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623B1 - 차량용 무시동 히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시동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623B1
KR102233623B1 KR1020210003373A KR20210003373A KR102233623B1 KR 102233623 B1 KR102233623 B1 KR 102233623B1 KR 1020210003373 A KR1020210003373 A KR 1020210003373A KR 20210003373 A KR20210003373 A KR 20210003373A KR 102233623 B1 KR102233623 B1 KR 10223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fuel
elastic member
dispos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현
Original Assignee
원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현 filed Critical 원영현
Priority to KR102021000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b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6Ai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카라반 내부에 배치되는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에 배치되고, 차량 내부의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버너 및 연료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를 상기 버너에 제공하는 연료펌프; 상기 탱크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연료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및 연료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연료펌프를 지지하고, 상기 연료펌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핑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댐핑부재를 통해 연료펌프를 상기 탱크바디에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연료펌프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탱크바디를 통해 차량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시동 히터{Heater without ignit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시동 히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환경은 경제와 문화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가계 소득 증가에 따라 각 가정의 가계지출에서 레저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며 앞으로도 국내 레저관련 비용지출은 더욱 늘어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캠핑을 비롯하여 캠핑카를 이용한 레저활동이 활발하다. 캠핑카는 장기간의 드라이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자동차를 말한다.
캠핑카는 육로로 이웃나라를 여행할 수 있는 유럽 등지에서 활성화되었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주 5일 근무와 맞물려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레저형 차량 즉 캠핑카를 이용한 장거리여행이 붐을 이루고 있다.
캠핑카는 버스나 차내를 가옥과 같이 개조하여 차량을 겸할 수 있는 타입과, 트레일러와 같이 자동차에 의해 견인되는 웨건 타입으로 구분되며, 그 내부에는 여행 중 숙박 및 취사가 가능하도록 침실을 비롯하여 화장실, 주방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캠핑카에는 그 부대시설로서 샤워 등에 필요한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기와, 실내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시설, 취사를 위한 조리기구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대시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에너지원으로 전기와 경유, 가스(LPG)를 필요로 한다.
상기 캠핑카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는 차량용 축전지로 부터 공급받기도 하나 운행중이 아니라면 그 사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야영지에 마련된 외부전력을 끌어와서 사용하게 되는데, 야영지의 여건에 따라 외부전력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전기에 작동되는 부대시설의 사용이 어렵다.
일반적인 캠핑카는 공기가열식 히터를 사용하여 내부를 난방한다.
동절기에 캠핑카 내에서 취침을 하는 경우 난방을 위해 차량의 엔진을 켜두게 되면 연료소모가 매우 많아 비용 부담이 크며, 엔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에 의한 질식의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차량의 엔진을 이용하지 않는 무시동 히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무시동히터란 시동을 켜지 않은 채 실내외 공기를 직접 가열해 차량 내부로 그 열을 전달하는 난방장치를 가리키며, 기존의 엔진열을 이용한 난방방식에 비해 연료의 소모량이 1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용부담과 환경 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73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3015호
본 발명은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무시동히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료펌프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무시동히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카라반 내부에 배치되는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에 배치되고, 차량 내부의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버너 및 연료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를 상기 버너에 제공하는 연료펌프; 상기 탱크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연료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및 연료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연료펌프를 지지하고, 상기 연료펌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핑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연료펌프의 상측 및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연료펌프를 탄성지지하는 어퍼탄성부재; 상기 연료펌프의 하측 및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연료펌프를 탄성지지하는 로어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는 상기 댐핑부재를 통해 상기 브래킷에 메달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바디는, 차량의 내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는 브래킷베이스; 상기 브래킷베이스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어퍼프레임; 상기 브래킷베이스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로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탄성부재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어퍼탄성부재; 우측에 배치된 제 2 어퍼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어퍼탄성부재 및 제 2 어퍼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댐핑부재를 통해 연료펌프를 상기 탱크바디에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연료펌프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탱크바디를 통해 차량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 연료펌프의 작동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3점 지지된 3개의 탄성부재를 통해 진동이 탱크바디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연료펌프 및 연료탱크 사이에 필터를 배치하여 진동이 연료탱크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필터가 견고한 구조물인 스탠드에 체결결합되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어퍼탄성부재 및 로어탄성부재를 통해 연료펌프의 진동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헬름홀츠 공명기의 작동원리를 이용한 헬름홀츠 홀 및 흡음부재를 통해 불가피하게 생성된 소음을 적극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가 배치된 캠핑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시동 히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펌프케이스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가 배치된 캠핑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시동 히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핑카에 설치된 무시동히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트럭과 같은 상업용 차량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차량이 아니 트레일러 또는 카라반과 같은 무동력 차량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히터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히터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배터리(10)는 차량에 내장된 배터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무시동히터만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자동차는 구동원에 따라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자동차와,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와, 화석연료 또는 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구분할 수 있고, 어느 구동원을 사용하던지 차량에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히터는 상기 배터리(1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무시동히터는, 차량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버너(20)와, 상기 버너(20)에 연료를 공급하는 탱크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너(20) 및 탱크어셈블리(100)를 분리되어 배치된다.
