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050B1 -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50B1
KR102236050B1 KR1020190155434A KR20190155434A KR102236050B1 KR 102236050 B1 KR102236050 B1 KR 102236050B1 KR 1020190155434 A KR1020190155434 A KR 1020190155434A KR 20190155434 A KR20190155434 A KR 20190155434A KR 102236050 B1 KR102236050 B1 KR 10223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cleaning
unit
iron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용
Original Assignee
(주)은성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성전장 filed Critical (주)은성전장
Priority to KR102019015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8Devices for cleaning soldering iron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9Solder or residue remo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15Solder feeding devices forming part of a soldering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복수의 납땜부위를 갖는 피작업물에 납땜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 간격을 두고 상면의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피작업물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를 갖고 수직축선에 대해 수평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구동부를 갖는 턴테이블부와,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승강 및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피작업물의 납땜부위를 납땜하는 납땜인두, 납땜인두를 승강 구동하는 인두승강구동부, 납땜인두의 수평이동 구동하는 수평이동구동부 및 납땜인두를 향하여 땜납을 공급하는 땜납공급부를 갖는 납땜기 및 납땜인두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납땜인두 각각의 납땝작업과 교번적으로 클리닝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Automatic Solder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땜인두를 청결하게 하여 납땜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납땜장치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납땜인두를 부품의 납땜부위를 납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땜납이 인두의 말단영역에 묻어 다음 납땜을 수행하는 경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자동납땜장치에는 클리닝장치를 마련하여 납땜인두에 묻은 잔여 땜납을 닦아 내었다.
그러나 클리닝장치는 복수의 납땜인두를 닦아야 하므로 복수의 납땜인두 각각은 여러 번의 납땜작업 후에나 클리닝장치에 의해 클리닝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땜납이 납땜인두에 묻어 있는 상태에서 납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납땜인두의 납땜작업과 클리닝작업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납땜부위를 갖는 피작업물에 납땜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 간격을 두고 상면의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피작업물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를 갖고 수직축선에 대해 수평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구동부를 갖는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승강 및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피작업물의 납땜부위를 납땜하는 납땜인두, 상기 납땜인두를 승강 구동하는 인두승강구동부, 상기 납땜인두를 수평이동 구동하는 수평이동구동부 및 상기 납땜인두를 향하여 땜납을 공급하는 땜납공급부를 갖는 납땜기; 및 상기 납땜인두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납땜인두 각각의 납땝작업과 클리닝작업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클리닝부를 납땜인두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하고 납땜인두를 납땜작업을 위한 승강과 클리닝작업을 위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납땜인두의 납땜작업이 이루어진 후 바로 클리닝작업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땜인두가 깨끗한 상태에서 납땜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납땜작업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부 각각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클리닝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납땜인두 각각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롤러; 및 상기 클리닝롤러를 상기 클리닝본체부에 대해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를 가지면 클리닝롤러로 이동되는 납땜인두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부 각각은, 상기 클리닝본체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본체부를 승강시키는 클리닝승강구동부; 및 상기 클리닝본체부 하부에 결합되는 클리닝회전지지축과, 상기 회전지지축을 회전 구동하는 클리닝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면 클리닝본체부의 일부를 승강시켜 클리닝롤러가 경사지게 할 수 있고 클리닝본체부를 회전시켜 클리닝롤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납땜인두를 깨끗하게 클리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는, 피작업물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피작업물을 상기 턴테이블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인입이송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피작업물을 상기 턴테이블의 외부 영역으로 이송하는 배출이송부를 더 포함하면 안착부에 피작업물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안착부에 납땜이 완료된 피작업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납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는, 피작업물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에 상기 피작업물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감지부를 더 포함하면 안착부에 피작업물의 안착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납땜작업과 클리닝작업을 해야 하는 피작업물거치대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납땜작업과 클리닝작업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리닝부를 납땜인두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하고 납땜인두를 납땜작업을 위한 승강과 클리닝작업을 위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납땜인두의 납땜작업이 이루어진 후 바로 클리닝작업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땜인두가 깨끗한 상태에서 납땜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납땜작업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의 사시도.
