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54B1 -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54B1
KR102233254B1 KR1020200169352A KR20200169352A KR102233254B1 KR 102233254 B1 KR102233254 B1 KR 102233254B1 KR 1020200169352 A KR1020200169352 A KR 1020200169352A KR 20200169352 A KR20200169352 A KR 20200169352A KR 102233254 B1 KR102233254 B1 KR 10223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keypad
de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이선구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피케이뉴
이선구
이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피케이뉴, 이선구, 이충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피케이뉴
Priority to KR102020016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장치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검증 장치는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증장치는 검출된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증장치는 근접하는 상기 객체를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객체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영역 내에서의 열 감지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열 감지 영역 내에서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based o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lock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장벽 사이에서의 사용자의 엑세스를 승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질 뿐만 아니라 청결하고 위생적인 삶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각종 기술과 제도가 발달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세기 산업화를 통해 전기, 통신, 상하수도, 도로, 항만, 공항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을 구축하고,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의무교육과 같은 사회제도를 확충하고, 각종 산업기술, 생활기술, 의료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우리국민들의 평균수명도 크게 증가하면서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2003년의 사스(SARS), 2015년의 메르스(MERS), 2020년의 코로나 바이러스 19(Corona virus 19)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바이러스와 신종 질병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깨우쳤다. 특히, 21세기 세계화 시대에는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 계속적으로 출현하는 신종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가 간의 협력과 정보공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감염병이 발생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대유행시기가 오는데,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일단 감염 의심자를 선별하여 건물 내의 출입을 통제하고 사람들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여 향후 자가격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신속히 구축하며 일단 감염자로 의심되는 사람을 최대한 선별하여 격리 조치하는 것이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되나, 가장 흔한 감염증상으로 고열을 유발하기 때문에, 공항, 각종 건물, 관공서, 병원 등의 장소의 출입구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한 후,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열화상을 통해 진입하는 사람들 중 고열자를 별도로 검출하는 방식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의 방식은 고열자가 검출되더라도, 후속대처들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에 의해 일일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후속대처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체될 뿐만 아니라 방역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2136837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2168651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2135633호
본 발명은 도어락장치와 검증장치를 연동하여 건물 내의 입출입을 통제하고 입출력 이력 관리에 따른 질병 확산의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질병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장치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검증 장치는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증장치는 검출된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증장치는 근접하는 상기 객체를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객체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영역 내에서의 열 감지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열 감지 영역 내에서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검증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 장치의 키패드에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상의 키패드에 마련된 지문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검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신장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의 표면이 지면과 이루를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상기 키패드의 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의 표면이 상기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키패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건물 내의 입출입 인원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건물에서 나가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비정상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어락장치의 잠금을 유지하고 미리 마련된 장소로 이동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건물로 출입할 때 검출되어 저장한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건물을 나가는 사용자의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사용자의 건물 출입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건물을 들어오기 위해 검증된 사람들의 정보를 검출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건물에 출입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장치의 잠금 유지 또는 잠금 해제를 통해 건물의 입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실시예는, 도어락장치와 검증 장치의 연동을 통해 건물 내로의 사람들의 입출입을 용이하게 통제하면서도 질병의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람들의 입출입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는,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얼굴 영역에서 눈물샘 부근인 열 감지 영역을 통해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를 정확히 식별함으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를 안면 인식으로 식별할 때의 부정학함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추정된 신장에 따라 키패드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과 키패드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는, 건물로 들어오는 사용자와 건물을 나가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특정하고 해당 사용자의 체온이 비정상적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건물 입출입 시간 동안의 다른 사람들을 식별하여 해당 다른 사람들에게 미리 지정된 장소로 즉시 이동하라고 경고함으로써 질병의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는,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사람들의 체온의 경우 외부 환경의 기온에 크게 영향을 받아 측정된 체온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져서 체온이 비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정상으로 탐지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을 나가려는 사람에 대한 체온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검증 컴포넌트를 가지는 전자잠금시스템에 건물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4는 검증 컴포턴트를 가지는 전자잠금시스템과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잠금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의 신장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계가 키패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검증장치에서 사용자의 얼굴 영역과 체온 정보가 나타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검증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각종 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검증 컴포넌트를 가지는 전자잠금시스템에 건물에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4는 검증 컴포턴트를 가지는 전자잠금시스템과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잠금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잠금시스템(100)은 도어락장치(110)와 