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503B1 - 캔실링기 - Google Patents

캔실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503B1
KR102235503B1 KR1020200158174A KR20200158174A KR102235503B1 KR 102235503 B1 KR102235503 B1 KR 102235503B1 KR 1020200158174 A KR1020200158174 A KR 1020200158174A KR 20200158174 A KR20200158174 A KR 20200158174A KR 102235503 B1 KR102235503 B1 KR 10223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eaming roll
hole
seam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문
Original Assignee
이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문 filed Critical 이병문
Priority to KR102020015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21D51/32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53Methods or machines for closing cans by applying caps or bott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실링기에 관한 것으로, 캔 본체가 안착되며 승하강 가능한 캔 거치대(200)와, 상기 캔 거치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캔 거치대(200)가 승강하여 상기 캔 본체(100)가 상승하면 상기 캔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된 캡(P)을 회전 가압하여 실링하는 시밍 롤 유닛(300)과, 상하이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캔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레버(400)와, 상기 높이 조절 레버와 상기 캔 거치대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동작을 상기 캔 거치대에 전달하여 상기 캔 거치대가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캠 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사이즈 캔에 호환 가능하며, 높이 조절시 힘들이지 않고 빠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캡 종류에도 대응하여 실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캔실링기{Can seaming equipment}
본 발명은 캔실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하고 캔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한 캔실링기에 관한 것이다.
캔실링기는 음료를 따라 캔을 만들어주는 기기로, 최근 카페, 수제맥주 등 여러 업체에서 각광받고 있는 기기이다.
캔실링기는 커피, 과일음료 등을 캔시머리를 이용하여 실링하여 포장한다. 알루미늄 캔같은 경우는 열전도율이 높아 음료의 온도유지에 용이하고 완전밀봉이 되어 공기와 햇빛을 차단해 맛과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재질이 필름 포장방식보다 튼튼하여 배달간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한 번에 많은 물량을 간편하게 배달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캔은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이므로 플라스틱 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캔실링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이며, 높이가 다른 다양한 사이즈 캔에 호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하단의 캔 거치대(몰드)를 교체하여 다양한 사이즈 캔을 시밍하도록 하나, 다양한 종류의 캔 거치대의 보관시 분실 우려가 있고, 캔의 종류에 따라 몰드를 매번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605호의 캔 실링기는 캔의 시밍작업을 위해 캔을 상승시킬 때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레버 조작을 통해 캔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레버 상승 조작 후에는 옆으로 젖혀서 상승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하는데, 이는 종래의 캔 거치대의 자동 상승 구조에 비해 구성이 단순하고 안정적인 상승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지렛대 방식의 특성상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해 많은 힘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하나의 캔을 시밍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조작이 번거롭고 힘든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605호(2020.11.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 캔에 호환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높이 조절시 힘들이지 않고 빠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캡 종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장착된 척(제1 시밍 롤) 하나로 모두 시밍할 수 있는 호환성이 높은 캔실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실링기는 캔 본체가 안착되며 승하강 가능한 캔 거치대와 상기 캔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캔 거치대가 승강하여 상기 캔 본체가 상승하면 상기 캔 본체의 상면에 안착된 캡을 회전 가압하여 실링하는 시밍 롤 유닛과 상하이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캔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레버와 상기 높이 조절 레버와 상기 캔 거치대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동작을 상기 캔 거치대에 전달하여 상기 캔 거치대가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캠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캔 거치대는 상면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로 구성되어 캔 본체가 안착되도록 되며,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몰드와 상기 몰드의 저면이 지지되며 상기 몰드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삽입공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몰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제1 삽입공과 상기 제1 삽입공에 비해 직경이 큰 제2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를 둘러 완충링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시밍 롤 유닛은 상기 몰드의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몰드에 안착된 상기 캔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캡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제1 시밍 롤과 상기 제1 시밍 롤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시밍 롤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시밍 롤의 상기 삽입부와 협력하여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캡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및 제3 시밍 롤과 상기 제1 시밍 롤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시밍 롤과 기어로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밍 롤의 삽입부는 외주면이 상기 제2 및 제3 시밍 롤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 시밍 롤의 가압부는 상기 상향 경사면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주면이 상하직선이 직선면과 상기 직선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시밍 롤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 시밍 롤의 상향 경사면과 상기 제2 및 제3 시밍 롤(330)의 직선면과 하향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고 실링된다.