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941B1 -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941B1
KR102235941B1 KR1020200124787A KR20200124787A KR102235941B1 KR 102235941 B1 KR102235941 B1 KR 102235941B1 KR 1020200124787 A KR1020200124787 A KR 1020200124787A KR 20200124787 A KR20200124787 A KR 20200124787A KR 102235941 B1 KR102235941 B1 KR 10223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cutting
frame
moving direc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수
Original Assignee
조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수 filed Critical 조흥수
Priority to KR102020012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선을 제조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선기, 랫핑기, 권취기 및 재권취기 내부에 구비되는 보빈, 캡스턴, 소선공급기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은, 연선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한 장치의 사양에 따라 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조 단계는. 원재료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늘려 상기 원재료를 압연시키는 압연 단계, 그리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제1부재의 표면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하는 절삭 단계, 그리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상기 제1 및 제3부재를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가공된 상기 제2부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3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2부재를 용접시키는 용접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부재를 그라인딩 하는 그라인딩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TRANDED WIRE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연선을 제조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선기, 랫핑기, 권취기 및 재권취기 내부에 구비되는 보빈, 캡스턴, 소선공급기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선(Stranded cable)은 복수의 단선을 꼬아 합친 것을 말하는데, 단선에 비해 잘 꼬이고, 단선(斷線)이 잘 발생하지 않아 취급하기 편리하다. 이러한 연선은 꼬는 방식에 따라 동심 연선, 복합 연선, 결속 연선, 평형 연선, 중공 연선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선 속에 가는 실처럼 되어 있는 선 하나를 가리켜 소선이라고 하는데, 총 소선수 N = 1+3n(n+1)로써 구해지며 여기서 n은 각 층을 의미한다. 즉, 1층에는 7가닥의 소선이 구비되고, 2층에는 19가닥의 소선이 구비되며, 3층에는 37가닥의 소선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단선을 연선으로 꼬기 위해서는 연선기 등을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연선기에는 소선이 감겨 있는 다수의 보빈과 보빈을 내장하고, 보빈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드럼, 회전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보빈에서 인출되는 소선이 집합되는 와이어 집합기구 등을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연선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035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기한 구동모터, 회전드럼, 보빈 등이 내장되는 연선기 프레임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허용공차를 초과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는데, 예컨대 프레임의 기둥 등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파지 등이 원활하지 않아 블레이드 정위치 미확보에 따른 초과공차가 발생하여 연선 제조 설비의 진동, 유격 등이 종종 발생하였는바 작업자의 부상, 장치의 오류 등을 줄이기 위한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의 결정입자가 신연되어 조직이 치밀하고, 연선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의 사양에 따라 프레임을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장치의 유격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절삭장치가 공작물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제한시킴으로써, 견고한 고정을 제공하고, 또한 효율적인 구동만으로 대상의 밀착 고정을 실현하며, 나아가 절단을 수행하는 블레이드의 정위치 확보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은, 연선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한 장치의 사양에 따라 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조 단계는. 원재료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늘려 상기 원재료를 압연시키는 압연 단계, 그리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제1부재의 표면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하는 절삭 단계, 그리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상기 제1 및 제3부재를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가공된 상기 제2부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3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2부재를 용접시키는 용접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부재를 그라인딩 하는 그라인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삭 단계는 상기 제3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선기 프레임은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기 제3부재 표면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4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삭 단계는 상기 제4부재가 중앙에 통공을 갖도록 절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삭 단계는 절삭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절삭장치는 상기 제2부재의 전진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2부재의 이동 제한 위치에 구비되고, 이동면의 상부로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면의 하부로 하강하는 리시버, 상기 이동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면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부재의 이동방향(이하 이동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갖는 노출상부, 상기 노출상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면의 하측으로 내장되는 내장하부 및 상기 내장하부의 하단에 형성된 접점부를 포함하는 트리거 및 상기 노출상부의 높이만큼 상기 접점부의 하부에 이격 구비된 단자부, 일단이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단자부의 접촉에 의해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 및 상기 신호전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리시버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제2부재와 선 접촉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증하는 경사점증부 및 상기 경사점증부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감하는 경사점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경사점감부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돌출 구비된 상단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기부는 상기 경사점증부와 상기 경사점감부의 조합과 동일한 경사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프레임의 결정입자가 신연되어 조직이 치밀하고, 연선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의 사양에 따라 프레임을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장치의 유격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절삭장치가 공작물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제한시킴으로써, 견고한 고정을 제공하고, 또한 효율적인 구동만으로 대상의 밀착 고정을 실현하며, 나아가 절단을 수행하는 블레이드의 정위치 확보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의 시계열적인 블록도.
