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482B1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482B1
KR102235482B1 KR1020170027226A KR20170027226A KR102235482B1 KR 102235482 B1 KR102235482 B1 KR 102235482B1 KR 1020170027226 A KR1020170027226 A KR 1020170027226A KR 20170027226 A KR20170027226 A KR 20170027226A KR 102235482 B1 KR102235482 B1 KR 10223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olarizer
image display
polarizing plat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681A (ko
Inventor
조해성
손현희
안창화
윤소라
윤하송
한슬기
김유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10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재현율이 향상된 화상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 표시 소자는 표시 소자 패널; 화상 표시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제1 편광판과 반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각각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양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표시 소자 패널에 대면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광판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은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광의 최소 투과율이 2% 내지 30%인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색재현율이 향상된 화상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나, 유기 발광 소자(OLED) 등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이나 OLED 패널 등 화상 표시 소자(패널), 편광판, 위상차 필름 또는 기타 다양한 광학 필름 등 많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 편광판은 자연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소자이며, 현재 양산 실용화되고 있는 편광판의 상당수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재료를 염색, 흡착시키고 연신 배향시켜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편광자)의 양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을 접합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상 표시 장치의 외부면에 편광판이 구비되어 있으나, 종래 편광판은 편광 기능만을 하여 외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색재현율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특히,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경우, 백라이트로 적용되는 LED 광원에서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빛의 파장은 상대적으로 오렌지색(orange) 영역이 크기 때문에, 오렌지색 영역과, 적색 영역의 혼색으로 인해 색재현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양자점(Quantum dot)등을 활용한 제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색재현율이 보다 향상된 화상 표시 소자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색재현율이 향상된 화상 표시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표시 소자 패널;
화상 표시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제1 편광판과 반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각각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양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표시 소자 패널에 대면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광판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은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광의 최소 투과율이 2% 내지 30%인 화상 표시 소자를 제공한다.
이러한 화상 표시 소자는 화상 표시부 측의 제1 편광판을 표시 소자 패널에 점/접착하기 위한 점착 또는 접착층에 소정의 염료가 포함된 액정 표시 소자 또는 OLED 소자 등으로 될 수 있으며, 상기 염료의 포함에 따라 우수한 색재현율 및 시인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소자는, 화상 표시부 측의 편광판에 포함된 점착 또는 접착층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오렌지색 영역의 광이 차단됨으로써, 오렌지색 영역의 광과, 적색 영역의 광이 혼색됨이 억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적색 색순도가 향상되어 색재현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투과율이 낮아지게 되어 명실환경에서의 패널의 반사율이 낮아짐으로써 화상 표시 소자의 명암비 및 시인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실험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영역별 광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 패널에 부착 후 적색을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 패널에 부착 후 청색을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험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 패널에 부착 후 녹색을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소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표시 소자 패널;
화상 표시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제1 편광판과 반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각각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양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표시 소자 패널에 대면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광판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은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광의 최소 투과율이 2% 내지 30%인 화상 표시 소자가 제공된다.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에서는 액정 패널 또는 OLED 소자 패널 등 표시 소자 패널의 양 측에 각각 제1 및 제2 편광판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측, 다시 말해서 화상 표시부 측에 형성된 제1 편광판을 표시 소자 패널에 점/접착하기 위한 점착 또는 접착층에는 소정의 광학적 특성을 충족하는 염료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1 편광판의 점착 또는 접착층에 전술한 염료가 포함됨으로써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 있는 빛에 대하여 편광판의 광 투과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오렌지색 영역의 광이 차단되므로, 오렌지색 및 적색 영역의 혼색이 억제되어 적색 영역의 광이 보다 잘 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에서는 적색 색순도가 향상될 수 있고, 색재현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는 편광판의 투과율이 낮아지게 되어 명실환경에서의 패널의 반사율이 낮아짐으로써 화상 표시 소자의 명암비 및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에서,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점착력 또는 접착력을 가지는 층을 의미한다.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점착력 또는 접착력을 가지는 매트릭스 수지 및 상기 매트릭스 수지에 분산된 염료 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편광판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공히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경화제(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나 에폭시계 경화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매트릭스 수지가 상기 경화제의 존재 하에 가교된 아크릴계 가교 공중합체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공)중합된 (공)중합체로 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 (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00만 내지 300만, 혹은 100만 내지 200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서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이 적절한 점/접착력을 나타내어 제1 및 제2 편광판을 표시 소자 패널에 효과적으로 점/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가교 및/또는 경화시켜 점/접착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자일렌 디이소시사네이트 또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나 다관능 에폭시계 경화제 등을 대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편광판 중, 상기 화상 표시부 측의 제1 편광판에 형성된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이러한 매트릭스 수지에 분산된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염료로는, 이미 상술한 광학적 특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포르피린계 염료 및 시아닌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르피린계 염료 및 시아닌계 염료는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의 광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가 나타내는 보다 우수한 색재현율 등을 고려하여, 상기 염료로는 포르피린계 염료, 더욱 구체적으로 테트라아자 포르피린계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의 함량은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혹은 0.03 내지 2 중량부의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염료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할 경우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의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의 점/접착력이나, 화상 표시 소자의 다른 광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의 점착 또는 접착층은 상술한 각 성분을 포함하는 감압접착제(PSA)층 또는 UV 접착제층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의 두께는 0.5㎛ 내지 30㎛ 이다. 점착 또는 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제1 및 제2 편광판을 표시 소자 패널의 양 측에 부착할 때 안정적인 부착력 및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하여 코팅된다. 예컨데, 콤마(Comma), 닙(NIP), 메이어 바(Mayer bar), microcrystalline diamond coating(MCD), 스퀴즈(Squeeze)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상기 코팅 후에 건조 또는 경화 과정을 거친다.
