방법은 액정표시장치, 유기EL표시장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회로 기판, 반도체 장치 등 표시 장치 및 전자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100, 300, 500, 700: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10, 310, 510, 710: 베이스 기판
GL: 게이트 라인 DL: 데이터 라인
GE: 게이트 전극 PE: 화소 전극
120, 320, 520, 720: 액티브 패턴
140, 340, 540, 740: 차광 패턴
130, 330, 530, 730: 연결 전극
115, 315: 데이터 절연층 150, 750 : 버퍼 패턴
160, 360, 560, 760: 게이트 절연 패턴
CH1, CH2, CH3: 콘택홀
170, 370, 570, 770: 패시베이션층
180, 380, 580, 780 : 유기 절연층

Claims (15)

  1. 베이스 기판 위에 배치되며, 채널을 포함하는 액티브 패턴;
    상기 액티브 패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게이트 라인;
    상기 액티브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액티브 패턴 사이에 배치되며, 평면도 상에서 상기 게이트 라인과 중첩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 라인과 이격되며, 상기 액티브 패턴보다 큰 면적을 갖는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의 가장자리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와 상기 액티브 패턴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패턴은 상기 채널과 인접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패턴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패턴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구리, 은, 크롬, 몰리브덴, 알루미늄, 티타늄, 망간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채널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채널이 중첩하지 않는 영역과도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과 상기 액티브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패턴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차광 패턴 사이에 배치되며,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은, 금속, 합금, 절연성 무기 물질 및 유기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의 두께는 100Å 내지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패턴은 산화 아연(Zn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인듐 산화물(ZIO), 인듐 산화물(InO), 티타늄 산화물(Ti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및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1020200047900A 2020-04-21 2020-04-2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7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00A KR102237898B1 (ko) 2020-04-21 2020-04-2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00A KR102237898B1 (ko) 2020-04-21 2020-04-2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23A Division KR102105005B1 (ko) 2019-07-17 2019-07-17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458A KR20200045458A (ko) 2020-05-04
KR102237898B1 true KR102237898B1 (ko) 2021-04-09

Family

ID=7073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900A KR102237898B1 (ko) 2020-04-21 2020-04-2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8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223A (ja) * 2003-07-11 2005-02-24 Nec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tft基板、液晶表示装置、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007250983A (ja) * 2006-03-17 2007-09-27 Canon Inc 酸化物膜をチャネルに用いた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223A (ja) * 2003-07-11 2005-02-24 Nec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tft基板、液晶表示装置、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007250983A (ja) * 2006-03-17 2007-09-27 Canon Inc 酸化物膜をチャネルに用いた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458A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85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548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EP2706575B1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KR10265069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1872A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3155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26679A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및 그 제조 방법
KR10223789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500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4284299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KR20180005311A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3756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054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2438A (ko)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3127A (ko) 박막 트랜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