도 2와 3은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의 동작도.
도 4는 클리닝부의 상세도.
도 5는 인입이송부의 동작도.
도 6은 배출이송부의 동작도.
도 7은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와 3은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의 동작도이며, 도 4는 클리닝부(30)의 상세도이고, 도 5는 인입이송부(40)의 동작도이며, 도 6은 배출이송부(50)의 동작도이고, 도 7은 제어블록도이다.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는 턴테이블부(10), 납땜기(20), 클릴닝부(30), 인입이송부(40), 배출이송부(50), 안착감지부(60), 온도감지센서(70), 배기부(80), 위치보정부(90) 및 제어부(100)를 갖는다.
턴테이블부(10)는 턴테이블(11)과 턴테이블구동부(12)를 갖는다. 턴테이블(11)은 원형의 판면형상을 가지고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피작업물(2)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110)를 갖고 수직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피작업물거치대(110)는 턴테이블(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 간격을 두고 상면의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된다. 피작업물거치대(110) 각각은 복수의 피작업물(2)이 안착되는 안착부(111)를 갖는다. 안착부(111)는 피작업물(2)의 외형에 따라 형성되며 피작업물(2)이 물림결합되어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피작업물거치대(110)는 턴테이블(11)의 원형 판면영역 중 외곽영역에 배치된다. 피작업물거치대(110)는 턴테이블(11)의 판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턴테이블(11)에 결합 또는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피작업물거치대(110)에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말단은 피작업물(2)의 일부가 원기둥의 축선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안정되게 물리는 삽입물림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작업물(2)이 납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안착부(111)는 피작업물(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안착부(111)는 피작업물(2)이 물림결합되면서 고정되도록 피작업물거치대(110) 상면쪽에서 하방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111)는 피작업물(2)이 안착된 후 피작업물(2)의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11) 중앙영역의 하부에는 회전구동축과 회전모터를 구성되어 턴테이블(11)을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구동부(12)가 연결되어 있다. 턴테이블구동부(12)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 간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납땜기(20)는 지지프레임(21), 납땜인두(22), 인두승강구동부(23), 수평이동구동부(24), 땜납공급부(25) 및 수평레일(26)을 갖는다. 지지프레임(21)은 사각기둥형상으로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의 뼈대를 이루며 턴테이블(11)의 둘레를 따라 상호 등각도 간격을 갖고 분리 이격되며 배치된다. 지지프레임(21)은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110) 각각에 대하여 이격 배치된다.
지지프레임(21)은 인두지지부(211)와 승강레일(212)를 갖는다. 인두지지부(211)는 인두지지본체(211-1), 레일수용부(211-2) 및 인두장착공(211-3)을 갖는다. 인두지지본체(211-1)는 승강레일(2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수용부(211-2)와 납땜인두(22)를 지지하는 인두장착공(211-3)이 형성된다.
승강레일(212)은 지지프레임(21)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인두지지부(21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승강레일(212)은 하부영역에 후술할 수평레일(26)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레일수용부(212-1)을 갖는다.
납땜인두(22)는 지지프레임(2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작업물(2)에 대해 납땜 작업을 수행한다. 납땜인두(22)는 인두지지부(211)에 지지된 인두승강구동부(23)와 결합된 인두지지부(211)에 결합되어 하방을 향해 배치된다. 납땜인두(22)의 인두말단부분은 하방을 향한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납땜을 수행한다. 납땜인두(22)는 적어도 하나의 피작업물거치대(110)와 상호 대향하도록 상호 등각도 간격을 갖고 배치된다. 납땜인두(22)는 승강레일(212)에 지지된다.
