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525B1 - 일체형 감속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525B1
KR102235525B1 KR1020210008385A KR20210008385A KR102235525B1 KR 102235525 B1 KR102235525 B1 KR 102235525B1 KR 1020210008385 A KR1020210008385 A KR 1020210008385A KR 20210008385 A KR20210008385 A KR 20210008385A KR 102235525 B1 KR102235525 B1 KR 10223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rts
electric motor
gea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용
Original Assignee
박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운용 filed Critical 박운용
Priority to KR102021000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를 이용하여 축 간을 연결하는 대신 기어와 기어가 직접 맞물려 연결되어 기어비의 감소를 통해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일체형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전기 모터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기 설정된 감속비로 감속시켜 전달하는 기어 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감속기{INTETRAL GEAR RATIO REDUCER}
본 발명은 일체형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를 이용하여 기어 간을 연결하는 대신 기어와 기어가 직접 맞물려 연결되어 기어비의 감소를 통해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일체형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주차 시스템, 엘리베이터, 각종 산업 현장에서의 전동모터, 서보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의 원동축을 통해 전달되는 고부하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다.
이와 같은 감속기에 사용되는 기어는 평기어, 웜기어, 유성기어 등이 있는데, 웜기어나 유성기어를 사용한 감속기는 엔진이나 모터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속회전을 입력값으로 하여 로봇, 자동화 및 정밀제어기기 등에서 요구되는 안정도 및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일정비율로 감속하여 출력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감속기(30)의 경우, 모터(3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부가(34)가 별도로 구비되며, 벨트(33)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들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벨트(33)의 파손(33)이 자주 발생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벨트의 파손에 따른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856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0276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벨트를 이용하여 기어 간을 연결하는 대신 기어와 기어가 직접 맞물려 연결되어 기어비의 감소를 통해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일체형 감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는, 전기 모터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기 설정된 감속비로 감속시켜 전달하는 기어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박스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박스;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박스의 일측에 상기 제1 박스와 일체로서 형성되되, 상기 제1 박스보다 전단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박스;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축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박스의 전단에 설치되는 구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력 전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축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와 기 설정된 기어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박스와 상기 제2 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기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2 박스의 전단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박스의 후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는,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제2 박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주는 모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향하며 상기 전기 모터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박스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완충 박스;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완충 박스의 상부에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완충 유닛; 및 상기 제1 완충 유닛의 상부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 유닛을 지지하는 두 개의 제2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 파츠; 상기 고정 파츠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파츠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파츠; 및 상기 회전 파츠의 외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측면 파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박스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박스 본체; 상기 회전 파츠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파츠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츠 안착홈; 상기 측면 파츠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파츠와 대향하며 상기 파츠 안착홈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회전 파츠가 상기 파츠 안착홈에서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츠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홈; 및 상기 연장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측면 파츠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홈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완충 유닛은,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파츠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세 개의 각 측면에 각각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블록을 지지하는 세 개의 블록 지지 바아; 상기 블록 지지 바아의 하부가 안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완충 박스의 상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세 개의 상부홈; 상기 상부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블록 지지 바아가 상기 고정 블록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지지 바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홈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상부홈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지지 바아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분리 방지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벨트를 이용하여 기어 간을 연결하는 대신 기어와 기어가 직접 맞물려 연결되어 기어비의 감소를 통해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감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트형 감속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기어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모터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완충 유닛과 제2 완충 유닛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7은 도 6의 완충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10)는, 전기 모터(100) 및 기어 박스(200)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100)는, 기어 박스(2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기어 박스(200)로 전달한다.
기어 박스(200)는, 전기 모터(100)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전기 모터(10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기 설정된 감속비(예를 들어, 5:1 등)로 감속시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10)는, 공장 자동화에서 사용되는 제품 운송 장치(Over Head Transfer) 등에 적용되는 구성으로서, 벨트를 이용하여 기어 간을 연결하는 대신 기어와 기어가 직접 맞물려 연결되어 기어비의 감소를 통해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감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기어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어 박스(200)는, 제1 박스(210), 제2 박스(220), 구동력 전달부(230), 제1 기어부(240), 제2 기어부(250) 및 회전축부(260)를 포함한다.
제1 박스(2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에 구동력 전달부(230)가 연결 설치된다.
