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792B1 -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792B1
KR102233792B1 KR1020187003352A KR20187003352A KR102233792B1 KR 102233792 B1 KR102233792 B1 KR 102233792B1 KR 1020187003352 A KR1020187003352 A KR 1020187003352A KR 20187003352 A KR20187003352 A KR 20187003352A KR 102233792 B1 KR102233792 B1 KR 10223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high voltage
voltage cable
tapering reinforcing
r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997A (ko
Inventor
스테판 한손
요나스 베렌스
Original Assignee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2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3Devices for the protection of pipes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35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ipe during lay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에 관한 것이다. 이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링 플랜지 (5) 로서, 상기 링 플랜지 (5) 는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를 상기 링 플랜지 (5) 에 용접하기 위한 제 1 외장 부착 표면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을 갖는, 상기 링 플랜지 (5);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로서,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1 외장 부착 표면 주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1 플랜지 표면에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로서,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외장 부착 표면 주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2 플랜지 표면에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제 1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및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케이싱 (3) 으로서, 상기 케이싱 (3) 은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주위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싱 (3) 은 상기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갖는, 상기 케이싱 (3)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A TEMPORARY LOAD SECURING DEVICE FOR AN ARMOURED HIGH VOLTAGE CABLE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RELATED OPERATIONS OF AN ARMOURED HIGH VOLTAGE CAB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해양 설치 절차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저 파워 케이블은 종종 육상과 해상 사이의 파워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육상으로부터 오일 플랫폼 및 풍력 터빈과 같은 해양 설비로 이어진다. 이러한 파워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대형 케이블 캐러셀에 해저 파워 케이블이 탑재되어 있는 특수한 케이블 설치 선박에 의해 육상으로부터 설치 지점까지 설치된다. 무게가 수천 톤에 달하고 길이가 수 킬로미터인 해저 파워 케이블은 선박이 설치 지점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캐러셀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져 해저 바닥에 놓이게 된다.
해저 파워 케이블을 해양으로 가져오는 과정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해저 파워 케이블의 축방향 이동과 수직 위치를 제어해야 할 수도 있다. 케이블 설치 선박이 설치 지점에 도달했을 때, 예를 들어, 설치를 완료하기 전에 적절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해저 파워 케이블의 광 전송 및 파워 전달 능력과 같이 해저 파워 케이블을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시험을 수행하는 동안, 해저 파워 케이블을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는 것, 특히 특히 바다에 잠긴 대부분의 해저 파워 케이블의 무게로부터의 인장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해저 파워 케이블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저 파워 케이블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할 필요성을 수반할 수 있는 두 번째 상황은, 예를 들면 매우 기다란 해저 파워 케이블의 설치시에 두 개의 해저 파워 케이블들이 해양에서 이어지는 경우인데,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이어진 해저 파워 케이블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황들로 인해, 해저 파워 케이블에 반경방향 압력을 인가하는 선박에 배치된 텐셔너들이 해저 파워 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해저 파워 케이블을 심해, 즉 500-1500 m 의 깊이에 또는 극심해, 즉 1500 m 에서 시작하는 깊이에 설치하는 경우, 텐셔너들에 의해 해저 파워 케이블에 매우 높은 반경방향 힘을 인가해야 할 수도 있다. 높은 반경방향 힘은 해저 파워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해저 파워 케이블의 축방향 이동의 제어를 수반하는 세 번째 상황은, 해저 파워 케이블이 해양 선박으로부터 또는 해양 선박으로 당겨지거나 행-오프 (hang-off) 에 부착하기 위해 해양 플랫폼으로 당겨질 때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해저 파워 케이블 단부에 차이니즈 핑거 (Chinese finger) 가 당겨지는데, 이는 해저 파워 케이블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윈치 (winch) 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차이니즈 핑거는 심해 및 극심해에서의 설치시에 해저 파워 케이블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다. 더욱이, 차이니즈 핑거의 설치는 번거롭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비용이 증가하고 기상 변화의 위험이 증가한다.
