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617B1 -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617B1
KR102233617B1 KR1020190089851A KR20190089851A KR102233617B1 KR 102233617 B1 KR102233617 B1 KR 102233617B1 KR 1020190089851 A KR1020190089851 A KR 1020190089851A KR 20190089851 A KR20190089851 A KR 20190089851A KR 102233617 B1 KR102233617 B1 KR 10223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pop
notific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326A (ko
Inventor
정기덕
어수지
Original Assignee
정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덕 filed Critical 정기덕
Priority to KR102019008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화재수신기 회선에 대하여 전압변화 또는 무접점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어플케이션을 통해 건물에 상주하는 인원들이 화재감지기가 오작동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에 따라 푸쉬 알림을 전송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각 층별 또는 구역별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수신기(20)가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입력된 화재정보를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PC 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S30); 상기 PC 서버(50)가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처리하여 웹을 활용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전송하는 단계(S4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에서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스플레이(61)에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S50)는, 상기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인적정보에 대응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과정(S51); 상기 화재감지기(10)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61)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10)의 오작동 여부를 해당 층에 있는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는 과정(S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은, 상기 해당 층에 있는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해당 층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순서(A10); 상기 입력된 결과가 '화재(YES)'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20); 상기 입력된 결과가 '오작동(NO)'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Mobile Fire Notifying Application using Real-time Fire Detector malfunction estimating System and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화재수신기 회선에 대하여 무접점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어플케이션을 통해 건물에 상주하는 인원들이 화재감지기가 오작동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한 결과에 따라 푸쉬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재탐지설비란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를 건물 내 각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화재수신기에 작동위치를 표시하고 동시에 각 구역에 경보를 내보내는 설비이다.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가 모바일과 연동되어 활용되는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838516호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지역발전소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화재발생정보가 수신되는 화재수신기와,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발생위치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를 취득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용 프로토콜로 전송하는 다기능복합전송기와, 상기 다기능복합전송기로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수신하며 유해트래픽을 선별 및 차단하여 전송하기 위한 보안스위치와, 상기 보안스위치를 통해 화재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전송된 화재발생정보를 복호화하여 분석 및 저장하고 이상 상황 발생시 감시모니터로 이벤트를 표출하는 수집서버와, 본사에 설치되어 각 지역발전소의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용 프로토콜을 통해 화재발생정보를 수신하여 통합관리하고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본사측 통합서버와, 상기 본사측 통합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 푸쉬서버와, 지역발전소에서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되고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앱이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푸쉬서버로부터 이상 상황발생시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되면 설치된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앱을 통해 통지되고 인가된 미디어 데이터가 표시되는 지역발전소 이동단말기와, 지역발전소에서 취득된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지역발전소 이동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본사측 미디어분배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화재탐지설비가 모바일과 연동되어 활용되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9-0040887호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소방감지기; 상기 소방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소방수신기; 상기 소방수신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수신반 서버; 상기 수신반 서버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 받아 시스템에 등록된 연락처로 상기 소방감지기 및 비상구의 위치, 대피방향이 포함된 상기 소방감지기에 해당하는 도면 경로(웹주소)를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쉬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전송하고, 안전수칙과 대응방법, 긴급전화번호를 안내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에 로그인하여 상기 소방감지기의 위치별로 건물내부의 도면 또는 웹이미지를 등록하고, 상기 도면 또는 웹이미지에 경계구역명, 소방감지기 및 비상구의 위치, 대피방향을 등록하는 고객 PC; 및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도면 경로가 포함된 SMS 문자, 이메일, 어플 푸쉬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신 받아 상기 도면 경로를 클릭하면 상기 고객 PC에서 등록한 상기 소방감지기에 해당하는 도면 또는 웹이미지가 화면에 출력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실제 운영 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화재감지기가 오작동(불량 또는 환경적 요인)하여 경보가 출력되는 비화재경보가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현재 많은 건축물들이 자동경보 기능을 끈 상태(현장 확인 후 실제 화재일 경우만 수동 경보 출력)로 운영하고 있다. 왜냐하면 잦은 화재감지기 오작동(경보)은 건축물 내 상주 인원들에게 혼란을 주기 때문이다.
