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83B1 -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83B1
KR102236783B1 KR1020190144586A KR20190144586A KR102236783B1 KR 102236783 B1 KR102236783 B1 KR 102236783B1 KR 1020190144586 A KR1020190144586 A KR 1020190144586A KR 20190144586 A KR20190144586 A KR 20190144586A KR 102236783 B1 KR102236783 B1 KR 10223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paper medium
path
automation devic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환
김준영
박창호
오혜빈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83B1/ko
Priority to EP20203415.3A priority patent/EP3822926B1/en
Priority to RU2020135287A priority patent/RU2762124C1/ru
Priority to US17/089,768 priority patent/US11694524B2/en
Priority to CN202011241051.5A priority patent/CN11286307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8Diverting
    • B65H2301/4482Diverting to multiple paths, i.e. more than 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집적, 인출될 종이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를 커버하며, 상기 카세트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금고 출입부가 형성된 금고 보호벽; 상기 금고 출입부를 통해 상기 금고 보호벽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외부반송로; 및 상기 외부반송로와 상기 카세트의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 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금융자동화기기는, 사용자가 입출금을 위해 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와,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가 이송되는반송로와,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와, 감별부를 거친 후 입금된 매체가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일시저장부와, 출금 매체 중 감별부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감별된 매체가 저장되는 리젝트권 수납부와, 매체가 수납되거나 매체가 출금되도록 환류 기능을 수행하는 매체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금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의 카세트 내부에 복수 개의 매체 수납부가 구비된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부가 구비된 종래 금융 자동화 기기는 복수의 수납부에 종이매체를 반송하기 위해반송로가 복수 개로 제공되기 때문에 카세트 내부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카세트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져야 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5609호(2016.10.06.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반송로가 카세트 내부에서 서로 독립적인 반송 경로를 갖도록 하되 최소의 공간을 점유하도록 하여 카세트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집적, 인출될 종이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를 커버하며, 상기 카세트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금고 출입부가 형성된 금고 보호벽; 상기 금고 출입부를 통해 상기 금고 보호벽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외부반송로; 및 상기 외부반송로와 상기 카세트의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의 양방향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는 서로 교류하거나 교차하지 않고 상기 종이매체를 독립적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는, 상기 카세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수납부; 및 상기 카세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제1출입구와 이격 배치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는, 상기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출입구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내부반송로; 및 상기 제2수납부와 상기 제2출입구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내부반송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분기반송로는,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반송로에 대하여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제1외부분기반송로; 및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2내부반송로에 대하여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제2외부분기반송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결된 상기 제1내부반송로와 상기 제1외부분기반송로가 출입하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카세트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호 연결된 상기 제2내부반송로와 상기 제2외부분기반송로가 출입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제1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수납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내부반송로는 상기 카세트내에서 상기 제1내부반송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2수납부로 연장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출입구는 상기 제1출입구보다 상기 카세트의 가장자리측에 인접하게 인접하게 배치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종이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하는 메인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 메인반송로와 상기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반송로의 일부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로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폐루프반송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 폐루프반송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금고 출입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 폐루프반송로의 하부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감별부는 상기 폐루프반송로의 상부에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종이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종이매체를 반입 및 반출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 및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의 양방향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를 포함하는, 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는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출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출입구는 상기 소정 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로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와 이격 배치된, 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는 상기 카세트의 상면에서 상기 카세트의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된, 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로의 종이매체의 집적 인출 동작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의 종이매체의 인출 동작을 수행하는 집적 인출 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적 인출 동작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집적 인출 동작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가 편향 배치된 상기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된, 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적 인출 동작부는 상기 카세트의 외부에 구비된 액추에이터가 발생시키는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카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종이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서, 종이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집적, 인출될 종이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 수용부; 상기 카세트의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를 지지하고, 상기 카세트 수용부에 대해 회전함으로서 상기 카세트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반송로 지지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에 상기 종이매체를 투입하거나 상기 종이매체를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외부분기반송로 사이에서 종이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외부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반송로 지지부에 지지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카세트 수용부; 및 상기 외부반송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를 지지하고, 상기 카세트가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카세트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반송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로 상기 종이매체를 반입, 반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반송로 지지부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납부로의 종이매체의 집적 인출 동작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의 종이매체의 인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카세트에 구비되는 집적 인출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반송로가 카세트 내부에서 최소의 공간을 점유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세트의 내부 공간이 절약되어 컴팩트한 사이즈의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가 카세트 내부에서 서로 공유하는 구간 없이 각각 독립적인 반송 경로를 가지고 연결되기 때문에 내부반송로 간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내부반송로에 종이매체의 잼(jam)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내부반송로는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주요 구성 및 구조의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제1내부반송로에 잼이 발생하였을 때 제2내부반송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황을 측면에서 바라본 참고도이다.