독일 실용신안등록공보 제 20-2014-102569 호(2014. 08. 14.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3-150370 호(2013. 08. 0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존하는 해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해양에서의 해저 파워 케이블 설치-관련 작업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외장형 (armoured)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load) 고정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링 플랜지로서, 상기 링 플랜지는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상기 링 플랜지에 용접하기 위한 제 1 외장 부착 표면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을 갖는, 상기 링 플랜지;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로서,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1 외장 부착 표면 주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상기 링 플랜지의 제 1 플랜지 표면에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로서,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외장 부착 표면 주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링 플랜지의 제 2 플랜지 표면에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제 1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케이싱으로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갖는, 상기 케이싱을 포함한다.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다는 것은 부품의 축방향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여기서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때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축방향에 대응한다.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품들, 즉 링 플랜지,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케이싱으로 인해,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부품들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위에 나사결합될 필요가 없다. 부품들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측면들에서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착 상태에서, 링 플랜지는 제 1 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고,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의 각각은 제 1 평면에 대하여 각각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케이싱은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케이싱과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사이의 그리고 케이싱과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크레인에 연결되도록 배열된 케이싱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대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비틀림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제 1 원주 홈을 갖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제 2 원주 홈을 갖고, 케이싱은 상기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1 원주 홈 및 제 2 원주 홈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 플랜지의 전체 주변을 따라 복수의 축방향 홈들이 분포된다.
일 실시형태는, 케이싱과 링 플랜지 사이의 상대 회전을 잠금하여서 케이싱과 각각의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싱에 장착될 수 있고 링 플랜지의 축방향 홈들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케이싱은 필요할 때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장착되도록 배치된 열적 보호 시스템을 포함하고, 링 플랜지는 열적 보호 시스템 주위에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외장 와이어들을 제 1 외장 부착 표면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에 용접하는 동안에 방출되는 열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전달되는 대신에 열적 보호 시스템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은 용접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열-관련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복수의 볼트들에 의해 제 1 플랜지 표면에 장착될 수 있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복수의 볼트들에 의해 제 2 플랜지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a)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링 플랜지를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b)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상기 링 플랜지의 제 1 외장 부착 표면에 용접하고,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를 상기 링 플랜지의 제 2 외장 부착 표면에 용접하는 단계, c)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를 상기 제 1 외장 부착 표면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d)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를 상기 링 플랜지의 제 1 플랜지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를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e)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를 상기 제 2 외장 부착 표면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f)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를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링 플랜지의 제 2 플랜지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를 상기 제 2 플랜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케이싱을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는 결합 수단에 크레인의 제 1 후크를 부착하고 크레인의 제 2 후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는 크레인에 의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c) 및 e) 에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의 각각은 링 플랜지가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제 1 평면에 대해 각각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 플랜지의 전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축방향 홈들이 분포되고, 상기 방법은 케이싱에 잠금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 및 케이싱과 링 플랜지 사이의 상대 회전을 잠금하여서 케이싱과 각각의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부재를 축방향 홈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요소, 장치, 부품, 수단 등" 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부품,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언급하는 것으로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 제시된 방법의 임의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설명된 순서로 반드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이하, 본 발명의 개념의 특정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도 1 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배열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배열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링 플랜지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배열된 링 플랜지 및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배열의 중심 축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일 부분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그리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배열되는 길이방향 분할가능 케이싱을 포함하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일 예의 축방향 상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 는 잠금 부재를 갖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일 예의 상세도이다.