인두승강구동부(23)는 승강구동지지부(210)에 지지되는 납땜인두실린더(미도시)와 납땜인두실린더(미도시)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납땜인두피스톤으로 구성되어 납땜인두실린더로 압축공기 또는 유압오일이 공급되면서 납땜인두피스톤(미도시)과 결합된 인두지지부(21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납땜인두실린더는 복수의 납땜기(20) 각각이 상호 다른 각도를 가지고 인두지지부(211)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이는 납땜부위의 위치, 형상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납땜인두실린더는 인두지지부(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실린더회전구동부 즉, 실린더회전축이 납땜인두실린더와 결합되며 실린더회전구동모터가 실린더회전축을 회전시켜 납땜인두실린더의 배치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수평이동구동부(24)는 납땜인두(22)를 수평이동 구동한다. 수평이동구동부(24)는 수평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수평모터는 승강레일(212)가 수평레일(26)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동한다.
땜납공급부(25)는 땜납롤러(251), 땜납가이드(252), 땜납공급모터(253), 땜납공급배관(254) 및 땜납공급대(255)를 포함한다.
수평레일(26)은 승강레일(212)을 지지하며 결합되어 승강레일(212)을 턴테이블(11)의 축선을 향한 방향으로 피작업물거치대(110)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배치된다.
땜납롤러(251)는 땜납이 감기도록 형성된다. 땜납가이드(252)는 땜납이 통과되며 이동되는 방향을 설정해준다. 땜납공급모터(253)는 땜납가이드(252)에 의해 가이드된 땜납을 이동시킨다. 땜납공급배관(254)은 땜납공급모터(253)에 의해 이동되는 휘어지기 쉬운 땜납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땜납공급대(255)는 땜납공급배관(254) 및 땜납롤러(251), 땜납가이드(252)과 땜납공급모터(253)를 지지한다.
클리닝부(30)는 클리닝본체부(31), 클리닝롤러(32), 롤러구동부(33), 클리닝승강구동부(34) 및 클리닝회전구동부(35)를 갖는다. 클리닝부(30)는 턴테이블(11)과는 분리되어 납땜기(20) 인근에 배치된다. 클리닝부(30)는 납땜인두(22)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납땜인두(22) 각각의 납땝작업과 클리닝작업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클리닝본체부(31)는 상방개구를 갖고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클리닝롤러(32)는 수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납땜인두(22) 각각을 클리닝한다. 클리닝본체부(31)는 상방개구에 설치되어 납땜인두(22)가 상방개구를 자연스럽게 출입 가능하도록 휘어지는 재질의 덮개가 장착되어 있다.
클리닝롤러(32)는 클리닝본체부(31)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납땜인두(22)와 접촉하여 클리닝을 수행한다. 클리닝롤러(32)의 외측은 회전에 의해 인두에 남아있는 녹은 땜납을 닦을 수 있도록 천이나 스폰지와 같이 녹은 땜납의 클리닝이 용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클리닝롤러(32)의 회전축은 클리닝본체부(31)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롤러회전축수용홈에 수용되어 클리닝롤러(32)가 회전되도록 한다. 클리닝롤러(32)의 회전축은 피니언으로 마련되어 롤러구동부(33)의 랙에 의해 회전된다.
롤러구동부(33)는 클리닝롤러(32)를 클리닝본체부(31)에 대해 회전시킨다. 롤러구동부(33)는 클리닝롤러(32)를 회전 구동하는 실린더, 피스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승강구동부(34)는 클리닝본체부(31)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어 클리닝본체부(31)를 승강시킨다. 클리닝승강구동부(34)는 승강모터와 숫나사산을 갖는 회전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클리닝본체부(31)는 클리닝승강구동부(34)의 숫나사산을 갖는 회전축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갖는 회전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클리닝본체부(31)가 상하로 승강이동될 수 있다. 클리닝승강구동부(34)가 2개 내지 그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클리닝본체부(31)를 수평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클리닝롤러(32)가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으므로 납땜인두(22)의 클리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리닝회전구동부(35)는 클리닝회전지지축(미도시)과 클리닝회전모터(미도시)를 갖는다. 클리닝회전지지축은 클리닝본체부(31) 하부의 중앙에 결합된다. 클리닝회전구동부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의 베이스베드에 지지되며, 클리닝회전지지축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클리닝본체부(31)가 회전하게 되고, 클리닝롤러(32)가 회전하면서 납땜인두(22)의 땜납을 깨끗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인입이송부(40)는 피작업물(2)을 턴테이블(11)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안착부(111)로 이송하여 안착시킨다. 인입이송부(30)는 인입이송레일(41), 인입파지부(42), 인입이송구동부(43) 및 안착중계부(44)를 갖는다.