도 2는 분해되어 있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프레임.
도 4는 제1절삭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2절삭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압연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연선기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권취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선을 제조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선기(500), 권취기(600) 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빈(503), 캡스턴, 소선공급기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F)의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술한 프레임 제조 단계는, 원재료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늘려 상기 원재료를 압연시키는 압연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압연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압연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압연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술한 압연기(200)는 금속재료 등을 회전하는 롤러 사이에 넣어 가압을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금속의 주조조직을 파괴하고, 내부의 기공을 압착하여 균질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압연 단계를 통해 금속재료들의 조직이 변화하고, 압연 전보다 결정입자가 신연되어 조직이 치밀해지며, 방향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압연 단계는 작업온도에 따라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나뉘는데, 열간압연에서는 가공물의 소성이 크므로 압연동력이 적게 소비되고 변형을 크게 시킬 수 있는 반면에, 냉간압연에서는 동력 소비는 크나 정밀한 압연을 수행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은 통상의 기술자가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상식을 적절히 참조하여 상황에 맞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제1부재(1)의 표면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하는 절삭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라고 함은 상기 제1부재(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상판으로서 구비되는 구성으로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에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제1통공(11) 및 제2통공(1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통공(11)(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선공급기나 보빈(503) 등에 감겨 있는 소선(E)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인데, 이에 대해 보다 정밀한 절삭을 위해서 절삭장치를 통해 절삭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절삭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밀링 머신(제1절삭장치(100A))을 들 수 있는데, 밀링 머신은 밀링커터를 회전시켜 공작물(제1부재(1) 등)의 표면 등을 절삭할 수 있는 장치로, 지그나 바이스(제1절삭장치(100A)의 바이스는 제1바이스(103A)로 칭한다.)로 파지된 공작물을 선형 운동시켜 공작물 전반에 걸쳐 절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장치의 몸통을 구성하는 칼럼(101A)과, 칼럼(101A)의 전면에 구비되는 암(102A), 상기 암(102A)의 하단에 결합되고 밀링커터 등의 공구를 파지하는 주축(104A), 공작물이 안착될 수 있는 테이블(105A) 및 상기 테이블(105A)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바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어반(201)을 조작하여 일일이 정밀 절삭을 수행할 수 있으나 CNC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정밀 절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CNC 밀링머신은 컴퓨터 수치 제어 기능이 구비된 밀링머신인데, 작업자가 수치제어를 시스템에 입력하기만 하면 모터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개선된 밀링머신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밀링머신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제1 및 제3부재(3)를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 또한 수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작업자는 연선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연선기(500), 권취기(600) 등) 중, 어느 한 장치의 사양에 따라 그 면적이나 부피를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4.1*1.4*2.2m3 (가로*세로*높이)의 부피를 갖는 연선기(500)의 경우에 2.0*0.7*1.1 m3의 부피를 갖도록 프레임(F)을 제조할 수 있고, 2.3*1.3*2.2 m3의 부피를 갖는 랩핑기의 경우에 1.2*0.6*1.1 m3의 부피를 갖도록 프레임(F)을 제조할 수 있고, 4.1*2.1*1.7 m3의 부피를 갖는 신선기의 경우에 2.0*1.0*0.8 m3의 부피를 갖도록 프레임(F)을 제조할 수 있는 등 각 장치의 사양에 따라 그 면적, 부피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삭 단계는 제3부재(3)의 표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홈에 구동모터(504) 등이 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모터(504)는 후술할 연선기(500) 등의 회전드럼(501)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상기 제1 및 제3부재(1)(3)를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가공된 상기 제2부재(2)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및 제3부재(3)를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기 위해 상술한 밀링머신, CNC 밀링머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부재(2)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해서는 CNC 밀링머신이나 밴드쏘머신(Band Saw Machin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꼭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부재(1) 및 제3부재(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상판과 하판을 구성하게 되고, 제2부재(2)는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기둥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부재(1)의 하면과 상기 제3부재(3)의 상면에 상기 제2부재(2)를 용접시키는 용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용접 단계에서는 CO2아크용접, 주로 고밀도 금속 코팅 등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용접 등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CO2아크용접을 수행하는 경우 협소한 구획 내에서 다량으로 분사되는 CO2에 의해 산소결핍에 의한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바, 용접이 실시되는 구획에서는 충분한 환기, 필요에 따라서 안전담당자의 배치 등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부재(3)를 그라인딩 하는 그라인딩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그라인딩 단계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연삭 숫돌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연삭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스틸코드, 통신선, 강선, Stainless Wire 등은 가요성에 의해 작업이 용이한 연선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연선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동, 알루미늄, 강선, 철선 등을 압연기(200) 등을 이용하여 선재로 가공하고, 선재는 신선기에서 신선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직경의 소선(E) 규격으로 만든다. 