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984B1 - 캔 시밍장치 - Google Patents

캔 시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84B1
KR101976984B1 KR1020180038116A KR20180038116A KR101976984B1 KR 101976984 B1 KR101976984 B1 KR 101976984B1 KR 1020180038116 A KR1020180038116 A KR 1020180038116A KR 20180038116 A KR20180038116 A KR 20180038116A KR 101976984 B1 KR101976984 B1 KR 10197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support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권
Original Assignee
박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권 filed Critical 박의권
Priority to KR102018003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53Methods or machines for closing cans by applying caps or bottoms
    • B21D51/2661Sealing or clos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개방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가 승강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기회전부 및 뚜껑가압부를 통해 용기의 상측 가장자리에 뚜껑의 가장자리를 걸림 결합시키는 캔 시밍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캔 시밍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개방 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용기를 회전시키는 용기회전부 및 상기 용기회전부를 통해 용기의 회전시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감겨지도록 가압하는 뚜껑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캔 시밍장치{DEVICE FOR CAN}
본 발명은 캔 시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가 승강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기회전부 및 뚜껑가압부를 통해 용기의 상측 가장자리에 뚜껑의 가장자리를 걸림 결합시키는 캔 시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수나 식품 등의 내용물을 포장하는 캔은 해당 식품의 유통 기한을 늘리면서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보관되어 시중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판재를 감거나 구부려서 원통 또는 사각통 형태를 이루는 용기를 제작한 다음 개방된 용기의 상측에 대응되는 뚜껑을 용기와 함께 일체로 밀봉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원통이나 사각통 형태를 가지는 용기의 상측에 뚜껑을 밀봉시키기 위한 작업이 수작업에 의존되어 캔의 제작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캔 내부의 내용물이 작업자의 부주의로 쏟아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20761호(2015.02.27, 발명의 명칭: 캔 시밍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개방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가 승강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기회전부 및 뚜껑가압부를 통해 용기의 상측 가장자리에 뚜껑의 가장자리를 걸림 결합시키는 캔 시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 시밍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개방 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용기를 회전시키는 용기회전부 및 상기 용기회전부를 통해 용기의 회전시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감겨지도록 가압하는 뚜껑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부 및 상기 뚜껑가압부에 연동되어 상기 용기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연동승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안착부는 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와 체결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연동승강부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승강부는 상기 뚜껑가압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승강동력전달부와, 상기 승강동력전달부에 연동 회전되어 상기 용기안착부를 상승시키는 상승캠부재 및 상기 상승캠부재에 의해 상기 용기안착부가 상승시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용기안착부에 연결되는 탄성복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회전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뚜껑의 상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밀착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가 뚜껑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밀착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가압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뚜껑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압롤러부와, 상기 가압롤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와 연동되고, 상기 가압롤러부가 뚜껑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동지지부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동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가압롤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회동제공부에 의해 회동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회동제공부에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연동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제공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를 복원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회동캠부재 및 상기 회동캠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캠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시밍장치는 개방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가 승강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기회전부 및 뚜껑가압부를 통해 용기의 상측 가장자리에 뚜껑의 가장자리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유통기간 동안 용기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재가 높이조절부재와 탄성제공부재에 의해 높이 조절되면서 용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용기의 높이에 상관없이 뚜껑을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걸림 결합되는 과정에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용기의 변형 및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용기회전부와 뚜꺼가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용기안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승강지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뚜껑가압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 시밍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용기회전부와 뚜꺼가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용기안착부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승강지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에서 뚜껑가압부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시밍장치(1)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승강지지부(200), 용기회전부(300) 및 뚜껑가압부(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승강지지부(200), 용기회전부(300) 및 뚜껑가압부(40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뚜껑이 끼워진 용기가 승강지지부(200)에 안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110)가 구비된다. 이때, 수용공간부(110)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용기회전부(300)의 제1구동모터(320)와 뚜껑가압부(400)의 제2구동모터(433)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는 컨트롤러(120)가 구비된다.
한편, 승강지지부(200)는 본체(100)에 구비되어 개방 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승강지지부(200)는 개방 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의 안착시 용기회전부(300) 및 뚜껑가압부(400)를 통해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걸림 결합되도록 일정시간 동안 용기를 상승시키고, 뚜껑과 용기의 결합 완료시 용기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승강지지부(200)는 용기안착부(210) 및 연동승강부(220)를 포함한다.
용기안착부(210)는 본체(100)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기를 안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용기안착부(21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11), 높이조절부재(212), 승강부재(213) 및 탄성제공부재(214)를 포함한다.