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서 상기 캔 거치대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높이 조절 레버는 상기 통공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정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이동공을 따라 이동 가능한 봉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선단은 상기 이동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후단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캠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공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걸림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이동공을 따라 이동한 상태의 상기 높이 조절 레버를 상기 걸림공에 삽입하여 이동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캔 거치대의 상하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캔 거치대의 거치대본체의 일측에서 바닥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돌출된 안내롤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회동공이 형성된 캠지지부재와 상기 캠지지부재의 회동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후단을 연결하여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상하이동 동작을 상기 회동축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연결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어축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시 회전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고, 상면은 하향 경사진 가이드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롤부를 지지하는 이동안내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캔 거치대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수직공과 상기 수직공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저면은 상기 본체의 바닥에 고정된 가이드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시밍 롤의 중심축은 편심져, 상기 제1 시밍 롤의 회전시 상기 제2 시밍 롤과 상기 제3 시밍 롤에 교차하여 밀착된다.
본 발명은 캔 거치대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 레버가 회전 방식이 아닌 본체의 상면과 정면에 걸쳐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이동공을 따라 상부로 밀거나 하부로 당기는 방식이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높이 조절 레버를 상부로 밀고 하부로 당기는 동작이 캠 부재를 통해 캔 거치대를 상하수직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므로, 다양한 사이즈 캔에 호환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높이 조절시 힘들이지 않고 빠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시밍 롤의 고속회전과 동시에 제2 시밍 롤과 제3 시밍 롤이 제1 시밍 롤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시밍 롤의 삽입부에 끼워진 캡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캡 본체에 캡을 실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캡 종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장착된 척(제1 시밍 롤) 하나로 모두 시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실링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실링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 거치대의 상하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밍 롤 유닛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밍 롤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캔실링기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사이즈 캔본체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캔실링기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캡 종류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실링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실링기(10)는 본체(100), 캔 거치대(200), 시밍 롤 유닛(300), 높이 조절 레버(400) 및 캠 부재(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캔실링기(1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과 양측으로 개구되는 실링공간(101)이 구비된다. 실링공간(101)은 실질적으로 캔의 실링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본체(100)의 일부가 후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실링공간(101)의 하부에는 캔 거치대(200)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시밍 롤 유닛(300)이 구비된다. 캔 거치대(200)의 일측으로 높이 조절 레버(400)가 구비된다.
본체(100)의 상부측 정면에는 전원버튼(110)이 구비된다. 전원버튼(110)은 시밍 롤 유닛(300)의 구동을 위한 것이다.
실링공간(101)을 형성하는 본체(100)의 상면에 통공(103)이 형성된다. 통공(103)에 캔 거치대(200)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캔 거치대(200)는 캔 본체가 안착되며 승하강 가능하다.
시밍 롤 유닛(300)은 캔 거치대(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시밍 롤 유닛(300)은 캔 거치대(200)가 승강하여 캔 거치대(200)에 안착된 캔 본체(100)가 상승하면, 캔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된 캡을 회전 가압하여 실링한다.
높이 조절 레버(400)는 상하이동하는 동작으로, 캔 거치대(200)를 승하강시킨다.
높이 조절 레버(400)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높이 조절 레버(400)는 통공(103)과 일정 거리를 두고 본체(100)의 상면과 정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본체(10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이동공(10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높이 조절 레버(400)의 선단은 이동공(105)을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후단은 본체(100) 내에서 캠 부재(500)와 연결된다. 높이 조절 레버(400)의 선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손잡이부가 구비된다.