도 8 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형태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예컨대 해저 파워 케이블과 같은 외장형 고전압 파워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 과정중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고정을 단지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설치부에 영구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하는 행-오프 디바이스와 달리,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시 로드 고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이 설치중에 취급되는 때에만 크레인과 같은 조작 디바이스에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이동이 설치 과정 중에 제어될 수 있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들어올림/조작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설치한 경우에도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또는 적어도 그 일부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부착될 수 있지만,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설치 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끼워지도록 설계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각 부품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어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어떠한 부품을 끼워넣지 않고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측면들로부터 그 부품을 장착함으로써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이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장착을 실질적으로 용이하게 한다.
이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의 예를 도 1-7b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1 은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주위에 배치되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고정되어 있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케이싱 (3) 을 포함하는데, 이 케이싱 (3) 은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 수단은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예를 들어 최대 110 미터 톤 이상의 높은 인장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에 의해 조작하는 케이블 설치 절차가 1000 m 이상의 수심에서 가능한 것을 보장한다. 본 예에 따른 결합 수단은 제 1 리프팅 러그 (3a) 및 제 2 리프팅 러그 (3b) 에 의해 실현되지만, 다른 변형도 가능할 수 있다; 결합 수단은 예를 들면 러그 또는 후크일 수 있다.
케이싱 (3) 은, 일 변형예에 따르면, 그 2 개의 측방향 단부들에서 그 단부면들 중 하나 또는 쌍방에 부착 수단 (4) 을 가질 수 있다. 측방향 단부들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케이싱 (3) 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개구의 두 개의 입구를 형성하는 단부들이다. 부착 수단 (4) 은, 예를 들어, 볼트들을 수용하기 위해 입구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들로 형성될 수 있다. 벤드 보강재 (bend stiffeners) 또는 벤드 제한기 (bend restrictors) 가 부착 수단 (4) 을 통해 케이싱 (3) 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장착될 수 있는 링 플랜지 (5) 를 포함한다. 링 플랜지 (5) 는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과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링 플랜지 (5)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간단한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링 플랜지 (5) 는 2 개의 절반부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과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은 링 플랜지 (5) 를 형성하는 2 개의 절반부이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링 플랜지는 2 개 초과의 부분들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링 플랜지 (5) 는 제 1 플랜지 표면 (7a) 및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대향하는 제 2 플랜지 표면 (7b) 을 갖는다. 제 1 플랜지 표면 (7a) 및 제 2 플랜지 표면 (7b) 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또는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들이다.
링 플랜지 (5) 는 도 4 에 도시된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을 더 갖는다.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은 제 1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위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 (W) 를 용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은 제 1 축방향과 반대인 제 2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위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 (W) 를 용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은 링 플랜지 (5) 의 각각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고, 외장 와이어들 (W) 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의 상부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의 각각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의 단차가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을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계단형 배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에도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의 단차는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을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 와이어들의 여러 층들이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에 용접될 수 있다. 특히, 외장 와이어들의 층들은, 외장 와이어들 (W) 의 층들이 2 개 이상 있는 경우, 최내층이 가장 낮은 단차에 용접되고 다음 층이 다음 단차에 용접되는 방식으로 용접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예에서, 외장 와이어들 (W) 은 도 4 에 도시된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에 부착된다. 특히, 내부 외장 층의 외장 와이어들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의 제 1 단차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의 제 1 단차에 용접된다. 외부 외장 층의 외장 와이어들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의 제 1 단차에 후속하는 제 2 단차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의 제 1 단차에 후속하는 제 2 단차에 용접된다. 링 플랜지 (5) 의 구조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외장 와이어들의 일부는 잘라져 있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다음 층을 도시한다. 따라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를 더 포함한다.