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794B1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794B1
KR102237794B1 KR1020140018128A KR20140018128A KR102237794B1 KR 102237794 B1 KR102237794 B1 KR 102237794B1 KR 1020140018128 A KR1020140018128 A KR 1020140018128A KR 20140018128 A KR20140018128 A KR 20140018128A KR 102237794 B1 KR102237794 B1 KR 102237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ground electrode
touch
touch wind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053A (ko
Inventor
이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794B1/ko
Priority to US15/112,091 priority patent/US10067607B2/en
Priority to PCT/KR2014/012927 priority patent/WO2015108290A1/en
Publication of KR2015009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배치되고, 시간영역(time domain) 측정방식으로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배치되고, 시간영역(time domain) 측정방식으로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위치를 센싱하는 방식으로 정전 용량 방식 및 저항막 방식이 대표적이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전극 간 연결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제조 방식의 편의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소형 모델에 있어서는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방식 외에 보다 정밀하고 간단한 위치 인식을 위한 위치 검출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배치되고, 시간영역(time domain) 측정방식으로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배치되고, 시간영역(time domain) 측정방식으로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TDR방식으로 센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TDR방식은 터치 위치 인식뿐만 아니라 터치 제스처 또한 인식할 수 있다. 즉, 감지부에서는 드로잉(drawing)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서는 반복적인 터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TDR 방식을 통해 터치 tip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터치 tip의 직경을 0.5 내지 0.8로 줄일 수 있다. 일례로, 터치 tip의 직경이 1 Φ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섬세한 터치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터치 센싱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속도가 수 ㎲(마이크로세컨드)로 빨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가 전도성 패턴을 가짐으로써, 감지부 상에서 상기 센서부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터치 윈도우가 휘어질 때, 센서부의 물리적 타격없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벤딩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평면도이다.
도 2는 센서부의 센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감지부(100) 및 상기 감지부(100)에 배치되는 센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100)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필름 상에 배치된다.
상기 감지부(100)에는 상기 센서부(200)가 배치되어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00)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제1 센서부(210) 및 제2 센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220)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센서부(220)는 상기 제1 센서부(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이 서로 다른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상기 제2 센서부(220)가 교대로 반복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100)의 전면을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200)는 일정한 대칭성 및 반복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가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센서부(200)는 반복적 배치를 통해 상기 감지부(100)의 전면을 채울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제2 센서부(220)는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서부(21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22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센서부(210) 및 제2 센서부(220) 각각의 길이는 1 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200)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는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부(200)는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은 다수개의 전도성 패턴 라인(20)들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200)는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상은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무아레 현상이란, 주기적인 줄무늬가 겹쳐져서 생기는 무늬로, 이웃한 줄무늬들이 겹쳐지면서 줄무늬의 굵기가 굵어져 다른 줄무늬에 비해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패턴 형상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200)는 전도성 패턴 개구부(OA) 및 전도성 패턴 선부(L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W)이 0.1 ㎛ 내지 10 ㎛ 가 될 수 있다. 선폭(W)이 0.1 ㎛ 이하인 전도성 패턴 선부(LA)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W)이 10 ㎛ 이하일 경우, 센서부(2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W)은 1 ㎛ 내지 10 ㎛ 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패턴이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패턴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전도성 패턴 내에서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20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가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감지부(100) 상에서 상기 센서부(20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20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가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터치 윈도우가 휘어질 때, 센서부(200)의 물리적 타격없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벤딩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시간 영역 반사 측정법(TDR)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시간 영역 반사 측정법(TDR)을 통해 터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송선 이론(Transmission line Theory)을 기반으로 인가된 신호가 상기 센서부(200)의 패턴을 따라 진행하다가 임피던스(impedence)가 큰 지점(터치점, T)에서 일부 신호가 반사하여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지점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즉, 입력 장치가 터치된 지점에서 임피던스 증가로 발행하는 Time Domain상 스레숄드(Threshold) 지점 이상 및 이하에서 형성된 신호를 통해 x, y (2D) 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TDR 방식이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는 방식에 적용되었다.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에너지 펄스가 발생하는 일 끝단(200a) 및 신호가 상기 센서부(200)를 따라 전송되면서 에너지 펄스가 종착하는 타 끝단(200b)을 포함한다. 에너지 펄스는 일정한 임피던스를 갖는 전기적인 전도성 패스(예를 들면 전송 라인)로 전송된다. 펄스가 전기적인 전도성 패스의 비-종단된 단부(unterminatedend)에 도달하거나 전기적인 전도성 패스를 따라 임피던스의 변화가 있다면, 에너지 펄스의 일부 또는 모두는 그 소스로 다시 반사된다. 두 개의 금속 전도체들이 매우 근접하게 함께 배치되면, 두 개의 금속 전도체들은 금속 전도체들의 공간과 그들 사이의 절연 유전체 의해 결정된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전송 라인을 형성한다. 전송 라인이 그의 특성 임피던스로 종단되면(terminated), 펄스가 전송 라인의 시작에서 발생하였던 그곳으로 되돌아가는 반사 펄스는 없을 것이다. 전송 라인이 비-종단되면, 전송된 펄스가 전송 라인의 시작에서 발생하였던 그곳으로 되돌아가는 포지티브 반사 펄스가 존재할 것이다. 전송 라인을 따라 어디에서든지 임피던스 차이가 있다면, 반사 펄스가 생성되어 연속적으로 검출될 것이다. 이 반사 펄스가 펄스 소스 위치로 리턴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임피던스 차이가 일어나는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 라인을 따른 정전용량의 증가(예를 들면, 손가락 터치)는 리턴 반사 펄스가 생성된(전송된) 펄스에 대하여 네거티브가 되게 한다.