그 예로 2017년 2월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사고 수사결과 건물 준공 후 소방시설 법적점검을 할 때를 제외한 약 7년간 자동 화재경보 기능을 한번도 자동으로 운영한 적이 없었다는 충격적인 내용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소방청에서 각 지역 소방서에 화재경보 기능 자동운영 여부 단속하라는 지침이 있었고, 단속 및 지도를 통해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화재감지기의 잦은 오작동으로 인해 여전히 많은 현장은 화재 경보 자동 기능을 OFF한 채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아날로그 화재 감지기 설치가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화재감지기 설치 시 오작동을 줄일 수 있지만, 법적 설치사항이 아니며 고비용으로 대부분 건축물에는 설계 시 적용을 꺼린다. 그 결과 화재감지기 오작동으로 인한 "자동 화재경보 기능 off"는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최근 아날로그 화재감지기 적용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 규모 큰 대기업 위주)
둘째,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가 작동할 경우 실제 화재인지 화재감지기 오작동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실제 화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화재수신기를 보아야만 파악 가능하다. 그러나 화재수신기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1층에 있으며, 소방시설 관리자가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시설이므로 화재경보 출력 시 일반 인원이 화재 수신기를 확인하고 대응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화재수신기가 설치된 곳에서 상주 또는 관리하는 관리자(화재수신기 작동정보를 직접 볼 수 있는)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은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여 경보가 출력되면 화재감지기 위치정보를 전혀 알 지 못한 채 경보만 듣게되어 당황하게 된다.(소방담당자나 안전책임자 등도 포함. 화재 수신기가 실제로 다른 건물에 위치한 경우도 다수 존재)
이후 화재수신기를 확인한 인원이 전화를 통해 상황을 순차적으로 전파하며, 대부분 관계자가 현장 확인 또는 해당구역 상주인원과 화재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안내방송 등으로 공지하여 마무리된다.
화재 현장에 상주인원이 없으면 관계자가 직접 현장 확인을 할 때까지 화재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경보가 발생하면 건물에 있는 사람 개인의 선택에 따라 옥외로 대피 또는 옥내에 대기하게 되고, 상주인원들에게 실제 화재 또는 오작동 여부를 공지하기 전까지는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셋째, 화재감지기의 잦은 오작동(화재경보)으로 인해 상주인원들이 화재경보가 출력되어도 대피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화재 경보가 발생하더라도 오작동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 화재경보가 오랫동안(인명안전기준: 대피 시작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소 2~3분 이상) 지속되어서 불안감에 대피하거나, 사람의 육성 또는 안내방송을 통해 2차 화재경보를 할 경우, 그제서야 실제 대피하게 된다.
넷째, 건축물의 상주인원들은 화재 경보가 출력되더라도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대피 시 불안감이 증폭된다. 실제 대피 시 화재 위치정보를 알게 된다면 그 반대방향 등의 안전한 경로로 대피할 수 있고 사전 대응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대피 시 불안감이 감소된다.
등록특허 제10-1717774호 등록특허 제10-1838516호 공개특허 제10-2019-004088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재감지기 작동 시 위치정보를 스마트폰 앱(푸쉬알림)을 통해 상주인원들이 즉시 알 수 있고 그 위치에 상주하고 있는 모든 인력자원을 활용하여 화재 또는 오작동여부를 신속하게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각 층별 또는 구역별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수신기(20)가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입력된 화재정보를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PC 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S30); 상기 PC 서버(50)가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처리하여 웹을 활용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전송하는 단계(S4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에서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스플레이(61)에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S50)는, 상기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인적정보에 대응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과정(S51); 상기 화재감지기(10)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61)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10)의 오작동 여부를 해당 층에 있는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는 과정(S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은, 상기 해당 층에 있는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해당 층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순서(A10); 상기 입력된 결과가 '화재(YES)'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20); 상기 입력된 결과가 '오작동(NO)'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는, 상기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에서 입력되는 결과가 '예(YES)'인 경우, 화재감지기 오작동 푸쉬알림을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순서(A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는, 상기 화재수신기(20)가 R형 화재수신기(21)인 경우, 출력중계기(21b)를 통하여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를 작동시켜 화재정보를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과정(S2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는, 상기 화재수신기(20)가 P형 화재수신기(22)인 경우, 회로 작동시 접점변화로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를 작동시킴으로써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을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과정(S2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기(10)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과,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의 오작동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는 과정(S53)은, 소방서나 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의 연락처에 링크된 팝업창(F)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는 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화재 수신기에 필수 기능이 구비된 가성비 좋은 솔루션으로, 화재감지기 작동 후 모든 인력자원을 활용하여 화재 또는 오작동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구현하여 소비자 입장에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즉, 화재감지기 작동 시 해당 층에 있는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파악하여 등록된 사용자 모두(각 현장의 해당부서 책임자, 담당자 포함)에게 상황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화재발생정보 또는 화재감지기 오작동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어, 실용성과 실제 산업의 적용가능성이 현저하게 증대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감지기의 잦은 오작동으로 대피하지 않는 인원에게 실제 화재시 대피를 유도하여 전체 상주인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불안감을 갖는 상주 인원에게 화재감지기 작동 정보 및 신속한 오작동 공지를 통하여 미연의 혼란을 방지하여 신속한 대처 및 수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략적 실시 예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R형 화재수신기와 P형 화재수신기의 개략적 실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의 개략적 실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략적 실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 과정을 나타낸 실시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h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상 팝업된 화재정보상 알고리즘 순서도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팝업된 화재정보상 알고리즘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변형 실시 예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정정보의 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화재정보알림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10), 화재수신기(20),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 PC 서버(50), 모바일 디바이스(60)로 구성된다.
