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247B1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247B1
KR102234247B1 KR1020180102214A KR20180102214A KR102234247B1 KR 102234247 B1 KR102234247 B1 KR 102234247B1 KR 1020180102214 A KR1020180102214 A KR 1020180102214A KR 20180102214 A KR20180102214 A KR 20180102214A KR 102234247 B1 KR102234247 B1 KR 10223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onnector
bridge
rib
connec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357A (ko
Inventor
임재상
정재엽
서주원
박주현
게르트 드뢰스베케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8010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247B1/ko
Priority to US16/552,368 priority patent/US10868391B2/en
Priority to CN201910796049.5A priority patent/CN110932035B/zh
Priority to JP2019155912A priority patent/JP6917421B2/ja
Publication of KR2020002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삽입되는 바디,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된 브릿지, 바디의 타 측에 연결되고 브릿지를 향하여 연장된 래치, 및 일 단이 브릿지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 단이 래치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하나의 회로와 다른 회로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접속부품을 말하고, 차량에서는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연결하거나 접속하기 위해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연결된 커넥터는 차량의 다른 구성품들과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차체에 클립으로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커넥터는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배선 등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연결부재로, 각종 전자제품의 신호를 연결된 커넥터로 신호를 교환하면서 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효율적인 운행과 사용되는 유량의 조절을 위한 각종 장치가 개발되어 장치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수요와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커넥터는 매일(male) 커넥터와 피매일(female) 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다. 매일 커넥터와 피매일 커넥터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매일 커넥터의 일부는 피메일 커넥터에 삽입되어 각각의 커넥터에 삽입된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매일 커넥터와 피매일 커넥터 사이에는 락킹 구조가 제공되어, 매일 커넥터의 피매일 커넥터에 대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래치(latch)와 브릿지(bridge) 사이를 리브로 연결하여 래치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삽입되는 바디;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된 브릿지; 바디의 타 측에 연결되고 브릿지를 향하여 연장된 래치; 및 일 단이 브릿지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타 단이 래치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는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2개의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을 포함하고, 연결 리브의 일 단은 상부벽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연결 리브의 타 단은 래치의 상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리브는 상부벽의 중앙 부분과 래치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는 래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 리브의 타 단과 연결되는 래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는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2개의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을 포함하고,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의 양 측면과 브릿지의 상부벽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는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2개의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을 포함하고,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의 상부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부벽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는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의 양 측면과 2개의 측벽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는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2개의 측벽 각각으로부터 래치를 사이에 두고 래치를 향하여 연장된 2개의 상부벽을 포함하고,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의 양 측면과 2개의 상부벽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리브의 길이는 0.6 내지 1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제1 락킹 돌기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제1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제1 바디의 타 측에서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 바디, 제2 바디에 연결되고 제1 락킹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벤딩되어 제1 바디와 락킹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래치, 제2 바디의 외측면에서 래치의 선단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브릿지 및 일 단이 브릿지에 연결되고 타 단이 래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공간으로 제2 바디가 삽입될 때, 연결 리브의 타 단은 래치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의 선단에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연결 리브가 끊어지게 되어 래치와 제1 바디 사이의 락킹 구조가 해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리브가 래치와 브릿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브릿지에 대한 래치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와 래치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더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커넥터에 대한 매일 커넥터 삽입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넥터 체결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가 락킹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가 락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연결 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재된 '0.8mm'라는 치수는 '약 0.8mm'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브릿지가 래치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래치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기재된 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길이 방향"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Y축 방향은 "폭 방향"으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은 "높이 방향"으로 참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참조되는 비교예는, 연결 리브가 없는 커넥터를 의미한다. 즉, 래치의 후단이 브릿지와 연결되지 않아, 자유단을 형성하는 커넥터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넥터 조립체(1)는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자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조립체(1)는 자동차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변속기 제어 회로 또는 엔진 제어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를 구성하는 각 파츠들은 락킹 구조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100) 및 제2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매일(male) 커넥터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피매일(female) 커넥터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의 일부는 제1 커네터(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 사이에는 락킹 구조가 제공되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에는 복수의 단자(15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복수의 단자(150)의 부분은 자동차에 부착된 제어 회로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에 제2 커넥터가 결합된 후에는, 제2 커넥터에 삽입된 단자(미도시)와 복수의 단자(150)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의 분해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를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100)는 제1 바디(110) 및 제1 바디(110)의 일 측에 형성된 단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쉘 형상을 가지고, 수용 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고, 내측면에 제1 락킹 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120)에는 복수의 단자(150)가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2 바디(205) 및 제2 바디(205)의 상측면에 연결된 래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05)의 길이 방향 전방 측에는 전방 단자부(230)가 형성될 수 있고, 길이 방향 후방 측에는 후방 단자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내부에 위치한 복수의 단자(150)의 후방 측 단부는 제2 커넥터(200)의 전방 단자부(230)에 형성된 개구(231)에 삽입될 수 있다.
