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490B1 -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 Google Patents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490B1
KR102237490B1 KR1020190075507A KR20190075507A KR102237490B1 KR 102237490 B1 KR102237490 B1 KR 102237490B1 KR 1020190075507 A KR1020190075507 A KR 1020190075507A KR 20190075507 A KR20190075507 A KR 20190075507A KR 102237490 B1 KR102237490 B1 KR 10223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pattern
layer
substrate
smartpho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772A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7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4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4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combined with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1Base lay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44C1/1716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particular decorative layer, e.g. specially adapted to allow the formation of a metallic or dyestuff layer on a substrate unsuitable for direct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7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층, 제1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2 프라이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준비하는 단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제2 프라이머층이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위치시키는 단계; 200 내지 210 V의 전압이 90 내지 105의 초당 펄스수(pps)로 인가되는 열전사 헤드를 사용하여 열전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제2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이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 특성이 향상되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고, 심미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Manufacturing method of deco-film for housing of smart phone thermal transfer-ink ribbon having patterned layer and the deco-film for housing of smart phon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고, 디자인의 심미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사용 미세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필름을 활용하는 디자인이 적용된 하우징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이 대중화되었고, 또한 제품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고 디자인의 차별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강화유리 또는 PC 사출물 등에 회사 로고, 그라디언트 데코레이션 또는 입력 버튼이 인쇄된 데코레이션 필름(데코필름)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코필름은 통상,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경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긁힘 자국 등의 흠집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제품의 보호뿐만 아니라, 심미성 향상을 위한 데코필름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데코필름은 다양한 개성을 가진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도록 필름의 색상, 광택, 그리고 문양(즉, 패턴) 등이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7727호에서는 빛의 투사 및 확산과 반사를 위한 대지필름의 하부에 임의의 패턴이 직접 디자인된 UV 패턴층을 구비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별도의 건조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UV 패턴층의 두께는 심미성 및 시인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색상부여, 패턴부여 등을 위한 다른 추가 공정을 부가하여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77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고,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얇은 두께로도, 충분한 심미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이형층, 제1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2 프라이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준비하는 단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제2 프라이머층이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위치시키는 단계; 200 내지 210 V의 전압이 90 내지 105의 초당 펄스수(pps)로 인가되는 열전사 헤드를 사용하여 열전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제2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이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 특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은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 사이에 증착층을 더 형성한 것이고, 상기 증착층은 인듐, 크롬, 주석, 실리콘, 티타늄 및 이들의 혼합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착성분을 10 내지 150 Å의 두께로 증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인 것이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아민변성 콜로이달 실리카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를 반응시켜 형성되는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와, 아크릴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2:2: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인쇄층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을 새기기 위하여, 몸통의 외측면에 상기 패턴이 새겨져 이루어지는 패턴 제작용 금형장치 롤러를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에 밀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금형장치 롤러의 패턴을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된 패턴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층에 UV 빛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반응성 모노머 및 광반응성 올리고머를 1: 1 내지 1.5 중량비율로 혼합한 광반응성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0.5 내지 2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0.5 내지 2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패턴인쇄층을 열전사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열처리 및 건조 공정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공정이 간소화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은 충분히 선명한 질감 및 패턴을 구현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두께의 패턴인쇄층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인쇄층의 양면은 각각 제1 프라이머층 및 제2 프라이머층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부착력으로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전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은 디자인의 심미성 및 시인성이 매우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증착층을 더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열전사한 후의 실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이형층, 제1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2 프라이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준비하는 