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249B1 - 자동차 번호판 가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번호판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249B1
KR102235249B1 KR1020200110719A KR20200110719A KR102235249B1 KR 102235249 B1 KR102235249 B1 KR 102235249B1 KR 1020200110719 A KR1020200110719 A KR 1020200110719A KR 20200110719 A KR20200110719 A KR 20200110719A KR 102235249 B1 KR102235249 B1 KR 10223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guard
spring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경
Original Assignee
심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경 filed Critical 심현경
Priority to KR102020011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번호판 가드는, 자동차 번호판이 결합하는 가드 바디; 상기 가드 바디의 판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드 바디를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의 체결 장소를 이루는 복수 개의 볼트 체졀부; 상기 가드 바디의 일측 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상기 자동차 번호판의 장변측 일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가드 바디의 타측 변에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면이 상기 고정 지지대들에 고정된 상기 자동차 번호판의 장변측 타면을 스프링적으로 지지(support)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서포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번호판 가드{Car number plate guard}
본 발명은,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에 등록되는 모든 차는 전면과 후면에 직사각형 모양의 금속판으로 된 자동차 번호판이 부착된다. 자동차 번호판을 자동차 등록 번호판이라 부르기도 한다.
자동차 번호판은 등록번호, 자동차 종류, 용도 등 한글과 아라비아 숫자가 조합돼 표기돼 있다.
기존에는 2자리 숫자, 한글, 4자리 숫자로 구성된 번호판을 사용하고 있으나 차량 증가로 인한 번호 소진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는 3자리 숫자, 한글, 4자리 숫자로 구성된 8자리 번호판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을 자동차에 부착하기 위해 자동차 번호판 가드가 사용된다. 우선, 자동차 번호판 가드를 자동차의 범퍼에 먼저 설치한 후,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번호판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자동차 번호판을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를 금속 판재의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했으며,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자동차 번호판을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하지만, 이러한 볼트 조립 방식은 예컨대, 구청 등에서 번호판을 회수하려 할 때, 자동차의 범퍼를 훼손할 수 있는 문제점을 초래했다.
이에, 최근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끼우는 방식의 자동차 번호판 가드가 제안되고 있으며, 일부 적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도 1 및 도 2를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는 부위가 약해 자동차 번호판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좀 더 강한 구조로 자동차 번호판을 고정하려 하는 경우, 자동차 번호판의 장착이 쉽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3-00087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4-00215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5-00071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051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동차 번호판이 결합하는 가드 바디; 상기 가드 바디의 판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드 바디를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의 체결 장소를 이루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부; 상기 가드 바디의 일측 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상기 자동차 번호판의 장변측 일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 지지대; 및 상기 가드 바디의 타측 변에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면이 상기 고정 지지대들에 고정된 상기 자동차 번호판의 장변측 타면을 지지(support)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내부에 바디 통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드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서포팅 바디; 상기 서포팅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가드 바디에 배치된 상기 자동차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지지부; 및 상기 서포팅 바디와 상기 번호판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서포팅 바디에 대하여 상기 번호판 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번호판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자동차 번호판을 지지하는 번호판 지지대; 상기 번호판 지지대에 연결되며, 일부분은 상기 바디 통공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탑재되는 스프링 탑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부는, 복수 개의 원형 홀; 및 상기 원형 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의 체결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복수 개의 타원형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드 바디의 판면에는 버퍼 통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드 바디에는 상기 자동차 번호판이 결합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상기 자동차 번호판을 가압 지지해서 상기 자동차 번호판의 진동을 저지시키는 복수 개의 가압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 번호판 가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가 적용된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자동차 번호판 가드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자동차 번호판을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번호판 지지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C-C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적용되는 스프링 서포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적용되는 가압 지지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프링을 나타낸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가 적용된 자동차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자동차 번호판 가드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도 4에서 자동차 번호판을 제거한 도면, 도 6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8은 도 7에서 번호판 지지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의 C-C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100)를 적용하면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10)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100)는 도 3처럼 자동차의 정면 혹은 후면 범퍼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 번호판(10)을 지지한다.
종전에는 볼트로 자동차 번호판(10)을 설치했기 때문에, 자동차 번호판(10)을 설치하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100)를 사용할 경우, 자동차 번호판(10)의 설치 작업이 매우 쉽다.