상기 버너(20) 및 탱크어셈블리(100)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버너(20)를 차량 내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열된 공기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버너(20) 및 탱크어셈블리(100)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탱크어셈블리(100)에 저장되는 연료를 사용자가 위치하는 차 내부와 분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버너(20) 및 탱크어셈블리(100)를 분리함으로써, 연료 냄새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탱크어셈블리(100)는, 차량 또는 카라반 내부에 배치되는 탱크바디(60)와, 상기 탱크바디(60)에 배치되고, 상기 버너(20)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30)와, 상기 버너(20) 및 연료탱크(30)를 연결하고, 상기 연료탱크(30)의 연료를 상기 버너(20)에 제공하는 연료펌프(40)와, 상기 연료탱크(20) 및 연료펌프(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탱크(30)에서 공급된 연료를 여과하는 필터(50)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탱크(30)는 경유, 등유, 또는 가솔린과 같은 화석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연료탱크에 LPG 또는 LNG 등을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탱크(30)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탱크바디(60)는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연료탱크(30)가 상기 탱크바디(60)에 끼움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주행 중 상기 연료탱크(30)가 상기 탱크바디(6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료탱크(30)가 상기 탱크바디(60)에 단순 거치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상기 탱크바디(60)는, 차량의 내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62)와, 상기 베이스(62)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스탠드(64)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탱크(30)의 바닥(33)은 상기 베이스(62)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62)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연료탱크(30)는 상기 베이스(62)에서 띄워져 배치된다. 상기 연료탱크(30)가 베이스(62)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탱크어셈블리(100)의 무게중심이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2) 및 연료탱크(30) 바닥(32) 사이의 거리를 이격거리(D)로 정의한다.
상기 탱크바디(60)는 구조적 형상을 통해 무게중심이 높게 형성되는 구조를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2) 및 스탠드(64)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탱크바디(60)는 금속재질을 90도 벤딩하여 상기 베이스(62) 및 스탠드(64)를 제작한다.
상기 베이스(62) 및 스탠드(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차량의 구조물에 체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2)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2)의 폭(W2)이 상기 연료탱크(30)의 폭(W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2)의 면적이 상기 연료탱크(30)의 바닥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30)의 바닥(33) 전체가 베이스(62)의 일단(62a) 및 타단(6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탱크(30)의 전면(31) 또는 후면(32)이 상기 일단(62a) 및 타단(62b)의 폭(W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탱크바디(60)의 구조를 통해, 상기 탱크바디(6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연통탱크(30)의 무게에 의해 탱크어셈블리(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64)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64)는 상기 연료탱크(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64)의 높이(H)는 상기 연료탱크(30)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30)의 주입구를 폐쇄하는 마개(35)는 상기 스탠드(64)의 상단(64a)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35)를 상단(64a) 보다 높게 배치함으로써, 마개(35)의 분리 시 스탠드(64)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료 주입 시에도 스탠드(64)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바디(60)는 "L"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스탠드(63)는 상기 베이스(62)의 타단(64b)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63)의 배면 측으로 베이스(62)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탱크어셈블리(10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탱크바디(60)는 "ㅗ" 형태로 제작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연료펌프(40)는 상기 연료탱크(30)의 연료를 상기 버너(20)로 강제 유동시킬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40)가 상기 스탠드(64)에 직접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연료펌프(40)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이 상기 탱크바디(60)를 통해 차량 내부로 전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펌프(40)를 상기 탱크바디(60)에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연료펌프(40)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이 탱크바디(60)를 통해 차량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펌프(40)는 상기 이격거리(D)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펌프(40)는 상기 바닥(33) 및 베이스(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62) 또는 스탠드(64)와 모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료펌프(40)를 상기 탱크바디(60)에서 설치하기 위한 진동저감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상기 진동저감어셈블리(200)는 상기 탱크바디(60)에 결합되고, 상기 연료펌프(40)의 하중을 지지하는 브래킷(210)과, 상기 브래킷(210) 및 연료펌프(40)를 연결하여 상기 연료펌프(40)를 지지하고, 상기 연료펌프(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핑부재(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펌프(40)는 상기 댐핑부재(220)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동시에 탄성지지된다.
