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361B1 -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361B1
KR102234361B1 KR1020180078113A KR20180078113A KR102234361B1 KR 102234361 B1 KR102234361 B1 KR 102234361B1 KR 1020180078113 A KR1020180078113 A KR 1020180078113A KR 20180078113 A KR20180078113 A KR 20180078113A KR 102234361 B1 KR102234361 B1 KR 10223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distributed control
inspection
uni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05A (ko
Inventor
김태상
Original Assignee
김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상 filed Critical 김태상
Priority to KR102018007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3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8Verifying part programme on screen, by drawing or other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8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several processors for different functions,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준비부(100)가 입고된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데이터를 입고처리하는 자재준비단계(S100); 생산처리부(200)가 기 접수된 도면을 배포하고 작업 지시를 내려 상기 데이터를 출고처리하는 자재출고단계(S200); 조립설명안내부(300)가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를 조립 및 배선하여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설명을 제공하는 조립설명단계(S300);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검사단계(S400); 및 출하준비부(500)가 상기 일련번호가 설정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출하준비처리하는 출하준비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검사단계(S400) 이후에,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도면변경을 안내하는 도면변경요청단계(S410); 상기 조립설명안내부(300)가 변경된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의 재설치조립설명을 제시하는 재설치조립설명단계(S420); 및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재설치 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재 검사단계(S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Quality control method for manufacturing distribute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제어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자재의 입고 및 출고를 전산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자재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조립 및 품질검사를 시스템화하여 제조되는 분산제어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상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함으로서 보다 신속하게 출하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개념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한 DDC(Direct Digital control) 시스템과 현장 아날로그 연결에 의한 제어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상기 DDC의 경우 모든 제어기능이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공정 전체가 제어 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생한 분산제어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는 여러 개의 작은 중앙처리장치를 기능별로 분리하고 각각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DCS는 반도체 제작기술의 향상 등으로 그 효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현장에 대한 응용력이 높아 여러 종류의 공정제어 현장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등 이에 대한 수요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수요 증가의 추세인 DCS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양질의 DCS를 보다 신속하게 설치 제공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임에 따라, DCS 생산 시 발생되는 손실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DCS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제조 및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1998호(등록일: 2014.04.28.) 한국등록특허 제10-1512735호(등록일: 2015.04.10.)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자재의 입고 및 출고를 전산화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자재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품질검사를 시스템화하여 제조되는 분산제어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상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함으로서 보다 신속하게 출하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은,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생산준비부가 입고된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데이터를 입고처리하는 자재준비단계; 생산처리부가 기 접수된 도면을 배포하고 작업 지시를 내려 상기 데이터를 출고처리하는 자재출고단계; 조립설명안내부가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를 조립 및 배선하여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설명을 제공하는 조립설명단계; 및 품질검사부가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검사단계; 및 출하준비부가 상기 일련번호가 설정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출하준비처리하는 출하준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검사단계 이후에, 상기 품질검사부가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도면변경을 안내하는 도면변경요청단계; 상기 조립설명안내부가 변경된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의 재설치조립설명을 제시하는 재설치조립설명단계; 및 상기 품질검사부가 재설치 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재 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단계에서 상기 품질검사부는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외관 검사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설명단계 이후에 조립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설명단계는 상기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 설치 전에 상기 품질관리부가 상기 자재를 조립하고 배선한 것에 대한 조립검사 및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중간점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단계는 상기 품질검사부가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입출력데이터 체크, 치수 체크 및 절연 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먼저 수행하는 선 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 검사단계 및 검사단계는 상기 품질검사부가 전수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재준비단계는, 설계부가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BOM(Bill of materials) 및 상기 도면을 작성하고, 상기 도면을 상기 생산처리부로 전송하는 설계단계; 및 생산관리부가 상기 BOM을 수득하여 상기 자재에 대한 발주 명령을 내리고, 상기 생산처리부에 상기 제조지시를 내리는 제조명령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산처리부는 상기 제조지시에 따라 상기 출고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자재의 입고 및 출고를 전산화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자재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품질검사를 