그뿐만 아니라 압류 등의 이유로 자동차 번호판(10)을 떼야 할 때도 자동차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논쟁이나 분쟁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 가드(100)는 가드 바디(110)와, 가드 바디(110)에 갖춰지는 복수 개의 고정 지지대(130) 및 스프링 서포터(140), 스프링(145)을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바디(110)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100)의 외관을 이룬다. 평평한 판상체의 사출물로 제작될 수 있다. 자동차 번호판(10)이 가드 바디(110)에 결합한다.
가드 바디(110)의 판면에 복수 개의 볼트 체결부(120)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볼트 체결부(120)가 가드 바디(110)를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의 체결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볼트 체결부(120)가 복수 개의 원형 홀(121)과, 원형 홀(121)의 주변에 배치되며, 볼트의 체결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복수 개의 타원형 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형성되는 체결홀(hole)과 가드 바디(110)의 원형 홀(121)이 서로 연통하면 이곳에 볼트를 체결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형성되는 체결홀(hole)과 가드 바디(110)의 원형 홀(121)이 서로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는 원형 홀(121) 대신에 여러 개의 타원형 홀(122)을 이용해서 볼트를 체결하면 된다. 따라서, 굳이 새로 홀(hole)을 뚫어야 하는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가드 바디(110)의 판면에는 버퍼 통공부(111)가 형성된다. 버퍼 통공부(111)는 볼트 체결부(120)가 면적이 크다. 버퍼 통공부(111)에 별도의 장치나 부품이 탑재될 수도 있고 혹은 전선 등이 통과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다. 물론, 버퍼 통공부(111)가 형성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가드 바디(110)에는 복수 개의 가압 지지부(113)가 형성된다. 가압 지지부(113)들은 자동차 번호판(10)이 결합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자동차 번호판(10)을 가압 지지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의 진동을 저지시킨다.
예컨대, 고정 지지대(130) 및 스프링 서포터(140)를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을 설치할 경우, 자동차 번호판(10)과 가드 바디(110) 사이에 공간(간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공간으로 인해 자동차 주행 시 자동차 번호판(10)이 흔들리면서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없앨 수 있도록 가압 지지부(113)가 형성되는 것이다.
고정 지지대(130)는 가드 바디(110)의 일측 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자동차 번호판(10)의 장변측 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 지지대(130)는 가드 바디(110)의 테두리에서 판면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한다. 이때, 고정 지지대(130)가 위치하는 가드 바디(110)에는 통공(115)이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 서포터(140)는 가드 바디(110)의 타측 변에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면이 고정 지지대(130)들에 고정된 자동차 번호판(10)의 장변측 타면을 지지(support)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자동차 번호판(10)의 일측을 먼저, 고정 지지대(130)에 배치해서 걸어둔 다음, 스프링 서포터(140)를 동작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의 타측을 고정함으로써 자동차 번호판(10)은 고정 지지대(130)와 스프링 서포터(14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가압 지지부(113)들이 자동차 번호판(10)이 결합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자동차 번호판(10)을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동차 번호판(10) 측의 진동 및 소음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서포터(140)는 서포팅 바디(143), 번호판 지지부(144) 및 스프링(145)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팅 바디(143)는 내부에 바디 통공(141)이 형성되고 측면에 개구부(142)가 형성되며, 가드 바디(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조물이다.
번호판 지지부(144)는 서포팅 바디(14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가드 바디(110)에 배치된 자동차 번호판(10)을 지지한다.
이러한 번호판 지지부(144)는 실질적으로 자동차 번호판(10)을 지지하는 번호판 지지대(144a)와, 번호판 지지대(144a)에 연결되며, 일부분은 바디 통공(141)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44b)와, 손잡이부(144b)의 내부에 형성되되 스프링(145)의 탑재되는 스프링 탑재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45)은 가압 지지부(113), 타원형 홀(122), 서포팅 바디(143)와 번호판 지지부(144) 사이에 마련되며, 서포팅 바디(143)에 대하여 지지부(144)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145)은 가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연속되는 "Z" 형상으로 형성하되 타원형 홀(122)의 전체 지름보다 크세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형성되는 체결홀(hole)과 가드 바디(110)의 원형 홀(121)이 서로 연통하지 않을 수 때 형성되는 타원형 홀(122)을 이용해서 볼트를 체결할 때 스프링(145)이 타원형 홀(122)에서 이탈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을 제작할 때 노출된 상태를 감안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며, 그 표면에는 부식방지도료가 코팅된다.