화재감지기(10)는 일반적인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에서 구비되어 건물 내부에 각 층별로 설치되며,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를 검출할 수 있는 화재감지장치로서, 차동식, 보상식, 정온식, 이온화식, 광전식, 열연기복합형 등 다양한 방식의 화재감지장치를 포함하며, 나열된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재감지기(10)를 포함한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건축물의 용도 및 면적 기준(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5)에 따라 적용 여부가 결정되며,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설치·유지하게 된다.
화재수신기(20)는 상기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로서,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R형 화재수신기(21)또는 P형 화재수신기(22)로 구성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R형 화재수신기(21)는 다중통신 방식으로 회선마다 고유신호를 취급하는 화재수신기로서 수신부(21a), 출력중계기(21b),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를 포함한다.
수신부(21a)는 상기 R형 화재수신기(21)에 내장되어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출력중계기(21b)는 상기 수신부(21a)에서 수신한 화재정보의 작동정보를 주로 시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다중통신방식을 통해 회선별로 고유신호를 주고받는 중계기(Repeater)로서, 후술할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에 화재정보를 출력 및 전송한다.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는 상기 출력중계기(21b)의 출력전압으로 작동되어 화재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할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를 통하여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출력중계기(21b)는 기 구비된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에 추가로 증설하여 기존설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P형 화재수신기(22)는 개별신호 이용방식으로 전 회선을 공통으로 취급하는 화재수신기로서 수신부(22a)와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를 포함한다.
수신부(22a)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22)에 내장되어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는 상기 수신부(22a)에서 수신한 화재정보 신호를 후술할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전송하는 장치로서 회로 작동시 접점변화로 작동하여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변환한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는 상기 화재수신기(20)로부터 화재신호를 후술할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송신하는 연결회선으로, 통상적인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선로를 의미한다.
상기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는 건물 층수별 또는 구역별로 별도 배선되어 실시간으로 몇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는 화재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화재수신기(20)의 종류에 따라 제 1 감지기 회로 각 선로(31)와 제 2 감지기 회로 각 선로(32)로 구성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감지기 회로 각 선로(31)는 상기 R형 화재수신기(21)의 출력중계기(21b)에서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를 작동시켜 화재정보 신호를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후술할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연결하여 전송하는 선로이다.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Dry Contact)이란 기계적인 접점만 출력되어 접점에 전압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접점 양쪽 단자만 연결되어 상기 R형 화재수신기(21) 동작시, 전원 출력이 발생하여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를 통해 후술할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화재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신호전달 방식이다.
상기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화재수신기(20)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화재신호 수신 방식으로 화재수신기(20)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에 관한 기술기준에 위배되지 않는 유일한 신호전달 방식이다.