시스템화하여 제조되는 분산제어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함으로서 보다 신속하게 출하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생산준비부(100), 생산처리부(200), 조립설명안내부(300), 품질검사부(400) 및 출하준비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전체 구성요소가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생산준비부(100), 생산처리부(200), 조립설명안내부(300), 품질검사부(400) 및 출하준비부(500)는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준비부(100), 생산처리부(200), 조립설명안내부(300), 품질검사부(400) 및 출하준비부(500)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 작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넷북 PC,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인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와치, 스마트 밴드 등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제한없이 이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한 동작을 제어하고 제어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생산준비부(100)는 입고된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데이터를 입고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데이터는 분산제어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부품,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산제어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으로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분산제어장치용 모듈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종류 별로 구분하여 기록될 수 있으며, 또한 입고처리된 날짜와 수량 등이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생산처리부(200)는 기 접수된 도면을 배포하고 작업 지시를 내리며 상기 데이터를 출고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도면은 외부 단말기에서 작성된 후 그 데이터를 생산처리부(200)가 수신하게 되는데, 상기 도면에는 분산제어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의 부품의 크기, 케비닛의 조립순서,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의 장착방법,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의 설치방법 등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조립설명안내부(300)는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를 조립 및 배선하여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설명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조립설명은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립설명안내부(300)에서 제공되는 조립설명에 따라 분산제어장치를 제조하게 되므로, 분산제어장치는 일정한 품질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품질검사부(400)는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품질검사부(400)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는 분산제어장치에 장착되는 모듈들의 검사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품질검사부(400)는 정상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일련번호는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련번호에는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한 작업자, 일시의 정보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된 분산제어장치를 관리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출하준비부(500)는 상기 일련번호가 설정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출하준비처리하는 구성이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출하준비처리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포장을 수행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은 설계부(50) 및 생산관리부(6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계부(50)는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BOM(Bill of materials) 및 상기 도면을 작성하고, 상기 도면을 상기 생산처리부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생산관리부(60)는 상기 BOM을 수득하여 상기 자재에 대한 발주 명령을 내리고, 상기 생산처리부에 상기 제조지시를 내리는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시스템은 상기 생산처리부(200)가 상기 제조지시에 따라 즉시 출고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간적 딜레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시간에 작업에 착수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은 기본적으로 자재준비단계(S100), 자재출고단계(S200), 조립설명단계(S300), 검사단계(S400) 및 출하준비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재준비단계(S100)는 생산준비부(100)가 입고된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데이터를 입고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자재준비단계(S100)는 설계부(50)가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BOM(Bill of materials) 및 상기 도면을 작성하고, 상기 도면을 상기 생산처리부(200)로 전송하는 설계단계(S50) 및 생산관리부(60)가 상기 BOM을 수득하여 상기 자재에 대한 발주 명령을 내리고, 상기 생산처리부(200)에 상기 제조지시를 내리는 제조명령단계(S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산처리부(200)는 상기 제조지시에 따라 상기 출고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자재출고단계(S200)는 생산처리부(200)가 기 접수된 도면을 배포하고 작업 지시를 내려 상기 데이터를 출고처리하는 단계이다.
조립설명단계(S300)는 조립설명안내부(300)가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를 조립 및 배선하여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설명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은 조립설명단계(S300) 이후에 조립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설명단계(S300)는 상기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 설치 전에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자재를 조립하고 배선한 것에 대한 조립검사 및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중간점검단계(S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품질검사부(400)가 중간점검단계(S305)를 통해 배선의 정상 연결을 선 검사하게 되므로, 분산제어장치의 작동이 오류인 경우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인한 것인지 배선 설치의 오류로 인한 것인지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검사단계(S400)는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검사단계(S400)에서 상기 품질검사부(400)는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외관 검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검사단계(S400)는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입출력데이터 체크, 치수 체크 및 절연 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먼저 수행하는 선 검사단계(S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의 상기 선 검사단계(S405) 및 검사단계(S400)는 상기 품질검사부가 전수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출하준비단계(S500)는 출하준비부(500)가 상기 일련번호가 설정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출하준비처리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은 검사단계(S400) 이후에, 도면변경요청단계(S410), 재설치조립설명단계(S420) 및 재 검사단계(S4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변경요청단계(S410)는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도면변경을 안내하는 단계이다.