래치(210)는 제1 및 제2 래치부(211, 212)와 제1 및 제2 래치부(211, 212) 사이에 형성된 락킹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래치부(211, 212)의 일 단부는 제2 바디(205)의 상부면의 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래치부(211, 212)는 제2 바디(205)의 상부면의 후방 측까지 연장되고, 제1 및 제2 래치부(211, 212)의 타 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푸시 리브(214)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210)의 락킹부(213)에는 제2 락킹 돌기(21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바디(110)의 제1 락킹 돌기(130)와 제2 락킹 돌기(213a)와 접촉하여, 제2 락킹 돌기(213a)를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210)가 높이 방향 하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2 바디(205)의 상부면의 후방 측에는 브릿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220)는 래치(210)의 후단부를 에워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220)는 'U'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220)와 래치(210)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250)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브(250)의 일 단은 브릿지(22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연결 리브(250)의 타 단은 래치(21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브(250)의 타 단과 래치(210)의 상면 사이에는 래치 리브(260)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 리브(260)는 푸시 리브(214)로부터 래치(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 리브(250)의 타 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푸시 리브(214)는 브릿지(220) 보다 길이 방향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리브(250)는 예를 들어, 0.6 내지 1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리브(250)는 0.8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브릿지와 래치 사이의 간격이 대체로 1mm 보다 크게 이격되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의 브릿지의 높이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200)보다 높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200)는 브릿지(220)와 래치(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제2 커넥터(200)의 높이 방향으로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바디(205)의 외측면에는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16)가 삽입되고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205)가 제1 바디(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가이드 리브(216)가 복수의 가이드 홈(116)으로 삽입되므로, 제2 바디(205)의 삽입 방향이 틀어지지 않고 제1 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바디(110)에 똑바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가 락킹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가 락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5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를 I-I 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다.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100)로부터 제2 커넥터(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 구조는 래치(210)의 제2 락킹 돌기(213a)와 제1 바디(110)의 제1 락킹 돌기(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로 이동하면서,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브릿지(22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제2 바디(205)의 대부분이 제1 바디(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락킹 돌기(130)는 제1 경사면(131)을 가질 수 있고, 제2 락킹 돌기(213a)는 제2 경사면(213b)을 가질 수 있다. 제1 경사면(131)과 제2 경사면(213b)은 서로 마주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면, 제2 경사면(213b)이 제1 경사면(131)과 접촉하게 된다. 래치(210)의 하부에는 빈 공간 형성되어 있으므로, 락킹부(213)는 높이 방향 하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213)의 측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 래치부(211, 212)도 함께 구부러질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방식에서는, 브릿지와 래치 사이에 연결 리브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락킹 과정에서 래치가 회동되어 래치의 후단이 브릿지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에서는, 연결 리브(250)에 의하여 래치(210)의 후단이 브릿지(220)로부터 멀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락킹 과정에서, 래치(210)의 양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락킹부(213)를 포함하는 래치(210)의 중앙 부분이 높이 방향 하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래치의 선단이 자유단으로 존재하는 비교예에 따른 방식보다, 락킹 과정에서 래치(210)가 더 강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커넥터 조립체(1)는 락킹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락킹 돌기(213a)의 후단면(213c)이 제1 락킹 돌기(130)의 후단면(132)과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200)에 외력을 가하여 제1 커넥터(100)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는 경우, 제2 락킹 돌기(213a)의 후단면(213c)이 제1 락킹 돌기(130)의 후단면(132)에 걸리게 되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락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래치(210)에 외력을 가하여, 래치(210)를 높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리브(250)에 의하여 브릿지(220)와 래치(21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리브(250)가 끊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210)가 충분한 정도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리브(250)가 끊어질 정도의 소정의 강도의 외력을 가하여 연결 리브(250)를 끊게 되면,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락킹 돌기(213a)의 상단이 제1 락킹 돌기(130)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의 연결 리브(2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커넥터(200)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 커넥터(200)로 참조될 수 있다. 도 6은 커넥터(200)를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리브(250)를 지나도록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다.