상기 R형 화재수신기(21)를 일반적인 통신방식으로 타 설비와 연결할 경우 다양한 문제 발생이 예상되어 상기 기술기준에 따라 화재수신기(20)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화재감지기(10) 작동 시 방송장비와 연동하여 해당구역에 비상방송을 출력하기 위해 R형 화재수신기(21)와 디지털 방송장비를 485통신으로 연동하는 사례가 많다. 설치 후 화재수신기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나 시공자의 편의를 위해 계속 반복되고있다. 문제점은 방송장비 출력 시 화재수신기(20)에 연결되어 있는 각 층 전화 단자를 통해 방송이 흘러나오고, 화재수신기를 통해 일부 소방시설이 제어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방식은 적합하지 못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감지기 회로 각 선로(32)는 P형 화재수신기(22)의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에서 화재정보 신호의 접점변화를 통해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후술할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연결하여 전송하는 선로이다.
접점변화로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은 회로 작동시 접점변화를 통해 무전압 이보접점으로 변환하는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를 작동시킴으로써 후술할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각 회선별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신호전달 방식으로, 화재수신기(20) 회로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기존 설비 해체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는 상기 화재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하여 수신받아 후술할 PC 서버(50)로 전송하는 통신장치로서, 무접점 신호수신부(41)와 인터넷 통신부(42)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접점 신호수신부(4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점변화를 통한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화재수신기(2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로서, 전원포트(41a), 통신포트(41b), COM(41c), 회로포트(41d)를 포함한다.
회로포트(41d)는 건물 층수별 또는 구역별(하나의 층에 2개 이상 구역이 있는 경우)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층의 화재정보를 상기 감지기 회로 각 선로(30)에 연결되어 별도 배선으로 수신한다.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는 바람직하게 DC 24V 규격으로 구비되고, 난연재 또는 철판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PC 서버(50)는 건축물 내 기존 사용하고 있는 PC를 서버 기반으로 두고,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부터 입력된 화재정보를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전송받아 후술할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전송하는 서버 시스템이다.
상기 PC 서버(50)를 구현하기 위하여 해당 PC에 웹(Web)을 설치하고 상기 웹(고정 IP)을 통해 후술할 모바일 디바이스(60)로 푸쉬 알림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부여받은 고정 IP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해야 사용이 가능하여 건축물 내 등록된 사용자들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고정 IP 적용 시스템은 관공서 및 공공기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인트라넷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중암호화/복호화 모듈을 활용한 사용자 인증 기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미도시)
상기와 같은 PC 서버(50)의 구성을 통해 별도의 관리서버나 관제서버가 필요 없으므로, 매월 발생하는 외부 서버이용료를 절감하고 건축물 화재감지기 작동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해당 건물의 별도 관리서버나 관제서버를 두지 않고 건축물 내 기존 사용하고 있는 PC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PC 서버(50)를 이용함으로써, 실제 산업에 적용되어 뛰어난 가성비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는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상기 PC 서버(50)로부터 화재정보 데이터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모든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는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화재감지기(10) 작동 시 즉시 건물 상주인원에게 작동정보를 푸쉬 알림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는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61)를 포함한다.
이하,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MFNS, Mobile Fire Notification Sysyem)을 통해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하는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시스템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각 층별 또는 구역별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수신기(20)가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입력된 화재정보를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PC 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S30); 상기 PC 서버(50)가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처리하여 웹을 활용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전송하는 단계(S40);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에서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S50)는,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인적정보에 대응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과정(S51); 상기 화재감지기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의 오작동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는 과정(S53)으로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인적정보에 대응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과정(S51)은 회원정보 입력 순서(S51a); 관리자 승인 순서(S51b); 사용자 로그인 순서(S51c) 및 건축물 비밀번호 입력 순서(S51d)로 구성된다.
도 7의 (가)를 참조하면, 회원정보 입력 순서(S51a)에서는 아이디 입력, 비밀번호 설정, 이름 입력, 부서명 입력, 전화번호 입력을 통해 회원가입 승인 요청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 입력 순서(S51a)에 따라 회원가입한 경우, 사용자 정보(이름, 부서, 비밀번호, 휴대폰번호 등)를 통해 등록시 자동 로그인 상태 유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건축물 관리자는 상기 로그인 현황을 상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기(10)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은, 화재발생 위치를 포함한 화재감지기 작동정보를 확인하는 팝업창(P1)이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의 오작동 여부를 해당 층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일련의 알고리즘(A)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층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해당 층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순서(A10); 상기 입력된 결과에 따라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20)와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를 포함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해당 층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순서(A10)는, 상기 화재감지기 작동정보 확인 팝업창(P1)에서 '예(YES)' 입력을 한 해당 층의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해당 층의 실제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입력(화재/오작동)을 할 수 있는 팝업창(P2)을 제공한다.