검증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장치(110)와 검증장치(12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랑장치(110)와 검증장치(120)는 서로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증장치(120)는 자신의 동작 상태 정보 및 도어락장치(11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장치(120)는 체온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하기 위한 옵션 또는 인사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터치 또는 비터치 대화형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장치(120)는 및 사용자를 검증하고 도어락장치(110) 외에 다른 전자 장치나 각종 센서(내장형, 이식형 센서나 화학 또는 바이오 센서, 착용형 센서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장치(120)는 터치 스크린, 기계식 스위치, 터치 감지 스위치, 디스플레이, 그래픽 및/또는 터치 인터페이스, 가상 어시스턴트(예를 들어 음성으로 작동 가능한 AI 장치), 센서, 카메라, 수신기, 송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증장치(120)에 구비된 센서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 손바닥 특징과 같은 터치 및 비터치 상호 작용을 통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수집하기 위한 장치, 음성, 신체 크기, 색상, 모양, 자세 등과 같은 기타 개인 식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장치(120)에 구비된 센서는 환경 센서로서 예를 들어, 모션 센서, 카메라 및 근접 센서, 주변 광 센서와 같은 기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술한 센서의 적어도 일부의 센서 장치는 도어락장치(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생체 정보, 비디오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더 나은 조명 조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입구에서 편리한 야간 조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 발광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 예를 들어 니켈 카드뮴 (NiCd), 리튬 (Li), AA, AAA, 및/또는 재충전 가능한 커패시터, 예를 들어 슈퍼 커패시터 (SC) 또는 울트라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락장치(110) 및 검증장치(12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다른 전자장치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력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와 같은 임의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인증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장치(130) 및 수집된 사용자 상호 작용, 입력, 인증 정보, 배터리 충전을 처리하고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적절한 하드웨어 및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메시징, 텍스트, 비디오 표시 및 잠금 해제나 잠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의 상호 작용 및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터치 및 비터치 입력 장치를 갖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인증 정보로는 얼굴 및 이미지 인식 정보, 기타 생체 정보, 청각 정보, 신체 크기 정보 색상 정보, 모양 정보, 자세 정보 등 다양한 엔티티 상호 작용이 가능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다양한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의 센서장치(130)는 카메라(1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열화상 카메라(191), 깊이 측정 카메라(192), RGB 영상 카메라(1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원격 센서 장치(180)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센서장치(130)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센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GPS, 전원공급장치 등을 갖는 전자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메인 프로세서(142) 및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2)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50)로부터 명령어(151) 및/또는 데이터(152)를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2)는 단일 프로세서, 다중 코어 프로세서 또는 상이한 구현에서 다중 프로세서 일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을 작동하기 위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 전송 또는 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동적 랜덤 엑세스 메모리(DRAM) 및/또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데이터(152) 및 메인 프로세서(142)에 의해 검색되고 처리된 명령어(151)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수집된 각종 인증 정보나 환경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무선 연결을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1)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1)는 무선 제어부(162)가 네트워크 장치(160)에 통합되고 안테나에 결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1)는 RF(radio frequency)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RF 회로는 선택적으로 네트워크들, 예컨대 월드 와이드 웹(WWW)으로도 지칭되는 인터넷, 인트라넷,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및/또는 대도시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및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선택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를 들어,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헌의 출원일 현재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다.
센서장치(130)는 전자잠금시스템(100)에 연결되거나, 이에 형성되거나 이에 원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장치(130)는 인증 정보 및 온도, 습도, 대기질, 연기, 각종 가스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구성을 포함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구성은 하나 이상의 컨디션 센서(135), 특징 센서(135), 모션 센서(135a), 카메라(190), 기타 센서(135c)를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센서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인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의 기온 정보에 기초하여 열화상 카메라(191)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모션센서(135a)는 예를 들어 전자 잠금 시스템(100)의 전방의 객체의 방향, 이동 속도 등을 검출하여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원격 센서 장치(180)로부터 추가적인 인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생체 정보와 사용자의 특징 정보는 생체 인식/AI/뉴럴 프로세서(141)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센서장치(130)는 도어락장치(110) 및 검증장치(120)의 동작에 따른 상태 정보 및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인식에 따른 판단 결과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13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나 외부 사운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32)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장치(130)는 사운드의 처리를 위한 오디오 엔코더/디코더(133) 및 코덱(134)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장치(130)는 NFC(135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NFC 방식의 카드의 태그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NFC 기능을 이용하여 도어락장치(110)의 NFC(135d)와의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도어락장치(110)를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센서장치(130)는 제어부(136)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내부의 각종 구성들로부터 수집된 결과는 제어부(136)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검출된 GPS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GPS 프로세서(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도어락장치(110)상의 키패드(111)의 표면이 지면과 이루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동계(112)를 구비할 수 있다. 키패드(111)는 지문 센서가 구비된 터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생체 인식/AI/뉴럴 프로세서(141)는 키패드(111)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 키패드(111) 상의 지문 센서의 검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의 신장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계가 키패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검증장치에서 사용자의 얼굴 영역과 체온 정보가 나타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S100)은 객체 검출 단계(S110), 객체 근접 여부 판단 단계(S120), 객체 식별 및 얼굴 영역 검출 단계(S130), 신장 추정 단계(S140), 얼굴 영역에 따른 열 감지 영역 검출 단계(S150), 열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체온 감지 단계(S160), 추정된 신장에 따른 키패드의 위치 조절 단계(S170),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80) 및 도어락 장치의 잠금 유지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술한다.