상기 연료펌프(40)는 상기 브래킷(210)과 직접접촉되지 않고, 상기 브래킷(21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댐핑부재(220)는, 상기 연료펌프(40)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펌프(40)를 탄성지지하는 어퍼탄성부재(221)(222)와, 상기 연료펌프(4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펌프(40)를 탄성지지하는 로어탄성부재(223)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펌프(40)의 하중이 하측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탄성부재(221)(22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로어탄성부재보다 탄성력이 더 큰 재질을 사용할 경우 상기 어퍼탄성부재의 개수를 동일하게 1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펌프(40)는 3점에서 탄성지지된다.
상기 어퍼탄성부재(221)(222)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어퍼탄성부재(221)와, 우측에 배치된 제 2 어퍼탄성부재(222)를 포함한다.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가 모두 브래킷(2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 어느 하나가 상기 탱크바디(60)에 조립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료펌프(40)는 상기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에 의해 메달린 상태를 유지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어퍼탄성부재(221) 및 제 2 어퍼탄성부재(222)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로어탄성부재(223)은 제 1 어퍼탄성부재(221) 및 제 2 어퍼탄성부재(2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료펌프(40)는 제 1 어퍼탄성부재(221), 제 2 어퍼탄성부재(222) 및 로어탄성부재(223)에 의해 3점에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임의의 방향에서 충격 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3개의 탄성부재가 신장, 수축 또는 비틀림됨으로써 외력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펌프(40)의 작동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3점 지지된 3개의 탄성부재를 통해 진동이 탱크바디(60) 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탄성을 갖는 다른 형태의 탄성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브래킷(210)은 상기 스탠드(64)에 결합되는 브래킷베이스(212)와, 상기 브래킷베이스(212)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어퍼프레임(214)과, 상기 브래킷베이스(212)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로어프레임(216)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210)은 상하 높이보다 좌우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료펌프(4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베이스(212), 어퍼프레임(214) 및 로어프레임(216)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래킷베이스(212), 어퍼프레임(214) 및 로어프레임(216)은하나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된다.
상기 어퍼프레임(214) 및 로어프레임(216)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214) 및 로어프레임(216)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탄성부재(221)는 어퍼프레임(214)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어퍼탄성부재(222)는 어퍼프레임(214)의 우측에 결합된다.
상기 로어탄성부재(223)는 상기 로어프레임(216)에 결합된다.
브래킷(210)의 측부에 상기 필터(5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50)는 스탠드(64)에 체결결합된다. 상기 필터(50)는 상기 연료탱크(30) 및 연료펌프(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펌프(40)로 유동되는 연료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연료펌프(40)의 고장을 방지한다.
