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471B1 -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471B1
KR102232471B1 KR1020200020241A KR20200020241A KR102232471B1 KR 102232471 B1 KR102232471 B1 KR 102232471B1 KR 1020200020241 A KR1020200020241 A KR 1020200020241A KR 20200020241 A KR20200020241 A KR 20200020241A KR 102232471 B1 KR102232471 B1 KR 10223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creen
sorter
shotcre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플랜트
Priority to KR102020002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4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 B07B1/343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with mechanical drive elements other than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굴착현장에서 숏크리트를 제조생산하는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래, 자갈, 석분 등의 골재를 선별할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크린골재선별기의 구동메카니즘을 개선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직선운동이 크랭크암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지면서 후방의 힌지브라켓이 골재계량호퍼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방진스프링에 얹혀져 있는 스크린골재선별기가 힌지축을 기점으로 상,하로 업다운되어지면서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구동메카니즘을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A system for screening aggregate of noise reduction type of shotcrete batcher plant}
본 발명은 터널굴착현장에서 숏크리트를 제조생산하는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래, 자갈, 석분 등의 골재를 선별할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크린골재선별기의 구동메카니즘을 개선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굴착공사현장에서는 굴착으로 생성된 터널 내부의 벽면이나 천장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숏크리트(shotcrete)를 제조하기 위하여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shotcrete batch plant)를 설치해 놓게된다.
상기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에 의해 제조 생산되어지는 숏크리트는 모래, 자갈, 석분, 강섬유 등이 혼합되어 생산 운반되어지게되고, 생산된 숏크리트는 레미콘차량에 의해 터널굴착 현장으로 운반되어 터널이 굴착되어지는 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숏트머신에 의해서 굴착 생성되어진 터널의 벽체와 천정에 고압으로 분사되어지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숏크리트를 구성하는 혼합물들인 모래, 자갈, 석분 등의 크기(입자)는 숏트머신의 고압분사호스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숏크리트의 혼합물을 구성하는 골재들중 입자가 큰 골재가 존재할 경우 숏트머신의 고압분사호스가 골재에 의해 막혀 숏크리트의 분사 중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숏트머신을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숏크리트의 분사 중단은 레미콘차량에 의해 운반되어진 숏크리트를 폐기하여야 하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함은 물론, 굴착지점이 수맥지점이라면 작업자가 붕괴의 위험에 노출되어지는 문제까지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에 의해 생산되어지는 숏크리트의 혼합골재들인 모래, 자갈, 석분은 사전 선별 제공되어지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규정하고 있는 크기보다 큰 골재가 혼입되어 있기도 할 뿐만 아니라, 야적되어진 상태에서 입자가 굳어 커지는 경우도 발생할 뿐만 아니라, 모래의 경우에는 함수율이 높을 경우 고르게 펼쳐지지 않고 뭉친 상태로 운반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입자가 큰 골재가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혼합물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골재선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개량호퍼의 상부에 큰 입자의 골재를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가 설치되어지게된다.
상기의 용도로 설치 사용되어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는 이 사건출원인이 선출원하여 공개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53호 "배치 플랜트 저소음 골재선별장치"("이하 선출원고안"이라 함)를 예로들을 수 있다.