단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제2 프라이머층이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위치시키는 단계; 200 내지 210 V의 전압이 90 내지 105의 초당 펄스수(pps)로 인가되는 열전사 헤드를 사용하여 열전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제2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의 실제 이미지와,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이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 특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우수한 부착력으로, 선명한 질감 및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종래보다 매우 얇은 두께의 패턴인쇄층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심미성 및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은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 사이에 증착층을 더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착층은 인듐, 크롬, 주석, 실리콘, 티타늄 및 이들의 혼합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착성분을 10 내지 150 Å의 두께로 증착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증착층을 더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열전사한 후의 실제 이미지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조절되어, 보는 시각에 따라서 다양하고 선명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이형층, 제1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2 프라이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준비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패턴인쇄층을 열전사하는데에 중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열처리 및 건조 공정이 필요없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은 선명한 질감 및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매우 얇은 두께의 패턴인쇄층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터치 조작 등이 요구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의 작동 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질감 및 패턴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사된 패턴인쇄층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심미성 및 시인성의 개선을 위한 다른 공정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에 색상을 구현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발색력이 우수한 칼라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심미성 및 시인성의 개선을 위한 추가 공정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정들이 수행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공정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제2 프라이머층이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열전사에 적합한 피전사체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마이드(PA),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마이드-이미드(PAI), 폴리에틸렌이민(PEI)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판인 것이고, 이때,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의 일 면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선명한 질감 및 패턴을 구현하는 패턴인쇄층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용이하게 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인 것을 사용하여, 곡면형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결합되는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아민변성 콜로이달 실리카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를 반응시켜 형성되는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와, 아크릴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2:2: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의 일 면에 적층된 프라이머층의 폴리이미드와;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의 폴리이미드와 우수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매우 얇은 두께로도 충분히 우수한 부착력 및 열전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는 아민변성 콜로이달 실리카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를 반응시켜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변성 콜로이달 실리카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축합중합체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폴리에틸렌이민하이히드로클로라이드과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폴리에틸렌이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과 직접 반응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아민변성 콜로이달 실리카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유도체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비닐아세트산, 비닐프로피온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에틸렌성 단량체를 2: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기가 포함된 석유수지 10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 중량부, 물 150 내지 200 중량부 및 중합개시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킨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는, 폴리(1,4-부탄디올 아디페이트)(Poly(1,4-butanediol adipat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디올(Polycaprolactone diol) 30 내지 50 중량부, 1,6-헥산디올(1,6-hexanediol) 10 내지 30 중량부,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propionic acid) 10 내지 15 중량부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70 내지 90 중량부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폴리머에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5 내지 7 중량부를 넣어 중화시키고, 물 200 내지 500 중량부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2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쇄연장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매우 얇은 두께로도 충분히 우수한 부착력 및 열전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가교촉진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대한 부착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교촉진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들면, 테트라알킬티타네이트(tetraalkyl), 지르코네이트(zirconate), 징크옥토에이트 (zincoctoate), 징크레진네이트(zinc resinate), 옥사졸린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촉진제는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와, 아크릴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0 내지 210 V의 전압이 90 내지 105의 초당 펄스수(pps)로 인가되는 열전사 헤드를 사용하여 열전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제2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200 내지 210 V의 전압이 90 내지 105의 초당 펄스수(pps)로 인가되는 열전사 헤드를 사용하여 열전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선명한 질감 및 패턴을 구현하는 매우 얇은 두께의 패턴인쇄층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매우 우수한 부착력으로 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매우 얇은 두께로 전사되기 때문에 터치 조작 등이 요구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의 작동 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층으로부터 