받침부재(211)는 상측에 용기를 안착 지지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부(110)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높이조절부재(212)는 받침부재(21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받침부재(211)와 체결된다. 즉, 높이조절부재(212)는 용기의 높이에 상관없이 뚜껑이 용기회전부(300)의 밀착롤러(310)에 밀착되도록 받침부재(211)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211)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212)를 통해 적절하게 높이 조절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부재(213)의 상승시 뚜껑을 용기회전부(300)의 밀착롤러(310)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면서 용기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212)는 승강부재(213)의 상승시 뚜껑이 용기회전부(300)의 밀착롤러(3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롤러(310)의 회전을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승강부재(213)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승강부재(213)는 높이조절부재(212)를 수용하고, 연동승강부(220)에 의해 승강된다. 이러한 승강부재(213)는 연동승강부(220)의 상승캠부재(222)에 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홈부(213a)가 구비되어 상승캠부재(222)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고, 연동승강부(220)에 구비된 탄성복원부재(2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탄성제공부(214)는 승강부재(213)에 구비되어 받침부재(21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탄성제공부(214)는 승강부재(213)의 상승시 용기회전부(300) 및 뚜껑가압부(400)을 통해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걸림 결합되는 과정에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용기의 변형 및 손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연동승강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가압부(400)에 연동되어 용기안착부(21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승강동력전달부(221), 상승캠부재(222) 및 탄성복원부재(223)를 포함한다.
승강동력전달부(221)는 뚜껑가압부(4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승캠부재(22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직베벨기어부재(221a) 및 수평베벨기어부재(221b)를 포함한다.
이때, 수직베벨기어부재(221a)는 뚜껑가압부(400)에 연결되어 뚜껑가압부(400)의 동력으로 회전되고, 수평베벨기어부(221b)는 수직베벨기어부재(221a)에 연결되어 상승캠부재(222)를 회전시킨다.
상승캠부재(222)는 승강동력전달부(221)에 연동 회전되어 용기안착부(210)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상승캠부재(222)는 승강동력전달부(221)에 의해 회전시 용기회전부(300) 및 뚜껑가압부(400)를 통해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걸림 결합되는 동안 용기안착부(210)를 상승시킨 상태로 유지하다가 뚜껑과 용기의 결합이 완료되면 탄성복원부재(223)를 통해 용기안착부(210)가 원위치로 하강되도록 안내한다.
탄성복원부재(223)는 상승캠부재(222)에 의해 용기안착부(210)가 상승시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본체(100)와 용기안착부(21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회전부(300)는 승강지지부(200)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용기를 회전시킨다.
이때, 용기회전부(300)는 밀착롤러(310) 및 제1구동모터(320)를 포함한다.
밀착롤러(310)는 승강지지부(200)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뚜껑의 상측면에 밀착되고, 수용공간부(110)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밀착롤러(310)는 제1구동모터(320)에 의해 뚜껑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된다.
또한, 밀착롤러(310)는 뚜껑에 밀착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하측면에 마찰패드(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롤러(310)는 뚜껑에 접촉시 마찰패드(311)에 의해 뚜껑과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동모터(320)는 밀착롤러(310)가 뚜껑에 밀착시 뚜껑과 용기가 함께 회전되도록 밀착롤러(3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제1구동모터(320)는 밀착롤러(310)와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별도의 회전동력전달부를 통해 밀착롤러(310)에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뚜껑가압부(400)는 용기회전부(300)를 통해 용기의 회전시 뚜껑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뚜껑을 용기에 걸림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뚜껑가압부(4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부(410), 회동지지부(420) 및 회동제공부(430)를 포함한다.
가압롤러부(410)는 승강지지부(200)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뚜껑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가압롤러부(410)는 용기회전부(300)에 의해 회전되는 뚜껑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회동지지부(420)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압롤러부(410)는 제1가압롤러(411)와 제2가압롤러(422)를 포함하고, 제1가압롤러(411)와 제2가압롤러(422)는 용기회전부(300)의 밀착롤러(310)를 기준으로 대칭되며, 수용공간부(110)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가압롤러(411)와 제2가압롤러(422) 중 어느 하나는 뚜껑에 접촉시 뚜껑의 가장자리를 구부려 용기의 상측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안내하고, 제1가압롤러(411)와 제2가압롤러(422) 중 다른 하나는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뚜껑이 용기의 상측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안내할 수 있다.