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고, 링 플랜지 (5) 의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링 플랜지 (5) 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도록 배치되어, 이들 두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예를 들어 복수의 너트 및 볼트에 의해 링 플랜지 (5) 에 장착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2 개의 절반부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2 개 초과의 부분들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장착 상태에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제 1 플랜지 표면 (7a) 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조립 상태에서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주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사이에 외장 와이어 (W) 가 끼워진다.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고, 링 플랜지 (5) 의 제 2 플랜지 표면 (7b) 에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링 플랜지 (5) 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도록 배열되어, 이들 두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예를 들어 복수의 너트 및 볼트에 의해 링 플랜지 (5) 에 장착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2 개의 절반부로 길이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2 개 초과의 부분들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장착 상태에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제 2 플랜지 표면 (7b) 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과는 반대인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조립 상태에서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주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와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사이에 외장 와이어 (W) 가 끼워진다. 3 개의 부품 모두가 조립되는 때에, 링 플랜지 (5) 는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와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사이의 중심에 위치된다. 이 경우, 이들 3 개의 부품 모두는 이들이 주위에 장착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의해 규정된 공통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보강 부재들 (9, 11) 의 각각은 이들이 외장 와이어 (W) 를 지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테이퍼링되는데, 이는 외장 와이어 (W) 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에 용접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단면에서 원뿔형 형상을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부여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장착 상태에서, 링 플랜지 (5) 는 제 1 평면 (P1) 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고,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와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각각은 각각 제 1 평면 (P1) 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평면 (P2) 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다. 이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기계적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 1 평면 (P1) 은 각각의 평면 (P2) 과 교차한다. 일 예로서, 제 1 평면 (P1) 과 평면들 (P2) 사이의 각도는 10-90도 범위, 예를 들어 45-90도 범위, 또는 약 90도 또는 90도일 수 있다. 케이싱 (3) 은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주위에 그리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주위에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케이싱 (3) 은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에 대한 그리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에 대한 케이싱 (3) 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원주 홈 (9a) 을 가질 수 있다.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원주 홈 (11a) 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 (3) 은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원주 홈 (9a) 및 제 2 원주 홈 (11a) 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장착될 수 있는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상에서의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또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다.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은 일 변형예에 따르면 2 개의 절반부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열적 보호 시스템은 2 개 초과의 부분들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은 외장 와이어 (W)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이 외장 와이어 (W) 는 외장 와이어 (W) 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립중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다. 장착 상태에서, 링 플랜지 (5) 는 열적 보호 시스템 (13) 주위에 배열된다.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은 본질적으로 슬리브이고, 외장 와이어 (W) 가 용접될 때에 링 플랜지 (5) 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내부는 용접 중에 방출되는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은 예를 들어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열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와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용접된 외장 와이어 (W) 를 포함하는 공간 내로 화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반경방향 관통-개구를 가질 수 있다. 화합물은 조립체에 강도를 부가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 내에서 외장 와이어들 (W) 사이에서 응고될 수 있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부식-방지 화합물일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열적 보호 시스템의 오목부에 온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센서에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외측의 온도 표시기에 측정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용접 중에 온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이 외장 와이어 (W) 의 용접 중에 열적으로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5 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내부를 노출시키도록 케이싱의 하나의 절반부를 제거한 상태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를 도시한다. 이 예에 따르면, 케이싱 (3) 은 도 5 에 도시된 제 1 케이싱 부분, 및 제 2 케이싱 부분으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 1 케이싱 부분 및 제 2 케이싱 부분은 케이싱 (3) 의 각각의 절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케이싱은 2 개 초과의 부분들로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케이싱 (3) 은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내부 부품들 중 어느 것에도 고정되지 않는다; 즉 링 플랜지 (5) 및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어느 것에도 고정되지 않는다. 