제1 프라이머층이 매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사 공정은 300 내지 350 kgf/mm2 범위의 압력 및 80 내지 105 ℃의 온도에서 0.1 내지 2.0 inch/sec의 속도로 수행되어,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도막 경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인쇄층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람이 보는 각도 및 빛의 양에 따라 수직방향의 다수개의 줄기가 상, 하, 좌, 우 방향으로의 움직이게 보이고, 상기 줄기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움직이게 보이는 패턴을 새기기 위하여, 몸통의 외측면에 상기 패턴이 새겨져 이루어지는 패턴 제작용 금형장치 롤러를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에 밀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금형장치 롤러의 패턴을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된 패턴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층에 UV 빛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반응성 모노머 및 광반응성 올리고머를 1: 1 내지 1.5 중량비율로 혼합한 광반응성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0.5 내지 2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도포되는 두께가 얇고 일정하고, 상기 제1 프라이머층 및 제 2 프라이머층의 사이에서 광학적 물성 변화없이 선명한 패턴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0.5 내지 2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반응성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반응성 모노머 및 광반응성 올리고머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 및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계 광반응성 모노머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머를 상기한 함량범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부착성을 개선하고, 표면 경도가 우수한 패턴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조인메틸에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 페닐]-1-부타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헥산, 옥탄, 데칸, 이소데칸,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에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탄화수소계 용매;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다이메틸 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케톤계 용매;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디그라임, 트리그라임,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부틸카르비톨, 부틸트리에틸렌글리콜, 메틸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글리콜계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탄화수소계 용매: 케톤계 용매: 및 글리콜계 용매를 2: 1: 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반응성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디메틸실록산 1 내지 15 중량부 및 유기 실란 화합물 5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한 효과 뿐만 아니라, 수축률 및 휨 성질(신율)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제1 프라이머층 및 제 2 프라이머층과의 재료분리 및 혼화로 인한 물성변화를 방지하고, 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 실란 화합물은 R1-Si(OC2H5)3, R2-Si(OCH3)3, R3-SiH(OCH3)2, R4-SiH(OC2H5)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기 실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여기서 R1은 수소, 메틸기, 에틸기, 알릴기, 페닐기, 비닐기, 3-아미노프로필기, 3-글리시딜옥시프로필기 또는 3-머캅토옥시프로필기일 수 있고, R2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이소부틸기, 페닐기, 3-클로로프로필기, 3-머캅토옥시프로필기, 3-아미노프로필기,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기 또는 3-메타아크릴옥시기일 수 있으며, R3는 γ-아미노프로필기 또는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기일 수 있고, R4는 3-아미노프로필기 또는 메틸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실란 화합물은 R1-Si(OC2H5)3, R2-Si(OCH3)3, R3-SiH(OCH3)2, R4-SiH(OC2H5)2을 1: 3: 3: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1-Si(OC2H5)3은, 알릴트리에톡시실란(allyltriethoxy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silane),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메틸트리에톡시실란(methyltriethoxysilane), 에틸트리에톡시실란(ethyltriethoxysilane),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glycidyloxypropyltriethoxysilane),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R2-Si(OCH3)3는,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트리메톡시실란(trimethoxysilane),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에틸트리메톡시실란(ethyltrimethoxysilane), 3-메타크릴옥시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trimethoxysilane),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isobutyltrimethoxysilane), 페닐트리메톡시실란(phenyltrimethoxysil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R3-SiH(OCH3)2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γ-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N-aminoethyl-3-aminopropyl-dimethoxymethysil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R4-SiH(OC2H5)2는, 3-아미노프로필디에톡시실란(3-aminopropyldiethoxysilane), 메틸디에톡시실란(methyldiethoxysil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은 상온에서 이형층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에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며, 열전사에 의하여 이형층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은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와, 아크릴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3:0.5:0.5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릴인산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20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은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패턴인쇄층을 열전사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열처리 및 건조 공정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공정이 간소화되고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은 충분히 선명한 질감 및 패턴을 구현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두께의 패턴인쇄층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인쇄층의 양면은 각각 제1 프라이머층 및 제2 프라이머층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부착력으로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에 전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은 심미성 및 시인성이 매우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구현예 등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이형층, 제1 프라이머층, 패턴인쇄층 및 제2 프라이머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전체 두께가 1 내지 2μm인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을 포함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준비하는 단계;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의 제2 프라이머층이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을 마주보도록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위치시키는 단계;