한편, 이러한 TDR방식은 터치 위치 인식뿐만 아니라 터치 제스처 또한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에서는 드로잉(drawing)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서는 반복적인 터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TDR 방식을 통해 터치 tip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터치 tip의 직경을 0.5 내지 0.8로 줄일 수 있다. 일례로, 터치 tip의 직경이 1 Φ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섬세한 터치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터치 센싱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속도가 수 ㎲(마이크로세컨드)로 빨라질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데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제1 센서부(211) 및 제2 센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다수개의 전도성 패턴 라인(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서부(211)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센서부(221)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221)는 상기 제1 센서부(2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센서부(211)의 길이(L1) 및 상기 제2 센서부(221)의 길이(L2)의 비는 0.5:1 내지 1.5:1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센서부(221)로부터 제1’ 센서부(211’)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센서부(211’)의 길이(L1’) 및 상기 제2 센서부(221)의 길이(L2)의 비는 0.5:1 내지 1.5:1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센서부(211’)로부터 제2’ 센서부(221’)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센서부(211’)의 길이(L1’) 및 상기 제2’ 센서부(221’)의 길이(L2’)의 비는 0.5:1 내지 1.5:1일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11), 제2 센서부(221), 제1’ 센서부(211’) 및 제2’ 센서부(221’)가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감지부(100)는 제1 영역(1A) 및 제2 영역(2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1A) 및 상기 제2 영역(2A)은 상기 감지부(100)를 2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A) 및 상기 제2 영역(2A) 각각에 센서부(201, 20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1A)에 제1 영역 센서부(20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2A)에 제2 영역 센서부(20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 및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의 형상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 및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 및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 및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는 각각 시간 영역 반사 측정법(TDR)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는 에너지 펄스가 발생하는 일 끝단(201a) 및 신호가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를 따라 전송되면서 에너지 펄스가 종착하는 타 끝단(201b)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는 에너지 펄스가 발생하는 일 끝단(202a) 및 신호가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를 따라 전송되면서 에너지 펄스가 종착하는 타 끝단(202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의 일 끝단(201a) 및 타 끝단(201b)은 상기 제1 영역(1A)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의 일 끝단(202a) 및 타 끝단(202b)은 상기 제2 영역(2A)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 및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가 각각 터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터치 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터치 감도를 유지할 수 있고, 멀티 터치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역 센서부(201) 및 제2 영역 센서부(202)의 형태가 상기 도 4에 도시한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 센서부(201)의 일 끝단(201a) 및 타 끝단(201b)은 상기 제1 영역(1A)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 센서부(202)의 일 끝단(202a) 및 타 끝단(202b)은 상기 제2 영역(2A)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센서부(200)의 일 끝단(200a) 및 타 끝단(200b)이 각각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부(100)는 다수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0)는 세 분할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00)는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제3 영역(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제3 영역(3A) 각각에 센서부(203, 204, 20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3, 204, 205)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각 센서부(203, 204, 205)의 일 끝단(203a, 204a, 205a) 및 타 끝단(203b, 204b, 205)b은 각 센서부(203, 204, 205)가 위치하는 영역(1A, 2A, 3A)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200)에 인접하여 그라운드 전극(3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은 상기 센서부(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은 센서부(20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제1 그라운드 전극(301) 및 제2 그라운드 전극(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라운드 전극(301)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전극(302)은 상기 센서부(200)를 사이에 두고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 또는 ESD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전기 또는 ESD가 상기 센서부(200)의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정전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센싱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호간섭을 방지하여 터치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은 메쉬(mesh)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은 다수 개의 전도성 패턴 라인(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센서부(200)에 형성된 전도성 패턴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200)에 인접하여 더미부(2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부(280)는 상기 센서부(200)들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더미부(280)는 상기 제1 센서부(210)들 사이 또는 상기 제2 센서부(22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더미부(280)는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더미부(280)는 상기 센서부(200)와 상기 그라운드 전극(300)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부(280)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더미부(280)는 메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더미부(280)는 상기 센서부(20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부(280)를 통해 터치 윈도우의 광학특성 및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부(200)가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에 배치될 경우, 상기 센서부(200)의 전도성 패턴들이 뿌옇게 보이거나 흐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200)과 상기 더미부(280) 사이의 간격(G)은 15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200)과 상기 더미부(280) 사이의 간격(G)은 1 ㎛ 내지 150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부(200)의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부(2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 및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원형 형상의 더미부(250)가 하나의 열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더미부(250)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 및 더미부(250)가 동일한 패턴 또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센서부(200)가 배치되는 상기 감지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영역(AA) 또는 비화면 영역(U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뿐만 