케이싱 (3) 의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분들만이 서로 조립된다. 따라서 케이싱은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내부 부품들에 대해 회전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케이싱 (3) 은 2 개의 내부 결합 부재들 (3c) 을 갖는데, 이들 각각은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의 제 1 원주 홈 (9a) 과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제 2 원주 홈 (11a) 중 하나에 수용되도록 배열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원주 홈 및 제 2 원주 홈 및 결합 부재들에는 이들 부품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서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해 또는 어떤 종류의 베어링에 의해 저마찰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들 (3c) 은 링 플랜지 (5) 와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사이의 볼트 연결부 (19) 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결합 부재 (3c) 는 예를 들어 케이싱 (3) 의 전체 내주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플랜지 표면 (7a), 제 2 플랜지 표면 (7b) 및 2 개의 테이퍼링 보강 부재들 (9 및 11) 의 대응 플랜지 단부들 (9b, 11b) 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 연결부 (19) 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힐 (21) 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결합 부재들 (3c) 은 그들 사이에 케이싱 (3) 의 내부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 홈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볼트 연결부 (19) 는 단지 약간의 유격을 갖고서 수용될 수 있다. 이 설계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를 들어올리기 위한 임의의 유형의 결합 부재에 대해 구현 될 수 있으며,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프팅 러그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유리하게는, 이전 단락에서 설명된 설계로 인해, 사용 중에, 로드는 케이싱 (3),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및 최종적으로 링 플랜지 (5) 를 통해 리프팅 러그들로부터 외장 와이어로 전달될 것이다. 그러나, 링 플랜지 (5) 와 2 개의 보강 부재들 (9 및 11) 사이의 볼트 연결부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중량에 의해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제 1 리프팅 러그 (3a) 및 제 2 리프팅 러그 (3b) 는 케이싱 (3) 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크레인의 후크와 같은 리프팅 수단과 결합하도록 배치되어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에 끼워진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리프팅 러그 (3a) 및 제 2 리프팅 러그 (3b) 는 바람직하게는 대칭 로드 분포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싱의 외부 표면을 따라 180도 각도로 배치된다. 케이싱 (3) 은 일 변형예에 따르면 2 개 초과의 리프팅 러그, 예를 들어 4 개 또는 8 개의 리프팅 러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리프팅 러그들은 회전 대칭 방식으로 배열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분들은 볼트들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일 변형예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분들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일 단부에서 서로 힌지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른 단부에서 볼트들에 의해 또는 다른 적절한 몇몇 종류의 잠금 기구에 의해 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은 힌지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케이싱 (3) 은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에 대해 그리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에 대해 고정되어서 일시적으로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는 이 기능을 제공하는 잠금 기구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따르면, 링 플랜지 (5) 는 링 플랜지의 플랜지 부분의 전체 원주를 따라 분포된 복수의 축방향 홈들 (15a-15d) 을 갖는다. 케이싱 (3) 은 장착 상태에서 플랜지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부분 (3d) 을 갖는다. 케이싱 (3) 의 부분 (3d) 은 케이싱 (3) 이 링 플랜지 (5) 에 잠금되는 때에 부분 (3d) 이 잠금 부재 (17) 를 수용할 수 있는 반경방향 절결부 (3e) 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축방향 홈 (15a-15d) 내로 연장되도록 절결부 (3e) 에 끼워지게 배치되는 잠금 부재 (17) 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 (17) 는 관통-개구를 가질 수 있고, 잠금 부재 (17) 의 개구 내로 그리고 부분 (3d) 을 통해 연장되는 예를 들어 볼트 (B) 에 의해 이 위치에 잠금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 (17) 를 축방향 홈 (15a-15d) 에 삽입하기 위해, 먼저 볼트 (B) 가 제거되고, 잠금 부재 (17) 는 절결부 (3e) 및 축방향 홈 (15a-15d) 에 위치되고, 잠금 부재 (17) 는 볼트 (B) 에 의해 고정된다. 그럼으로써 케이싱 (3) 은 링 플랜지 (5) 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조립 상태에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링 플랜지 (5) 에 대해 고정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케이싱 (3) 은 또한 보강 부재들 (9 및 11) 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이하, 도 8 을 참조하여,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첫째,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이 적절한 방식으로 준비된다. 이는, 외장 와이어들을 노출시키도록 전체 둘레 주위에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외부 피복을 벗겨내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외장 와이어들은 외부 피복이 벗겨진 두 위치에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둘레를 따라 절단된다. 그럼으로써 외장 와이어들이 없는 섹션이 생성된다. 이어서, 절단된 외장 와이어들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단계 a) 에서, 링 플랜지 (5) 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특히 외장 와이어들이 없는 섹션 주위에 장착된다. 이때, 링 플랜지 (5) 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상태이고, 단계 a) 에서의 장착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및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링 플랜지 (5) 를 장착하기 전에,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이 외장 와이어들이 없는 섹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단계 b) 에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들 (W) 이 링 플랜지 (5) 의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에 용접되고,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들이 링 플랜지 (5) 의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에 용접된다.