제2 박스(2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박스(210)의 일측에 제1 박스(210)와 일체로서 형성되되, 제1 박스(210)보다 전단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박스(210)와 제2 박스(220)는, 전체적으로 "ㄴ" 형태로 절곡된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구동력 전달부(230)는, 전기 모터(100)의 구동축(11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박스(210)의 전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100)의 구동축(110)은, 제1 기어부(24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기어산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제1 기어부(240)는, 구동력 전달부(230)를 통과하여 제1 박스(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전기 모터의 구동축(11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기어부(250)에 역시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기어부(250)는, 제1 기어부(240)와 기 설정된 기어비(예를 들어, 1:1 내지 5:1 등)로 형성되며, 제1 박스(210)와 제2 박스(2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제1 기어부(240)와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회전축부(260)를 회전시켜 준다.
회전축부(260)는, 제2 기어부(250)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제2 기어부(250)에 설치되며, 일측(260a)이 제2 박스(220)의 전단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측(260b)이 제2 박스(220)의 후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부(260)의 일측(260a) 및 다른 일측(260b)에는, OHT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하기 위한 바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어 박스(200)는, 벨트를 이용하여 축간 연결하는 대신 제1 기어부(240)와 제2 기어부(250)가 직접 맞물려 연결되어 기어비의 감소를 통해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감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20)는, 전기 모터(100), 기어 박스(200) 및 모터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 모터(100) 및 기어 박스(2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모터 지지부(300)는, 전기 모터(100)와 제2 박스(220)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 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감속기(20)는, 전기 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모터 지지부(30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 지지부(300)를 통해 완충시켜 줌으로써, 전기 모터(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장치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모터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지지부(300)는, 지지 플레이트(310), 완충 박스(320), 두 개의 제1 완충 유닛(330-1, 330-2) 및 두 개의 제2 완충 유닛(340-1, 340-2)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전기 모터(100)를 지지하며, 두 개의 제1 완충 유닛(330-1, 330-2)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 박스(320)는, 지지 플레이트(310)와 대향하며 전기 모터(100)와 대향하는 제2 박스(22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두 개의 제1 완충 유닛(330-1, 330-2) 및 두 개의 제2 완충 유닛(340-1, 340-2)의 각 하부가 안착된다.
제1 완충 유닛(330-1, 330-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310)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며, 하부, 즉 회전 파츠(332)가 완충 박스(320)의 상부에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완충 유닛(340-1, 340-2)은, 제1 완충 유닛(330)의 상부에 사이, 즉 고정 파츠(331)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 유닛(33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터 지지부(300)는, 전기 모터(10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10)를 두 개의 제1 완충 유닛(330-1, 330-2) 및 두 개의 제2 완충 유닛(340-1, 340-2)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른 반발벽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전기 모터(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장치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완충 유닛과 제2 완충 유닛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유닛(330)은, 고정 파츠(331), 회전 파츠(332) 및 다수 개의 측면 파츠(333)를 포함한다.
고정 파츠(331)는, 지지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블록(341)에 의해 지지되며, 하측에 회전 파츠(33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파츠(332)는, 고정 파츠(331)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파츠(33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술하는 파츠 안착홈(322)에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측면 파츠(333)는, 회전 파츠(332)의 외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연장홈(323)에 안착되어 유전 유도 스프링(32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2 완충 유닛(340)은, 고정 블록(341), 세 개의 블록 지지 바아(342), 세 개의 상부홈(343), 제2 스프링(344) 및 분리 방지 바아(345)를 포함한다.
고정 블록(341)은,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파츠(331)에 고정 설치되어 세 개의 블록 지지 바아(342)에 의해 지지된다.
블록 지지 바아(342)는, 고정 블록(341)의 세 개의 각 측면에 각각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블록(341)을 지지하며, 하부가 상부홈(343)에 안착되어 제2 스프링(344)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홈(343)은, 블록 지지 바아(342)의 하부가 안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완충 박스(320)의 상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스프링(344)은, 상부홈(343)에 안착되어 있는 블록 지지 바아(342)가 고정 블록(341)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블록 지지 바아(342)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상부홈(343)에 설치된다.
분리 방지 바아(345)는, 상부홈(343)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346)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블록 지지 바아(342)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유닛(330)은, 파츠 안착홈(322)에 안착되어 후술하는 유전 유도 스프링(324)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상하 이동과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지지 플레이트(3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완충 유닛(340)은, 이러한 제1 완충 유닛(330)을 제2 스프링(344)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완충 유닛(33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7은 도 6의 완충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완충 박스(320)를, 박스 본체(321), 파츠 안착홈(322), 연장홈(323) 및 유전 유도 스프링(324)을 포함한다.
박스 본체(321)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파츠 안착홈(322)가 형성된다.