한편,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에서는, 상술한 점착 또는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양 측에 제1 및 제2 편광판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편광판은 일반적인 화상 표시 소자용 편광판의 구성에 따라,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양면에 각각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편광판은 표시 소자 패널의 화상 표시부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편광판은 상기 제1 편광판과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로 되는 경우, 상기 제2 편광판은 액정 패널 후면의 백라이트와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편광판에서,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편광자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PVA계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PVA계 필름을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연신, 염착, 가교, 보색 처리 등을 하여 편광자로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별도의 층이나 필름 등을 포함하지 않는 PVA계 필름 형태의 편광자만을 단독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PVA계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그 유도체의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전부터 PVA계 편광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PVA 수지 또는 그 유도체를 별다른 제한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PVA계 수지 유도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포르말수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상기 PVA계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편광자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VA계 시판 필름, 예컨대, 구라레 사의 P30, PE30, PE60, 일본합성사의 M2000, M3000 M6000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PVA계 편광자에 포함되는 수지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중합도가 1,000 내지 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인 것이 좋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분자 움직임이 자유롭고,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과 유연하게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편광자와, 편광차 보호 필름의 사이에는 이들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의 조성이나 형성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이전부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던 임의의 조성 등을 적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5㎛ 내지 4.0㎛로 될 수 있고,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양호한 코팅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계 필름,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COP) 필름, 고리형 올레핀계 공중합체(COC) 필름 또는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PMMA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필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은 화상 표시 소자의 우수한 시인성 및 광학 특성 등을 고려하여, 광 투과율이 85% 내지 100%로 되는 높은 투명성을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100㎛로 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편광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롤(roll) 공정 작업성을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편광판은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의 일 면에 이형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표시 소자 패널에 점/접착될 때 이러한 이형필름이 제거될 수 있다. 이 이형필름은 편광판이 표시 소자 패널에 접착되기 전까지 점착 또는 접착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이형필름, 예를 들면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폴리노르보넨(PNB) 필름, 싸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에서, 상기 제1 편광판에서 일면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술한 염료 함유 점착 또는 접착층을 매개로 표시 소자 패널과 대면하면서 부착되어 있으며, 그 반대 측, 즉, 화상 표시부 측의 타면의 편광자 상에는 눈부심 방지 필름, 저반사 또는 저굴절 필름 및 하드코팅 필름 및 칼라필터 등의 광학 필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의 조성 및 형성 방법 등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일 구현예의 화상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 또는 OLED 소자 등으로 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백라이트를 포함한 액정 표시 소자로 되어 그 색재현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ex.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99 : 1 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0.5 중량부, 커플링제 0.5 중량부 및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가진 포르피린계 염료(야마다사 제조, Y-1의 테트라아자 포르피린 염료) 0.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2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99 : 1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0.5 중량부, 커플링제 0.5 중량부 및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가진 포르피린계 염료(야마다사 제조, Y-1의 테트라아자 포르피린 염료) 0.2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1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99 : 1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0.5 중량부, 커플링제 0.5 중량부 및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가진 포르피린계 염료 0.05 중량부(야마다사 제조, Y-1의 테트라아자 포르피린 염료)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2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99 : 1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0.5 중량부, 커플링제 0.5 중량부 및 850nm 내지 95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가진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0.5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3
부틸아크릴레이트 :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99 : 1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0.5 중량부, 커플링제 0.5 중량부를 혼합하였고, 염료를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예 1
편광자의 일면에, UV 접착제를 바(Bar) 코팅방법을 통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제층의 편광자가 구비되지 않은 면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상기 UV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층이 구비되지 않은 편광자 측의 면에 UV 접착제를 바 코팅방법을 통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타면의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타면의 접착제층의 편광자가 구비되지 않은 면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상기 UV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제층이 구비되지 않은 측의 면에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바 코팅방법을 통하여 코팅하였다. 그 후, 90에서 1분간 건조 과정을 통하여 열경화 후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염료가 포함된 점착 또는 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서 제1 편광판을 형성하였고, 상기 실시예 1의 혼합물 대신 비교예 2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2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제1 편광판의 형성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 대신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험예 3
제1 편광판의 형성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 대신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험예 4
제1 편광판의 형성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 대신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험예 5
제1 편광판의 형성시,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 대신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Figure 112017021223619-pat00001
상기 실험예 1 내지 5의 편광판의 영역별 광 투과율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 대하여 실험예 1 및 2의 광의 최소 투과율이 실험예 3 내지 5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험예 1 및 2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편광판의 점착 또는 접착층 내에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의 광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오렌지색 영역의 광이 차단되므로, 오렌지색과 적색 영역의 혼색이 억제되어, 적색 영역의 색 순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3에는 실험예 1 및 5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 패널 전면에 부착 후 적색을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를 나타내었다.