도 4는 제2내부반송로에 잼이 발생하였을 때 제1내부반송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황을 측면에서 바라본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금융 자동화 기기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반송로 지지부가 카세트 수용부에 대해 닫힌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반송로 지지부가 카세트 수용부에 대해 닫힌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메인반송로(20), 카세트(100), 금고 보호벽(30), 외부반송로(40), 감별부(45), 외부분기반송로(50), 임시 저장부(60),반송로 지지부(70) 및 카세트 수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는 종이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종이매체(지폐, 수표 등)의 저장 공간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 내부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입출금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입출금부(11)는 사용자가 종이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입출금부(11)에는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벨트, 롤러, 모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벨트, 롤러, 모터 등의 구성은, 종이매체의 반송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사항들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반송로(20)는 입출금부(11)를 통해 입,출금되는 종이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하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반송로(20)의 일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로로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폐루프반송로(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폐루프반송로(21)의 상부(21a)에는 감별부(45)가 제공될 수 있고, 폐루프반송로(21)의 하부(21b)는 복수 개의 외부반송로(4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반송로(20)는 입출금부(11)를 통해 입금된 종이매체를 감별부(45), 종이매체를 임시로 저장해 두기 위한 임시 저장부(60) 및 카세트(100)로 안내하거나, 카세트(100)에서 배출된 매체를 감별부(45) 및 입출금부(11)로 안내할 수 있다.
카세트(100)는, 종이매체의 반입 및 배출이 가능하게 스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카세트(100)는 권종에 따라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 개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세트(100)는 본체(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세트(100)는 케이스(110), 복수 개의 수납부(120),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130) 및 복수 개의 집적 인출 동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종이매체를 반입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카세트가 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소정의 반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반입 공간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구획 분리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카세트(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에는 수납부(120)에 집적, 인출될 종이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출입구(111, 1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구(111, 112)는 제1출입구(111) 및 제2출입구(112)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출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출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제1내부반송로(130)와 제1외부분기반송로(51)가 상호 연결되어 케이스(110)의 일측을 출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출입구(111)는 케이스(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출입구(111)는 제1집적 인출 동작부(141)가 구비된 쪽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집적 인출 동작부(141)가 카세트(100)의 후방에 배치될 경우, 제1출입구(111)도 카세트(100)의 상면에 있어서 후방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출입구(112)는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제2내부반송로(130)와 제2외부분기반송로(52)가 상호 연결되어 케이스(110)의 타측을 출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복수 개의 반송 경로가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되도록 제1출입구(111) 및 제2출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출입구(112)는 케이스(110)의 중심으로부터 제2집적 인출 동작부(142)가 배치된 쪽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집적 인출 동작부(142)가 카세트(100)의 후방에 배치될 경우, 제2출입구(112)도 카세트(100)의 상면에 있어서 후방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출입구(112)는 제1출입구(111)보다 케이스(110)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출입구(111)와 케이스(110)의 가장자리 사이의 소정 이격 거리보다 제2출입구(112)와 케이스(110)의 가장자리 사이의 소정 이격 거리가 더 짧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출입구는 제1출입구(111)보다 케이스(110)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수납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종이매체의 집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수납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종이매체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수납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 개의 수납부(120)는 제1수납부(121) 및 제2수납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수납부(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종이매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수납부(122)는 케이스(110)의 하부 즉, 제1수납부(1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수납부(121)와 마찬가지로 