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363B1 - 기중 차단기 - Google Patents

기중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363B1
KR102234363B1 KR1020197024801A KR20197024801A KR102234363B1 KR 102234363 B1 KR102234363 B1 KR 102234363B1 KR 1020197024801 A KR1020197024801 A KR 1020197024801A KR 20197024801 A KR20197024801 A KR 20197024801A KR 102234363 B1 KR102234363 B1 KR 10223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iron core
shaft
movab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099A (ko
Inventor
소스케 우치노
도모야 데구치
히사시 이와시타
유타 사가라
류노스케 이마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3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otating or pivoting movement
    • H01H50/64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otating or pivoting movement having more than one rotating or pivo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28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angularly-movable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고정 철심(11)의 복수의 자성 철판 중 일부의 자성 철판(111a)에 마련된 장착부(1106, 1107, 1108, 1109)를 구비하고, 구동축(13)은, 장착부(1106, 1107, 1108, 1109)가 마련된 자성 철판(111a)에 마련된 틈새를 통해서 고정 철심(11)의 외부로 도출되며, 고정 철심(11)은, 장착부(1106, 1107, 1108, 1109)에 의해 절연 케이스(1)에 마련된 리브(1041, 1042)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절연 케이스(1)에 대한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의 위치가 설정된다.

Description

기중 차단기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대해서 투입(投入) 또는 이반(離反)시키는 전자 조작 기구를 구비한 기중(氣中) 차단기(Air Circuit Breaker)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개폐를 대기중에서 행하는 기중 차단기의 하나로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대해서 투입 또는 이반시키기 위한 전자 조작 기구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가 존재한다.
종래의 전자 조작 기구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는, 예를 들면, 고정 접점을 가지는 고정 도체와, 가동 접점을 가지며 이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서 투입하거나 또는 트립(trip, 인외(引外))하도록 구동되는 가동자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축심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제1 소정 거리를 두고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자에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작 암과,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둘레 방향의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제3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축심에 대해서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직교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전자 조작 수단을 구비하며, 이 전자 조작 수단에 힘을 가하여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조작 암을 통해서 상기 가동자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앞서 설명한 전자 조작 수단으로서의 전자 조작 기구는, 고정 철심에 전자 코일이 삽입되고, 전자 코일의 여자에 의해 고정 철심에 구동축을 가지는 가동 철심이 흡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철심은, 예를 들면, 타발에 의해 제작된 자성 철판을 소정 매수 적층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등록특허 제457843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 평6-8980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자 조작 수단으로서의 전자 조작 기구는, 절연 케이스의 공간부 내에 마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자 조작 기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절연 케이스에 고정되지만, 기중 차단기의 투입에 필요로 하는 힘은 크기 때문에 전자 조작 기구의 출력도 커지고, 고정 철심을 구성하는 자성 철판의 적층 매수도 많아지므로 자성 철판의 판두께의 적층 공차가 커져, 절연 케이스로부터의 구동축의 위치가 불균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구동축의 위치가 불균일하면, 구동 축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핀의 위치가 불균일하거나 구동축이 경사지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가동 접점의 소정 방향으로의 충분한 이동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최악의 경우, 기중 차단기가 투입 불능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절연 케이스에 대한 전자 조작 기구의 구동축의 위치의 편차가 적어, 안정된 투입 동작을 행할 수 있을 기중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중 차단기는,