인입이송레일(41)은 턴테이블(11)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안착부(111)까지 인입파지부(42)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인입이송레일(41)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경로를 갖는다.
인입파지부(42)는 피작업물(2)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인입파지부(42)는 인입이송레일(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인입이송레일(41)에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하다. 인입파지부(42)는 ∩형상으로 피작업물(2)을 파지하는 부분이 2개로 이루어진다.
인입이송구동부(43)는 인입파지부(42)를 인입이송레일(41)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한다. 인입이송구동부(43)는 서보모터로 마련되며, 인입이송레일(41)은 서보모터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안착중계부(44)는 ∩형상으로 피작업물(2)을 파지하는 부분이 2개로 이루어진 인입파지부(42)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나의 인입파지부(42)가 피작업물(2)을 안착부(111)에 안착시키는 경우 다른 하나의 인입파지부(42)가 안착중계부(44)에 피작업물(2)을 안착시키게 되는 곳이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일일이 피작업물(2)을 안착부(111)에 거치하지 않아도 되며 작업의 신속성 및 정확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배출이송부(50)는 안착부(111)에 안착된 피작업물(2)을 턴테이블(11)의 외부 영역으로 이송한다. 배출이송부(50)는 배출이송레일(51), 배출파지부(52) 및 배출이송구동부(53)를 갖는다.
배출이송레일(51)은 턴테이블(11)의 영역으로부터 외부의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까지 배출파지부(52)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배출이송레일(51)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경로도 갖는다.
배출파지부(52)는 피작업물(2)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출파지부(52)는 배출이송레일(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배출이송레일(51)에 접근 및 이격 이동 가능하다. 배출파지부(52)는 피작업물(2)을 파지하는 부분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출이송구동부(53)는 배출파지부(52)를 배출이송레일(51)을 따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한다. 배출이송구동부(53)는 서보모터로 마련되며, 배출이송레일(51)은 서보모터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안착감지부(60)는 안착부(111)에 피작업물(2)의 안착여부를 감지한다. 안착감지부(60)는 안착부(111)로 이동되어 피작업물(2)을 직접 확인하는 수단일 수도 있고, 센서를 이용하여 안착부(111)의 피작업물(2)이 안착되어 있는 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안착감지부(60)는 피작업물(2)을 직접 확인하는 수단일 경우 확인지지부(61), 확인지지부(61)로부터 이동 가능한 확인팁(62) 및 확인팁(62)을 이동시키는 팁구동부(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감지부(60)는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수단일 경우 레이져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70)는 납땜인두(22)의 온도를 감지한다. 납땜인두(22)의 온도는 180℃ 이상이면 땜납을 녹일 수 있지만, 이보다 훨씬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납땜위치의 부품의 핀(2-1)으로 열이 전달되므로 순간적으로 열이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24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감지센서(70)는 레이져온도센서로 마련되어 원거리에서도 납땜인두(2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부(80)는 하우징(81), 배기배관(82) 및 배기팬(83)을 갖는다. 하우징(61)은 내부에 납땜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61)은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창으로 마련되어 납땜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배관(82)을 통해 배기팬(83)은 피작업물(2)의 납땜에 의해 발생되는 납땜가스를 납땜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위치보정부(90)는 납땜인두(22)가 하강한 납땜위치에서 납땜인두(22)를 피작업물(2)의 납땜부위 방향으로 밀어 접촉되도록 한다. 