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819B1 -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 Google Patents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819B1
KR102236819B1 KR1020190159722A KR20190159722A KR102236819B1 KR 102236819 B1 KR102236819 B1 KR 102236819B1 KR 1020190159722 A KR1020190159722 A KR 1020190159722A KR 20190159722 A KR20190159722 A KR 20190159722A KR 102236819 B1 KR102236819 B1 KR 10223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pipe part
fixed
spindle
water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건
Original Assignee
이호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건 filed Critical 이호건
Priority to KR102019015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된 제수변을 감싸는 보호하우징과, 상기 보호하우징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지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개로 이루어져, 스핀들을 인입시켜 매립된 제수변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수변 보호통으로서, 상기 철개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부의 상단부가 끼움되어 1차로 상호 고정되며, 상기 철개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체결공들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에는 관통되게 한쌍의 지지봉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는 볼트의 헤드가 고정되고, 상기 볼트의 상단부는 체결공들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철개와 상기 연결관부가 2차로 상호 고정되며, 상기 철개의 하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는 상기 철개의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부가 내부에 배치되게 콘트리트블록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철개와 상기 연결관부가 3차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은 지중에 매설된 제수변을 스핀들로 제어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호하우징과 연결관부 및 철개를 연결함과 아울러 철개와 연결관부를 지지봉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고, 재차 콘크리트블록부로 철개와 연결관부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이나 외력에 의해 철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철개와 연결관부의 틈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핀들을 관통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Watertight protection passage with integr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제수변을 스핀들로 제어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호하우징과 연결관부 및 철개를 연결함과 아울러 철개와 연결관부를 지지봉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고, 재차 콘크리트블록부로 철개와 연결관부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이나 외력에 의해 철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철개와 연결관부의 틈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핀들을 관통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망에는 상수도관의 통수와 단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수변이 설치된다. 이 제수변에는 토사, 잡물 등의 침입으로부터 제수변을 보호하고 제수변에서 지면까지 통로를 형성한 후 스핀들을 인입시켜 제수변을 제어하도록 제수변 보호통이 형성된다.
종래의 제수변에 설치되는 보호통은 토사나 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수변을 둘러싸는 제수변 베이스, 제수변 베이스의 상면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하부 보호통, 및 하부 보호통과 연통되게 하부 보호통에서 지면까지 수직하게 설치되는 입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입상관은 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입상관의 상단에는 지면에 노출되며 입상관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제수변 철개가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통은 작업자가 철개의 뚜껑을 열고, 스핀들을 순차적으로 철개와 입상관 및 스핀들을 감싸는 보호통으로 인입시켜 제수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어키에 체결된 후 회전시켜 제수변을 개방시키거나 폐쇄하여 상수도관을 통수하거나 단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통은 철개와 입상관이 끼움식으로 상호 체결되어 있으며, 철개 및 입상관이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반복적인 차량의 주행에 의해 지면이 경사지게 파이거나 일부분이 가압되어 눌려질 경우 철개가 지면과 함께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고, 기울어진 철개와 수직으로 배치된 입상관 사이에 틈이 발생하면서 철개 및 입상관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개와 입상관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흙이 잡물이 유입되어 입상관을 막아 스핀들을 인입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해 스핀들 위치까지 굴착한 후 입상관을 제거한 다음 제수변 베이스에 유입된 흙이나 잡물을 제거해야 하므로 유지보수를 위한 공정이 복잡하고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66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된 제수변을 스핀들로 제어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호하우징과 연결관부 및 철개를 연결함과 아울러 철개와 연결관부를 지지봉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고, 재차 콘크리트블록부로 철개와 연결관부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이나 외력에 의해 철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철개와 연결관부의 틈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핀들을 관통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매립된 제수변을 감싸는 보호하우징과, 상기 보호하우징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지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개로 이루어져, 스핀들을 인입시켜 매립된 제수변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수변 보호통으로서, 상기 철개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부의 상단부가 끼움되어 1차로 상호 고정되며, 상기 철개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체결공들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에는 관통되게 한쌍의 지지봉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는 볼트의 헤드가 고정되고, 상기 볼트의 상단부는 체결공들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철개와 상기 연결관부가 2차로 상호 고정되며, 상기 철개의 하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는 상기 철개의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부가 내부에 배치되게 콘트리트블록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철개와 상기 연결관부가 3차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부에는 상기 제수변의 제어를 위해 