고정 접점을 가지는 고정 도체와,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서 투입하거나 또는 트립하도록 구동되는 가동자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축심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제1 소정 거리를 두고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자에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작 암과,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둘레 방향의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제3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축심에 대해서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직교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전자 조작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 조작 기구는,
복수의 자성 철판이 적층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 고정 철심과, 상기 고정 철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 철심과, 상기 고정 철심에 고정되고 여자되는 되는 것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 철심을 이동시키는 전자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복수의 자성 철판 중 일부의 자성 철판에 마련된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가동 철심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가 마련된 상기 자성 철판에 마련된 틈새를 통해서 상기 고정 철심의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장착부에 의해 절연 케이스에 마련된 리브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절연 케이스에 대한 상기 구동축의 중심축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고정 철심은, 복수의 자성 철판 중 일부의 자성 철판에 마련된 장착부를 구비하며, 구동축은, 가동 철심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가 마련된 상기 자성 철판에 마련된 틈새를 통해서 상기 고정 철심의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장착부에 의해 절연 케이스에 마련된 리브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절연 케이스에 대한 상기 구동축의 중심축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절연 케이스로부터의 구동축의 중심축의 위치의 편차가 적게 되어, 안정되게 투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절연 케이스(1)는, 내부에 구획벽(103)에 의해 나누어진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 도체(21)와 제2 고정 도체(22)는, 각각 절연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절연 케이스(1)를 관통하여 제1 공간부(101)까지 연장되고, 제1 공간부(101)로 노출되어 있다. 제1 고정 도체(21)는, 전원측 단자라고도 불리며, 도시하지 않는 전원측 도체에 접속된다. 제2 고정 도체(22)는, 부하측 단자라고도 불리며, 도시하지 않는 부하측 도체에 접속된다. 절연 케이스(1)의 제1 공간부(101)로 노출되는 제1 고정 도체(21)의 단부에는 고정 접점(211)이 고정되어 있다.
가동자(3)는, 링크 핀(4)에 의해 조작 암(7)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 접점(211)에 대항하는 위치에 가동 접점(311)이 고정되어 있다. 접압 스프링(5)은, 가동 접점(311)이 고정 접점(211)에 투입되었을 때에 양 접점 사이에 접촉 압력을 부여하도록, 가동자(3)를 링크 핀(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동자(3)와 제2 고정 도체(22)는, 휘는 것이 가능한 가요 도체(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 케이스(1)의 제2 공간부(102) 내에 마련된 판 모양의 연결판(8)은, 축심(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9)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판(8)은, 구획벽(103)에 마련된 관통공(1031)을 관통하고, 그 일단이 연결 핀(71)에 의해 조작 암(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 암(7)의 타단은, 링크 핀(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핀(71)에 의한 연결판(8)과 조작 암(7)의 타단과의 연결부는, 제1 연결부를 구성하고, 이 제1 연결부는, 샤프트(9)의 축심(91)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제1 소정 거리를 두고 있다. 그리고, 링크 핀(4)에 의한 조작 암(7)의 일단과 가동자(3)와의 연결부는, 제2 연결부를 구성하고 있다. 구동축(13)은, 제1 연결부에 대해 샤프트(9)의 둘레 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샤프트(9)의 축심에 대해서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연결판(8)과 연결 핀(8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핀(81)에 의한 구동축(13)과 연결판(8)의 연결부는, 제3 연결부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전자 조작 기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자 조작 기구(10)는, 내측 공간을 구비한 고정 철심(11)과, 고정 철심(11)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 철심(11)에 고정된 원통 모양의 전자 코일(12)과, 전자 코일(12)의 내측 공간부(121)에 삽입된 가동 철심(14)과, 구동축(13)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13)의 일단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연결판(8)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 