위치보정부(90)는 위치보정피스톤(91), 위치보정실린더(92) 및 위치보정구동부(93)를 갖는다. 위치보정피스톤(91)은 위치보정실린더(92)에 수용되어 납땜인두(22)가 납땜위치로 미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위치보정구동부(93)는 납땜인두(22)가 납땜부위에 접촉하도록 납땜인두(22)를 향해 탄성적으로 위치보정피스톤(91)를 이동시킨다. 위치보정구동부(93)는 유압유 또는 압축공기를 실린더로 공급할 수 있는 컴프레셔로 마련될 수 있다. 위치보정부(90)는 왕복축과 위치보정모터로 마련되어 납땜인두(22)가 납땜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90)는 납땜인두(22)를 상승한 해제위치에서 하강하여 부품의 핀(2-1)에 접근하도록 인두승강구동부(23)를 제어하며, 납땜인두(22)가 부품의 핀(2-1)에 접촉되도록 부품의 핀(2-1)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도록 위치보정부(90)를 제어하고, 땜납이 납땜인두(22)에 접하여 녹도록 땜납공급부(25)를 제어하며, 납땜인두(22)를 상승한 해제위치가 되도록 인두승강구동부(23)를 제어하고, 납땜인두(22)가 수평레일(211-3)을 따라 클리닝수평위치로 이동하도록 수평이동구동부(24)를 제어하며, 납땜인두(22)가 클리닝롤러(32)에 의해 클리닝되는 클리닝위치로 하강하도록 인두승강구동부(23)를 제어하고, 납땜인두(22)를 클리닝하도록 롤러구동부(33), 클리닝승강구동부(34), 클리닝회전구동부(3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납땜인두(22)가 상승한 해제위치로 승강 및 수평 이동하도록 인두승강구동부(23)와 수평이동구동부(24)를 제어하고, 피작업물(2)을 안착부(111)에 인입하도록 인입이송부(40)를 제어하며, 안착부(111)의 피작업물(2)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이송부(50)를 제어하고, 안착부(111)에 피작업물(2)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안착감지부(60)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납땜인두(22)의 납땜작업을 위한 정상납땜온도범위를 저장하고, 온도감지센서(70)에서 감지되는 납땜인두(22)의 온도가 정상납땜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땜납이 납땜인두(22)에 공급되지 않도록 땜납공급부(24)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납땜부위 즉, 부품의 핀(2-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온도감지센서(90)에서 감지되는 납땜부위의 온도가 땜납이 쉽게 녹는 온도 즉, 정상납땜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납땜인두(22)가 부품의 핀(2-1)에 접촉되도록 하고 납땜부위의 온도가 정상납땜온도범위 이내가 되면 땜납이 납땜인두(22)에 공급되도록 땜납공급부(25)를 제어한다.
통상적으로는 납땜인두(22)가 부품의 핀(2-1)에 접촉되는 시간은 미리 설정하여 정해진 대로의 시간만 접촉하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90)는 납땜인두(22)가 부품의 핀(2-1)에 접촉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턴테이블부(10), 납땜기(20), 위치보정부(30) 및 클리닝부(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과 3은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의 동작도이다.
도 2 (a) 납땜작업을 마친 납땜인두(22)를 인두승강구동부(23)을 제어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도 2 (b) 상방으로 상승한 납땜인두(22)를 수평이동구동부(24)를 제어하여 클리닝을 위한 클리닝상방위치로 수평이동시킨다.
도 3 (a) 납땜인두(22)를 인두승강구동부(23)를 제어하여 클리닝롤러(32)에 접하도록 하강시킨다. 이후 롤러구동부(33)를 구동하여 납땜인두(22)에 묻은 땜납을 클리닝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클리닝승강구동부(34)와 클리닝회전구동부(35)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클리닝본체부(31)에 수용되어 있는 클리닝롤러(32)를 경사지게 또는 회전되게 하면서 클리닝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 (b) 클리닝작업을 마친 납땜인두(22)를 인두승강구동부(23)을 제어하여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도 5는 인입이송부(40)의 동작도이다.
도 5 (a) 외부와 안착중계부(44)에 배치된 피작업물(2)을 인입파지부(42)를 제어하여 파지한 후 인입이송구동부(43)를 제어하여 인입이송레일(41)을 따라 안착중계부(44)와 안착부(111)에 이송시킨다.