    200 내지 210 V의 전압이 90 내지 105의 초당 펄스수(pps)로 인가되는 열전사 헤드를 사용하여 열전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 상에,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상기 패턴인쇄층 및 상기 제1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이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과 상기 제2 프라이머층 사이의 계면 특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열전사용 패턴잉크 필름은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패턴인쇄층 및 제1 프라이머층 사이에 증착층을 더 형성한 것이고,
    상기 증착층은 인듐, 크롬, 주석, 실리콘, 티타늄 및 이들의 혼합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착성분을 10 내지 150 Å의 두께로 증착하고,
    상기 스마트폰 하우징용 기판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기판인 것이고,
    상기 제2 프라이머층은 아민변성 콜로이달 실리카와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를 반응시켜 형성되는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와, 아크릴 화합물 및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2:2: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인쇄층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을 새기기 위하여, 몸통의 외측면에 상기 패턴이 새겨져 이루어지는 패턴 제작용 금형장치 롤러를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에 밀착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금형장치 롤러의 패턴을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에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된 패턴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층에 UV 빛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반응성 모노머 및 광반응성 올리고머를 1: 1 내지 1.5 중량비율로 혼합한 광반응성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 0.5 내지 2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0.5 내지 2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0190075507A 2019-06-25 2019-06-25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23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07A KR102237490B1 (ko) 2019-06-25 2019-06-25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07A KR102237490B1 (ko) 2019-06-25 2019-06-25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72A KR20210000772A (ko) 2021-01-06
KR102237490B1 true KR102237490B1 (ko) 2021-04-16

Family

ID=7412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07A KR102237490B1 (ko) 2019-06-25 2019-06-25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4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247Y1 (ko) * 2002-06-26 2002-09-16 주식회사 선경홀로그램 홀로그램이 적용된 마그네틱 전사 리본
JP2012184417A (ja) 2011-02-17 2012-09-27 Mitsui Chemicals Inc アクリル系水分散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KR101197308B1 (ko) * 2011-12-14 2012-11-05 서울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미러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7170896A (ja) * 2016-03-18 2017-09-28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熱転写受像フィルム
KR101849370B1 (ko) 2017-01-13 2018-04-16 (주)세경하이테크 유연성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JP2018176663A (ja) * 2017-04-20 2018-11-15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インクリボンおよび間接熱転写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27B1 (ko) 2013-03-08 2013-06-24 (주)미래씨엔피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95611B1 (ko) * 2015-08-27 2020-03-31 (주)엘지하우시스 컬러 표면 입체패턴이 구현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247Y1 (ko) * 2002-06-26 2002-09-16 주식회사 선경홀로그램 홀로그램이 적용된 마그네틱 전사 리본
JP2012184417A (ja) 2011-02-17 2012-09-27 Mitsui Chemicals Inc アクリル系水分散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KR101197308B1 (ko) * 2011-12-14 2012-11-05 서울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미러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7170896A (ja) * 2016-03-18 2017-09-28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熱転写受像フィルム
KR101849370B1 (ko) 2017-01-13 2018-04-16 (주)세경하이테크 유연성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JP2018176663A (ja) * 2017-04-20 2018-11-15 凸版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インクリボンおよび間接熱転写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72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7253B (zh) 用于形成抗反射结构的叠层转印膜
US6700708B2 (en) Micro-lens array and method of making micro-lens array
KR102052720B1 (ko) 고채도 플레이크
CN104870198A (zh) 图案化的结构化转印带
JP6510651B2 (ja) 加熱器具加飾用着色組成物、加熱器具加飾用転写材料、加熱器具および調理器
CN105917485A (zh) 用于形成具有工程化空隙的制品的叠层转印膜
JP2012099729A (ja) テンプレート、テンプレート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161876B1 (ko) 층 시스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203570A (zh) 透明叠层体及其制造方法
US10035927B2 (en) Coloring composition for decoration, decorative material, base material having decorative material, transfer material, touch panel,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15214032A (ja) 転写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転写成形品
CN107820461A (zh) 分段式转印带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1213084B (zh) 用于提供带有装饰的器具的方法
US10618247B2 (en) Segmented and non-segmented transfer tapes, articles therefrom and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KR102237480B1 (ko)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237490B1 (ko)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237481B1 (ko)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237483B1 (ko) 열전사용 패턴잉크 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237470B1 (ko) 열전사용 형광칼라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1248743B1 (ko)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37472B1 (ko) 열전사용 형광칼라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KR102237475B1 (ko) 열전사용 형광칼라잉크리본을 이용한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마트폰 하우징용 데코필름
JP2016047878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加飾材、加飾材付き基材、転写材料、タッチパネル、及び、情報表示装置
JP2016124720A (ja) 硬化性組成物、転写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前面板一体型センサ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の製造方法
JP6233691B2 (ja) 樹脂組成物、こ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ハードコート剤、加飾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