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356A -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356A
KR20110100356A KR1020100019273A KR20100019273A KR20110100356A KR 20110100356 A KR20110100356 A KR 20110100356A KR 1020100019273 A KR1020100019273 A KR 1020100019273A KR 20100019273 A KR20100019273 A KR 20100019273A KR 20110100356 A KR20110100356 A KR 20110100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support
steel wire
wire connection
externa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0356A/ko
Publication of KR2011010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4Submarin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incorporating transformers, loading coils or amplifiers
    • H02G15/1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incorporating transformers, loading coils or amplifiers specially adapted for submarin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케이블들을 접속할 시에 전력케이블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외장 강선들을 일체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력케이블의 도체들이 접속된 부위 둘레를 감싸며 위치하는 내측 지지대와, 내측 지지대의 양단 외주면에 배치된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들을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서 각각 감싸 가압하는 외측 지지대들과,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 위치한 외측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여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Connection Tool of Armor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케이블들을 접속할 시에 전력케이블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외장 강선들을 일체로 연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전력케이블 중에서 강성이 요구되는 해저케이블과 같은 경우에는 코어가 되는 도체의 둘레에 절연층이 위치하며 외측에는 외장 강선들이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해저케이블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해저케이블을 설치한 후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 해저케이블을 절단하고 재접속하게 되는데, 코어인 도체 및 절연층의 접속은 다른 전력케이블의 접속 방식과 유사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외측에 위치하는 외장 강선을 연결하는 기술은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저케이블의 외장 강선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 가닥의 외장 강선과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케이블(10)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코어(11)가 되는 도체 및 절연층을 접속하고, 외부로 노출된 외장 강선(13)들을 상호 대응시켜 연결한다.
외장 강선(13)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하고자 하는 외장 강선(13)의 양단에 수나사(15)를 형성한 후에 연결구(20)의 양단에 형성된 암나사공(21)에 외장 강선(13)의 수나사(15)를 체결하여 연결한다. 여기에서 연결구(20)의 양단에 형성된 암나사공(21)은 왼나사와 오른나사이며, 외장 강선(13)에 수나사(15)를 가공할 때에도 연결구(20)의 체결을 고려하여 왼나사 및 오른나사를 가공한다.
연결구(20)의 중심에는 구멍(23)이 형성되어 외장 강선(13)의 수나사(15)를 연결구(20)의 양단 암나사공(21)에 체결한 후, 구멍(23)에 막대 등을 끼워 연결구(20)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구(20)의 양단에 체결된 외장 강선(13)이 조여져 긴장된다.
종래와 같이 외장 강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장 강선에 탭가공을 하여야 함에 따라 장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외장 강선을 한 가닥씩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작업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구로 외장 강선들을 개별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외장 강선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모두 다르며, 이와 같이 연결된 외장 강선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다름에 따라 접속된 전력케이블의 휘거나 변형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접속하고자 하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력케이블의 도체들이 접속된 부위 둘레를 감싸며 위치하는 내측 지지대와, 내측 지지대의 양단 외주면에 배치된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들을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서 각각 감싸 가압하는 외측 지지대들과,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 위치한 외측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여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 지지대는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꼬깔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꼬깔부의 외주에는 제1돌기들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지지대의 내경은 상기 꼬깔부와 대응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장되며, 외측 지지대의 내주면에는 제2돌기들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 위치한 두 외측 지지대의 플랜지는 체결부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는 볼트와 너트로서, 볼트가 플랜지의 볼트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되어 조이면 두 외측 지지대가 근접하면서 내측 지지대와 외측 지지대 사이의 외장 강선을 가압 고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는 전력케이블의 도체 및 절연층을 연결한 후에 노출된 외장 강선을 한꺼번에 연결할 수 있어 작업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는 종래와 같이 외장 강선에 탭 가공을 하지 않고 절단된 상태의 외장 강선을 바로 연결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접속된 전력케이블에 걸리는 인장력이 균일하여 전력케이블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저케이블의 외장 강선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한 가닥의 외장 강선과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을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을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110)는 접속된 코어(101)의 둘레에 위치하며 양단의 외측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외장 강선(103)들이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내측 지지대(120)와, 상기 내측 지지대(120)의 외측면에 지지된 외장 강선(103)들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외측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내측 지지대(120)와 외측 지지대(130)의 사이에 외장 강선(103)이 압착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전력케이블(100)의 코어(101)는 내측 지지대(120)의 안쪽에서 접속되고 전력케이블(100)의 외장 강선(103)들은 내측 지지대(120)와 외측 지지대(130)에 물려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대(120)는 실린더 구조로서, 내측 지지대(120)의 양단부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꼬깔부(121)가 형성되고, 내측 지지대(120)의 안쪽으로 접속된 코어(101)가 위치한다.