파츠 안착홈(322)는, 회전 파츠(3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회전 파츠(3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벽면을 따라 다수 개의 연장홈(323)이 형성된다.
연장홈(323)은, 측면 파츠(33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측면 파츠(333)와 대향하며 파츠 안착홈(322)의 벽면을 따라 형성되되, 회전 파츠(332)가 파츠 안착홈(322)에서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파츠 안착홈(322)의 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유전 유도 스프링(324)은, 연장홈(323)에 안착되어 있는 측면 파츠(33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홈(323)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박스(320)는, 회전 파츠(332)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파츠(332)가 파츠 안착홈(322)에서 승강 또는 하강함에 있어 연장홈(323)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일체형 감속기
100: 전기 모터
200: 기어 박스
300: 모터 지지부

Claims (2)

  1. 전기 모터가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기 설정된 감속비로 감속시켜 전달하는 기어 박스;를 포함하며,
    기어 박스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박스;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박스의 일측에 상기 제1 박스와 일체로서 형성되되, 상기 제1 박스보다 전단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박스;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축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박스의 전단에 설치되는 구동력 전달부;
    상기 구동력 전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박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축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와 기 설정된 기어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박스와 상기 제2 박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2 기어부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기어부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2 박스의 전단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박스의 후단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제2 박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주는 모터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기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향하며 상기 전기 모터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박스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완충 박스;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완충 박스의 상부에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완충 유닛; 및
    상기 제1 완충 유닛의 상부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 유닛을 지지하는 두 개의 제2 완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완충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 파츠;
    상기 고정 파츠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파츠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파츠; 및
    상기 회전 파츠의 외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측면 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박스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박스 본체;
    상기 회전 파츠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파츠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츠 안착홈;
    상기 측면 파츠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파츠와 대향하며 상기 파츠 안착홈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회전 파츠가 상기 파츠 안착홈에서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츠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홈; 및
    상기 연장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측면 파츠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홈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일체형 감속기.
  2. 삭제
KR1020210008385A 2021-01-20 2021-01-20 일체형 감속기 KR10223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85A KR102235525B1 (ko) 2021-01-20 2021-01-20 일체형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85A KR102235525B1 (ko) 2021-01-20 2021-01-20 일체형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525B1 true KR102235525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385A KR102235525B1 (ko) 2021-01-20 2021-01-20 일체형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5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721A (en) * 1990-05-04 1993-03-23 Ava International Corporation Fail safe valve actuator
JP2000158144A (ja) * 1998-11-30 2000-06-13 Thk Co Ltd 電動シリンダ及びこれを用いた溶接ガンユニット並びに溶接ロボット
KR101702765B1 (ko) 2015-08-13 2017-02-03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감속기
KR101708565B1 (ko) 2015-08-13 2017-02-20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감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721A (en) * 1990-05-04 1993-03-23 Ava International Corporation Fail safe valve actuator
JP2000158144A (ja) * 1998-11-30 2000-06-13 Thk Co Ltd 電動シリンダ及びこれを用いた溶接ガンユニット並びに溶接ロボット
KR101702765B1 (ko) 2015-08-13 2017-02-03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감속기
KR101708565B1 (ko) 2015-08-13 2017-02-20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48488U (zh) 升降机构、单柱升降机及输送系统
US10384342B2 (en)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JP6066539B2 (ja) メディカル用クレーンタワー昇降システム
CN102292278A (zh) 升降机构以及医用床位装置
CN110303490B (zh) 一种工业机器人用抓取装置及方法
CN1176003C (zh) 双层电梯轿厢
US10913147B2 (en)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and reverse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06838108A (zh) 一种齿轮齿条式船用减摇减振支撑装置
CN104141738A (zh) 一种涡轮蜗杆减速机构
CN102471036A (zh) 用于乘客运输器的动力传递系统
CN102102735A (zh) 一种齿轮传动飞轮减振装置
CN202805210U (zh) 机器人的臂结构和机器人
KR102235525B1 (ko) 일체형 감속기
CN112060127A (zh) 一种具有自行走功能的多自由度机器人
JP6513484B2 (ja) ケーブル配線方法及びロボット
KR20080090303A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동심 2축 기구
CN101386172A (zh) 一种工件输送机械手
CN1008349B (zh) 升降起重装置
CN103075488A (zh) 可调节传动距的传动装置
JP2011093627A (ja)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JP2020185137A (ja) 昇降装置及び昇降デスク
JP2018197006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0201746A (ja) 机の天板の昇降装置
JP3164195U (ja) 昇降装置
CN110195522A (zh) 一种多层垂直往复循环立体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