상기 실화재 발생여부 판단 팝업창(P2)에서 '화재(YES)' 입력을 한 경우, 도 9에서 도시된 알고리즘(A)에 의거하여,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20)에 따른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 팝업창(P3)을 도 8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다.
상기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 팝업창(P3)에서 해당 층 사용자가 '예(YES)' 입력을 한 경우, 도 9의 알고리즘(A)에서 화재발생 대피 푸쉬알림 전송(A21) 순서에 해당하는 실화재발생 대피알림 팝업창(P4)을 도 8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 팝업창(P3)에서 '예(YES)' 입력을 한 사용자에게 소방서 또는 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의 연락처에 링크된 전화연결 팝업창(P5)을 도 8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연결 팝업창(F)에 링크된 소방서 또는 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의 연락처에 통화를 진행하는 경우, 통화연결이 고르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해당 층 사용자의 모바일에 연동되는 GPS 기반 위치정보를 주변 관제센터나 소방서로 화재발생정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자동 송신할 수 있다.(미도시)
한편, 상기 실화재 발생여부 판단 팝업창(P2)에서 해당 층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실수로 잘못 입력을 한 경우를 대비하여 재확인 팝업창을 생성할 수 있다.(미도시)
또한 이전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한 팝업창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고 상기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는 입력의 개수를 판단하여, 2개 이상인 경우(다수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 개수가 과반수를 초과하는 입력을 결과로 산출하여 도 9의 알고리즘(A)을 통해 제어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미도시)
즉, 실수로 잘못 입력한 사용자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다수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상기 알고리즘(A)을 구동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판단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화재 발생여부 판단 팝업창(P2)에서 해당 층 사용자가 '오작동(NO)' 입력을 한 경우, 도 9의 알고리즘(A)에 의거하여, 해당 층 사용자에게 화재감지기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하는 팝업창(P6)을 도 8g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다.
상기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 팝업창(P6)에서 해당 층 사용자가 '예(YES)' 입력을 한 경우, 도 9의 알고리즘(A)에서 오작동 푸쉬알림 전송(A31) 순서에 해당하는 오작동 푸쉬알림 팝업창(P7)을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도 8h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다.
한편, 상기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 팝업창(P6)에서 해당 층 사용자가 '취소(NO)' 입력을 한 경우,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 팝업창(P6)을 제거하거나,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 팝업창(P6)에서 입력을 잘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재확인 팝업창, 이전화면으로 돌아가기 메뉴를 포함한 팝업창, 다수 입력시 과반수 입력에 따라 알고리즘 구동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미도시)
한편, 상술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팝업창(P1~P7)은 최초 1회만 공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미 상기 팝업창(P1~P7)을 생성한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추가적으로 팝업창을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창(P1~P7)의 푸쉬 알림과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 진동과 경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창(P1~P7) 종류에 따라 진동의 세기와 경보알림 소리를 다르게 설정하여 등록된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고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실화재발생 대피알림 팝업창(P4)이 푸쉬알림되는 경우에는 도 10의 (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한 세기 진동과 위험알림음 경보를 제공하는 반면, 오작동 푸쉬알림 팝업창(P7)이 푸쉬알림되는 경우에는 도 10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약한 세기 진동과 맑은알림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기반으로 화재수신기(20)에서 화재감지기(10) 회로 작동 시 그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팀을 포함한 각 현장 책임자, 담당자 등에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쉬 알림(경보 포함)하여 화재감지기 작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상기 등록된 책임자, 담당자들이 신속하게 어플리케이션 등록 사용자들에게 전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기존 사내규정에 따라 임무가 부여된 어플리케이션 등록 사용자는 본인이 상주하고 있는 장소(건물 해당 층)의 화재발생 여부를 신속히 확인하여 그 결과(화재 또는 화재감지기 오작동)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속히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인원이 없을 경우 조금 늦게 도착한 안전팀 등의 관계자가 현장을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발생 여부를 공지할 수 있어 많은 현장에 설치 가능하고, 현존하는 화재감지기 작동 대응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국내 소방안전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화재감지기(10) 작동시 화재발생 위치정보와 오작동여부 정보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림하고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한 사용자들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혼란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현재까지 출시된 소방시설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솔루션과 차별화된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시스템(건물 내 모든 인적자원 활용 가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에서 건물이름, 화재 알림 이력, 설정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화재 알림 이력 메뉴에서는 화재감지기의 작동/오작동 및 화재발생 이력정보를 나타내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설정메뉴는 상기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로그인정보(사용자 로그인/관리자 로그인)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로그인인 경우, 도 1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알림설정, 알람시간설정, 경보설정, 진동설정 메뉴를 통해 화재알림 정보제공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공지사항 메뉴를 통해 상기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의 공지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로그인인 경우, 도 11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알림설정, 알람시간설정, 경보설정, 진동설정 메뉴는 사용자 로그인과 동일하되, 추가적으로 점검모드, 프로그램테스트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점검모드 메뉴에서는 기본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하면, 등록된 사용자 및 관리자의 푸쉬알림 상태가 Off로 자동변경되어 푸쉬알림 방식이 적용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1f를 참조하면 프로그램테스트 메뉴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60)와 관리자 PC 서버(50)의 웹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점테스트 메뉴를 구비하여 하드웨어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미도시)