아니라 화면을 둘러싸는 테두리 부분일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영역을 확대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구동부(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 상에 보호필름(400)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터치 윈도우 및 구동부(600)는 접착필름(500)에 의해 합착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윈도우는 곡면(curved) 터치 윈도우 또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에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은 하부기판과 접합되어 하부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구동부(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커버기판(13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의 센서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의 상면(face up)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기판(130)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사이에 접착층(7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구동부(6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600)는 상부기판(620) 및 하부기판(61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기판(610)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기판(610) 상에 상기 센서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620)은 하부기판(610)과 접합되어 하부기판(610)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기판(620) 상에 편광자(6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배치되고, 시간영역(time domain) 측정방식으로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인접한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전도성 패턴 개구부 및 전도성 패턴 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영역 센서부; 및
    상기 제 1 영역 센서부에 인접하고,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영역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센서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제 1 그라운드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 1 그라운드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터치 팁(tip)의 직경은 1Φ 이하인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의 일 선폭은 0.1 ㎛ 내지 10㎛인 터치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의 길이 및 상기 제2 센서부의 길이의 비는 0.5:1 내지 1.5:1인 터치 윈도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는 교대로 반복하여 연장되는 터치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Cu, Au, Ag, Al, Ti, Ni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어느 하나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센서부 및 상기 제2 영역 센서부의 패턴은 대응되는 터치 윈도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더미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2.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배치되고, 시간영역(time domain) 측정방식으로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인접한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은 전도성 패턴 개구부 및 전도성 패턴 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영역 센서부; 및
    상기 제 1 영역 센서부에 인접하고,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영역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센서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제 1 그라운드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 1 그라운드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터치 팁(tip)의 직경은 1Φ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윈도우는 곡면(curved) 터치 윈도우 또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윈도우는 상기 구동부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18128A 2014-01-17 2014-02-17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28A KR102237794B1 (ko) 2014-02-17 2014-02-17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5/112,091 US10067607B2 (en) 2014-01-17 2014-12-26 Time domain reflectometry touch window sensor
PCT/KR2014/012927 WO2015108290A1 (en) 2014-01-17 2014-12-26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28A KR102237794B1 (ko) 2014-02-17 2014-02-17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53A KR20150097053A (ko) 2015-08-26
KR102237794B1 true KR102237794B1 (ko) 2021-04-09

Family

ID=5405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128A KR102237794B1 (ko) 2014-01-17 2014-02-17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76B1 (ko) * 2017-10-27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8257A1 (en) 2009-11-29 2011-06-02 Kim Kihong Joshua Time domain reflectometer touch screen sensor
US20120271580A1 (en) * 2011-04-21 2012-10-2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Touch sense determined by characterizing impedance changes in a transmission line
KR101285428B1 (ko) * 2013-03-19 2013-07-12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원레이어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044B1 (ko) * 2012-04-19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8257A1 (en) 2009-11-29 2011-06-02 Kim Kihong Joshua Time domain reflectometer touch screen sensor
US20120271580A1 (en) * 2011-04-21 2012-10-2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Touch sense determined by characterizing impedance changes in a transmission line
KR101285428B1 (ko) * 2013-03-19 2013-07-12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원레이어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53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811B1 (ko) 터치 패널
CN106020575B (zh) 触摸面板
US8698029B2 (en) Touch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a touch sensor
US20140152608A1 (en) Touch panel
US9952730B2 (en) Touch panel
KR102329810B1 (ko) 메시 형태의 전극 패턴 및 전극 패턴의 형성 방법, 그리고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464277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50092526A (ko) 터치 윈도우
JP2015143933A (ja) 静電容量型センサ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0067607B2 (en) Time domain reflectometry touch window sensor
KR102589844B1 (ko) 터치 스크린 장치
JP6539190B2 (ja)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2014510974A (ja) タッチセンシティブスクリーン
JP6461598B2 (ja) モアレ減少のためのオーバーコート層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形成方法(TouchPanelwithOvercoatLayerforreducingMoire、LiquidCrystalDisplayDeviceHavingtheTouchPanelandMethodForFormingtheTouchPanel)
KR102302814B1 (ko) 터치 윈도우, 이의 터치 센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133732B2 (ja) 入力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US9244582B2 (en) Touch panel
KR102237794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964B1 (ko) 전극부재,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9717B1 (ko) 터치 윈도우
KR1021757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85458B1 (ko) 터치패널
KR102152834B1 (ko) 터치 윈도우, 이의 터치 센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2559B1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