상기 선출원 고안의 배치 플랜트 저소음 골재선별장치는 골재인 자갈, 모래 석분 등이 저장되어지는 골재계량호퍼와 그 상부에 설치되어 골재중 입자가 큰 골재를 선별해 내는 스크린골재선별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는 흔들림이 가능하도록 스프링 위에 설치되어 있고, 흔들림이 가능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스크린골재선별기에 골재운반차량(일명 : 페로더)을 통해 투입되어지면 진동모터가 작동을 하게되고,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생산된 진동으로 인하여 스크린골재선별기에 떨림이 발생하여 숏트머신의 고압분사호스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골재만이 스크린골재선별기를 구성하는 메쉬망체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크린골재선별기를 통해 골재를 선별할 때 진동모터에 의해 생산된 진동소음과 더불어 진동모터에 의해 떨리는 스크린골재선별기로부터의 기계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스크린골재선별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공사장 주변인들의 민원 사유가 되어 도심지의 굴착 작업현장에서의 사용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개실용신안의 골재선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직선운동이 크랭크암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지면서 후방의 힌지브라켓이 골재계량호퍼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방진스프링에 얹혀져 있는 스크린골재선별기가 힌지축을 기점으로 상,하로 업다운되어지면서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스크린골재선별기의 구동메카니즘을 개선한 것으로써, 스크린골재선별기를 구동시킬때 구동원인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함과 더불어 스크린골재선별기의 작동에 따른 기계음 까지도 현저하게 줄여 골재선별 시스템을 운전할때 발생하는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동원인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의 구동소음과 스크린골재선별기의 작동소음이 해소되어짐에 따라 도심지의 굴착 작업현장에서의 사용이 적합하여 골재선별 시스템의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야적장의 골재가 골재운반차량을 통해 운반되어 골재선별시스템의 골재계량호퍼에 의해 숏크리트 1 배치(batch:1회분)에 필요로한 량만큼 계량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입자가 큰골재(모래, 자갈, 석분)를 선별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를 포함하는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에 있어서,
골재를 한곳으로 모아 깔대기형상을 한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골재배출구가 골재를 계량운반하는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네개의 지지대를 매개로 설치되어지고,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진 함체의 후면에는 방진스프링 위에 얹혀지도록 장착되어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의 힌지브라켓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힌지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의 양측벽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며하면 업다운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를 포함하는 골재계량호퍼와;
골재를 선별하여 골재계량호퍼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메쉬망가 바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재계량호퍼의 내측 네모서리에 위치하여진 방진스프링 위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지되, 후면부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이 상기 골재계량호퍼의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지며, 양측벽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의 크랭크암의 아이들러풀리가 안내되어지는 안내레일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골재선별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는 골재계량호퍼의 양쪽벽 외측면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제1힌지블럭에 실린더의 후방 힌지브라켓이 힌지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전방의 피스톤로드의 말단으로 구비된 힌지브라켓이 상기 골재계량호퍼의 양쪽벽 외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힌지블럭에 길이를 띠라 양분되는 중간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크랭크암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암의 타측단으로 장착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러풀리가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의 안내레일홀에서 안내되어지도록 위치하여서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직선운동에 의해 크랭크암이 회전운동되어지면서 스크린골재선별기를 업다운시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로 공급된 골재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의 크랭크암은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을 기점으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진 브이자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은,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를 구성하는 실린더(131)의 직선운동이 크랭크암(134)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지면서 후방의 힌지브라켓(122)이 골재계량호퍼(110)에 형성된 힌지브라켓(115)에 힌지 결합됨과 동시에 방진스프링(140)에 얹혀져 있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힌지축을 기점으로 상,하로 업다운되어지면서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구동메카니즘을 개선한 것으로써,
첫째,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구동시킬때 구동원인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함과 더불어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작동에 따른 기계음 까지도 현저하게 줄여 골재선별 시스템을 운전할때 발생하는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였고;
둘째, 구동원인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구동소음과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작동소음이 해소되어짐에 따라 도심지의 굴착 작업현장에서의 사용이 적합하여 골재선별 시스템의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에 의해 스크린골재선별기가 작동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에 골재를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로써, 작동전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로써,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가 작동한 상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5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100)은, 모래, 자갈, 석분 등을 계량공급하는 골재계량호퍼(110)와,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야적장의 골재가 골재운반차량(1)을 통해 운반되어 공급되는 골재의 입자가 큰골재(모래, 자갈, 석분)를 선별해내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와,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키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계량호퍼(110)는 골재를 한곳으로 모아 깔대기형상을 한 바닥면(111)에 형성되어 있는 골재배출구(112)가 골재를 계량운반하는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10) 상에 위치하도록 네개의 지지대(113)를 매개로 설치되어진다.
상기 바닥면(1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진 함체(114)의 후면에는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장착되어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힌지브라켓(122)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힌지브라켓(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함체(114)의 양측벽(116)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업다운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상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는, 골재를 선별하여 골재계량호퍼(110)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메쉬망(121)가 바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내측 네모서리에 위치하여진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지되, 후면부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22)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15)에 힌지 결합되어진다.
양측벽(123)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크랭크암(134)의 아이들러풀리(135)가 안내되어지는 안내레일홀(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키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는,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 외측면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제1힌지블럭(117)에 실린더(131)의 후방 힌지브라켓(132)이 힌지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전방의 피스톤로드(133)의 말단으로 구비된 힌지브라켓(133a)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 외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힌지블럭(118)에 길이를 띠라 양분되는 중간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크랭크암(134)의 일측단(134a)과 힌지 결합되어 진다.
상기 크랭크암(134)의 타측단(134b)으로 장착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러풀리(135)가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안내레일홀(124)에서 안내되어지도록 위치하여서 상기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 직선운동에 의해 크랭크암(134)이 회전운동되어지면서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공급된 골재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크랭크암(134)은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을 기점으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진 브이자형을 이루게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을 통해 모래, 자갈, 석분 등의 선별을 통해 적당한 크기의 입자만이 숏크리트원료로 공급되어지게 하게되는 것이다.