종이매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내부반송로(13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케이스(110)의 내부에 서로 교류하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반송로(130)는 종이매체를 양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130)는 후술할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5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 개의 수납부(120)마다 독립적인 종이매체의 양 방향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130)는 제1내부반송로(131) 및 제2내부반송로(132)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내부반송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부반송로(131)는 제1수납부(121)와 제1출입구(111) 사이에서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내부반송로(131)는 케이스(110)의 일측을 통해 제1외부분기반송로(51)와 제1수납부(120)를 연결하여 제1수납부(120)에 종이매체를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2내부반송로(132)는 제2수납부(122)와 제2출입구(112) 사이에서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내부반송로(132)는 케이스(110)의 타측을 통해 제2외부분기반송로(52)와 제2수납부(120)를 연결하여 종이매체를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2내부반송로(132)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제1내부반송로(131)와 서로 교류하지 않고(즉, 공유 구간 없이)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때문에 제1내부반송로(131)에 잼이 발생하더라도 제2내부반송로(132)는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제2내부반송로(132)는 케이스(110) 내에서 제1내부반송로(1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내부반송로(131)의 외측(도면상 제1내부반송로(13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내부반송로(132)는 케이스(11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출입구(112)로부터 제1수납부(120)를 지나 하방의 제2수납부(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적 인출 동작부(140)는 복수 개의 수납부(120)에 매체를 집적하거나 복수 개의 수납부(120)로부터 매체를 반출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집적 인출 동작부(140)는 회전축,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집적 인출 동작부(140)는 제1수납부(120)에 구비되어 제1수납부(121)에 매체를 집적, 반출하는 제1집적 인출 동작부(141) 및 제2수납부(120)에 구비되어 제2수납부(122)에 매체를 집적, 반출하는 제2집적 인출 동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집적 인출 동작부(140)는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집적 인출 동작부(140)의 구동을 위한 액추에이터는 카세트(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액추에이터는반송로 지지부(70)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축, 기어 등의 동력 전달요소(미도시)를 통해 그 구동력을 집적 인출 동작부(140)에 전달함으로써 집적 인출 동작부(140)를 구동할 수 있다. 이처럼, 액추에이터가 카세트(100)의 외부에 구비됨으로써 카세트(100)의 중량이 감소되는바 카세트(100)에 대한 취급 편의성 및 휴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금고 보호벽(30)은 본체(10)와 일체 또는 본체(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 본체(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금고 보호벽(30)은 카세트(100)의 적어도 일측면(예컨대, 상부면)에 이격되어 카세트(100)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금고 보호벽(30)은 외부로부터 카세트(100)를 보호하도록 매우 견고하고 튼튼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금고 보호벽(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 출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금고 출입부(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외부반송로(40)가 통과 가능하도록 개구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고 출입부(31)는 카세트(100)에 반입되거나 카세트(100)로부터 반출되는 종이매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금고 출입부(3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카세트(100)에 대하여 하나의 금고 출입부(31)가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부반송로(40)는 그 상측에 제공되는 메인반송로(20)와 경로 연결되어 종이매체를 전달받거나 전달할 수 있다. 외부반송로(40)는 카세트(100)의 케이스(110)의 외부에 제공되는반송로로서, 금고 보호벽(30)의 외측에서 금고 출입부를 관통, 통과하여 금고 보호벽(3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반송로(40)는 메인반송로(20)와 후술할 외부분기반송로(50) 사이에 배치되는반송로를 의미할 수 있다.
감별부(45)는 메인반송로(20)를 따라 이송되는 종이매체의 종류 및 이상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별부(45)는 폐루프반송로(21)의 상부(21a)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외부분기반송로(50)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금고 출입부(31)를 통해 금고 보호벽(30)의 내측으로 들어온 외부반송로(40)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50)는 카세트(100)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출입구(111, 112)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50)는 복수 개의 출입구(111, 112)로부터 연장될 수 잇다. 이러한 외부분기반송로(50)는 외부반송로(40)와 카세트(100)의 복수 개의 출입구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50)는 제1외부분기반송로(51) 및 제2외부분기반송로(52)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외부분기반송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외부분기반송로(51)는 외부반송로(40)와 케이스(110)의 일측(제1출입구(111))을 연결하여 제1수납부(120)에 종이매체를 입, 반출할 수 있다.
또한, 제2외부분기반송로(52)는 외부반송로(40)와 케이스(110)의 타측(제2출입구(112))를 연결하여 제2수납부(120)에 종이매체를 입, 반출할 수 있다.
임시 저장부(60)는 입금 계수시 감별부(45)에서 감별된 종이매체를 일시 저장하고, 입금 수납시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를 메인반송로(20)로 반출할 수 있다.