스핀들이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은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외면에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간격패널이 형성되고, 한쌍의 간격패널은 상기 스핀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봉은 상기 철개의 플랜지와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개에는 관통구의 하부에 환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내주면이 돌출되게 탄성관이 더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부의 상단부가 상기 탄성관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관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격이 전달되는 것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에는 탄성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에 끼움되는 고정연결블록과, 상기 고정연결볼록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볼트가 배치되는 밀폐관과, 상기 고정연결블록의 상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볼트의 헤드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은 지중에 매설된 제수변을 스핀들로 제어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보호하우징과 연결관부 및 철개를 연결함과 아울러 철개와 연결관부를 지지봉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고, 재차 콘크리트블록부로 철개와 연결관부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이나 외력에 의해 철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철개와 연결관부의 틈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핀들을 관통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에 연결관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볼트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볼트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볼트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콘크리트블록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스핀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스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스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에 연결관부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볼트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볼트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볼트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철개와 연결관부가 콘크리트블록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스핀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스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에 있어, 스핀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수변 보호통'이라 명명함)는 매립된 제수변(100)을 감싸도록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보호하우징(20)과, 상기 보호하우징(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하우징(21)과 상기 연결하우징(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구에 연통되게 하단부가 끼움되는 연결관부(30)와, 지면(200)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부(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개(40)로 이루어져, 스핀들(50)을 인입시켜 매립된 제수변(100)의 제어돌기(110)를 회전시켜 제어되도록 하는 제수변(100) 보호통(10)으로서, 상기 철개(4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부(30)의 상단부가 끼움되어 1차로 상호 고정된다. 상기 연결관부(30)는 상기 철개(40)의 하부에 억지끼움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관부(3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부(30)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하우징(21)에 끼움된 후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철개(40)의 하부에 끼움되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철개(40)는 상부에 덮개(41)가 체결되고, 상기 철개(40)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체결공(421)들을 갖는 플랜지(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30)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관통되게 금속재로 이루어진 한쌍의 지지봉(31)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봉(31)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관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봉(31)은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상기 연결관부(30)에 체결되어, 상기 스핀들(50)이 상기 연결관부(30)를 관통하여 상기 제수변(10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부(30)에는 설치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에 관통되게 상기 지지봉(31)을 체결하게 되며, 체결된 상기 지지봉(31)과 상기 설치공은 용접 또는 융착하여 기밀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지지봉(31)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봉(31)의 단부에는 볼트(32)의 헤드(321)가 용접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32)의 상단부는 상기 철개(40)의 플랜지(42)에 형성된 체결공(421)들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너트(32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철개(40)와 상기 연결관부(30)가 지지봉(31)과 볼트(32)에 의해 2차로 상호 고정된다.
상기 연결관부(30)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봉(31)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철개(40)의 플랜지(42)와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상기 연결관부(30)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32)에 의해 상기 플랜지(42)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너트(322)를 체결시 상향으로 가압되면서 발생되는 상기 지지봉(31)의 탄성에 의해 상기 너트(322)가 상기 볼트(3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도면상 후술될 콘크리트블록부(60)의 높이(부피)를 높일(넓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31)의 단부에는 반발코일스프링의 단부를 더 용접하고, 상기 반발코일스프링에 상기 볼트(32)의 헤드(321)를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42)에 상기 볼트(32)를 체결 후 상기 너트(322)로 조임시 상기 반발코일스프링의 단부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탄성에 의해 상기 너트(322)가 상기 볼트(3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견고한 체결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상기 지지봉(31)을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철개(40)의 하부 및 상기 연결관부(30)의 상부는 상기 철개(40)의 플랜지(42)와 상기 연결관부(30)가 내부에 배치되게 콘트리트블록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철개(40)와 상기 연결관부(30)가 3차로 상호 고정된다.