본체(100)의 이동공(10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동공(105)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걸림공(106)이 더 형성되어, 이동공(105)을 따라 이동한 상태의 높이 조절 레버(400)를 걸림공(106)에 삽입하여 이동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00)의 상면과 정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일자로 형성된 이동공(105)의 형상은 높이 조절 레버(400)를 상하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캔 거치대(200)를 승하강시키므로, 종래 레버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비해 캔 거치대(200)를 승하강시키는 동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캠 부재(500)는 높이 조절 레버(400)와 캔 거치대(200)를 연결하여, 높이 조절 레버(400)의 동작을 캔 거치대(200)에 전달하여 캔 거치대(200)가 승하강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실링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캔 거치대(200)는 몰드(210), 거치대본체(220) 및 탄성부재(230)를 포함한다.
몰드(210)는 상면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안착부(211)와 제2 안착부(212)로 구성되어 캔 본체(100)가 안착되도록 된다. 몰드(210)는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기(213)가 구비되어, 몰드(210)를 거치대본체(22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킨다.
거치대본체(220)는 육면체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몰드(2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거치대본체(220)는 통공(103)에서 일정행정만큼 승하강 가능하도록 육면체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의 단면이 통공(10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거치대본체(220)는 몰드(210)가 안착되는 위치에 상부로 개구되어 몰드(210)의 고정돌기(213)가 삽입되는 삽입공(221)이 형성된다.
탄성부재(230)는 거치대본체(220)의 삽입공(221)에 배치되고, 일단이 삽입공(221)에 삽입된 고정돌기(213)에 밀착 고정되어 몰드(2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스프링이다. 탄성부재(230)는 거치대본체(220)를 탄성 지지하여 승강 후, 캔 본체(100)의 캡(P)이 시밍 롤 유닛(3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거치대본체(220)의 삽입공(221)은 제1 삽입공(221)과 제1 삽입공(221)에 비해 직경이 큰 제2 삽입공(221)을 포함한다. 제2 삽입공(221)에는 완충링부재(225)가 구비된다. 완충링부재(225)는 제2 삽입공(221)에 배치된 고정돌기(213)의 외주를 둘러 배치되어 고정돌기(213)의 고정력을 높이고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완충링부재(225)는 캔 본체에 캡을 실링시 몰드(210)는 회전하지 않고 몰드(210)에 안착된 캔 본체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완충링부재(225)는 2개가 적층식으로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높이 조절 레버의 동작을 거치대본체에 전달하여 거치대본체를 승하강시키는 캠 부재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캠 부재(500)는 가이드부(510), 안내롤부(520), 캠지지부재(530), 회동축(540), 연결부재(550), 기어축부재(560) 및 이동안내바(570)를 포함한다. 캠 부재(500)는 높이 조절 레버(400)의 상하이동 동작을 회전동을 회동축(540)의 회전동작으로 연결하여 회동축(540)에 결합된 이동안내바(570)를 회동축(540)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그 상부에 지지되는 캔 거치대(200)를 승하강시킨다.
가이드부(510)는 캔 거치대(200)의 상하수직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510)에 의해 캔 거치대(20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하이동한 수행할 수 있다.
안내롤부(520)는 캔 거치대(200)의 거치대본체(220)의 일측에서 바닥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안내롤부(520)는 후술할 이동안내바(570)의 가이드곡면(571)에 지지된다.
캠지지부재(530)는 본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회동공(531)이 형성된다. 캠지지부재(530)는 캠 부재(5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한다. 회동축(540)은 캠지지부재(530)의 회동공(53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캠지지부재(530)의 회동공(531)에 회동축(540)이 설치되며 회동축(540)은 캠 부재(500)를 구동하는 중심축이 된다.