도 6과 같이 골재운반차량(1)에 의해 운반되어진 골재는 골재선별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투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골재가 투입되어지면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어판넬의 조작으로 인가되는 시그널에 의해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가 구동을 시작하게되는 것이다.
도 4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가 구동하기 이전의 상태이고, 도 5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가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업되어진 상태의 예로써, 후방의 힌지브라켓(132)이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힌지블럭(1117)에 힌지 연결되어진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가 전,후진 작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선 왕복운동되어지는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은 그 말단의 힌지브라켓(133a)가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힌지블럭(1117)에 중간 부위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크랭크암(134)의 일측단(134a)과 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로드(133)의 진선운동이 크랭크암(134)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화되어지면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업.다운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제2힌지블럭(118)에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진 크랭크암(134)의 일측단(134a)을 상기 피스톤로드(133)가 밀어주면, 제2힌지블럭(118)에 중간부위가 힌지결합되어진 상기의 크랭크암(134)이 회전 운동되어지게되고, 이때 상기 크랭크암(134) 타측단(134b)으로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러풀리(135)가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양쪽벽(123)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레일홀(1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도5에서와 같이 들어올리게되는 것이다.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 직선운동이 크랭크암(134)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지면서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연속적으로 업.다운 동작을 반복하면서 모래, 자갈, 석분 등을 선별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구동메카니즘을 진동모터에서 상기한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로 개량함에 따라 작동소음은 물론, 기계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크린골재선별기에 의해 선별되어 각각의 골재계량호퍼(110)로 공급되어진 골재(모래,자갈, 석분)는 골재배출구(112)를 통해 각각의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10)에 실려 각각의 계량조(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자갈계량조, 모래계량조, 석분계량조 등)로 공급되어 계량된다.
각각의 계량조에서 계량된 골재(모레,자갈,석분)가 제1배출컨베이어로 배출되어서 운반이 시작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제1배출컨베이어(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에 의해 운반되어지는 자갈과 모래는 통합컨베이어(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로 운반되어지게 된다.
상기 통합컨베이어에 의해 골재의 운반이 시작될 때 도징머신(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의 강섬유가 강섬유계량조에 의해 계량된 강섬유가 제1컨베이어(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에 의해 운반되어 통합컨베이어에 의해서 운반되어지는 골재(자갈과 모래, 석분) 위로 얹혀져 함께 운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통합컨베이어에 의해서 운반되어지는 골재인 자갈, 모래, 강섬유는 교반이 가능하도록 회전되어지는 숏크리트 믹서(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로 투입되어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숏크리트 믹서내에 상기 자갈, 모래, 강섬유의 투입이 2/3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면 먼저 시멘트가 투입되어지게되고, 이후 물이 투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숏크리트 믹서에 시멘트의 투입이 시작된 3~4초 후에 상기 숏크리트 믹서에 물이 투입되어지게 것이다.
상기 시멘트는 사일로에 저장되어서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되어 시멘트계량통에 계량되어 있던 시멘트를 투입한 후 믹싱 함에 따라 숏크리트의 생산이 완료되어지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9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100)은, 모래, 자갈, 석분 등을 계량공급하는 골재계량호퍼(110)와,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야적장의 골재가 골재운반차량(1)을 통해 운반되어 공급되는 골재의 입자가 큰골재(모래, 자갈, 석분)를 선별해내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와,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키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계량호퍼(110)는 골재를 한곳으로 모아 깔대기형상을 한 바닥면(111)에 형성되어 있는 골재배출구(112)가 골재를 계량운반하는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10) 상에 위치하도록 네개의 지지대(113)를 매개로 설치되어진다.
상기 바닥면(1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진 함체(114)의 후면에는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장착되어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힌지브라켓(122)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힌지브라켓(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함체(114)의 양측벽(116)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업다운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상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는, 골재를 선별하여 골재계량호퍼(110)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메쉬망(121)가 바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내측 네모서리에 위치하여진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지되, 후면부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22)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15)에 힌지 결합되어진다.