- 객체 검출 단계(S11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카메라(190) 전방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생체 인식/AI/뉴럴 프로세서(141)는 미리 학습된 전자잠금시스템(100)의 전방의 영상과 현재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비교를 통해 객체의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프로세서(142)는 RGB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메인 프로세서(142)는 깊이 측정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의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 깊이 값이 유지되는 화소의 경우 배경 화소로 판단하고 깊이 값이 변화하는 화소의 경우 객체의 깊이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 객체 근접 여부 판단 단계(S12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전방의 객체가 검출되면,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전방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검출된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0)를 향해 나아가는 경우,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객체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객체가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도어(10)를 지나치는 경우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객체가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프로세서(142)는 깊이 측정 카메라로부터의 촬영 영상내의 깊이 값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검출된 객체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깊이 측정 카메라를 향해 다가오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배경 영역 상에서 객체가 검출되면 검출된 객체 내의 임의의 복수의 화소들을 중심으로 깊이 값이 점점 줄어드는 위 임의의 복수의 화소들의 주변 화소의 수가 증가 경우에는 객체가 근접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 객체 식별 및 얼굴 영역 검출 단계(S13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객체가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촬영된 객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때, 사람에 대한 영상의 학습된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체 인식/AI/뉴럴 프로세서(141)는 전방의 배경 상에서의 사람들의 이미지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저장하고, 학습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190)의 촬영 영상 내에서의 사람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인식/AI/뉴럴 프로세서(141)는 RGB 영상 카메라(193)의 촬영 영상에서 미리 학습된 CNN 신경망을 통해 사람 객체의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정확한 얼굴 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Mask R-CNN 딥러닝 신경망이 적용될 수 있다.
- 신장 추정 단계(S14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객체가 사람으로 식별되면 신장 추정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을 추정할 수 있다.
신장 추정 알고리즘을 상술한다.
1) 신체 검출 단계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깊이 측정 카메라(192)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어 획득한 깊이 화면과 배경 깊이 화면을 서로 비교하여 신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기 설정치(이진화 임계값) 이상의 깊이 값을 가지는 화소의 화소 값을 1로 하고 그 외의 깊이 값을 가지는 화소의 값을 0으로 함으로서 이진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2) 깊이 영상의 3차원 변환하여 신장 추정
거리를 의미하는 깊이 정보를 통해 신체를 3차원 구조로 변환하여 신장을 추정할 수 있다.
신장은 추출된 신체 영역에서 머리 정수리 점과 발끝 점간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거리로 계산될 수 있다. 머리 정수리 점과 발끝 점은 각각 검출된 얼굴 영역의 최상단 화소와 신체 영역의 최하단 화소로 검출한다. 만약 얼굴 영역의 최상단에 다수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머리 정수리 점은 해당 화소의 중간 화소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발끝 영역의 최하단에 다수의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발끝은 해당 화소의 중간 화소로 검출할 수 있다.
신장은 머리 정수리와 발끝 점 사이의 실세계에서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 머리 정수리와 발끝의 두 개의 화소들간의 실세계에서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머리 정수리와 발끝의 두 개의 화소들의 2차원 이미지 좌표들은 3차원 좌표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좌표로 변환된 머리 정수리와 발끝의 두 개의 화소들간의 유클리드 거리로 계산됨으로써 신장을 추정할 수 있다.