그리고 내측 지지대(120)의 꼬깔부(121) 외주에는 제1돌기(123)들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데, 제1돌기(123)는 내측 지지대(120)의 양단 즉 바깥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함에 있어 걸림이 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돌기(123)는 그 단면이 직각삼각 구조이며, 직각삼각형에 있어 가장 작은 내각의 꼭짓점이 내측 지지대(120)의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돌기(123)의 구조는 외장 강선(103)이 꼬깔부(121)를 따라 내측 지지대(120)의 단부로 미끄러져 내려감에 있어 걸림이 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내측 지지대(120)의 중간부는 길이방향으로 평편한 원주면을 갖는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보이듯이, 외측 지지대(130)는 내측 지지대(120)의 양측 꼬깔부(121)와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며, 내측 지지대(120)의 중간부에서 각각의 외측 지지대(130)에 형성된 플랜지(131)가 상호 접한다.
이와 같이 외측 지지대(130)의 내주는 상기 꼬깔부(121)와 대응하도록 외측 지지대(130)의 바깥 단부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장되며, 내주면에는 제2돌기(133)들이 형성된다. 제2돌기(133) 또한 그 단면이 직각삼각형 구조이며, 직각삼각형의 가장 작은 내각의 꼭짓점이 외측 지지대(130)의 바깥 단부를 향하도록 외측 지지대(130)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다. 제2돌기(133) 또한 외장 강선인 외측 지지대(130)의 내주면과 접한 상태로 플랜지(131)가 위치한 안쪽 단부에서 바깥 단부로 미끄러져 나감에 있어 걸림이 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내측 지지대(12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2개의 외측 지지대(130)는 플랜지(131)들이 정렬된 상태에서 체결부(140)인 볼트(141)와 너트(143)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110)에 있어서, 전력케이블(100)의 외장 강선(103)들은 내측 지지대(120)와 외측 지지대(130)의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를 이용한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전력케이블(100)에 있어, 양측 전력케이블(100)을 각각의 외측 지지대(130)의 중공에 끼운 후 외측 지지대(130)가 양측 전력케이블(100)의 길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외측 지지대(130)의 플랜지(131)는 절단된 부위를 향해 위치하도록 외측 지지대(130)의 중공에 전력케이블(100)을 끼운다. 그리고 어느 한 쪽의 전력케이블(100)을 내측 지지대(120)의 중공에 끼워 내측 지지대(120)가 전력케이블(100)의 길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절단된 양측 전력케이블(100)의 코어(101)를 상호 연결하고 외장 강선(103)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내측 지지대(120)의 중간부가 코어(101)의 접속 연결부위에 위치하도록 내측 지지대(120)를 이동시킨 후, 양측 전력케이블(100)의 외장 강선(103)들이 내측 지지대(120)의 양단 꼬깔부(121) 외측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외장 강선(103)들은 내측 지지대(120)의 제1돌기(123)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측 전력케이블(100)의 길이 안쪽에 위치한 외측 지지대(130)를 내측 지지대(120)의 꼬깔부(121)를 감싸도록 위치한다. 그러면 외장 강선(103)은 내측 지지대(120)의 제1돌기(123)와 외측 지지대(130)의 제2돌기(133)에 접한 상태로 위치하며, 양측에 위치한 두 외측 지지대(130)의 플랜지(131)는 상호 대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131)를 정렬하고 플랜지(131)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141)를 끼운 후에 볼트(141)에 너트(143)를 나사체결한 후 조이면, 나사체결력에 의해 두 외측 지지대(130)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장 강선(103)은 제1돌기(123)와 제2돌기(133)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외장 강선(103)들이 내측 지지대(120)의 꼬깔부(121)와 외측 지지대(130)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됨에 따라 절단된 전력케이블(100)의 외장 강선(103)들은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11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플랜지(131)의 볼트공 모두에 볼트(141)를 체결함으로써 전력케이블(100)의 원주를 따라 위치한 외장 강선(103)에는 균일한 인장력이 인가되어 전력케이블(100)이 휘는 등의 변형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100 : 전력케이블 101 : 코어
103 : 외장 강선 110 : 연결접속구
120 : 내측 지지대 121 : 꼬깔부
123 : 제1돌기 130 : 외측 지지대
131 : 플랜지 133 : 제2돌기
140 : 체결부 141 : 볼트
143 : 너트