브릿지(220)는 래치(210)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221) 및 2개의 측벽(2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브(250)의 일 단은 상부벽(222)의 내측면(222a)에 연결되고, 연결 리브(250)의 타 단은 래치(210)의 상부면(210a)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브(250)는 상부벽(222)의 중앙 부분과 래치(210)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리브(250)의 일 단은 상부벽(222)의 내측면(222a)의 중앙에 위치되고, 연결 리브(250)의 타 단은 래치(210)의 상부면(210a)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리브(250)는 커넥터(20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200)에 래치 리브(260)가 제공되지 않고, 연결 리브(250)의 타 단은 래치(210)의 상부면(210a)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푸시 리브(214)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연결 리브(250)를 끊어아 할 필요가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래치(210)의 선단 즉, 푸시 리브(2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 리브(250)가 끊어지지 않는다. 도 6(b)를 참고하면, 푸시 리브(2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후에 연결 리브(250)가 끊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리브(250)의 일 단의 단면적이 연결 리브(250)의 타 단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연결 리브(250)의 타 단과 래치(210)의 상부면(210a)이 연결되는 부분이 끊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의 연결 리브(3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커넥터(300)를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리브(350)를 지나도록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다.
브릿지(320)는 래치(310)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321) 및 2개의 측벽(3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3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브(350)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310)의 양 측면(310b)과 브릿지(320)의 상부벽(322)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연결 리브(350)의 상단은 상부벽(322)의 내측면(322a)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결 리브(350)의 하단은 각각 래치(310)의 양 측면(310b)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연결 리브(350)의 하단의 내측면은 각각 래치(310)의 양 측면(310b)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커넥터(200)와 달리 래치 리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래치(310)의 선단 즉, 푸시 리브(3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2개의 연결 리브(350)가 끊어지지 않는다. 도 7(b)를 참고하면, 푸시 리브(3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후에 2개의 연결 리브(350)가 끊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리브(350)의 상단의 단면적이 연결 리브(350)의 하단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연결 리브(350)의 하단과 래치(310)의 양 측면(310b)이 연결되는 부분이 끊어질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래치(310)가 브릿지(320)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래치(310)의 양 측 상단 모서리에 파열부(310d)가 형성될 수 있다. 파열부(310d)가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대략 4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열부(310d)가 형성되므로, 연결 리브(350)와 래치(310)에는 각각 버(burr)가 생기지 않고 서로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의 연결 리브(4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커넥터(400)를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연결 리브(450)를 지나도록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다.
브릿지(420)는 래치(410)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421) 및 2개의 측벽(4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4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브(450)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410)의 상부면(410a)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부벽(422)의 내측면(422a)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연결 리브(450)는 커넥터(400)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연결 리브(450)의 상단은 상부벽(422)의 내측면(422a)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결 리브(450)의 하단은 각각 래치(410)의 상부면(410a)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래치(410)의 상부면(410a)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래치(4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래치 리브(4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연결 리브(450)의 하단과 래치(410)의 상부면(410a) 사이에는 2개의 래치 리브(460)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400)에 래치 리브(460)가 제공되지 않고, 연결 리브(450)의 타 단은 래치(410)의 상부면(410a)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래치(410)의 선단 즉, 푸시 리브(4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2개의 연결 리브(450)가 끊어지지 않는다. 도 8(b)를 참고하면, 푸시 리브(4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후에 2개의 연결 리브(450)가 끊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리브(450)의 상단의 단면적이 연결 리브(450)의 하단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2개의 연결 리브(450)의 하단과 래치(410)의 상부면(410a)이 연결되는 부분이 끊어질 수 있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500)의 연결 리브(5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브릿지(520)는 래치(510)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521) 및 2개의 측벽(5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5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브(550)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510)의 양 측면(510b)과 2개의 측벽(521)의 내측면(521a)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연결 리브(550)는 커넥터(500)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연결 리브(550)의 일 단은 2개의 측벽(521)의 내측면(521a)의 상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결 리브(550)의 타 단은 각각 래치(510)의 측면(510b)의 상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커넥터(200)와 달리 래치 리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래치(510)의 선단 즉, 푸시 리브(5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2개의 연결 리브(550)가 끊어지지 않는다. 