도 11g를 참조하면, 공지사항 메뉴에서 관리자는 새로운 공지사항을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푸쉬알림 팝업처리 방식에서 사용자 로그인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60)에 등록된 건축물에 대해서만 푸쉬처리를 할 수 있고, 관리자 로그인인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가 관리하는 모든 건축물에 대한 푸쉬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관리자는 상기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에서 1개의 건축물 또는 다수 그룹의 건축물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관리할 수 있고, 상기 건축물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승인여부 처리 및 삭제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는 화재 알림 이력 메뉴에서 화재 이력을 처리하고 삭제할 수 있으며, 구분별 검색(화재작동/오작동/화재발생)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10 : 화재감지기 40 :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
20 : 화재수신기 50 : PC 서버
30 :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 60 :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10)

  1.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각 층별 또는 구역별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수신기(20)가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에 입력된 화재정보를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PC 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S30);
    상기 PC 서버(50)가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처리하여 웹을 활용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60)에 전송하는 단계(S4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에서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스플레이(61)에 출력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S50)는, 상기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인적정보에 대응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과정(S51); 상기 화재감지기(10)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61)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10)의 오작동 여부를 해당 층에 있는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는 과정(S53)으로 구성되며,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은, 상기 해당 층에 있는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해당 층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순서(A10); 상기 입력된 결과가 '화재(YES)'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20); 상기 입력된 결과가 '오작동(NO)'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 및, 상기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는, 상기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는 순서(A30)에서 입력되는 결과가 '예(YES)'인 경우, 화재감지기 오작동 푸쉬알림을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순서(A31)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는, 상기 화재수신기(20)가 R형 화재수신기(21)인 경우 출력중계기(21b)를 통하여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를 작동시켜 화재정보를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과정(S20a)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수신기(20)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단계(S20)는, 상기 화재수신기(20)가 P형 화재수신기(22)인 경우, 회로 작동시 접점변화로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를 작동시킴으로써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을 통해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는 과정(S20b)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기(10)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과,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의 오작동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는 과정(S53)은, 소방서나 건축물 소방안전관리자의 연락처에 링크된 팝업창(F)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는 순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팝업시키는 과정(S52)은, 다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팝업창을 공지하되, 상기 팝업창은 최초 1회만 공지하거나 이미 생성한 팝업창을 추가적으로 생성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팝업창은 화재감지기 작동정보를 확인하는 팝업창(P1),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입력을 할 수 있는 팝업창(P2),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 팝업창(P3), 실화재발생 대피알림 팝업창(P4), 전화연결 팝업창(P5),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하는 팝업창(P6), 오작동 푸쉬알림 팝업창(P7)으로 구성되어,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건물 내부에 각 층별로 설치되어 화재정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0);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위치가 포함된 화재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수신기(20);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화재정보가 감지기 회로의 각 선로(30)를 통해 입력되는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로부터 입력된 화재정보를 유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전송받는 PC 서버(50);
    상기 PC 서버가 수신한 화재정보를 웹을 활용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실시간 전송받는 모바일 디바이스(6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받은 화재정보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61)를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는, 상기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인적정보에 대응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화재감지기 작동시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를 푸쉬 알림방식으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팝업시키며,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을 기반으로 화재감지기의 오작동 여부를 해당 층의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직접 판단하여 입력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화재위치를 포함한 화재정보와 오작동여부를 전송하고,