상기 부식방지도료는 스티렌계 단량체 조성물 55∼58 중량부와, 부틸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조성물 45∼48 중량부와, 암모늄 퍼설페이트 01∼03 중량부와, 암모늄 바이카보네이트 01∼03 중량부 및 탈이온수43∼46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 라텍스 수지 50∼80 중량부에 대하여 도막을 견고하게 하는 수지성분의 유기 폴리머 25~374wt%와, 도막의 견고함과 내수성을 향상시켜 주며, 해양생물의 부착을 저하시키는 세라믹이 함유된 충진제 448~389wt%와, 도막내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 08~04wt%와, 도료를 구조물에 완전히 적시게해주는 습윤제 08~02wt%와, 도료내에서 안료인 충진재의 분산을 원활하게 하는 분산제 12~04wt%와, 내수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왁스첨가제 25~08wt%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알칼리성분의 부식방지제 42~25wt%와,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성우레아 용액의 요변제 5~25wt%와, 도막을 응고시키는 경화제 137~16wt%와, 상기 경화제의 경화를 촉진시켜 도막의 형성 시간을 단축하는 경화촉 진제 03~01wt%로 조성된다.
이하, 자동차 번호판 가드(1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자동차 번호판(10)의 일측을 먼저 고정 지지대(130)에 배치해서 걸어둔 다. 그런 다음, 스프링 서포터(140)를 동작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의 타측을 스프링적으로 고정한다.
즉, 도 10처럼 손잡이부(144b)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번호판 지지대(144a)가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당겼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스프링(145)이 번호판 지지부(144)를 밀어 가압함으로써 번호판 지지대(144a)가 돌출될 수 있고, 이의 작용으로 자동차 번호판(10)은 고정 지지대(130)와 스프링 서포터(14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가압 지지부(113)들이 자동차 번호판(10)이 결합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자동차 번호판(10)을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동차 번호판(10) 측의 진동 및 소음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10)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에 적용되는 스프링 서포터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느 스프링 서포터(240) 역시, 서포팅 바디(143), 번호판 지지부(244) 및 스프링(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번호판 지지부(244)는 실질적으로 자동차 번호판(10)을 지지하는 번호판 지지대(244a)와, 번호판 지지대(244a)에 연결되며, 일부분은 바디 통공(141)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44b)와, 손잡이부(144b)의 내부에 형성되되 스프링(145)의 일측이 탑재되는 스프링 탑재부(14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번호판 지지대(244a)는 선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부(244d)와, 경사면부(244d)의 단부에 형성되는 직선부(244e)를 포함한다. 경사면부(244d)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곳이 자동차 번호판(10)에 올라타면서 지지할 수 있다. 때문에, 자동차 번호판(10)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자동차 번호판(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10)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가드의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적용되는 가압 지지부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300) 역시, 가드 바디(110)와, 가드 바디(110)에 갖춰지는 복수 개의 고정 지지대(130) 및 스프링 서포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드 바디(110)에도 자동차 번호판(10)이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가압 지지부(310)가 마련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압 지지부(310)는 도 13과 같은 스프링 구조를 갖는다. 즉 가압 지지부(310)는 가압 헤드(311)와, 가압 헤드(311) 및 가드 바디(110) 사이에 배치되고 가드 바디(110)에 대하여 가압 헤드(311)를 가압하는 스프링(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 헤드(311)는 단부가 경사진 경사 플랜지(312)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스프링(315)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대(3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가압 지지부(310)가 적용되면 스프링을 갖는 여러 개의 가압 지지부(310)가 자동차 번호판(10)을 스프링적으로 미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자동차 번호판(10)이 흔들리거나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스프링을 이용해서 자동차 번호판(10)을 장착할 수 있어서 자동차 번호판(10)이 쉽게 떨어지거나 흔들리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자동차 번호판 100 : 자동차 번호판 가드
110 : 가드 바디 111 : 버퍼 통공부
113 : 가압 지지부 120 : 볼트 체졀부
121 : 원형 홀 122 : 타원형 홀
130 : 고정 지지대 140 : 스프링 서포터
141 : 바디 통공 142 : 개구부
143 : 서포팅 바디 144 : 번호판 지지부
144a : 번호판 지지대 144b : 손잡이부
144c : 스프링 탑재부 145 : 스프링

Claims (6)

  1. 자동차 번호판(10)이 결합되며, 판면에는 버퍼 통공부(111)가 형성되고, 자동차 번호판(10)이 결합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상기 자동차 번호판(10)을 가압 지지해서 상기 자동차 번호판(10)의 진동을 저지시키는 복수 개의 가압 지지부(113)가 형성되는 가드 바디(110);
    상기 가드 바디(110)의 판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드 바디(110)를 자동차의 범퍼 또는 범퍼 가이드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의 체결 장소를 이루며, 복수 개의 원형 홀(121)과 상기 원형 홀(121)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의 체결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복수 개의 타원형 홀(122)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부(120);