도 5 (b) 이송되어 인입파지부(42)에 파지된 피작업물(2)을 인입파지부(42)를 제어하여 안착중계부(44)와 안착부(111)에 안착시킨다.
도 6은 배출이송부(50)의 동작도이다.
도 6 (a)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있는 피작업물(2)을 배출파지부(52)를 제어하여 파지한 후 배출이송구동부(53)을 제어하여 배출파지부(52)를 배출이송레일(51)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이송한다.
도 6 (b) 이송되어 배출파지부(52)에 파지된 피작업물(2)을 배출파지부(52)를 제어하여 외부에 배출한다.
상기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클리닝부(30)는 턴테이블(11)과는 분리되어 납땜기(20) 인근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클리닝부는 턴테이블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클리닝부는 슬라이딩레일, 슬라이딩구동부, 탄성부재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지지부는 클리닝본체부(31)의 하부에 슬라이딩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은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레일로 마련된다. 슬라이딩레일은 클리닝본체부(31)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이드이며 경로이다. 슬라이딩레일은 슬라이딩슬롯 즉, 오목한 슬롯형상 또는 볼록한 철도레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리닝본체부(31)는 이에 따라 오목한 슬롯형상에 삽입 지지될 수 있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볼록한 철도레일형상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슬라이딩구동부는 슬라이딩실린더와 슬라이딩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실린더는 슬라이딩피스톤이 턴테이블(11)의 회전축을 향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1)에 결합된다. 슬라이딩실린더에 압축공기나 유압오일을 공급하면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턴테이블(11)의 회전축방향으로 슬라이딩피스톤이 슬라이딩지지부를 민다. 이에 의해 클리닝본체부(31)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탄성부재는 슬라이딩레일의 슬라이딩슬롯에 수용되어 클리닝본체부(31)의 슬라이딩지지부가 턴테이블(11)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한다.
상기의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1)로 인하여, 클리닝부(30)를 납땜인두(22)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하고 납땜인두(22)를 납땜작업을 위한 승강과 클리닝작업을 위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납땜인두(22)의 납땜작업이 이루어진 후 바로 클리닝작업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납땜인두(22)가 깨끗한 상태에서 납땜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납땜작업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클리닝부(30) 각각은 클리닝본체부(31), 클리닝롤러(32) 및 롤러구동부(33)로 이루어지며 클리닝롤러(32)로 이동되는 납땜인두(22)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클리닝부(30) 각각은 클리닝승강구동부(34) 및 클리닝회전구동부(35)로 이루어지며 클리닝본체부(31)의 일부를 승강시켜 클리닝롤러(32)가 경사지게 할 수 있고 클리닝본체부(31)를 회전시켜 클리닝롤러(3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납땜인두(22)를 깨끗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인입이송부(40)와 배출이송부(50)로 인하여, 안착부(111)에 피작업물(2)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안착부(111)에 납땜이 완료된 피작업물(2)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납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감지부(60)로 인하여 안착부(111)에 피작업물(2)의 안착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납땜작업과 클리닝작업을 해야 하는 피작업물거치대(110)를 구분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납땜작업과 클리닝작업을 할 수 있다.