반송로 지지부(70)는 외부반송로(40) 및 외부분기반송로(5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일 수 있다. 이러한반송로 지지부(70)는 금고 보호벽(30)에 연결되어, 금고 보호벽(30)이 개방될 때 함께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반송로 지지부(70)는 카세트(100)와 구별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카세트 수용부(80) 내에 배치된 카세트(1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반송로 지지부(70)는 카세트 수용부(80)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반송로 지지부(70)는 힌지(71) 및 락커(72)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힌지(71)는반송로 지지부(70)가 카세트 수용부(8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락커(72)는반송로 지지부(70)가 카세트 수용부(80)에 대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반송로 지지부(70)는 락커(72)가 풀린 상태에서 힌지(7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카세트 수용부(80)를 개방함으로써 카세트(10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반송로 지지부(70)는 락커(72)가 맞물리도록 힌지(7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카세트 수용부(80)를 닫음으로써 카세트(1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락커(72)는반송로 지지부(70)가 카세트 수용부(80)에 대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세트 수용부(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세트(1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카세트 수용부(8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이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상측이반송로 지지부(70)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계원은 개방된 카세트 수용부(80)의 상측을 통해 카세트(100)를 빼내거나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외부반송로(40)에서 각각 분기된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50)가 다시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130)와 연결되면서 케이스(110) 내부에서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내부 반송 경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서 어느 하나의 내부반송로(130)에 잼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내부반송로(13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1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내부반송로(130)(예컨대, 제1내부반송로(131))에 종이매체의 잼(jam)이 발생하는 경우, 제2내부반송로(132)는 제1내부반송로(131)와 별개로 정상적인 독립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내부반송로(131)의 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종이매체를 정상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부반송로(132)에 종이매체의 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1내부반송로(131)는 제2내부반송로(132)와 별개로 독립 운용이 가능하므로 제2내부반송로(132)의 잼에 영향 받지 않고 종이매체를 정상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금융 자동화 기기 10 : 본체
20 : 메인반송로 30 : 금고 보호벽
40 : 외부반송로 45: 감별부
50 : 외부분기반송로 51 : 제1외부분기반송로
52 : 제2외부분기반송로 60 : 임시 저장부
70:반송로 지지부 80: 카세트 수용부
100 : 카세트
110 : 케이스 111 : 제1출입구
112 : 제2출입구 120 : 수납부
121 : 제1수납부 122 : 제2수납부
130 : 내부반송로 131 : 제1내부반송로
132 : 제2내부반송로

Claims (21)

  1. 종이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집적, 인출될 종이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를 커버하며, 상기 카세트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금고 출입부가 형성된 금고 보호벽;
    상기 금고 출입부를 통해 상기 금고 보호벽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외부반송로;
    상기 외부반송로와 상기 카세트의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카세트 수용부; 및
    상기 외부반송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를 지지하고, 상기 카세트가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카세트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반송로 지지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와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의 양방향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는 서로 교류하거나 교차하지 않고 상기 종이매체를 독립적으로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는,
    상기 카세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수납부; 및
    상기 카세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제1출입구와 이격 배치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내부반송로는,
    상기 제1수납부와 상기 제1출입구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내부반송로; 및
    상기 제2수납부와 상기 제2출입구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내부반송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분기반송로는,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내부반송로에 대하여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제1외부분기반송로; 및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2내부반송로에 대하여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제2외부분기반송로;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결된 상기 제1내부반송로와 상기 제1외부분기반송로가 출입하는 제1출입구; 및
    상기 카세트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호 연결된 상기 제2내부반송로와 상기 제2외부분기반송로가 출입하는 제2출입구;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제1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수납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반송로는 상기 카세트 내에서 상기 제1내부반송로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2수납부로 연장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입구는 상기 제1출입구보다 상기 카세트의 가장자리측에 인접하게 인접하게 배치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종이매체의 반송 경로를 제공하는 메인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 메인반송로와 상기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 사이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반송로의 일부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경로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폐루프반송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 폐루프반송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금고 출입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반송로에서 반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 폐루프반송로의 하부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감별부는 상기 폐루프반송로의 상부에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상기 카세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는 제1출입구, 및 제2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출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출입구는 상기 소정 거리보다 더 짧은 거리로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와 이격 배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는 상기 카세트의 상면에서 상기 카세트의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로의 종이매체의 집적 인출 동작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의 종이매체의 인출 동작을 수행하는 집적 인출 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적 인출 동작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집적 인출 동작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가 편향 배치된 상기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된,
    금융 자동화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인출 동작부는 상기 카세트의 외부에 구비된 액추에이터가 발생시키는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8.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종이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금융 자동화 기기에 있어서,
    종이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집적, 인출될 종이매체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 수용부;