상기 연료탱크(30) 및 필터(5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관(71)과, 상기 필터(50) 및 연료펌프(4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관(72)과, 상기 연료펌프(40) 및 버너(20)를 연결하는 제 3 연결관(7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료펌프(40)가 상기 연료탱크(30)에 직접연결되지 않고, 상기 필터(50)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연료펌프(40)에서 생성된 진동이 연료탱크(30)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40) 및 연료탱크(30)가 연결관을 통해 직접연결될 경우, 상기 연료펌프(40)의 작동 중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연결관을 타고 상기 연료탱크(30)로 전파될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30)에 저장된 연료가 많을 경우에는 진동에 의한 공명음이 크지 않지만, 연료가 감소할수록 연료탱크(30)가 울리면서 소음이 크게 확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펌프(40) 및 연료탱크(30) 사이에 필터(50)를 배치하여 진동이 연료탱크(3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필터(50)가 견고한 구조물인 스탠드(64)에 체결결합되기 때문에 진동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관(71)은 상기 어퍼프레임(214)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연결관(72)은 상기 어퍼프레임(214) 및 로어프레임(2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40)가 상기 제 1 연결관(71) 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연료탱크(30)의 연료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연료펌프(4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료의 이동이 중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이 연료펌프(40)의 부하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50)는 상기 브래킷(210)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펌프(40)와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결관(71)의 일단은 상기 연료탱크(30)에 결합되고 타단(71b)이 상기 필터(5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연결관(71)의 일단(71a)은 상기 연료탱크(30)의 바닥(33)에 연결되고, 타단(71b)은 필터(50)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연결관(72)의 일단(72a)이 상기 필터(5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결합되고, 타단(72b)이 상기 연료펌프(40)의 타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관(72)의 타단(72b)은 상기 제 1 연결관(71)의 타단(71b) 보다 낮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연료의 자중을 이용해서 상기 연료펌프(40)로 유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 히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펌프케이스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히터의 연료펌프(40)는 펌프케이스(24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케이스(240)에는 헬름홀츠(Helmholtz) 공명주파수(Resonace Frequency)를 이용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헬름홀츠 홀(241)이 배치된다.
상기 펌프케이스(2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스(240)는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케이스(242)의 배면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244)의 배면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47)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247)가 상기 스탠드(64)에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47)가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를 한번에 관통하여 스탠드(64)에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이너케이스(242)는 사방이 막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44) 역시 사방이 막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42)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44)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242)의 내부에는 빈공간이 배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42)에 상기 펌프(40),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40)는 상기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를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42)에 메달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42)의 각 면은 상기 아우터케이스(244)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42)를 관통하게 헬름홀츠 홀(241)이 형성된다. 상기 헬름홀츠 홀(241)은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츠 공명기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츠 공명기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헬름홀츠 홀(241)의 면적, 홀의 길이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헬름홀츠 공명기의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2 연결관(72)은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의 타측을 관통하고,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 각각에 상기 제 2 연결관(72)을 위한 제 1 관통홀(242a)(244a)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연결관(73)은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의 일측을 관통하고,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 각각에 상기 제 3 연결관(73)을 위한 제 2 관통홀(242b)(244b)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관(72)은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관통홀(242a)(244a)들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펌프(4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연결관(73)은 마주보게 배치된 제 2 관통홀(242b)(244b)들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펌프(4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 사이에 흡음부재(2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245)는 다공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245)는 상기 이너케이스(242) 및 아우터케이스(244)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242)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245)는 상기 이너케이스(242)의 외측면을 모두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시동히터는 어퍼탄성부재(221)(222) 및 로어탄성부재(223)를 통해 연료펌프(40)의 진동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생성된 소음을 적극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을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버너 30 : 연료탱크
40 : 연료펌프 50 : 필터
60 : 탱크바디 62 : 베이스
64 : 스탠드 100 : 탱크어셈블리
210 : 브래킷 212 : 브래킷베이스
214 : 어퍼프레임 216 : 로어프레임
221 : 제 1 어퍼탄성부재 222 : 제 2 어퍼탄성부재
223 : 로어탄성부재

Claims (5)

  1. 차량 또는 카라반 내부에 배치되는 탱크바디;
    상기 탱크바디에 배치되고, 차량 내부의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버너 및 연료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를 상기 버너에 제공하는 연료펌프;
    상기 탱크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연료펌프의 하중을 지지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 및 연료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연료펌프를 지지하고, 상기 연료펌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댐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연료펌프의 상측 및 상기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연료펌프를 탄성지지하는 어퍼탄성부재; 및
    상기 연료펌프의 하측 및 상기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연료펌프를 탄성지지하는 로어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펌프는 상기 댐핑부재를 통해 상기 브래킷에 메달리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탄성부재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어퍼탄성부재; 및
    우측에 배치된 제 2 어퍼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어퍼탄성부재 및 제 2 어퍼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펌프는, 상기 제1 어퍼탄성부재, 상기 제2 어퍼탄성부재 및 상기 로어탄성부재를 통해 3점에서 탄성 지지되면서 상기 브래킷에 메달리게 배치되는 차량용 무시동히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바디는, 차량의 내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는 브래킷베이스;
    상기 브래킷베이스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어퍼프레임; 및
    상기 브래킷베이스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로어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시동히터.