연결부재(550)는 회동축(540)의 일단에 높이 조절 레버(400)의 후단을 연결하여 높이 조절 레버(400)의 상하이동 동작을 회동축(54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550)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c자 형상의 중간에 높이 조절 레버(400)의 후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c자 형상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동축(540)의 일단이 고정된다. 회동축(540)은 연결부재(550)를 매개로 높이 조절 레버(400)에 일체로 고정되어 높이 조절 레버(400)의 상하이동시 회전하게 된다.
기어축부재(560)는 연결부재(550)의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회동축(54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연결부재(550)의 강도를 보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축부재(560)는 높이 조절 레버(400)의 상하이동을 회동축(540)에 전달하는 힘을 높여 높이 조절 레버(400)의 부드러운 동작으로도 회동축(540)이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축(540)은 연결부재(550), 기어축부재(560), 이동안내바(57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축(5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50)와 기어축부재(560)도 회동축(540)의 다각형 형상 단면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회동축(540)을 지렛대 방식으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단, 캠지지부재(530)에 형성된 회동공(531)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캠지지부재(530)에 대한 회동축(540)의 회동은 자유롭도록 한다. 또는 캠지지부재(530)의 회동공(531)에는 회동축(540)의 다각형 단면에 결합되는 부싱이 설치되어 회동축(540)의 회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이동안내바(570)는 일단이 회동축(540)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동축(540)의 회전시 회전된다. 이동안내바(570)의 타단은 상부로 연장된다. 이동안내바(570)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가이드곡면을 형성하여 거치대본체(220)의 안내롤부(520)를 지지한다.
이동안내바(570)의 회전시 안내롤부(520)를 지지하는 가이드곡면(571)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캔 거치대(200)가 승하강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 레버(400)가 최하부측에 위치하였을 때, 이동안내바(570)는 바닥면과 약 90도를 이루도록 세워지고 안내롤부(520)의 위치가 이동안내바(570)의 가이드곡면(571)의 최상부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높이 조절 레버(4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회동축(540)이 회전하면서 이동안내바(570)가 회전하고 안내롤부(520)를 지지하는 가이드곡면(57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캔 거치대(200)가 그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캠 부재(500)는 높이 조절 레버(400)가 회동축(540)을 중심으로 90도 각도 범위에서 회전되게 한다. 높이 조절 레버(400)의 회전동작은 높이 조절 레버(400)가 이동공(105)을 따라 상하수직이동하는 동작으로 구현된다.
높이 조절 레버(400)가 이동공(105)의 최하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안내바(570)는 바닥면과 약 90도를 이루도록 세워지고, 안내롤부(520)를 지지하는 이동안내바(570)의 가이드곡면(571)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캔 거치대(200)가 상승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높이 조절 레버(400)를 회동축(54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부로 올리면, 회동축(5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안내바(570)가 뒤로 젖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안내롤부(520)를 지지하는 이동안내바(570)의 가이드곡면(57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캔 거치대(20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동작에서 캔 거치대(200)는 가이드부(510)에 의해 상하수직이동만 가능하므로 안내롤부(520)의 위치에서 이동안내바(570)의 가이드곡면(571)의 높이에 따라 캔 거치대(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캔 거치대의 상하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이드부(510)는 캔 거치대(200)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가이드부(510)는 거치대본체(22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몸체(511)와 가이드몸체(511)에 형성된 수직공(512)과 수직공(512)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저면은 본체(100)의 바닥에 고정되는 가이드기둥(513)을 포함한다.
가이드몸체(511)는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으로 되고, 가이드몸체(511)에 수직공(512)이 상하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가이드기둥(513)은 수직공(512)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저면이 본체(100)의 바닥에 고정되어, 가이드기둥(513)을 따라 가이드몸체(511)가 상하수직이동함으로써 캔 거치대(200)가 가이드기둥(513)을 따라 상하수직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511)가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은 가이드몸체(511)와 이동안내바(570)의 간섭을 방지하고, 2개의 가이드기둥(513)이 캔 거치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캔 거치대(200)의 상하수직이동은 2개의 가이드기둥(513)이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2개의 가이드기둥(513)의 사이에 위치된 이동안내바(570)가 캔 거치대(200)의 안내롤부(520)와 협력하여 캔 거치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캔 거치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밍 롤 유닛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밍 롤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시밍 롤 유닛(300)은 제1 시밍 롤(310), 제2 시밍 롤(320) 및 제3 시밍 롤(330)을 포함한다.