- 얼굴 영역에 따른 열 감지 영역 검출 단계(S15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서 열 감지 영역을 지정하고 해당 열 감지 영역을 트래킹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서 코 끝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코 끝 지점은 깊이 값이 가장 작은 지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코 끝 지점을 포함하는 코 영역은 코 끝 지점을 중심으로 주변부의 화소의 깊이 값이 급격이 감소하는 형태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가장 깊이 값이 작은 지점의 화소를 중심으로 주변부의 화소의 깊이 값이 급격히 감소하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검출된 화소가 코 끝 지점의 화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검출된 얼굴 영역에서의 머리 정수리의 끝 점을 최상단 중간 화소로 하고, 검출된 코 끝 지점의 화소를 최하단 중간 화소로 하는 박스 영역을 지정하고 해당 박스 영역에서 열 감지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열 감지 영역은 머리 정수리의 끝 점으로부터 수직 아래로 2/3의 지점에 해당하고 코 끝 지점으로부터 수직 상단으로 1/3의 지점에 해당하는 화소를 중심으로 화소로 하는 사각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열 감지 영역인 사각 영역을 지속적으로 트래킹하면서 열화상 카메라(191)의 초점을 조절하며 사각 영역과의 초점을 유지할 수 있다.
- 열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체온 감지 단계(S16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열 감지 영역인 사각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눈물샘 부근에서의 열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촬영된 영상에서의 눈물샘 부근의 영역은 미리 학습된 RGB 영상인 사각 영역의 CNN 신경망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눈물샘 부근의 영역에서 복수회의 체온을 검출하여 검출된 체온 중 가장 높은 체온의 값을 사용자의 체온으로 결정할 수 있다.
- 추정된 신장에 따른 키패드의 위치 조절 단계(S170)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체온 감지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체온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 식별 정보 수집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별 정보 수집 절차를 위해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추정된 신장 값에 기초하여 도어락장치(110)의 키패드(11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손가락의 지문과 키패드(111)의 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신장에 기초하여 키패드(111)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장이 작으면 도 7에서와 같이 구동계(112)는 키패드(111)의 표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키패드(111)가 지면으로부터 이루는 각도는 줄어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키패드(111)의 표면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도록 키패드(111)의 표면이 지면측을 향하도록 키패드(111)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키패드(111)의 표면의 접촉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80) 및 도어락장치의 잠금 유지 또는 잠금 해제하는 단계(S190)
체온이 정상인 사용자는 도어락장치(101)의 키패드(111) 상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패드(111)의 표면 상에 손가락을 터치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키패드(111)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표면 상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는 복수의 숫자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키패드(111)를 복수회 터치할 때마다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검출된 지문을 통해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함으로써 건물 내의 입출입 인원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검출된 지문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전자잠금시스템(100)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전자잠금시스템(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수신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의 입출입 인원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어락장치(110)는 공중이 입출입 가능한 건물의 도어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증장치(120)는 키패드(111) 상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키패드(111) 상에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아닌 특정 버튼들을 터치함으로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특정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식별 정보의 검출이 완료되면 도어락장치(110)의 잠금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건물 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건물 내로 출입했던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S200)은 객체 검출 단계(S210), 객체 근접 여부 판단 단계(S220), 객체 식별 및 얼굴 영역 검출 단계(S230), 신장 추정 단계(S240), 얼굴 영역에 따른 열 감지 영역 검출 단계(S250), 열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체온 감지 단계(S260), 체온이 정상인 경우 도어락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S270), 체온이 정상이 아닌 경우 긴급모드 실행 단계(S28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검출 단계(S210), 객체 근접 여부 판단 단계(S220), 객체 식별 및 얼굴 영역 검출 단계(S230), 신장 추정 단계(S240), 얼굴 영역에 따른 열 감지 영역 검출 단계(S250), 열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체온 감지 단계(S260) 단계는 도 6에서의 객체 검출 단계(S110), 객체 근접 여부 판단 단계(S120), 객체 식별 및 얼굴 영역 검출 단계(S130), 신장 추정 단계(S140), 얼굴 영역에 따른 열 감지 영역 검출 단계(S150), 열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체온 감지 단계(S160)와 동일하게 전자잠금시스템(100)이 구동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현재 검출된 사용자의 체온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도어락장치(110)의 잠금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건물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S270). 그리고, 식별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물 내의 입출입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온 감지 단계(S260)에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긴급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280).