이 소선(E)들을 모아서 꼬는 기계를 연선기(500)라 한다. 연선은 통상적으로 7가닥, 19가닥, 37가닥, 61가닥, 91가닥의 형태로 꼬아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선기(500)는 회전드럼(501), 크래들(502), 다수의 보빈(503), 캡스턴, 보이스 및 권취스풀을 포함하는데, 회전드럼(501)은 연선기(500)의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드럼(501)에는 소선(E)이 감겨 있는 다수의 보빈(503)이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드럼(501)에 크래들(502)이 결합되고, 크래들(502)에 보빈(503)이 결합한다. 회전 드럼(110)은 다수 개의 보빈(503)에서 인출되는 소선(E)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즉, 보빈(503)에서 인출되는 소선(E)은 회전하는 회전드럼(501)을 거쳐 와이어 집합기구(poise)로 이동하여 하나의 연선으로 꼬여지게 된다. 회전드럼(501)은 구동모터(504) 등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빈(503)에 감겨 있는 각각의 와이어는 인출 드럼인 캡스턴(capstan)에서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풀리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보빈(503)에서 풀려나가는 다수의 와이어는, 와이어 집합기구(poise)에서 하나의 집합체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회전하는 회전드럼(501)에 의하여, 각각의 와이어는 꼬이면서 하나의 와이어케이블을 형성하게 되는 이렇게 만들어지는 와이어 로프는 캡스턴을 거쳐서 권취스풀에 권취된다. 또한 와이어 집합기구(poise)를 통과한 스트랜드는 교정기 또는 오벌트위스터(oval twister)를 거치게 된다. 교정기는 불안정한 꼬임 상태에 있는 스트랜드를 복수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스트랜드의 비틀림 등을 교정하고 연선 피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프레임(F)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틸코드 생산을 위한 열처리 및 도금선 권취기(600)를 확인할 수 있는데, 프레임(F)의 제2부재(2) 외면에 부착된 구성은 보빈부(601)에 해당하며, 상기한 연선기(500)의 보빈(503)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프레임(F)은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기 제3부재(3) 표면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4부재(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4부재(4)는 중앙에 공동(41)(空洞)을 구비하고 있어, 제3부재(3)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04) 등의 전선 등이 상기 공동(41)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동(41)을 구비시키기 위한 절삭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절삭 단계는 제2절삭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2절삭장치에 대한 실시예로 선반, CNC 선반 등을 들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은 공구를 파지하기 위한 주축대(101B)와 베드의 상부에 구비되되,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제2바이스(102B), 주축대(101B)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공작물의 회전 안정성을 부여하는 심압대(103B)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4부재(4)의 일 면은 주축대(101B)에 타 면은 심압대(103B)에 고정되어 상기한 공동(41)을 구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레버(미도시)를 통해 왕복대 종축, 횡축 급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절삭장치(100A)가 제2부재(M)의 절단 시에 제1바이스(103A)를 통해 제2부재(M)를 측면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경우, 제2부재(M)를 고정하기 위해 과도한 가압력이 작용할 수 있고, 이는 제2부재(M)에 손상을 입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절삭하고자 하는 제2부재(M)가 무른 경우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커팅장치(200)가 제2부재(2)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힘이 과도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제2부재(2)의 전면 또는 후면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을 강화하는 제한수단(R)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한수단(R)은 제2부재(2)의 이동 제한 위치에 구비되어 제2부재(2)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시버(R2), 테이블(105A)의 이동면 상에 구비되고 제2부재(2)에 의해 가압되는 트리거(R1), 그리고 트리거(R1)의 눌림 동작에 의해 리시버(R2)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R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트리거(R1)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트리거(R1)는 테이블(105A)의 표면에 해당하는 이동면 상에 구비되는데, 상기 트리거(R1)는 상기 이동면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부재(2)의 이동방향(이하 이동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갖는 노출상부와 상기 노출상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면의 하측으로 내장된 내장하부 및 상기 내장하부의 하단에 형성된 접점부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이동면 상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부재(2)가 노출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점부와 상기 단자부가 접촉하여 상기 제한수단(R)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2)가 노출상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이동면의 내부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2부재(2)가 노출상부를 용이하게 가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제2부재(2)의 이동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져야한다.