제1 시밍 롤(310)은 몰드(210)의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몰드(210)에 안착된 캔 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캡(P)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삽입부(311)가 형성된다.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은 제1 시밍 롤(3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은 제1 시밍 롤(31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시밍 롤(310)의 삽입부(311)와 협력하여 삽입부(311)에 끼워진 캡(P)을 가압한다.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은 제1 시밍 롤(310)의 삽입부(311)와 협력하여 삽입부(311)에 끼워진 캡(P)을 가압하는 가압부(321,322)를 구비한다.
제1 시밍 롤(310)의 삽입부(311)는 외주면이 제2 시밍 롤(320) 및 제3 시밍 롤(33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2 시밍 롤(320) 및 제3 시밍 롤(330)의 가압부(321,322)는 제1 시밍 롤(310)의 상향 경사면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주면이 상하직선인 직선면과 직선면의 하부에서 제1 시밍 롤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된다. 캔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된 캡(P)은 제1 시밍 롤(310)의 상향 경사면을 갖는 삽입부(311)와 제2 시밍 롤(320) 및 제3 시밍 롤(330)의 직선면과 하향 경사면을 갖는 가압부(321,322)에 의해 가압되고 실링된다.
제1 시밍 롤(310)은 고속회전하며,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은 제1 시밍 롤(310)의 고속 회전시 제1 시밍 롤(310)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시밍 롤(310)과 함께 캡(P)을 가압한다. 제1 시밍 롤(310)의 고속회전은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수행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제1 시밍 롤(310)이 회전되도록 제1 시밍 롤(310)과 기어(340,350)로 연결된다.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은 제1 시밍 롤(310)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탄성지지부재(610)가 지지한다. 탄성지지부재(610)는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을 제1 시밍 롤(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다.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을 지지하면서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지지블록(620)을 포함한다. 지지블록(620)은 지지공(621)이 형성되며, 지지공(621)을 관통하여 지지공(621) 내에서 좌우이동 가능한 지지바(623)가 배치되고, 지지공(621) 내에서 좌우이동 가능한 지지바(623)에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각각 지지되어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제1 시밍 롤(31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시밍 롤(310)은 전원이 공급되면 고속회전됨과 동시에 강한 자성체가 될 수 있다. 제1 시밍 롤(310)이 자성체가 되면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제1 시밍 롤(310)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시밍 롤(310)과 밀착될 수 있다.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의 이동은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을 지지하는 지지바(623)가 지지공(621) 내에서 이동하여 가능하며, 제1 시밍 롤(310)이 고속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은 지지바(623)가 지지공(621) 내에서 제1 시밍 롤(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일정부분 완충 기능도 가진다.