재설치조립설명단계(S420)는 상기 조립설명안내부(300)가 변경된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의 재설치조립설명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재 검사단계(S430)는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재설치 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상기 작동에러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은 검사단계(S400) 이후에, 도면변경요청단계(S410), 재설치조립설명단계(S420) 및 재 검사단계(S430)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서 분산제어장치의 출하 전에 발생되는 에러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설계부 60: 생산관리부
100: 생산준비부 200: 생산처리부
300: 조립설명안내부 400: 품질검사부
500: 출하준비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생산준비부(100)가 입고된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데이터를 입고처리하는 자재준비단계(S100);
    생산처리부(200)가 기 접수된 도면을 배포하고 작업 지시를 내려 상기 데이터를 출고처리하는 자재출고단계(S200);
    조립설명안내부(300)가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를 조립 및 배선하여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설명을 제공하는 조립설명단계(S300);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검사단계(S400); 및
    출하준비부(500)가 상기 일련번호가 설정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출하준비처리하는 출하준비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검사단계(S400) 이후에,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도면변경을 안내하는 도면변경요청단계(S410);
    상기 조립설명안내부(300)가 변경된 도면을 기초로 상기 분산제어장치의 재설치조립설명을 제시하는 재설치조립설명단계(S420); 및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재설치 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상기 작동 에러 검사를 수행하고, 정상 작동하는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일련번호를 설정하는 재 검사단계(S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S400)에서 상기 품질검사부(400)는 상기 조립설명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외관 검사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설명단계(S300) 이후에 조립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소프트웨어설치단계(S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설명단계(S300)는 상기 분산제어장치 작동 소프트웨어 설치 전에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상기 자재를 조립하고 배선한 것에 대한 조립검사 및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중간점검단계(S3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S400)는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대해 입출력데이터 체크, 치수 체크 및 절연 체크 중 적어도 하나를 먼저 수행하는 선 검사단계(S4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 검사단계(S405) 및 검사단계(S400)는 상기 품질검사부(400)가 전수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준비단계(S100)는,
    설계부(50)가 상기 분산제어장치 제조용 자재의 BOM(Bill of materials) 및 상기 도면을 작성하고, 상기 도면을 상기 생산처리부(200)로 전송하는 설계단계(S50); 및
    생산관리부(60)가 상기 BOM을 수득하여 상기 자재에 대한 발주 명령을 내리고, 상기 생산처리부(200)에 상기 제조지시를 내리는 제조명령단계(S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산처리부(200)는 상기 제조지시에 따라 상기 출고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KR1020180078113A 2018-07-05 2018-07-05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KR10223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3A KR102234361B1 (ko) 2018-07-05 2018-07-05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3A KR102234361B1 (ko) 2018-07-05 2018-07-05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05A KR20200005005A (ko) 2020-01-15
KR102234361B1 true KR102234361B1 (ko) 2021-03-30

Family

ID=6915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13A KR102234361B1 (ko) 2018-07-05 2018-07-05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3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5598A (ja) * 2004-08-27 2006-03-09 Hitachi Ltd 生産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98B1 (ko) 2013-04-10 2014-05-27 두희글로벌로지스틱스 (주) 물류공급방법
KR101512735B1 (ko) 2013-08-28 2015-04-16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20641A (ko) * 2015-04-08 2016-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품의 자동식별을 이용한 모듈 자동 설계/공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5598A (ja) * 2004-08-27 2006-03-09 Hitachi Ltd 生産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05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370B1 (ko)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070117560A1 (en) Remote testing of mobile terminals
CN102362272A (zh) 移动应用程序的设备相关的按需编译和部署
US2011009336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duct for centralized account provisioning
WO2013140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blication and sharing of files via the internet
CN105959302A (zh) 一种终端管理框架及方法
CN108400893A (zh) 日志文件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234361B1 (ko) 분산제어장치 제조를 위한 품질관리방법
US20050237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data control apparatus
US20150036004A1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and sharing media
CN105227597A (zh) 一种获取终端设备屏幕画面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30039828A (ko) 포토 스튜디오와 연동하여 스마트 디바이스 포토 앨범을 제작하는 방법
CN101582957A (zh) 一种修订计费话单的系统和方法
KR10116122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EP241357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system
CN103139405B (zh) 一种互联网中实现客服的方法和系统
JP5622287B2 (ja) 自動設定システムおよび自動設定方法
CN101529464A (zh) 创建和处理数字图像的方法及装置
CN11129129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US201602926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exing resources to a project schedule
CN108012033A (zh) 一种手机和移动音乐播放器间进行文件传输和管理的方法
Stone The End of Windows 7?[From the Screen of Stone]
KR20180097029A (ko) 고객 맞춤형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195896A (zh) 一种文字组件信息交互显示方法及系统
JP5009869B2 (ja) データ連携方法、コンテンツサーバ装置、留守番電話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