Claims (5)

  1. 연결하고자 하는 전력케이블의 도체들이 접속된 부위 둘레를 감싸 위치하는 내측 지지대와,
    내측 지지대의 양단 외주면에 배치된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들을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서 각각 감싸 가압하는 외측 지지대들과,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 위치한 외측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여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 지지대는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꼬깔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꼬깔부의 외주에는 제1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3. 제2항에 있어서,
    외측 지지대의 내경은 상기 꼬깔부와 대응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장되며, 외측 지지대의 내주면에는 제2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측 지지대의 양단에 위치한 두 외측 지지대의 플랜지는 체결부에 의해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5. 제4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볼트와 너트로서, 볼트가 플랜지의 볼트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가 체결되어 조이면 두 외측 지지대가 근접하면서 내측 지지대와 외측 지지대 사이의 외장 강선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KR1020100019273A 2010-03-04 2010-03-04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KR20110100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73A KR20110100356A (ko) 2010-03-04 2010-03-04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73A KR20110100356A (ko) 2010-03-04 2010-03-04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56A true KR20110100356A (ko) 2011-09-14

Family

ID=4495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273A KR20110100356A (ko) 2010-03-04 2010-03-04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03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997A (ko) * 2015-07-03 2018-03-06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997A (ko) * 2015-07-03 2018-03-06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용의 임시 로드 고정 디바이스 및 외장형 고전압 케이블의 설치-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5859B2 (ja) 結合楔形タップコネクタ
US20150345667A1 (en) Geared spacer assembly for conductor bundle
US9905942B2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s of cables
JP4609704B2 (ja)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部の組み立て方法
US9721699B2 (en) Water-stop structure for wire harness
US8926246B2 (en) Bolt support structure
WO2018190096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5274693B1 (ja) 電力ケーブル用接続器
JP5794434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JP6515996B2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110100356A (ko)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JP2010257636A (ja) 電線接続用具
CN109314382B (zh) 用于支撑线缆的耐张结构
WO2017175701A1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5870864A (zh) 一种快速接续耐张线夹
KR101482926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절연통 체결 구조
JP5875187B2 (ja)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RU2383979C1 (ru) Анкерный зажим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типа восьмерки
JP2015072810A (ja) 接続スリーブ、及び接続スリーブによる合成電線の結合構造
CN201152904Y (zh) 预绞式光缆引下线夹组件
KR20110100357A (ko) 전력케이블의 외장 강선 연결접속구
JP2013162634A (ja)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JP5871425B2 (ja) 波付シースケーブルの把持構造、波付シースケーブルの把持方法およびクロージャ
KR200493060Y1 (ko) 전선용 현수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