제1 시밍 롤(310)이 강한 자성체가 될 때 그 자력은 탄성지지부재(610)가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을 제1 시밍 롤(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는 힘보다 작아, 제1 시밍 롤(310)이 강한 자성체가 되면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제1 시밍 롤(3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자성체 외에도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제1 시밍 롤(310)과 가까워지도록하는 수단으로 실린더, 모터 등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지지블록(620)에 전원공급시 강한 자성체가 되는 자성부재를 구비하여, 전원공급시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제1 시밍 롤(3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시밍 롤(310)의 중심축(315)은 편심져, 제1 시밍 롤(310)의 회전시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에 교차하여 밀착될 수 있다. 이는 캔 본체(100)에 캡(P)의 실링 효율을 높인다. 중심축(315)은 기어(340,350)를 통해 구동모터와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캔 거치대(200)의 몰드(210)에 캔 본체(100)를 안착하고 캔 본체(100)의 상면에 캡(P)을 안착시킨 후, 캔 거치대(200)를 상승시켜 캡(P)의 제1 시밍 롤(310)의 삽입부(311)에 캡(P)이 끼워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원버튼(110)을 누르면, 제1 시밍 롤(310)이 고속회전하고 동시에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제1 시밍 롤(3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캡(P)을 가압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본체(100)의 상면에 안착된 캡(P)은 제1 시밍 롤(310)의 상향 경사면을 갖는 삽입부(311)와 제2 시밍 롤(320) 및 제3 시밍 롤(330)의 직선면과 하향 경사면을 갖는 가압부(321,322)에 의해 가압되고 실링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몰드(210)에 캔 본체(100)를 안착시키고, 높이 조절 레버(400)를 이동공(105)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당겨 캔 거치대(200)를 상승시킨 다음, 높이 조절 레버(400)를 걸림공(106)으로 이동시켜 상승시킨 상태를 고정한 다음, 전원버튼(110)만 눌러주면 간단하게 실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이 조절 레버(400)가 회전 방식이 아닌 하부로 당기는 방식이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높이 조절 레버(400)를 상하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을 캔 거치대(200)의 상하수직이동 동작으로 변환하는 캠 부재(500)에 의해 캔 거치대(20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지렛대 방식으로 힘이 들지 않고 빠른 작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 캔에 호환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캔실링기(10)의 핵심 부품인 시밍 롤 유닛(300)은 제1 시밍 롤(3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이동하여 제1 시밍 롤(310)의 삽입부(311)에 끼워진 캡(P)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캡 본체(100)에 실링하므로 장착된 제1 시밍 롤(척) 하나로 다양한 캡 종류에도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의 캔실링기(10)는 전원버튼(110)만 눌러주면 간단하게 실링(시밍)이 가능하며, 개당 4초면 완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캔실링기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사이즈 캔본체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캔실링기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캡 종류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실링기(10)는 높이 조절을 통해 도 9에 도시된 250ml, 350ml, 650ml 용량의 다양한 사이즈의 알루미늄 캔과 페트(플라스틱) 캔에 호환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캔실링기(10)는 120ml~650ml 사이즈 캔에 호환이 가능하며 실링 가능하다.
또한, 캔실링기(10)는 몰드(210)에 캡 본체(100)의 고정을 위해 링을 배치할 수 있는데, 용량이 큰 650ml 신형 페트의 실링시에는 원가 절감을 위해 몰드(210)를 교체하지 않고 링을 제거하고 높이를 맞출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완충링부재(225) 중 하나를 제거하고 몰드(210)가 안착되는 높이를 낮게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캔실링기(10)의 핵심 부품인 시밍 롤 유닛(300)은 제1 시밍 롤(3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시밍 롤(320)과 제3 시밍 롤(330)이 이동하여 제1 시밍 롤(310)의 삽입부(311)에 끼워진 캡(P)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캡 본체(100)에 실링하므로 장착된 제1 시밍 롤(척) 하나로 도 10에 도시된 일반캡, 안전캡, 풀오픈캡 등 다양한 캡 종류에도 대응할 수 있다. 장착된 시밍 롤 유닛(300)으로 일반캡, 안전캡, 풀오픈캡 모두 시밍할 수 있다. 즉, 캡(뚜껑) 종류와 관계없이 하나의 기기로 모두 실링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캔실링기 100: 본체
101: 실링공간 103: 통공
105: 이동공 106: 걸림공
110: 전원버튼 200: 캔 거치대
210: 몰드 211: 제1 안착부
212: 제2 안착부 213: 고정돌기
220: 거치대본체 221: 삽입공
221a: 제1 삽입공 221b: 제2 삽입공
225: 완충링부재 230: 탄성부재
300: 시밍 롤 유닛 310; 제1 시밍 롤
311: 삽입부 320: 제2 시밍 롤
321,322: 가압부 330: 제3 시밍 롤
340,350: 기어 400: 높이 조절 레버
500: 캠 부재 510: 가이드부
511: 가이드몸체 512: 수직공
513: 가이드기둥 520: 안내롤부
530: 캠지지부재 531: 회동공
540: 회동축 550: 연결부재
560: 기어축부재 570: 이동안내바