    상기 가드 바디(110)의 일측 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상기 자동차 번호판(10)의 장변측 일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 지지대(130);
    상기 가드 바디(110)의 타측 변에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면이 상기 고정 지지대(130)들에 고정된 상기 자동차 번호판(10)의 장변측 타면을 지지(support)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서포터(140) 및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서포터(140)는,
    내부에 바디 통공(141)이 형성되고 측면에 개구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가드 바디(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서포팅 바디(143);
    상기 서포팅 바디(14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가드 바디(110)에 배치된 상기 자동차 번호판(10)을 지지하는 번호판 지지부(144); 및
    상기 서포팅 바디(143)와 상기 번호판 지지부(144)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서포팅 바디(143)에 대하여 상기 번호판 지지부(144)을 가압하는 스프링(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 지지부(144)는,
    상기 자동차 번호판(10)을 지지하는 번호판 지지대(144a);
    상기 번호판 지지대(144a)에 연결되며, 일부분은 상기 바디 통공(141)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개구부(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44b); 및
    상기 손잡이부(144b)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145)의 일측이 탑재되는 스프링 탑재부(14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가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10719A 2020-09-01 2020-09-01 자동차 번호판 가드 KR102235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19A KR102235249B1 (ko) 2020-09-01 2020-09-01 자동차 번호판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19A KR102235249B1 (ko) 2020-09-01 2020-09-01 자동차 번호판 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249B1 true KR102235249B1 (ko) 2021-04-02

Family

ID=7546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19A KR102235249B1 (ko) 2020-09-01 2020-09-01 자동차 번호판 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2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792A (ko) 1991-10-01 1993-05-22 배순훈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체인저 (Disk Changer) 구동장치
KR940021550U (ko) 1993-03-30 1994-10-19 주식회사 한농종묘 씨앗 파종기
KR950007115U (ko) 1993-08-21 1995-03-21 김상호 게시판
CN203088402U (zh) * 2013-03-18 2013-07-31 宁波诚源家居饰品有限公司 挂式相框
KR101993576B1 (ko) * 2019-01-28 2019-06-26 심재국 차량용 번호판 체결장치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00067653A (ko) * 2018-12-04 2020-06-12 강종균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번호판 장착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792A (ko) 1991-10-01 1993-05-22 배순훈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체인저 (Disk Changer) 구동장치
KR940021550U (ko) 1993-03-30 1994-10-19 주식회사 한농종묘 씨앗 파종기
KR950007115U (ko) 1993-08-21 1995-03-21 김상호 게시판
CN203088402U (zh) * 2013-03-18 2013-07-31 宁波诚源家居饰品有限公司 挂式相框
KR20200067653A (ko) * 2018-12-04 2020-06-12 강종균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번호판 장착대
KR101993576B1 (ko) * 2019-01-28 2019-06-26 심재국 차량용 번호판 체결장치
KR102082603B1 (ko) * 2019-05-09 2020-02-2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249B1 (ko) 자동차 번호판 가드
JP2011084142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取付構造
JPH08310233A (ja) ガラスストッパー
RU2010115248A (ru) Удар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торной группы автомобиля
SG146609A1 (en) Energy absorbing vehicle fender
JP2001030963A (ja) Ff車用アンダーカバー
US20070075554A1 (en) Hood strut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hood strut assembly to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hood
KR101961119B1 (ko) 차량 탱크용 마운팅 장치
US20140367900A1 (en) Air spring mounting system
JP2017007450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構造
RU1772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узлов и агрегатов подкапот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автомобиля
JP4640119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用アクチュエータの車体側への固定構造
JP3953680B2 (ja) 車両の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CN209921447U (zh) 一种汽车塑料门槛板
JP2541921Y2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プレート
JP2009298276A (ja) ラジエータグリル取付構造及びラジエータグリルの取外し方法
JP2008240625A (ja) エンジンカバーの取付け構造
CN218265501U (zh) 一种新型背门侧限位块总成
CN219856713U (zh) 一种汽车减振器支架
KR100315291B1 (ko) 자동차의 범퍼 고정구조
CN110734010B (zh) 一种叉车雨棚
JP2010269730A (ja) 車両用スパッツ及び車両用スパッツの取付構造
KR20070020786A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SE541723C2 (en) Body panel and vehicle comprising such body panel
KR20010060609A (ko) 자동차용 범퍼 그릴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