철심(14)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11)은, 제1 부위(11A)와, 제2 부위(11B)와, 제1 부위(11A)와 제2 부위(11B)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부위(11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위(11A)와 제2 부위(11B)와 제3 부위(11C)는, 그들의 판두께 방향으로 쌓여 겹쳐져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위(11A)와 제2 부위(11B)는, 자성 철판을 타발하여 제작한 동일 형상의 복수의 제1 자성 철판(111)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자성 철판(111)은, 각각, 제1 변부(1101)와, 제1 변부(1101)에 대향하는 제2 변부(1102)와, 제1 변부(1101)의 일단과 제2 변부(1102)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변부(1103)와, 제1 변부(110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 변부(1104)와, 제2 변부(1102)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5 변부(1105)를 가진다. 제4 변부(1104)의 선단부(1104a)와 제5 변부(1105)의 선단부(1105a)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제3 부위(11C)는, 자성 철판을 타발하여 제작한 복수의 제2 자성 철판(111a)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자성 철판(111a)은, 제1 자성 철판(111)의 제3 변부(1103)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는 제1 장착부(1106) 및 제2 장착부(1107)와, 제1 자성 철판(111)의 제4 변부(1104)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는 제3 장착부(1108)와, 제1 자성 철판(111)의 제5 변부(1105)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는 제4 장착부(110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자성 철판(111)의 제3 변부(1103)에 대응하는 제2 자성 철판(111a)의 부위에는, 구동축(1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시키기 위한 틈새(11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절연 케이스(1)의 구획벽(103)은, 그 평면부로부터 제2 공간부(102) 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리브(1041)와 제2 리브(1042)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조작 기구(10)는, 고정 철심(11)이 제1 리브(1041)의 선단부와 제2 리브(1042)의 선단부에 장착 나사(16)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절연 케이스(1)에 장착된다. 즉, 고정 철심(11)의 제1 장착부(1106)와 제2 장착부(1107)는, 장착 나사(16)에 의해 제1 리브(1041)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고정 철심(11)의 제3 장착부(1108)와 제4 장착부(1109)는, 장착 나사(16)에 의해 제2 리브(1042)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고정 철심(11)의 제1 장착부(1106)에는 장착 나사(16)를 관통시키기 위한 장착 구멍(15a)이 형성되고, 고정 철심(11)의 제2 장착부(1107)에는 장착 나사(16)를 관통시키기 위한 장착 구멍(15b)이 형성되며, 고정 철심(11)의 제3 장착부(1108)에는 장착 나사(16)를 관통시키기 위한 장착 구멍(15c)이 형성되고, 고정 철심(11)의 제4 장착부(1109)에는 장착 나사(16)를 관통시키기 위한 장착 구멍(15d)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14)은, 도 1의 y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도록 전자 코일(12)의 내측 공간부(121)에 삽입되어 있다. 가동 철심(14)에 고정된 구동축(13)은, 가동 철심(14)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1의 y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의 직선상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 지금, 전자 코일(12)이 여자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도 2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가동 철심(14)의 일방의 단부가 고정 철심(11)의 제4 변부(1104)와 제5 변부(1105)의 내벽에 맞닿아 정지하고 있다. 이 때,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가동 접점(311)은 고정 접점(211)으로부터 이반된 위치에 있으며, 기중 차단기는 트립 상태에 있다.
다음으로, 전자 코일(12)을 여자시켰다고 하면, 전자 코일(12)이 발생하는 자속의 작용에 의해, 가동 철심(14)은, 도 1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 철심(11)의 제3 변부(1103)의 내벽에 흡착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구동축(13)은, 도 1의 상부 방향으로 구동되고, 제3 연결부의 연결 핀(81)을 통해서 연결판(8)을 샤프트(9)의 축심(91)을 중심으로 하여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연결판(8)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조작 암(7)이 연결판(8)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정렬하도록 제1 연결부의 연결 핀(71)을 통해서 연결판(8)에 의해 구동된다. 조작 암(7)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동되면, 가동자(3)가 도 1의 우측으로 접압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이동하고, 가동 접점(311)이 고정 접점(211)에 맞닿는다. 가동 접점(311)과 고정 접점(211)이 접촉한 후, 가동자(3)가 제2 연결부의 링크 핀(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기중 차단기는 투입 상태가 된다.