또한 트리거(R1)의 하단에는 커팅대상의 가압이 해제될 경우, 접점부와 단자부를 다시 이격시키기 위해 탄성체 등과 같은 소정의 복귀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복귀수단은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트리거(R1)가 액추에이터(R3)의 단자부 측으로 이동하여 접촉 불량 없이 온전하게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첫째로 제2부재(2)가 트리거(R1) 측으로의 초기 진입이 용이하여야 하고, 둘째로 초기 진입 이후에는 트리거(R1)의 적절한 수직 변위 값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R1)의 노출상부는 상기 제2부재(2)와 접촉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증하는 경사점증부(R11) 및 상기 경사점증부(R11)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감하는 경사점감부(R12)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R1)는 상기 경사점감부(R12)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돌출 구비된 상단돌기부(R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기부(R13)는 상기 경사점증부(R11)와 상기 경사점감부(R12)의 조합과 동일한 경사 구조를 갖는다. 먼저 여기서 상기 이동방향이란 상기 테이블(105A)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점증부(R11)는 기울기 0의 경사로 시작하여 기울기가 점점 증가하는 지수 함수 형태의 모양을 띄며, 기울기 0의 경사로 시작해 그 기울기가 점차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2부재(2)가 트리거(R1) 측으로 원활하게 초기 진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2)가 변곡점을 지나서 상기 경사점감부(R12) 측으로 진입을 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점감부(R12)는 급격했던 기울기가 완만하게 줄어드는 형태로, 상기 제2부재(2)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경사점감부(R1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트리거(R1)가 상기 액추에이터(R3)의 단자부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점증부(R11)의 높이 h1과 상기 경사점감부(R12)의 높이 h2의 비는 1:3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기 제2부재(2)의 초기진입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트리거(R1)의 수직변위 이동 폭을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2)가 경사점감부(R12)를 지난 이후 상기 상단돌기부(R13)에 진입하게 되는데, 상기 상단돌기부(R13)는 상기 경사점증부(R11) 및 상기 경사점감부(R12)의 경사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노출상부로의 진입의 용이성 및 트리거(R1)의 큰 수직변위 이동 폭 확보 효과를 한 번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부재(2)가 트리거(R1)를 지난 이후에는 전술했듯이 상기 제2부재(2)의 이동 제한 위치에 구비된 상기 리시버(R2)는 상기 액추에이터(R3)에 의해 상기 이동면의 상부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리시버(R2)는 상기 이동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면의 내부에 은폐되어 있다가 상기 액추에이터(R3)에 의해 상기 이동면의 상부로 상승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2부재(2)의 전후 운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리시버(R2)는 이동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면과 이격된 위치에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이동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이동 제한 위치는 상기 제2부재(2)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트리거(R1) 보다 후측에 있는 위치를 말하고, 자명하게도 상기 제2부재(2)이 이동 제한 위치 도착 전에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리시버(R2)가 완전 상승할 수 있는 위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R2)는 내부에 내장된 자성체(R20) 및 상기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연직부와 상기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가 상기 제2부재(2)와 접촉하는 제한부(R22)를 형성하는 탄성리시버(R21)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리시버(R21)는 상기 평행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연직부 및 상기 제2연직부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평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한부(R22)보다 큰 상하 폭을 갖는 제2제한부(R23)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자성체(R20)는 리시버(R2)의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2부재(2)의 무게중심 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리시버(R21)는 상기 제2부재(2)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데 라텍스, 우레탄 등 다양한 탄성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리시버(R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부(R22), 제2제한부(R23), 제3제한부(R24) 등 제n제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부재(2)의 높이에 따라 대응되는 제n제한부가 상기 제2부재(2)의 전면과 상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액추에이터(R3)는 상기 노출상부의 높이만큼 상기 접점부의 하부에 이격 구비된 단자부, 일단이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단자부의 접촉에 의해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 및 상기 신호전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리시버(R2)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단자부는 상기 트리거(R1)의 접점부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발생은 기 공지된 터치 스위치의 작동 원리를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신호전달부가 상기 승강수단 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이동면의 내부에 은폐돼 있던 상기 리시버(R2)를 상기 이동면의 상부로 상승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수단은 실린더방식, 크랭크방식, 권상기방식, 리프트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상식 또는 기 공지된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제1부재 11 : 제1통공
12 : 제2통공
2 : 제2부재 3 : 제3부재
4 : 제4부재 41 : 공동
100A : 제1절삭장치 101A : 칼럼
102A : 암 103A : 제1바이스
104A : 주축 105A : 테이블
101B : 주축대 102B : 제2바이스
103B : 심압대
200 : 압연기 201 : 제어반
500 : 연선기
501 : 회전드럼 502 : 크래들
503 : 보빈 504 : 구동모터
E : 소선
600 : 권취기 601 : 보빈부
F : 프레임

Claims (4)