단계 c) 에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가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주위에 장착된다.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분들을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위에 결합시킴으로써 장착된다.
단계 d) 에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가 링 플랜지 (5) 의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부착된다.
단계 e) 에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가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주위에 장착된다.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분들을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위에 결합시킴으로써 장착된다.
단계 c) 및 단계 e) 에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각각은 링 플랜지 (5) 가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제 1 평면 (P1) 에 대해 각각 각도를 이루는, 예를 들어 10-90도 범위 또는 45-90도 범위의 각도, 또는 약 90도 또는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평면 (P2) 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단계 f) 에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가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대향하는 링 플랜지 (5) 의 제 2 플랜지 표면 (7b) 에 부착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과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이 서로 고정적으로 조립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링 플랜지 (5) 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및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은 링 플랜지 부분들 (5a 및 5b) 이 용접 공정 중에 그들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용접 공정 중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일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은 제 1 링 플랜지 부분 (5a) 을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과 함께 취할 때에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의 에지들과 만나도록 배열된 에지들 상에 스터드, 힐 또는 러그를 가질 수도 있다. 스터드, 힐 또는 러그는 제 2 링 플랜지 부분 (5b) 의 에지들에서 대응하는 개구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될 수있다. 이는 링 플랜지 (5) 가 용접 중에 고정된 위치에 남아있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단계 g) 에서, 케이싱 (3) 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주위에 그리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주위에 장착된다. 케이싱 (3) 은 그의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부분들을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위에 결합시킴으로써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주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을 조작하기 위해 예를 들어 크레인이 연결될 수 있는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에 의해 작동될 준비가 된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선박, 예를 들어 케이블 캐러셀에 적재하기 전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과 조립될 수 있다. 대안 적으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선박에 적재되었을 때에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에 장착될 수 있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예를 들어 케이블 단부로부터 1-10 미터 내에서 또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을 따르는 임의의 다른 곳에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물체와의 결합의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를 더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케이싱 (3) 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가 제 1 원주 홈을 갖고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가 제 2 원주 홈을 갖는 변형예에서, 이들 2 개의 원주 홈들은 충전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일시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케이싱 (3) 이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주위에 배열되지 않는 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의 표면을 더욱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금속, 예를 들어 아연도금된 (galvanised) 강,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재료로 제조된다. 링 플랜지가 만들어지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외장 와이어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외장 와이어, 링 플랜지 (5),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및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는, 용접 절차를 용이하게 하고 아연 도금 부식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외장형 해저 파워 케이블을 들어올리고, 결합하고, 당기고, 고정하고 그리고 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해양 구조물에서의 해양 케이블 설치에 관련된 다수의 상이한 상황에서 이용되도록 적응된 다목적 공구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개념이 몇 가지 예를 참조하여 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전술한 것들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가능하다.