기중 차단기는, 도시하고 있지 않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유지 기구에 의해 앞서 설명한 투입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유지 기구의 유지를 푸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투입의 동작과는 역방향으로 각 부재가 동작하고, 도 1에 나타내는 트립 상태가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자 조작 기구(10)는, 절연 케이스(1)의 구획벽(103)으로부터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까지의 거리의 편차는, 제3 부위(11C)를 구성하는 제2 자성 철판(111a)의 판두께의 편차의 누적에 의해만 정해진다. 이 때문에, 전자 조작 기구(10)가 대형화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부위(11A)와 제2 부위(11B)를 구성하는 제1 자성 철판(111)의 적층 매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절연 케이스(1)의 구획벽(103)으로부터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까지의 거리의 편차가 적은 전자 조작 기구(1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축(13)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부품의 위치 관계가 안정되어, 안정된 투입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기중 차단기는, 다음에 설명하는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며,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도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전자 조작 기구(10)의 고정 철심(11)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리브(1041)와 제2 리브(1042)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에, 각각 노치 등에 의해 형성된 제1 경사부(1051)와, 제2 경사부(10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리브(1041)와 제2 리브(1042)가 대향하는 간격 Y는, 고정 철심(11)의 y축 방향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 철심(11)은, 제1 리브(1041)와 제2 리브(1042)와의 대향하는 공간부에 압입됨으로써 절연 케이스(1)에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철심(11)은, 제1 경사부(1051)와 제2 경사부(1052)에 의해 안내되어, 제1 리브(1041)와 제2 리브(1042)와의 대향하는 공간부에 압입되므로, 압입이 용이해진다.
전자 조작 기구(10)의 고정 철심(11)이 제1 리브(1041) 및 제2 리브(1042)의 사이에 압입됨으로써, 전자 조작 기구(10)의, y축 방향의 위치가 충분히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절연 케이스(1)으로부터 구동축(13)의 y축 방향의 위치의 편차가 더욱 적은 전자 조작 기구(10)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구동축(13)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부품의 위치 관계가 안정되어, 안정된 투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기중 차단기는, 다음에 설명하는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한 기중 차단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며,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도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제1 리브(1041) 및 제2 리브(1042)와, 고정 철심(11)의 장착부(1106, 1107, 1108, 1109)와의 사이에 비자성체인 제1 스페이서(171) 및 제2 스페이서(172)가 삽입되어 있다. 비자성체인 제1 스페이서(171)와 제2 스페이서(172)에 의해, 절연 케이스(1)로부터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까지의 거리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구동축(13)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부품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켜, 안정된 투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종래의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의 전자 조작 기구(10)는, 고정 철심(11)을 구성하는 적층된 자성 철판(1100)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이 관통 구멍에 장착 나사(161)를 관통시켜 절연 케이스(1)에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적층된 자성 철판(1100)의 매수가 많아, 자성 철판(1100)의 판두께의 적층 공차가 커지게 되어, 절연 케이스(1)로부터의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까지의 위치가 크게 불균일하게 된다. 특히, 기중 차단기의 투입에 필요로 하는 힘은 크기 때문에, 전자 조작 기구(10)의 출력도 크고, 고정 철심(11)의 자성 철판(1100)의 적층 매수도 많아지므로, 절연 케이스(1)로부터의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까지의 위치가 크게 불균일하게 된다. 구동축(13)의 중심 축선(X)까지의 위치가 불균일하면, 구동축(13)에 연결되는 다른 구성 부재의 위치가 불균일하거나, 구동축(13)이 이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어긋남으로써 충분한 y축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고, 최악의 경우, 기중 차단기가 투입 불능이 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종래의 기중 차단기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제가 해소되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 1 내지 3에 의한 기중 차단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시 형태 1내지 3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그 구성에 일부 변형을 가하거나, 구성을 일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 특히 기중 차단기의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 : 절연 케이스 103 : 구획벽
1041 : 제1 리브 1042 : 제2 리브
1051 : 제1 경사부 1052 : 제2 경사부
21 : 제1 고정 도체 22 : 제2 고정 도체
211 : 고정 접점 3 : 가동자
4 : 링크 핀 5 : 접압 스프링
6 : 가요 도체 7 : 조작 암
71 : 연결 핀 8 : 연결판
81 : 연결 핀 9 : 샤프트
91 : 축심 10 : 전자 조작 기구
11 : 고정 철심 111 : 제1 자성 철판
111a : 제2 자성 철판 12 : 전자 코일
13 : 구동축 14 : 가동 철심
16 : 장착 나사 171 : 제1 스페이서
172 : 제2 스페이서 1106 : 제1 장착부
1107 : 제2 장착부 1108 : 제3 장착부
1109 : 제4 장착부

Claims (3)

  1. 고정 접점을 가지는 고정 도체와,
    가동 접점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서 투입하거나 또는 트립하도록 구동되는 가동자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축심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제1 소정 거리를 두고 제1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자에 제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작 암과,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둘레 방향의 다른 위치에 마련된 제3 연결부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축심에 대해서 제2 소정 거리를 두고 직교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전자 조작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 조작 기구는,
    복수의 자성 철판이 적층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 고정 철심과, 상기 고정 철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 철심과, 상기 고정 철심에 고정되고 여자되는 되는 것에 의해 자속을 발생시켜 상기 가동 철심을 이동시키는 전자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복수의 자성 철판 중 일부의 자성 철판에 마련된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가동 철심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가 마련된 상기 자성 철판에 마련된 틈새를 통해서 상기 고정 철심의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철심은, 상기 장착부에 의해 절연 케이스에 마련된 리브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절연 케이스에 대한 상기 구동축의 중심축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리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리브는, 서로 대향하는 측의 벽부에 경사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경사부를 거쳐 상기 한쌍의 리브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철심의 장착부는,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리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차단기.