  1. 연선 제조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 어느 한 장치의 사양에 따라 프레임을 제조하는 프레임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제조 단계는. 원재료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늘려 상기 원재료를 압연시키는 압연 단계;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제1부재의 표면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하는 절삭 단계;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압연된 상기 제1 및 제3부재를 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상기 압연 단계에 의해 가공된 제2부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제1부재의 하면과 상기 제3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2부재를 용접시키는 용접 단계;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부재를 그라인딩 하는 그라인딩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 단계는 상기 제3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은 원기둥 형상을 갖되, 상기 제3부재 표면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4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삭 단계는 상기 제4부재가 중앙에 통공을 갖도록 절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삭 단계는 제1절삭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1절삭장치는 상기 제2부재의 전진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제2부재의 이동 제한 위치에 구비되고, 이동면의 상부로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면의 하부로 하강하는 리시버,
    상기 이동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면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부재의 이동방향(이하 이동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갖는 노출상부, 상기 노출상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면의 하측으로 내장되는 내장하부 및 상기 내장하부의 하단에 형성된 접점부를 포함하는 트리거 및
    상기 노출상부의 높이만큼 상기 접점부의 하부에 이격 구비된 단자부, 일단이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단자부의 접촉에 의해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 및 상기 신호전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리시버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제2부재와 선 접촉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증하는 경사점증부 및 상기 경사점증부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 기울기가 점감하는 경사점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상부는 상기 경사점감부에서 상기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로 돌출 구비된 상단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기부는 상기 경사점증부와 상기 경사점감부의 조합과 동일한 경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24787A 2020-09-25 2020-09-25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KR10223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87A KR102235941B1 (ko) 2020-09-25 2020-09-25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87A KR102235941B1 (ko) 2020-09-25 2020-09-25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941B1 true KR102235941B1 (ko) 2021-04-05

Family

ID=7546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87A KR102235941B1 (ko) 2020-09-25 2020-09-25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5290A (zh) * 2022-05-18 2022-08-16 河南郾漯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粮食输送机侧板的冷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54B1 (ko) * 2013-04-29 2014-07-16 구미송 연선기
JP2017145670A (ja) * 2016-02-19 2017-08-24 Sdr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柱梁接合構造の製造方法及び柱梁接合構造
KR20170121750A (ko) * 2016-04-25 2017-11-03 (주) 보림테크 쇽업소버용 아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54B1 (ko) * 2013-04-29 2014-07-16 구미송 연선기
JP2017145670A (ja) * 2016-02-19 2017-08-24 Sdr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柱梁接合構造の製造方法及び柱梁接合構造
KR20170121750A (ko) * 2016-04-25 2017-11-03 (주) 보림테크 쇽업소버용 아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5290A (zh) * 2022-05-18 2022-08-16 河南郾漯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粮食输送机侧板的冷轧装置
CN114905290B (zh) * 2022-05-18 2024-01-26 河南郾漯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粮食输送机侧板的冷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2521B2 (en) Twisted wire and method of producing twisted wire
KR102235941B1 (ko) 연선 제조 설비의 제조 방법
KR101789532B1 (ko) 자동차시트용 스프링의 제조장치
EP1584740B1 (en) Twisting machine and twisted wire manufacturing method
CN201773646U (zh) 一种钢铝包钢绞线电缆成形机
CN209906078U (zh) 一种线缆张紧收卷装置
CN103950120A (zh) 一种六导轮多线切割机
CN102615142A (zh) 焊丝生产用收线装置
CN101898222A (zh) 小型多股簧数控加工机床
CN202270745U (zh) 金属线材拉丝机
CN101867266A (zh) 全自动电机定子铁芯制造设备
US2007018088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rapezoidal wire using two-set shaping rollers
JP5105963B2 (ja) 湿式伸線機
JP5181895B2 (ja) 撚り合せ電線の製造装置、撚り合せ電線の製造方法及び撚り合せ電線
CN214166966U (zh) 一种全自动双头焊丝层绕装置
CN203792549U (zh) 一种设有六个导轮的多线切割机
KR101425998B1 (ko)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JPH11285892A (ja) ステンレス鋼溶接用細径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の製造方法
CN108675055B (zh) 一种用于移动式盘线器的压线装置
JP2592363B2 (ja) 高圧縮撚線導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5282683B2 (ja) 伸線装置及び素線の製造方法
CN214779888U (zh) 一种可调张力的铜包钢丝放线装置
CN216965833U (zh) 一种双向矫直绕线机
CN211812683U (zh) 一种用于编织带生产的排线装置
CN215467107U (zh) 一种铜包钢气动放线转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