도 9(b)를 참고하면, 푸시 리브(5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후에 2개의 연결 리브(550)가 끊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리브(550)의 일 단의 단면적이 연결 리브(550)의 타 단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2개의 연결 리브(550)의 타 단과 래치(510)의 양 측면(510b)이 연결되는 부분이 끊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600)의 연결 리브(6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브릿지(620)는 래치(610)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621) 및 2개의 측벽 각각으로부터 래치(610)를 사이에 두고 래치(610)를 향하여 연장된 2개의 상부벽(6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2개의 상부벽(622)의 내측 선단 사이에 래치(610)의 상측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브(650)는 2개로 제공되어 래치(610)의 양 측면(610b)과 브릿지(620)의 2개의 상부벽(622)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610)는 길이 방향 양 측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부(617)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연결 리브(650)는 돌출부(617)의 양 측면(617b)과 브릿지(620)의 2개의 상부벽(622)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연결 리브(650)의 상단은 2개의 상부벽(622)의 내측면(622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결 리브(650)의 하단은 각각 돌출부(617)의 양 측면(617b)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커넥터(200)와 달리 래치 리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a)를 참고하면, 래치(610)의 선단 즉, 푸시 리브(6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2개의 연결 리브(650)가 끊어지지 않는다. 도 10(b)를 참고하면, 푸시 리브(614)에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가해진 후에 2개의 연결 리브(650)가 끊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리브(650)의 상단의 단면적이 연결 리브(650)의 하단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연결 리브(650)의 하단과 돌출부(617)의 양 측면(617b)이 연결되는 부분이 끊어질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래치(610)가 브릿지(620)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돌출부(617)의 양 측 상단 모서리에 파열부(617d)가 형성될 수 있다. 파열부(617d)가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대략 4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열부(617d)가 형성되므로, 연결 리브(650)와 돌출부(617)에는 각각 버(burr)가 생기지 않고 서로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아래의 실험 결과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행을 참조하면, 평가 항목은 커넥터 삽입력에 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1)에 요구되는 조건은 커넥터 삽입력이 7.6kgf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에 락킹 상태가 될 때까지 삽입되는 외력이 7.6kgf 이하가 되면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가 다소 큰 커넥터 삽입력을 가질 수 있으나, 요구 조건은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제2 행을 참조하면, 평가 항목은 락 해제력에 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1)에 요구되는 조건은 0.5 내지 6kgf 의 범위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래치(210)를 0.5 내지 6kgf의 외력으로 눌렀을 때, 래치(210)가 충분히 눌리게 되어 제2 커넥터(200)가 제1 커넥터(100)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면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가 다소 큰 락 해제력을 가질 수 있으나, 요구 조건은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리브(250)를 끊어서 브릿지(220)로부터 래치(210)를 떨어뜨리기 위한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필요하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인 작업자의 손으로 쉽게 떨어뜨릴 수 있는 정도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제3 행을 참조하면, 평가 항목은 커넥터 체결음에 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1)에 요구되는 조건은 커넥터 체결음이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700±10mm 거리에서 측정했을 때 65dB이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가 다소 큰 커넥터 체결음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비하여 높은 커넥터 체결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느끼는 감성품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커넥터 조립체
100, 200, 300, 400, 500, 600: 커넥터
210, 310, 410, 510, 610: 래치
220, 320, 420, 520, 620: 브릿지
250, 350, 450, 550, 650: 연결 리브

Claims (12)

  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락킹 돌기가 형성된 상대 바디 및 상기 상대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상대 단자부를 포함하는 상대 커넥터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상대 바디의 타 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삽입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락킹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상대 바디와 락킹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래치;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래치의 선단과 인접하게 형성된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와 상기 래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브릿지와 상기 래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상기 2개의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리브의 일 단은 상기 상부벽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리브의 타 단은 상기 래치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기 래치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연결 리브가 끊어지는 경우, 상기 래치와 상기 바디 사이의 락킹 구조가 해제되고,
    상기 연결 리브가 끊어진 후 상기 래치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벤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상기 상부벽의 중앙 부분과 상기 래치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리브의 타 단과 연결되는 래치 리브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양 측면과 상기 브릿지의 상부벽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상부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상부벽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양 측면과 상기 2개의 측벽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상기 2개의 측벽 각각으로부터 상기 래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래치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2개로 제공되고,
    상기 연결 리브는 2개로 제공되어 상기 래치의 양 측면과 상기 2개의 상부벽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의 길이는 0.6 내지 1mm의 크기를 갖는,
    커넥터.