Claims (13)

  1. 외장형 (armoured) 고전압 케이블 (C) 용의 금속제의 임시 로드 (load) 고정 디바이스 (1) 로서, 상기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는,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링 플랜지 (5) 로서, 상기 링 플랜지 (5) 는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 (W) 를 상기 링 플랜지 (5) 에 용접하기 위한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및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을 갖고, 상기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은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은 상기 제 1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 플랜지 (5),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로서,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주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 (7a) 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로서,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주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대향하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2 플랜지 표면 (7b) 에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플랜지 표면 (7b) 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제 1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및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케이싱 (3) 으로서, 상기 케이싱 (3) 은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주위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싱 (3) 은 상기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갖는, 상기 케이싱 (3)
    을 포함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 상태에서 상기 링 플랜지 (5) 는 제 1 평면 (P1) 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고,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각각은 상기 제 1 평면 (P1) 에 대하여 각각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평면 (P2) 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3) 은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와 회전가능하게 결합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케이싱 (3) 과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사이의 그리고 상기 케이싱 (3) 과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사이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제 1 원주 홈 (9a) 을 갖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제 2 원주 홈 (11a) 을 갖고, 상기 케이싱 (3) 은 상기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원주 홈 및 상기 제 2 원주 홈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전체 주변을 따라 복수의 축방향 홈들 (15a-15d) 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3) 과 상기 링 플랜지 (5) 사이의 상대 회전을 잠금하여서 상기 케이싱 (3) 과 각각의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 (3) 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링 플랜지 (5) 의 상기 축방향 홈들 (15a-15d)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장착되도록 배치된 열적 보호 시스템 (13) 을 포함하고, 상기 링 플랜지 (5) 는 상기 열적 보호 시스템 (13) 주위에 장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는 복수의 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는 복수의 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 2 플랜지 표면 (7b) 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9.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금속제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1) 를 장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은 다음의 단계들,
    a)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링 플랜지 (5) 를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b)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 (W) 를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에 용접하고,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의 외장 와이어 (W) 를 상기 제 1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에 용접하는 단계,
    c)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를 상기 제 1 외장 부착 표면 (5c)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d)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를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를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 (7a) 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e)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를 상기 제 2 외장 부착 표면 (5d)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f)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를 상기 제 1 플랜지 표면 (7a) 에 대향하는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제 2 플랜지 표면 (7b) 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를 상기 제 2 플랜지 표면 (7b) 으로부터 멀어지게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케이싱 (3) 을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주위에 그리고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주위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에 크레인의 제 1 후크를 부착하고 크레인의 제 2 후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에 의해 상기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 (C) 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단계 c) 및 e) 에서,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의 각각은 링 플랜지 (5) 가 길이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는 제 1 평면 (P1) 에 대해 각각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평면 (P2) 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플랜지 (5) 의 전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축방향 홈들 (15a-15d) 이 분포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케이싱 (3) 에 잠금 부재 (17) 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 (3) 과 상기 링 플랜지 (5) 사이의 상대 회전을 잠금하여서 상기 케이싱 (3) 과 각각의 상기 제 1 테이퍼링 보강 부재 (9) 및 상기 제 2 테이퍼링 보강 부재 (11) 사이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잠금 부재 (17) 를 축방향 홈 (15a-15d) 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KR1020187003352A 2015-07-03 2015-07-03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KR102233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5/065211 WO2017005278A1 (en) 2015-07-03 2015-07-03 A temporary load securing device for an armoured high voltage cable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related operations of an armoured high voltage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997A KR20180022997A (ko) 2018-03-06
KR102233792B1 true KR102233792B1 (ko) 2021-03-30

Family

ID=5349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352A KR102233792B1 (ko) 2015-07-03 2015-07-03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98126B2 (ko)
EP (1) EP3317932B1 (ko)
JP (1) JP6556878B2 (ko)
KR (1) KR102233792B1 (ko)
AU (1) AU2015401841B2 (ko)
BR (1) BR112017028120B1 (ko)
CA (1) CA2991248C (ko)
ES (1) ES2753366T3 (ko)
WO (1) WO2017005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402023T3 (da) * 2017-05-08 2023-07-10 Nkt Hv Cables Ab Trækhoved til et højspændingskabel
MX2020005095A (es) * 2017-11-15 2020-08-13 Mountain Productions Inc Deslizador de cadena.