    상기 카세트의 상기 복수 개의 출입구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외부분기반송로를 지지하고, 상기 카세트 수용부에 대해 회전함으로서 상기 카세트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반송로 지지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금융 자동화 기기에 상기 종이매체를 투입하거나 상기 종이매체를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 및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외부분기반송로 사이에서 종이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외부반송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반송로는 상기반송로 지지부에 지지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로 상기 종이매체를 반입, 반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반송로 지지부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납부로의 종이매체의 집적 인출 동작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의 종이매체의 인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카세트에 구비되는 집적 인출 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90144586A 2019-11-12 2019-11-12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23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86A KR102236783B1 (ko) 2019-11-12 2019-11-12 금융 자동화 기기
EP20203415.3A EP3822926B1 (en) 2019-11-12 2020-10-22 Cassett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the same
RU2020135287A RU2762124C1 (ru) 2019-11-12 2020-10-27 Кассета и банкомат, включающий ее
US17/089,768 US11694524B2 (en) 2019-11-12 2020-11-05 Cassett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202011241051.5A CN112863078A (zh) 2019-11-12 2020-11-09 自动柜员机及其包括的钞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86A KR102236783B1 (ko) 2019-11-12 2019-11-12 금융 자동화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783B1 true KR102236783B1 (ko) 2021-04-06

Family

ID=7301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86A KR102236783B1 (ko) 2019-11-12 2019-11-12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94524B2 (ko)
EP (1) EP3822926B1 (ko)
KR (1) KR102236783B1 (ko)
CN (1) CN112863078A (ko)
RU (1) RU276212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41119A (ja) * 2021-03-15 2022-09-2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143A (ko) * 2010-05-20 2011-11-28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관리 장치 및 지엽류 관리 방법
KR20140088946A (ko) * 2012-12-31 2014-07-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 입출금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JP2014142845A (ja) * 2013-01-25 2014-08-07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取扱装置
KR101456367B1 (ko) * 2013-03-22 2014-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처리 장치
KR101665609B1 (ko) 2009-12-31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405A (ja) 1985-08-27 1987-03-03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の主軸
US6749053B2 (en) * 2000-02-22 2004-06-15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Bill handling machine
JP2006209603A (ja) * 2005-01-31 2006-08-10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
DE102006028632A1 (de) * 2006-06-22 2007-12-27 Giesecke & Devrient Gmbh Bearbeitungsvorrichtung für Wertdokumente
JP4368888B2 (ja) * 2006-12-15 2009-11-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CN201773438U (zh) 2010-01-19 2011-03-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类存取装置
JP5868620B2 (ja) * 2011-06-30 2016-02-2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5788733B2 (ja) * 2011-08-09 2015-10-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貨幣管理システム、及び貨幣管理方法
DE102011053101A1 (de) * 2011-08-30 2013-02-28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Geldkassette mit Doppelrollenspeicher
US20150100480A1 (en) * 2011-09-15 2015-04-09 Fifth Third Bank Currency recycler
US10489760B2 (en) * 2011-11-29 2019-11-26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9346639B2 (en) * 2011-12-02 2016-05-24 Lg Cns Co., Ltd.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5821585B2 (ja) * 2011-12-05 2015-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EP2973454B8 (en) * 2013-03-14 2018-08-01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A cassette for use with an automated banking machine that can receive power and communicate via magnetic induction
EP3007142A1 (en) * 2013-06-03 2016-04-13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Paper money handling apparatus
JP6409502B2 (ja) 2014-03-31 2018-10-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380039B2 (ja) 2014-11-20 2018-08-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搬送路切替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EP3480795B1 (en) * 2016-07-29 2023-10-11 Glory Ltd. Money processing apparatus
JP2018081568A (ja) * 2016-11-17 2018-05-2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機
CN108416897A (zh) * 2017-02-09 2018-08-1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钞箱及存取款机
CN107689102B (zh) * 2017-09-30 2023-11-1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下机芯及金融设备
CN111742355A (zh) * 2018-03-23 2020-10-02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纸张处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609B1 (ko) 2009-12-31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KR20110128143A (ko) * 2010-05-20 2011-11-28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관리 장치 및 지엽류 관리 방법
KR20140088946A (ko) * 2012-12-31 2014-07-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 입출금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JP2014142845A (ja) * 2013-01-25 2014-08-07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幣取扱装置
KR101456367B1 (ko) * 2013-03-22 2014-11-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2926B1 (en) 2023-11-01
CN112863078A (zh) 2021-05-28
US20210142628A1 (en) 2021-05-13
RU2762124C1 (ru) 2021-12-15
US11694524B2 (en) 2023-07-04
EP3822926A1 (en)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490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수납고
WO2013172083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2236783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CN109671210B (zh) 模块化钞票设备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210081121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 방법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87435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KR102255889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268138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카세트
JP2010015336A (ja) 紙幣処理装置
KR10248580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JP2016162434A (ja) 紙幣収納カセット、紙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KR101781686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JP7424215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現金取扱装置
KR10212096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10019877A (ko) 금융 자동화 기기용 종이 매체 수납 장치
KR20220000507A (ko) 매체 저장 장치
KR20210073056A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20210073072A (ko) 금융 자동화 기기
CN112669517A (zh) 一种纸币处理方法、处理装置及金融自助设备
JP4833451B2 (ja) 遊技島の紙幣収納装置
JP2001351147A (ja) 硬貨処理機
JP2001351143A (ja) 硬貨処理機
JP2001351146A (ja) 硬貨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