    상기 팝업된 화재정보상 일련의 알고리즘(A)은,
    상기 해당 층의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해당 층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 결과를 모바일 화재알림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결과가 '화재(YES)'인 경우 해당 층 사용자에게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고,
    상기 입력된 결과가 '오작동(NO)'인 경우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오작동공지여부 푸쉬알림을 전송할 때 해당 층의 사용자(관리자 포함)가 입력하는 결과가 '예(YES)'인 경우, 화재감지기 오작동 푸쉬알림을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화재수신기(20)는 R형 화재수신기(21)이며, 상기 R형 화재수신기(21)는 수신한 화재정보의 작동정보를 전달하는 출력중계기(21b); 상기 출력중계기(21b)에서 출력된 화재정보의 작동정보를 수신하여 접점변화를 통해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변환하는 무접점 변환 릴레이(21c)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수신기(20)는 P형 화재수신기(22)이며, 상기 P형 화재수신기(22)는 회로 작동시 접점변화를 통해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변환하는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를 포함하고, 상기 무접점 변환 릴레이(22b)가 변환한 화재신호를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로 입력하고,
    상기 화재신호입력 통신장비(40)는 화재수신기(20)로부터 무전압 이보접점 방식으로 전송되는 화재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접점 신호수신부(41)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0)의 팝업은 다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팝업창을 공지하되, 상기 팝업창은 최초 1회만 공지하거나 이미 생성한 팝업창을 추가적으로 생성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팝업창은 화재감지기 작동정보를 확인하는 팝업창(P1),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입력을 할 수 있는 팝업창(P2), 화재발생 공지여부 푸쉬알림 팝업창(P3), 실화재발생 대피알림 팝업창(P4), 전화연결 팝업창(P5), 오작동 공지여부 판단하는 팝업창(P6), 오작동 푸쉬알림 팝업창(P7)으로 구분되어, 등록된 모든 사용자에게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9851A 2019-07-24 2019-07-24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KR10223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51A KR102233617B1 (ko) 2019-07-24 2019-07-24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51A KR102233617B1 (ko) 2019-07-24 2019-07-24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326A KR20210012326A (ko) 2021-02-03
KR102233617B1 true KR102233617B1 (ko) 2021-03-30

Family

ID=7457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851A KR102233617B1 (ko) 2019-07-24 2019-07-24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990A (ko) 2022-05-16 2023-11-23 최원우 스마트 화재발생 알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44B1 (ko) * 2021-05-14 2021-09-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IoT 기반 무선 수소화재 및 일반화재 겸용 불꽃 감지시스템
KR102530210B1 (ko) * 2021-05-31 2023-05-08 박길호 하이브리드 소방용 시설물 관리시스템
KR102668513B1 (ko) * 2021-09-29 2024-05-22 정기덕 화재경보 및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56405B1 (ko) * 2022-01-18 2022-10-19 주식회사 파이어텍 건물의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방법 및 소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6284A (ja) * 2012-03-19 2013-09-30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
JP2018106326A (ja) * 2016-12-26 2018-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774B1 (ko) 2016-05-31 2017-03-17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2023851B1 (ko) 2017-10-11 2019-09-23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1838516B1 (ko) 2017-12-28 2018-03-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6284A (ja) * 2012-03-19 2013-09-30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
JP2018106326A (ja) * 2016-12-26 2018-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支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990A (ko) 2022-05-16 2023-11-23 최원우 스마트 화재발생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326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617B1 (ko) 모바일 화재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실시간 오작동 판단 화재정보알림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23851B1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KR101796945B1 (ko) 웹 서버 및 이메일 통지를 갖는 흡인 환경 센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090644B1 (ko)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KR101842500B1 (ko)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935693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지진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4887670B2 (ja) 通信システム
JP681061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1023800B1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20200110982A (ko)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JP2023055960A (ja) 防災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器
KR20210061712A (ko) 객실 재난관리 시스템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280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668513B1 (ko) 화재경보 및 비화재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158940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102391895B1 (ko)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JP3732607B2 (ja) 防災監視制御用受信機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200100869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64552A (ko)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JP6956845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