571: 가이드곡면 610: 탄성지지부재
620: 지지블록 621: 지지공
623: 지지바 C: 캔 본체
P: 캡

Claims (2)

  1. 캔실링기에 있어서,
    캔 본체가 안착되며 승하강 가능한 캔 거치대;
    상기 캔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캔 거치대가 승강하여 상기 캔 본체가 상승하면 상기 캔 본체의 상면에 안착된 캡을 회전 가압하여 실링하는 시밍 롤 유닛;
    상하이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캔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높이 조절 레버; 및
    상기 높이 조절 레버와 상기 캔 거치대를 연결하여,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동작을 상기 캔 거치대에 전달하여 상기 캔 거치대가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캠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캔 거치대는
    상면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로 구성되어 캔 본체가 안착되도록 되며,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몰드;
    상기 몰드의 저면이 지지되며 상기 몰드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거치대본체;
    상기 거치대본체의 삽입공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몰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제1 삽입공과 상기 제1 삽입공에 비해 직경이 큰 제2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외주를 둘러 완충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시밍 롤 유닛은
    상기 몰드의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기 몰드에 안착된 상기 캔 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캡에 끼워지도록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제1 시밍 롤;
    상기 제1 시밍 롤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시밍 롤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시밍 롤의 상기 삽입부와 협력하여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캡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된 제2 및 제3 시밍 롤; 및
    상기 제1 시밍 롤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시밍 롤과 기어로 연결된 구동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밍 롤의 삽입부는 외주면이 상기 제2 및 제3 시밍 롤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 시밍 롤의 가압부는 상기 상향 경사면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주면이 상하직선이 직선면과 상기 직선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시밍 롤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 시밍 롤의 상향 경사면과 상기 제2 및 제3 시밍 롤(330)의 직선면과 하향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고 실링되며,
    상기 캔실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서 상기 캔 거치대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높이 조절 레버는
    상기 통공과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정면을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이동공을 따라 이동 가능한 봉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선단은 상기 이동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후단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캠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공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공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걸림공이 더 형성되어, 상기 이동공을 따라 이동한 상태의 상기 높이 조절 레버를 상기 걸림공에 삽입하여 이동한 상태를 고정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캔 거치대의 상하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캔 거치대의 거치대본체의 일측에서 바닥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돌출된 안내롤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회동공이 형성된 캠지지부재;
    상기 캠지지부재의 회동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후단을 연결하여 상기 높이 조절 레버의 상하이동 동작을 상기 회동축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연결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어축부재;
    일단이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시 회전되며,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고, 상면은 하향 경사진 가이드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롤부를 지지하는 이동안내바;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캔 거치대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수직공;
    상기 수직공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저면은 상기 본체의 바닥에 고정된 2 개의 가이드기둥;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안내바는 상기 2개의 가이드기둥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기둥의 사이에 위치된 상기 이동안내바가 상기 안내롤부와 협력하여 상기 캔 거치대를 지지하면서 상기 캔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시밍 롤의 중심축은 편심져, 상기 제1 시밍 롤의 회전시 상기 제2 시밍 롤과 상기 제3 시밍 롤에 교차하여 밀착되는,
    캔실링기.