KR1020197024801A 2017-04-10 2017-04-10 기중 차단기 KR102234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4649 WO2018189778A1 (ja) 2017-04-10 2017-04-10 気中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099A KR20190105099A (ko) 2019-09-11
KR102234363B1 true KR102234363B1 (ko) 2021-03-31

Family

ID=6379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801A KR102234363B1 (ko) 2017-04-10 2017-04-10 기중 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11744A4 (ko)
JP (1) JP6714947B2 (ko)
KR (1) KR102234363B1 (ko)
CN (1) CN110462775B (ko)
TW (1) TWI662577B (ko)
WO (1) WO2018189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4646B (zh) * 2021-01-27 2022-06-24 广州汗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照射障碍物且能防照人眼的前照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718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操作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電力用開閉器
JP2016110920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遮断器及び操作器並びに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800292A (fr) * 1973-05-30 1973-11-30 Guschin Vladislav Y Disjoncteur.
JPH0689808A (ja) 1992-09-07 1994-03-29 Fuji Electric Co Ltd ソレノイド
US7094986B2 (en) * 2004-12-14 2006-08-22 Eaton Corporation ARC chute assembly
JP4578433B2 (ja) 2005-07-21 2010-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
JP5275301B2 (ja) * 2010-08-12 2013-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気中遮断器
CN102214534B (zh) * 2011-06-15 2013-04-24 西安西能电器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充气柜断路器气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718A (ja) * 2006-09-28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操作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電力用開閉器
JP2016110920A (ja) * 2014-12-10 2016-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遮断器及び操作器並びに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89778A1 (ja) 2019-11-07
WO2018189778A1 (ja) 2018-10-18
CN110462775B (zh) 2022-04-19
EP3611744A4 (en) 2020-04-08
JP6714947B2 (ja) 2020-07-01
TW201837952A (zh) 2018-10-16
EP3611744A1 (en) 2020-02-19
CN110462775A (zh) 2019-11-15
TWI662577B (zh) 2019-06-11
KR20190105099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7815B (zh) 电磁继电器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CN109727819B (zh) 电磁继电器
US8698582B2 (en) Relay
EP32644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556005B1 (ko) 조작 장치 및 조작 장치의 제조 방법
CN109727818B (zh) 电磁继电器
US7872551B2 (en) Relay
US8169280B2 (en) Relay
WO2015045738A1 (ja) 接点機構部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磁継電器
KR102234363B1 (ko) 기중 차단기
US7847660B2 (en) Relay
CN109427508B (zh) 电磁继电器
TWI660388B (zh) 電磁操作機構及斷路器
US7710223B2 (en) Relay
JP5106299B2 (ja) 有極電磁継電器
JP2006294449A (ja) 開閉装置および電磁アクチュエータ
KR101974970B1 (ko) 전자 접촉기
KR102197518B1 (ko) 전자 접촉기
JP2017139196A (ja) 可動子及びこれを用いた接点装置
JP2005166435A (ja) 電磁継電器
US20180174787A1 (en) Electromagnetic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21190341A (ja)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JP2020123553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