1 :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2 : 피작업물
2-1 : 부품의 핀 10 : 턴테이블
11 : 턴테이블 12 : 턴테이블구동부
20 : 납땜기 21 : 지지프레임
22 : 납땜인두 23 : 인두승강구동부
24 : 수평이동구동부 25 : 땜납공급부
26 : 수평레일 30 : 클리닝부
31 : 클리닝본체부 32 : 클리닝롤러
33 : 롤러구동부 34 : 클리닝승강구동부
35 : 클리닝회전구동부 40 : 인입이송부
41 : 인입이송레일 42 : 인입파지부
43 : 인입이송구동부 44 : 안착중계부
50 : 배출이송부 51 : 배출이송레일
52 : 배출파지부 53 : 배출이송구동부
60 : 안착감지부 61 : 확인지지부
62 : 확인팁 63 : 팁구동부
70 : 온도감지센서 80 : 배기부
81 : 하우징 82 : 배기배관
83 : 배기팬 90 : 위치보정부
91 : 위치보정피스톤 92 : 위치보정실린더
93 : 위치보정구동부 100 : 제어부
110 : 피작업물거치대 111 : 안착부
211 : 인두지지부 212 : 승강레일
241 : 수평모터 251 : 땜납롤러
252 : 땜납가이드 253 : 땜납공급모터
254 : 땜납공급배관 255 : 땜납공급대

Claims (5)

  1. 복수의 납땜부위를 갖는 피작업물에 납땜작업을 수행하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에 있어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등각도 간격을 두고 상면의 가장자리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피작업물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를 갖고 수직축선에 대해 수평회전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는 턴테이블구동부를 갖는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승강 및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피작업물의 납땜부위를 납땜하는 납땜인두, 상기 납땜인두를 승강 구동하는 인두승강구동부, 상기 납땜인두의 수평이동 구동하는 수평이동구동부 및 상기 납땜인두를 향하여 땜납을 공급하는 땜납공급부를 갖는 납땜기; 및
    상기 납땜인두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납땜인두 각각의 납땝작업과 교번적으로 클리닝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 각각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클리닝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납땜인두 각각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롤러;
    상기 클리닝롤러를 상기 클리닝본체부에 대해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
    상기 클리닝본체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본체부를 승강시키는 클리닝승강구동부; 및
    상기 클리닝본체부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지지축을 회전 구동하는 클리닝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는, 피작업물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피작업물을 상기 턴테이블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인입이송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피작업물을 상기 턴테이블의 외부 영역으로 이송하는 배출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작업물거치대는, 피작업물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착부에 상기 피작업물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KR1020190155434A 2019-11-28 2019-11-28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KR102236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34A KR102236050B1 (ko) 2019-11-28 2019-11-28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34A KR102236050B1 (ko) 2019-11-28 2019-11-28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050B1 true KR102236050B1 (ko) 2021-04-05

Family

ID=7546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434A KR102236050B1 (ko) 2019-11-28 2019-11-28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0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462A (ja) * 1984-11-20 1986-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田付方法
KR101798922B1 (ko) * 2017-05-15 2017-11-17 (주)은성전장 자동납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462A (ja) * 1984-11-20 1986-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田付方法
KR101798922B1 (ko) * 2017-05-15 2017-11-17 (주)은성전장 자동납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922B1 (ko) 자동납땜장치
KR102095880B1 (ko) 플로어힌지본체의 세척 및 베어링압입 자동화장치
CN109746506B (zh) 切削装置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CN110404800B (zh) 一种印刷电路板检测设备和印刷电路板的检测方法
CN217369300U (zh) 一种激光芯片测试分选机
CN107160038A (zh) 一种电芯焊接设备
CN214347975U (zh) 产品表面缺陷检测设备
KR100611365B1 (ko)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CN116519714B (zh) 一种金属表面缺陷检测装置
KR102304245B1 (ko) 가공 장치
CN114813762A (zh) 芯片外观检测装置及方法
KR102236050B1 (ko) 자동 클리닝 납땜장치
KR20100008441A (ko) 튜브 자동 절단장치
CN107655897B (zh) 一种产品内观自动检测装置
CN112495814A (zh) 产品表面缺陷检测设备及产品表面缺陷检测方法
KR102236061B1 (ko) 인두 위치 보정 납땜장치
CN206912494U (zh) 一种电芯焊接设备
KR200439046Y1 (ko) Cnc 선반을 위한 공작물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N113305680A (zh) 加工装置
CN112748119A (zh) 一种aoi光学测试机的扫描检测平台
CN217387111U (zh) 一种用于短距离传输晶圆表面检测的装置
KR102017900B1 (ko) 워크 연마 장치
CN115410984A (zh) 一种晶圆清洗机翻转结构
KR102273745B1 (ko)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