CN108397597B (zh) * 2018-03-28 2019-08-27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气缸气管平衡海管连接作业施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0370A (ja) 2012-01-17 2013-08-01 Viscas Corp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JP2014023371A (ja) 2012-07-23 2014-02-03 Viscas Corp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72416C (no) * 1991-02-11 1993-07-14 Alcatel Stk As Fremgangsmaate og konnektor for sammenkobling av to elektriske ledere med isolasjonskapper
NO176368C (no) 1992-10-08 1995-03-22 Viking Mjoendalen As Böyningsbegrensende anordning
FR2820555B1 (fr) * 2001-02-06 2003-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assage de cable etanche et modulaire a positionnement de cable facilite et manchon equipe d'un tel passage
GB0321680D0 (en) * 2003-09-16 2003-10-15 Tyco Electronics Raychem N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otective casing component and an element for forming a protective casing component
US8624109B2 (en) * 2007-03-21 2014-01-07 Nkt Cables Ultera A/S Termination unit
KR20110100356A (ko) * 2010-03-04 2011-09-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FR2971322B1 (fr) * 2011-02-03 2014-05-02 Saipem Sa Limiteur de courbure de ligne flexible sous-marine et installation de liaison fond-surface en comprenant
EP2696123A1 (en) * 2012-08-06 2014-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Cable hang-off arrangement
DE202014102569U1 (de) * 2014-06-02 2014-07-03 STALVOSS GmbH & Co. KG Schutzanordnung für die Verlegung von Seekabel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0370A (ja) 2012-01-17 2013-08-01 Viscas Corp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JP2014023371A (ja) 2012-07-23 2014-02-03 Viscas Corp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8120A2 (pt) 2018-08-28
JP6556878B2 (ja) 2019-08-07
CA2991248C (en) 2022-05-10
ES2753366T3 (es) 2020-04-08
KR20180022997A (ko) 2018-03-06
AU2015401841A1 (en) 2018-02-08
JP2018527866A (ja) 2018-09-20
EP3317932B1 (en) 2019-08-28
EP3317932A1 (en) 2018-05-09
WO2017005278A1 (en) 2017-01-12
AU2015401841B2 (en) 2020-04-09
BR112017028120B1 (pt) 2022-05-10
CA2991248A1 (en) 2017-01-12
US10498126B2 (en) 2019-12-03
US20180198268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792B1 (ko)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EP1980778A2 (en) Pipe clamp
GB2546066A (en) Protection assembly for an elongate member deployed underwater
EP3645930B1 (en) Bend restrictors
US20200135361A1 (en) Reinforced Submarine Power Cable
US11268646B2 (en) Bending restrictor
US20220416525A1 (en) Cable Protection
US9742179B2 (en) Conduit and end fitting for offshore cable assembly
US8955593B2 (en) Damping sleeve and anchoring method
WO2015071680A1 (en) Cable installation and/or protec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GB2555113A (en) Cable termination assembly
JP2013086796A (ja) 船舶操縦装置及び船舶操縦装置の製作方法
WO2019104366A1 (en) Buoyancy module
EP3583339B1 (en) Tower with integrated winch
JP2018033278A (ja) 管状体および管状体接続構造物
JP6097772B2 (ja) 電力ケーブルの修理用ジョイント
WO2015158367A1 (en) A method for a subsea power cable installation procedure
KR20140012409A (ko) 풍력발전기
US20170109979A1 (en) Bend Stiffener With Bend Indication
TW202111205A (zh) 風力懸掛
US10189688B2 (en) Winch drum with internal wire storage
AU2013274972B2 (en) Device for connecting first and second elongated members
JP2021534723A (ja) ウインドハングオフ
KR20150041865A (ko) 선박용 쓰러스터 해상 설치용 리프팅 와이어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에 의한 쓰러스터 설치방법
KR20130127643A (ko) 케이블 분기 포설용 펀치형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