즉. 상기 플랜지(42)가 포함되게 상기 철개(40)의 하부 및 상기 지지봉(31)이 포함되게 상기 연결관부(30)의 상부를 거푸집으로 감싼 후 상기 거푸집에 몰탈을 투입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부(6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철개(40)와 상기 연결관부(30)가 3차로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100) 보호통(10)을 철개(40)와 연결관부(30)가 끼움식으로 1차로 고정되고, 지지봉(31)과 볼트(32)에 의해 철개(40)의 플랜지(42)에 2차로 고정되고, 콘크리트블록부(60)에 의해 철개(40)와 연결관부(30)가 3차로 고정되어, 철개(40)와 연결관부(30)를 일체화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통행이나 외력에 의해 철개(40)가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방지하게 되고, 철개(40)가 기울어지면(200)서 연결관부(30)와 분리되어 그 틈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연결관부(30)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블록부(60)의 상부에는 4개의 가압실린더 하부를 인서트(매립)시켜 고정시키고, 가압실린더의 가압축을 상기 철개(40)의 외면에 힌지회동되게 체결하고, 상기 철개(40)의 내면에는 상기 가압실린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위치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철개(40)가 기울어지면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가입실린더에 전달하여 가압함으로써, 철개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실린더는 사방으로 배치되게 상기 콘크리트블록부(60)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부(30)에는 상기 제수변(100)의 제어를 위해 스핀들(50)이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50)은 상기 연결관부(3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외면에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간격패널(5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한쌍의 간격패널(51)은 상기 스핀들(5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50)이 상기 간격패널(51)에 의해 상기 연결관부(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스핀들(50)의 하부에 상기 제수변(100)의 제어돌기(110)를 정확하게 끼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패널(51)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8에서와 같이 걸림없이 지지봉(3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제수변(100)의 제어돌기(110)와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패널(51)은 서로마주보게 상기 연결관부(30)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켜, 상기 견격패널 사이에 상기 스핀들(50)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관부(30)의 중앙에 상기 스핀들(50)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견격패널의 외면에는 회전 과정중 상기 연결관부(30)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롤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철개(40)에는 관통구의 하부에 환형의 안착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43)에는 내주면이 돌출되게 탄성관(44)이 더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부(30)의 상단부가 상기 탄성관(44)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관(44)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격이 전달되는 것이 완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부(30)의 상단부는 상기 탄성관(44)에 억지끼움되고, 상기 탄성관(44)은 상기 안착홈(43)에 억지끼움 또는 끼움된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봉(31)에는 탄성고정수단(33)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고정수단(33)은 상기 지지봉(31)의 양단부에 끼움되고 나사체결되어 상호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고정연결블록(331)과, 상기 고정연결볼록에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되고, 상단부가 상기 플랜지(42)의 저면에 용접되며, 내부에 상기 볼트(32)가 배치되는 밀폐관(332)과, 상기 고정연결블록(331)의 상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볼트(32)의 헤드(321)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333)으로 이루어져, 상기 너트(322)를 상기 볼트(3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스프링(333)이 인장되고, 그 탄성에 의해 상기 너트(322)가 상기 볼트(3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밀폐관(332)에 의해 내부에 몰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33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철개(40)와 상기 연결관부(30)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관(332)은 상기 고정연결불록(331)에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되고, 상단부가 상기 플랜지(42)의 저면에 용접되어,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몰탈에 의해 콘크리트블록부(60)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몰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은, 철개와 연결관부를 일체화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통행이나 외력에 의해 철개가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방지하게 되고, 철개가 기울어지면서 연결관부와 분리되어 그 틈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연결관부가 막히게 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제수변 보호통 20 : 보호하우징
30 : 연결관부 40 : 철개
50 : 스핀들 60 : 콘크리트블록부
21 : 연결하우징
41 : 덮개 42 : 플랜지
421 : 체결공 43 : 안착홈
44 : 탄성관
31 : 지지봉 32 : 볼트
321 : 헤드 322 : 너트
33 : 탄성고정수단
331 : 고정연결블록 332 : 밀폐관
333 : 탄성스프링
51 : 간격패널
100 : 제수변 110 : 제어돌기
200 : 지면

Claims (5)

  1. 매립된 제수변을 감싸는 보호하우징과, 상기 보호하우징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지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철개로 이루어져, 스핀들을 인입시켜 매립된 제수변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수변 보호통으로서,