  10.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제1 락킹 돌기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바디의 타 측에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락킹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제1 바디와 락킹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래치,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래치의 선단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와 상기 래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브릿지와 상기 래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래치의 양 측에 형성된 2개의 측벽 및 상기 2개의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리브의 일 단은 상기 상부벽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리브의 타 단은 상기 래치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상리 래치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연결 리브가 끊어지는 경우, 상기 래치와 상기 제1 바디 사이의 락킹 구조가 해제되고,
    상기 연결 리브가 끊어진 후 상기 래치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벤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상기 제2 바디가 삽입될 때, 상기 연결 리브의 타 단은 상기 래치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12. 삭제
KR1020180102214A 2018-08-29 2018-08-29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23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14A KR102234247B1 (ko) 2018-08-29 2018-08-29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16/552,368 US10868391B2 (en) 2018-08-29 2019-08-27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201910796049.5A CN110932035B (zh) 2018-08-29 2019-08-27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连接器组件
JP2019155912A JP6917421B2 (ja) 2018-08-29 2019-08-28 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14A KR102234247B1 (ko) 2018-08-29 2018-08-29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57A KR20200026357A (ko) 2020-03-11
KR102234247B1 true KR102234247B1 (ko) 2021-04-02

Family

ID=6964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14A KR102234247B1 (ko) 2018-08-29 2018-08-29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68391B2 (ko)
JP (1) JP6917421B2 (ko)
KR (1) KR102234247B1 (ko)
CN (1) CN110932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247B1 (ko) * 2018-08-29 2021-04-02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234243B1 (ko) * 2019-08-19 2021-04-02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923A (en) * 1972-04-04 1974-02-05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panel mounting means and an improved releasable contact construction
US4541036A (en) * 1984-07-06 1985-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tch for terminal block
US4986766A (en) * 1988-08-17 1991-01-2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ti-overstress latch
JPH04220972A (ja) * 1990-12-21 1992-08-11 Kansei Corp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596169Y2 (ja) * 1992-06-22 1999-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5314347A (en) * 1992-08-13 1994-05-24 Molex Incorporated Latchabl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904380B2 (ja) * 1992-09-09 1999-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95855A (en) * 1993-05-17 1994-03-22 Electro-Wire Products, Inc. Positive connection latch
FR2709884B1 (fr) * 1993-09-10 1995-10-13 Cinch Connecteurs Sa Perfectionnements aux boîtiers de connecteurs électriques.
JPH07307185A (ja) * 1994-05-11 1995-11-21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H09147979A (ja) * 1995-11-20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ロックアーム付きコネクタ
US5651697A (en) * 1995-12-11 1997-07-29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H10199620A (ja) * 1997-01-07 1998-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10247553A (ja) * 1997-02-28 1998-09-14 Mitsumi Electric Co Ltd 角型コネクタプラグ
JPH11185874A (ja) * 1997-12-19 1999-07-09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アーム保護構造
US6126484A (en) * 1999-11-01 2000-10-0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latch stop
JP2001250636A (ja) * 2000-03-03 2001-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3405954B2 (ja) * 2000-03-13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US6638096B1 (en) * 2002-08-23 2003-10-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mechanism
JP2005190807A (ja) * 2003-12-25 2005-07-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550470B2 (ja) * 2004-04-14 2010-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004901A (ja) * 2004-05-19 2006-0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JP4739712B2 (ja) * 2004-09-01 2011-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945807B1 (en) * 2004-11-15 2005-09-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integral latch means
US7232329B1 (en) * 2006-07-05 2007-06-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unitary latch
JP5814030B2 (ja) * 2011-07-27 2015-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78846B2 (en) * 2012-03-28 2014-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WO2015143183A1 (en) * 2014-03-20 2015-09-24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system with rfid circuit
JP6633824B2 (ja) * 2014-03-31 2020-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281619B2 (en) * 2014-04-11 2016-03-08 Delphi Technologies, Inc.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6288125B2 (ja) * 2016-03-03 2018-03-07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38278B2 (en) * 2016-03-17 2018-07-3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KR101872837B1 (ko) * 2016-11-25 2018-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CN207217902U (zh) * 2017-04-17 2018-04-10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可二次锁紧及延时分离的电连接器
US10404012B1 (en) * 2018-04-20 2019-09-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KR102234247B1 (ko) * 2018-08-29 2021-04-02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32035A (zh) 2020-03-27
CN110932035B (zh) 2021-10-08
KR20200026357A (ko) 2020-03-11
JP6917421B2 (ja) 2021-08-11
US20200076125A1 (en) 2020-03-05
JP2020035747A (ja) 2020-03-05
US10868391B2 (en)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894B1 (ko) 단자 위치 확인 장치를 가진 전기 커넥터
EP2797173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1832599B1 (ko) 커넥터
KR10084411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EP1923962B1 (en) A connector and method of preassembling it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34247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8979583B2 (en) Terminal-mounting structure and terminal used in the same terminal-mounting structure
KR20140138729A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1150909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4084233A1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US7186129B2 (en) Lock structure and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of lock structure
JP5700811B2 (ja) コネクタ
EP3396789A1 (en) Connector assembly for safety systems
US9647378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9256642B (zh) 连接器后壳组件
US9780478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US20230246361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compact, robust latch
JP4583193B2 (ja) コネクタ
JP2006004901A (ja) コネクタ装置
US11417982B2 (en) Connector
US791431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472810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20230402789A1 (en)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