상세하게, 긴급모드 실행 단계(S280)는 도어락장치의 잠금을 유지하는 단계S281), 미리 마련된 장소로 이동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S282) 및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S28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체온이 비정상적인 경우 도어락장치(110)의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잠금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미리 마련된 장소로 즉시 이동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282). 그리고,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현재 검출된 객체의 식별 정보, 얼굴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 그리고 추정된 신장 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미리 저장된 특징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의 미리 저장된 특징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건물 내로 들어오는 사람들로부터 검출된 특징 정보이다. 또한, 전자잠금시스템(100)은 해당 사용자의 건물 내로 출입을 허용한 시점부터 현재 사용자가 식별된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 건물 내로 들어오기 위해 검증장치(120)에 의해서 식별된 모든 사람들의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건물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기본적인 식별 정보를 안내하면서 미리 마련된 장소로 즉시 이동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검증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각종 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검증장치(120)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사용자의 촬영 영상과 사용자의 현재 체온 정보, 건물 내의 출입 인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증장치(120)는 건물 내에서 사람들의 밀집 영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사람들의 밀집 영역 정보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감시 카메라와 Wi-Fi 통신망을 통해 탐지되는 단말기의 수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영역 별 추정된 사람들의 인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이다. 또한, 건물 내로 들어온 사람들 중에서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나 감염의 의심이 되는 사람의 격리를 위해 미리 지정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검증장치(120)는 표시되는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정보의 상세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어(10)
전자잠금시스템(100)
도어락장치(110)
키패드(111)
구동계(112)
검증장치(120)
센서장치(130)
스피커(131)
마이크로폰(132)
오디오 엔코더/디코더(133)
코덱(134)
컨디션 센서(135)
특징 센서(135)
모션 센서(135a)
카메라(190)
기타 센서(135c)
NFC(135d)
제어부(136)
생체 인식/AI/뉴럴 프로세서(141)
메인 프로세서(142)
GPS 프로세서(143)
메모리(150)
명령어(151)
데이터(152)
네트워크장치(1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1)
무선 제어부(162)
파워서플라이(170)
전력 제너레이터(171)
원격 센서 장치(180)

Claims (7)

  1.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장치 연동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검증장치는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증장치는 검출된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증장치는 근접하는 상기 객체를 사용자로 식별하고 상기 객체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역 내에서의 열 감지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열 감지 영역 내에서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락장치의 키패드에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상의 키패드에 마련된 지문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신장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의 표면이 지면과 이루를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상기 키패드의 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기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의 표면이 상기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키패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건물 내의 입출입 인원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서 나가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비정상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어락장치의 잠금을 유지하고 미리 마련된 장소로 이동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KR1020200169352A 2020-12-07 2020-12-07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KR10223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52A KR102233254B1 (ko) 2020-12-07 2020-12-07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52A KR102233254B1 (ko) 2020-12-07 2020-12-07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254B1 true KR102233254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352A KR102233254B1 (ko) 2020-12-07 2020-12-07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2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534A (ko) * 2015-09-17 2017-03-27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20180088346A (ko) * 2018-07-23 2018-08-03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20180127739A (ko) * 2017-05-22 2018-1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디바이스 및 이의 보안 패턴 제공 방법
KR102136837B1 (ko) 2020-03-30 2020-07-23 (주)패스넷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135633B1 (ko) 2020-04-20 2020-08-26 김승호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68651B1 (ko) 2020-04-02 2020-10-21 이상화 열-감지센서를 구비한 체온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534A (ko) * 2015-09-17 2017-03-27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20180127739A (ko) * 2017-05-22 2018-1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디바이스 및 이의 보안 패턴 제공 방법
KR20180088346A (ko) * 2018-07-23 2018-08-03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KR102136837B1 (ko) 2020-03-30 2020-07-23 (주)패스넷 체온 감지 및 방역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168651B1 (ko) 2020-04-02 2020-10-21 이상화 열-감지센서를 구비한 체온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35633B1 (ko) 2020-04-20 2020-08-26 김승호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265B1 (ko) 딥러닝 기반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출입통제시스템
US10997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facial recognition-base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building
JP6151582B2 (ja) 顔認証システム
JP6148065B2 (ja) 顔認証システム
KR101730255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101387628B1 (ko)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장치
JP6148064B2 (ja) 顔認証システム
KR101682311B1 (ko)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JP5538701B2 (ja) 本人認証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判定装置、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971733B2 (ja) 手持ち式眼制御・接眼装置、暗号入力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2002183734A (ja) 顔認証装置および顔認証方法
JP2013117876A (ja) 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及び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プログラム
KR102310915B1 (ko) 출입자의 마스크 탐지 및 체온 보정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패스 시스템
KR101515214B1 (ko) 얼굴 인식을 통한 신원확인 방법과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경보 시스템 및 출입관리 경보 제어방법
JP2016046639A (ja) 認証装置
EP38794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8077552A (ja) ゲー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594086B2 (en) Automatic switching for frictionless access control
KR102233254B1 (ko)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잠금시스템
JP6945391B2 (ja) 生体認証装置
TWI631480B (zh) 具備臉部辨識之門禁系統
KR102552183B1 (ko) 다자간 출입 통제가 가능한 비대면 공동 현관문 자동 출입 개폐 시스템 및 방법
CN113557519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JP2013077067A (ja) 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及び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プログラム
KR102309287B1 (ko)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