  2. 삭제
KR1020200158174A 2020-11-23 2020-11-23 캔실링기 KR10223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174A KR102235503B1 (ko) 2020-11-23 2020-11-23 캔실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174A KR102235503B1 (ko) 2020-11-23 2020-11-23 캔실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503B1 true KR102235503B1 (ko) 2021-04-01

Family

ID=7544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174A KR102235503B1 (ko) 2020-11-23 2020-11-23 캔실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87B1 (ko) * 2021-05-14 2022-10-17 공성열 용기 밀봉 장치
KR20240005553A (ko) 2022-07-05 2024-01-12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캔 시밍장치 및 캔 시밍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보상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907U (ja) * 1997-08-01 1998-02-20 有限会社第一通商 缶シーラー
JP2799233B2 (ja) * 1990-08-27 1998-09-17 北海製罐株式会社 二重巻締機におけるカバーフィードターレットの着脱装置
KR20040055919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삼각기계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KR101692340B1 (ko) * 2016-03-16 2017-01-09 주식회사 싱싱캔 캔 시밍장치용 캔 지지수단
KR20180118967A (ko) * 2017-04-24 2018-11-01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20180126808A (ko) * 2017-05-18 2018-11-28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20190098404A (ko) * 2018-02-14 2019-08-22 공성열 용기 밀봉 장치
KR101976984B1 (ko) * 2018-04-02 2019-08-28 박의권 캔 시밍장치
KR20200127605A (ko) 2019-05-03 2020-11-11 조윤서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9233B2 (ja) * 1990-08-27 1998-09-17 北海製罐株式会社 二重巻締機におけるカバーフィードターレットの着脱装置
JP3045907U (ja) * 1997-08-01 1998-02-20 有限会社第一通商 缶シーラー
KR20040055919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삼각기계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KR101692340B1 (ko) * 2016-03-16 2017-01-09 주식회사 싱싱캔 캔 시밍장치용 캔 지지수단
KR20180118967A (ko) * 2017-04-24 2018-11-01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20180126808A (ko) * 2017-05-18 2018-11-28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20190098404A (ko) * 2018-02-14 2019-08-22 공성열 용기 밀봉 장치
KR101976984B1 (ko) * 2018-04-02 2019-08-28 박의권 캔 시밍장치
KR20200127605A (ko) 2019-05-03 2020-11-11 조윤서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87B1 (ko) * 2021-05-14 2022-10-17 공성열 용기 밀봉 장치
KR20240005553A (ko) 2022-07-05 2024-01-12 주식회사 유니네트워크 캔 시밍장치 및 캔 시밍장치를 이용한 가상화폐 보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503B1 (ko) 캔실링기
US3491803A (en) Machine for filling with liquids containers having deformable side walls
MX2008014565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elaborar botella rellena de contenido.
US5150740A (en) Filling valve
KR102449072B1 (ko) 밀폐형 자동 포장용기 실링기
EP0701966B1 (en) A beverage packaging apparatus and a beverage packaging method
US5139058A (en) Filling valve
KR20200127605A (ko)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CN213258366U (zh) 一种气弹簧活塞杆加工送料装置
CN212954272U (zh) 一种果粒酸奶瓶装灌装机
KR102125947B1 (ko) 용기 운반용 홀더
KR20220039945A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필름 펀칭-융착-커팅 장치
KR200494810Y1 (ko)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JP2021080005A (ja) 卓上キャッピング装置
KR200496121Y1 (ko) 듀얼 캔시머
CN214399791U (zh) 一种化妆品瓶出料装置
CN214031625U (zh) 一种纯塑瓶盖瓶口密封结构
CN210364658U (zh) 一种蛋制品包装机的纵封装置
CN101353138B (zh) 轧盖装置
CN214399792U (zh) 一种传输化妆品瓶盖的装置
KR102400407B1 (ko) 포장용기 실링기의 포장용기 인-아웃 이동장치
CN112607695B (zh) 一种包装瓶自动灌装机
KR102332702B1 (ko) 캔 시밍장치
CN217990748U (zh) 一种酒类瓶盖生产用挤压装置
US20230303377A1 (en) A filler machine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