회동지지부(420)는 가압롤러부(410)를 지지하고, 본체(100)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회동지지부(420)는 지지부재(421) 및 연동안내부재(42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21)는 가압롤러부(410)를 지지한 상태로 회동제공부(430)에 의해 회동된다. 즉, 지지부재(421)는 회동제공부(430)에 의해 회동시 가압롤러부(410)가 뚜껑의 가장자리를 접촉 가압하도록 가압롤러(4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연동안내부재(422)는 지지부재(421)와 본체(10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421)가 회동제공부(430)에 연동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연동안내부재(42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재(421)가 회동제공부(430)에 의해 회동시 지지부재(421)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421)를 회동제공부(430)에 연동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동제공부(430)는 회동지지부(420)와 연동되고, 가압롤러부(410)가 뚜껑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도록 회동지지부(420)를 회동시킨다.
이러한 회동제공부(430)는 고정롤러(431), 회동캠부재(432) 및 제2구동모터(433)을 포함한다.
고정롤러(431)는 지지부재(421)에 구비되어 회동캠부재(432)에 접촉된다.
회동캠부재(432)는 고정롤러(431)에 접촉되도록 본체(100)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지지부재(421)를 복원 가능하게 회동시킨다.
이러한 회동캠부재(432)는 테두리에 단턱부(432a)가 구비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구동모터(43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회동캠부재(432)는 승강지지부(200)가 용기를 상승시키는 동안 고정롤러(431)를 가압하여 지지부재(421)를 점차적으로 회동시키다가 승강지지부(200)가 용기를 하강시키면 1회전이 완료되어 단턱부(432a)에 의해 지지부재(421)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이때, 회동캠부재(432)는 경우에 따라 가압롤러부(410)의 제1가압롤러(411)와 제2가압롤러(422)가 뚜껑에 일괄적으로 접촉되도록 지지부재(421)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가압롤러부(410)의 제1가압롤러(411)와 제2가압롤러(422)가 뚜껑에 시간차를 두고 접촉되도록 지지부재(4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구동모터(433)는 회동캠부재(432)와 연동되도록 본체(100)에 구비되어 회동캠부재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2구동모터(433)는 회동캠부재(432)와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별도의 회전동력전달부를 통해 회동캠부재(432)에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수용공간부
120: 컨트롤러 200: 승강지지부
210: 용기안착부 211: 받침부재
212: 높이조절부재 213: 승강부재
214: 탄성제공부재 220: 연동승강부
221: 승강동력전달부 222: 승강캠부재
223: 탄성복원부재 300: 용기회전부
310: 밀찰롤러 320: 제1구동모터
400: 뚜껑가압부 410: 가압롤러부
411: 제1가압롤러 412: 제2가압롤러
420: 회동지지부 421: 지지부재
422: 연동안내부재 430: 회동제공부
431: 고정롤러 432: 회동캠부재
433: 제2구동모터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개방 부위에 뚜껑이 끼워진 용기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부;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용기를 회전시키는 용기회전부; 및
    상기 용기회전부를 통해 용기의 회전시 뚜껑의 가장자리가 용기에 감겨지도록 가압하는 뚜껑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부 및 상기 뚜껑가압부에 연동되어 상기 용기안착부를 승강시키는 연동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승강부는 상기 뚜껑가압부의 동력을 전달받는 승강동력전달부와, 상기 승강동력전달부에 연동 회전되어 상기 용기안착부를 상승시키는 상승캠부재; 및 상기 상승캠부재에 의해 상기 용기안착부가 상승시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용기안착부에 연결되는 탄성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시밍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안착부는,
    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와 체결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연동승강부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제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시밍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회전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뚜껑의 상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밀착롤러; 및
    상기 밀착롤러가 뚜껑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밀착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시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가압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의한 용기의 상승시 뚜껑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압롤러부;
    상기 가압롤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부; 및
    상기 회동지지부와 연동되고, 상기 가압롤러부가 뚜껑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도록 상기 회동지지부를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동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시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가압롤러부를 지지하고, 상기 회동제공부에 의해 회동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회동제공부에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연동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시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공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롤러;
    상기 고정롤러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를 복원 가능하게 회동시키는 회동캠부재; 및
    상기 회동캠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캠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시밍장치.