  5. 삭제
KR1020210003373A 2021-01-11 2021-01-11 차량용 무시동 히터 KR10223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73A KR102233623B1 (ko) 2021-01-11 2021-01-11 차량용 무시동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73A KR102233623B1 (ko) 2021-01-11 2021-01-11 차량용 무시동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623B1 true KR102233623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373A KR102233623B1 (ko) 2021-01-11 2021-01-11 차량용 무시동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557B1 (ko) * 2021-05-28 2021-10-21 주식회사 네오오토 동파방지 및 열효율이 향상된 카라반
KR20230108062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유니캠프 무시동히터의 장착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13B1 (ko) * 2005-03-07 2006-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펌프 진동 및 소음 방지 구조가 구비된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32496A (ko) * 2006-10-10 2008-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소음방지용 연료탱크
KR200477303Y1 (ko) 2015-02-02 2015-05-28 강기현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KR101773015B1 (ko) 2017-05-02 2017-09-12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캠핑카용 난방장치
KR20170121620A (ko) * 2016-04-25 2017-11-02 신상훈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
KR20200120444A (ko) * 2019-04-13 2020-10-21 서상길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13B1 (ko) * 2005-03-07 2006-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펌프 진동 및 소음 방지 구조가 구비된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32496A (ko) * 2006-10-10 2008-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소음방지용 연료탱크
KR200477303Y1 (ko) 2015-02-02 2015-05-28 강기현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KR20170121620A (ko) * 2016-04-25 2017-11-02 신상훈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
KR101773015B1 (ko) 2017-05-02 2017-09-12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캠핑카용 난방장치
KR20200120444A (ko) * 2019-04-13 2020-10-21 서상길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557B1 (ko) * 2021-05-28 2021-10-21 주식회사 네오오토 동파방지 및 열효율이 향상된 카라반
KR20230108062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유니캠프 무시동히터의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623B1 (ko) 차량용 무시동 히터
WO2021218969A1 (zh) 车载式燃气轮机发电机组
CN216128367U (zh) 一种全地形车
US4961403A (en) Engine generator set for a vehicle
US6677684B1 (en) Auxiliary power generator
CN202783034U (zh) 一种汽车组合式安装支架
CN215284972U (zh) 联接有电池的车身
CN2280828Y (zh) 柴油发电机组底盘
CN215284372U (zh) 一种集成式尿素箱和燃油箱
CN204659558U (zh) 一种自行式房车
US6776451B2 (en) Motorhome HVAC system
CN211075688U (zh) 一种水滴式拖挂野营房车
JP3353104B2 (ja) 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KR20190132022A (ko)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바닥 난방 시스템
CN110682851A (zh) 一种水滴式拖挂野营房车
CN207747807U (zh) 一种拖挂旅居车
CN201296277Y (zh) 一种畜力牵引旅居车
CN207332992U (zh) 一种尿素罐支架
CN112271389A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箱的抗震散热系统
CN201818401U (zh) 一种柴油油箱用循环水式升温装置
CN219361153U (zh) 一种房车底盘骨架
CN206086512U (zh) 集成式房车专用厨房
CN219883779U (zh) 一种燃油加热器支架
CN216268925U (zh) 一种新型移动房屋
KR102271165B1 (ko) 캠핑차량용 후방확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