    상기 철개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부의 상단부가 끼움되어 1차로 상호 고정되며,
    상기 철개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체결공들을 갖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에는 관통되게 한쌍의 지지봉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는 볼트의 헤드가 고정되고, 상기 볼트의 상단부는 체결공들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철개와 상기 연결관부가 2차로 상호 고정되며,
    상기 철개의 하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상부는 상기 철개의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부가 내부에 배치되게 콘트리트블록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철개와 상기 연결관부가 3차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에는 상기 제수변의 제어를 위해 스핀들이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은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도록 외면에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간격패널이 형성되고, 한쌍의 간격패널은 상기 스핀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봉은 상기 철개의 플랜지와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개에는 관통구의 하부에 환형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내주면이 돌출되게 탄성관이 더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부의 상단부가 상기 탄성관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관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격이 전달되는 것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는 탄성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에 끼움되는 고정연결블록과,
    상기 고정연결블록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볼트가 배치되는 밀폐관과,
    상기 고정연결블록의 상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볼트의 헤드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KR1020190159722A 2019-12-04 2019-12-04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KR10223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22A KR102236819B1 (ko) 2019-12-04 2019-12-04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22A KR102236819B1 (ko) 2019-12-04 2019-12-04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819B1 true KR102236819B1 (ko) 2021-04-06

Family

ID=7547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22A KR102236819B1 (ko) 2019-12-04 2019-12-04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8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74U (ja) * 1992-06-22 1994-01-18 日之出水道機器株式会社 地下埋設物用桝
KR100966645B1 (ko) 2009-04-06 2010-06-29 (주)창원기술개발 제수변용 투명 보호통
KR100973229B1 (ko) * 2010-04-20 2010-07-30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JP2011169426A (ja) * 2010-02-19 2011-09-01 Cosmo Koki Co Ltd 制流弁
KR101522253B1 (ko) * 2014-08-19 2015-05-26 주식회사 정광 오수 유입방지 기능을 갖는 제수변용 맨홀
KR101772107B1 (ko) * 2016-09-22 2017-08-28 (주)천보드림워텍 일체형 스핀들 내장 제수변 보호통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74U (ja) * 1992-06-22 1994-01-18 日之出水道機器株式会社 地下埋設物用桝
KR100966645B1 (ko) 2009-04-06 2010-06-29 (주)창원기술개발 제수변용 투명 보호통
JP2011169426A (ja) * 2010-02-19 2011-09-01 Cosmo Koki Co Ltd 制流弁
KR100973229B1 (ko) * 2010-04-20 2010-07-30 (주) 디케이금속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KR101522253B1 (ko) * 2014-08-19 2015-05-26 주식회사 정광 오수 유입방지 기능을 갖는 제수변용 맨홀
KR101772107B1 (ko) * 2016-09-22 2017-08-28 (주)천보드림워텍 일체형 스핀들 내장 제수변 보호통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8612A (en) System for the mutual anchoring of two walls
JP4749987B2 (ja) 仮締切用作業函
KR102236819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제수변 보호통
KR101112052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 연계 보강장치
KR100935518B1 (ko) 합성수지로 제작된 보호통을 결합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2513423B1 (ko) 맨홀의 수평관 결합구조
KR101804537B1 (ko) 지중 매설용 원통형 저장탱크의 조립식 보호방벽
KR20080000662U (ko) 맨홀 뚜껑
US7351013B2 (en) Unitary pile jacking sleeve for installing and compressively loading piling without overhead access and without disrupting a super-structure
KR20100121206A (ko) 맨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100957223B1 (ko) 브레이커
JP7417182B2 (ja) 二重殻タンクの縦置き設置構造
KR102239720B1 (ko) 마모방지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잠금 맨홀
KR101464374B1 (ko) 침하방지용 맨홀
CN218090955U (zh) 一种检查井的防沉降封闭装置
KR20000030047A (ko) 높이 조절용 맨홀.
KR200400426Y1 (ko) 맨홀의 높이조절링 고정 구조
KR100545036B1 (ko) 제수변용 철개고정장치
KR102641895B1 (ko) 하수관거의 침하 예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41278B1 (ko) 록킹장치를 구비한 맨홀 커버
KR102159599B1 (ko) 소음 및 이탈 방지용 테이퍼형 잠금식 맨홀
KR102066817B1 (ko) 섬유보강판넬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보강 구조
CN210459310U (zh) 一种静音井盖
KR100565972B1 (ko) 맨홀 접속부의 플랜지 일체형 보강관 구조
KR102632339B1 (ko) 송전과 변전 케이블 보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