KR1020180038116A 2018-04-02 2018-04-02 캔 시밍장치 KR10197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16A KR101976984B1 (ko) 2018-04-02 2018-04-02 캔 시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16A KR101976984B1 (ko) 2018-04-02 2018-04-02 캔 시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84B1 true KR101976984B1 (ko) 2019-08-28

Family

ID=6777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116A KR101976984B1 (ko) 2018-04-02 2018-04-02 캔 시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8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54A (ko) * 2019-07-16 2021-01-26 정만종 밀폐 포장용 용기 시밍장치
KR20210000288U (ko) * 2019-05-03 2021-02-03 조윤서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KR102235503B1 (ko) * 2020-11-23 2021-04-01 이병문 캔실링기
KR102306847B1 (ko) * 2020-08-13 2021-09-28 이종우 음식물 기밀 포장용 자동 캔 시밍장치
KR102306851B1 (ko) * 2020-08-13 2021-09-28 이종우 자력을 이용한 범용 캔 시밍장치
KR102318451B1 (ko) * 2020-07-21 2021-10-26 이종근 캔 시밍기의 자동 승강장치
KR102332702B1 (ko) 2021-05-11 2021-12-01 김영유 캔 시밍장치
KR102341935B1 (ko) * 2020-11-10 2021-12-21 조윤서 캔 실링기
KR102351404B1 (ko) * 2021-11-12 2022-01-14 (주)모두모 2헤드 방식의 캔시머용 실링헤드구조
KR102455687B1 (ko) * 2021-05-14 2022-10-17 공성열 용기 밀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505Y1 (ko) * 1999-08-23 2000-02-15 정귀복 캔 뚜껑 시밍장치
KR20150020761A (ko) * 2013-08-19 2015-02-27 이용기 캔 시밍장치
KR101692340B1 (ko) * 2016-03-16 2017-01-09 주식회사 싱싱캔 캔 시밍장치용 캔 지지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505Y1 (ko) * 1999-08-23 2000-02-15 정귀복 캔 뚜껑 시밍장치
KR20150020761A (ko) * 2013-08-19 2015-02-27 이용기 캔 시밍장치
KR101692340B1 (ko) * 2016-03-16 2017-01-09 주식회사 싱싱캔 캔 시밍장치용 캔 지지수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88U (ko) * 2019-05-03 2021-02-03 조윤서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KR200494810Y1 (ko) 2019-05-03 2021-12-30 조윤서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KR20210009254A (ko) * 2019-07-16 2021-01-26 정만종 밀폐 포장용 용기 시밍장치
KR102331354B1 (ko) * 2019-07-16 2021-11-25 정만종 밀폐 포장용 용기 시밍장치
KR102318451B1 (ko) * 2020-07-21 2021-10-26 이종근 캔 시밍기의 자동 승강장치
KR102306847B1 (ko) * 2020-08-13 2021-09-28 이종우 음식물 기밀 포장용 자동 캔 시밍장치
KR102306851B1 (ko) * 2020-08-13 2021-09-28 이종우 자력을 이용한 범용 캔 시밍장치
KR102341935B1 (ko) * 2020-11-10 2021-12-21 조윤서 캔 실링기
KR102235503B1 (ko) * 2020-11-23 2021-04-01 이병문 캔실링기
KR102332702B1 (ko) 2021-05-11 2021-12-01 김영유 캔 시밍장치
KR102455687B1 (ko) * 2021-05-14 2022-10-17 공성열 용기 밀봉 장치
KR102351404B1 (ko) * 2021-11-12 2022-01-14 (주)모두모 2헤드 방식의 캔시머용 실링헤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984B1 (ko) 캔 시밍장치
KR101941927B1 (ko) 캔 시밍 장치
US3950801A (en) Combination jar and can opener
KR20150020761A (ko) 캔 시밍장치
KR102341935B1 (ko) 캔 실링기
KR101529158B1 (ko)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210009254A (ko) 밀폐 포장용 용기 시밍장치
US2952073A (en) Automatic electric can opener
KR20200127605A (ko)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
KR102415804B1 (ko) 캔 뚜껑 밀봉 장치용 승강수단
KR102332702B1 (ko) 캔 시밍장치
CN205396636U (zh) 一种旋转式真空封口机的开盒机构
KR20190043934A (ko) 밀폐 포장용 시밍 장치, 시밍 방법 및 시밍된 용기
CN210836350U (zh) 一种杯位传送装置及自助售货机
US3736660A (en) Device for the opening of foil sealed containers
KR102437161B1 (ko) 밀폐 포장용 시밍 장치, 시밍 방법 및 시밍된 용기
JPS6038559Y2 (ja) 密封容器における蓋開閉装置
KR102320880B1 (ko) 밀폐 포장용 시밍 장치, 시밍 방법 및 시밍된 용기
US2080957A (en) Means for supporting confectionery jars, cordial containers, and the like
JP2000247311A (ja) シール式包装機
CN210592564U (zh) 一种新型封瓶机结构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CN212587414U (zh) 一种便于检修的全塑烤箱定时器
CN217477602U (zh) 一种转盘式自动封罐机
KR200494810Y1 (ko) 캔 실링기의 승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