도 4에는 실험예 1 및 5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 패널 전면에 부착 후 청색을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를 나타내었다.
도 5에는 실험예 1 및 5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 패널 전면에 부착 후 녹색을 디스플레이 하였을 때를 나타내었다.
청색 및 녹색은 실험예 1 및 실험예 5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 반면, 적색의 경우 실험예 1이 실험예 5에 비하여 순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표시 소자 패널;
    화상 표시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1 편광판; 및
    상기 제1 편광판과 반대 측의 상기 표시 소자 패널 상에 형성된 제2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각각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양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표시 소자 패널에 대면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편광판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은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최대 흡광 파장을 갖는 염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편광판은 광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이 550nm 내지 620nm 범위 내에서 광의 최소 투과율이 2% 내지 30%이고,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매트릭스 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염료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상기 매트릭스 수지에 분산된 테트라아자 포르피린계 염료인 화상 표시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 패널은 OLED 패널 또는 액정 패널인 화상 표시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 소자 패널은 액정 패널이고, 상기 제2 편광판에서 일면의 편광자는 액정 패널과 대면하고, 타면의 편광자는 백라이트와 대면하는 화상 표시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에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화상 표시 소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감압접착제(PSA)층 또는 UV접착제층으로서, 상기 제1 편광판에 형성된 점착 또는 접착층은 상기 염료를 더 포함하는 화상 표시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PVA계 편광자인 화상 표시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계 필름,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COP) 필름, 고리형 올레핀계 공중합체(COC) 필름 또는 아크릴계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광 투과율은 85% 내지 100%인 화상 표시 소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100㎛인 화상 표시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에서 일면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표시 소자 패널과 대면하고, 타면의 편광자 보호 필름 상에는 눈부심 방지 필름, 저반사 또는 저굴절 필름 및 하드코팅 필름 및 칼라필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광학 필름이 더 형성되어 있는 화상 표시 소자.
KR1020170027226A 2016-03-03 2017-03-02 화상 표시 장치 KR102235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5475 2016-03-03
KR1020160025475 201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81A KR20170103681A (ko) 2017-09-13
KR102235482B1 true KR102235482B1 (ko) 2021-04-02

Family

ID=5996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226A KR102235482B1 (ko) 2016-03-03 2017-03-02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874B1 (ko) 2018-10-18 2022-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8144B1 (ko) * 2019-10-30 2023-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84B1 (ko) * 2006-07-31 2009-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424587B1 (ko) * 2007-07-10 2014-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142804B1 (ko) * 2010-03-19 2012-05-08 주식회사 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1628435B1 (ko) * 2013-01-21 2016-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20150101106A (ko) * 2014-02-26 2015-09-03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유기전계발광소자 조명용 광학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81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517B (zh) 光学片部件及使用该光学片部件的图像显示装置
JP4583982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5452945B (zh) 液晶显示装置
CN105683824B (zh) 液晶显示装置
JP5048120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US7038746B2 (en) Laminated polarizing film
KR20220130839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JP5527790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862662B2 (ja) 偏光板、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105283783A (zh) 光学片部件及使用该光学片部件的图像显示装置
US9915837B2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06863A (ko)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5266696A (ja) 円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34977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262155A (ja) 複合偏光板
JP5151296B2 (ja) 粘着剤層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複合偏光板のセット
KR102235482B1 (ko) 화상 표시 장치
JP2014130357A (ja) 積層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274928B2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738596A (zh) 偏光板之套組及使用該套組之ips模式液晶顯示裝置
JP2010224378A (ja) 粘着剤層付き複合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242538A (ja) 液晶パネル
JP523996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セット
CN100439949C (zh) 叠层偏光膜
JP2005202368A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