양측벽(123)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크랭크암(134)의 아이들러풀리(135)가 안내되어지는 안내레일홀(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키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는,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 외측면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힌지블럭(119)에 실린더(131)의 후방 힌지브라켓(132)이 힌지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전방의 피스톤로드(133)의 말단으로 구비된 힌지브라켓(133a)에는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안내레일홀(124)에서 안내되어지도록 위치하여서 상기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 직선운동에 의해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공급된 골재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름회전하는 아이들러풀리(135)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을 통해 모래, 자갈, 석분 등의 선별을 통해 적당한 크기의 입자만이 숏크리트원료로 공급되어지게 하게되는 것이다.
도 6과 같이 골재운반차량(1)에 의해 운반되어진 골재는 골재선별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투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골재가 투입되어지면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어판넬의 조작으로 인가되는 시그널에 의해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가 구동을 시작하게되는 것이다.
도 8은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가 구동하기 이전의 상태이고, 도 9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가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업되어진 상태의 예로써, 힌지브라켓(119)에 힌지 연결되어진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가 전,후진 작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진선 왕복운동되어지는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은 그 말단의 힌지브라켓(133a)에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러풀리(135)가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양쪽벽(123)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레일홀(124)을 따라 구름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도9에서와 같이 들어올리게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131) 피스톤로드(133)의 직선운동이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연속적으로 업.다운 동작을 반복하면서 모래, 자갈, 석분 등을 선별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구동메카니즘을 진동모터에서 상기한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로 개량함에 따라 작동소음은 물론, 기계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크린골재선별기에 의해 선별되어 각각의 골재계량호퍼(110)로 공급되어진 골재(모래,자갈, 석분)는 골재배출구(112)를 통해 각각의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10)에 실려 각각의 계량조(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자갈계량조, 모래계량조, 석분계량조 등)로 공급되어 계량된다.
각각의 계량조에서 계량된 골재(모레,자갈,석분)가 제1배출컨베이어로 배출되어서 운반이 시작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제1배출컨베이어(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에 의해 운반되어지는 자갈과 모래는 통합컨베이어(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로 운반되어지게 된다.
상기 통합컨베이어에 의해 골재의 운반이 시작될 때 도징머신(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의 강섬유가 강섬유계량조에 의해 계량된 강섬유가 제1컨베이어(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에 의해 운반되어 통합컨베이어에 의해서 운반되어지는 골재(자갈과 모래, 석분) 위로 얹혀져 함께 운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통합컨베이어에 의해서 운반되어지는 골재인 자갈, 모래, 강섬유는 교반이 가능하도록 회전되어지는 숏크리트 믹서(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로 투입되어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숏크리트 믹서내에 상기 자갈, 모래, 강섬유의 투입이 2/3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면 먼저 시멘트가 투입되어지게되고, 이후 물이 투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숏크리트 믹서에 시멘트의 투입이 시작된 3~4초 후에 상기 숏크리트 믹서에 물이 투입되어지게 것이다.
상기 시멘트는 사일로에 저장되어서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되어 시멘트계량통에 계량되어 있던 시멘트를 투입한 후 믹싱 함에 따라 숏크리트의 생산이 완료되어지게되는 것이다.
100 : 골재선별 시스템 110 : 골재계량호퍼
111 : 바닥면 112 : 골재배출구
113 : 지지대 114 : 함체
115,122,132,133a : 힌지브라켓 116,123 : 양쪽벽
117, 제1힌지블럭 118 : 제2힌지블럭
119 : 힌지블럭 120 : 스크린골재선별기
121 : 메쉬망 124 : 안내레일홀
130 :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 131 : 실린더
133 : 피스톤로드 134 : 크랭크암
135 : 아이들러풀리 140 : 방진스프링

Claims (5)

  1. 야적장의 골재가 골재운반차량(1)을 통해 운반되어 골재선별시스템의 계량호퍼에 의해 숏크리트 1 배치(batch:1회분)에 필요로한 량만큼 계량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입자가 큰골재(모래, 자갈, 석분)를 선별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를 포함하는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100)에 있어서,
    골재를 한곳으로 모아 깔대기형상을 한 바닥면(111)에 형성되어 있는 골재배출구(112)가 골재를 계량운반하는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10) 상에 위치하도록 네개의 지지대(113)를 매개로 설치되어지고, 바닥면(1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진 함체(114)의 후면에는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장착되어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힌지브라켓(122)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힌지브라켓(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114)의 양측벽(116)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업다운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를 포함하는 골재계량호퍼(110)와;
    골재의 선별이 가능하도록 바닥이 메쉬망(121)으로 형성되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내측 네모서리에 위치하여진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지되, 후면부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22)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15)에 힌지 결합되어지며, 양측벽(123)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크랭크암(134)의 아이들러풀리(135)가 안내되어지는 안내레일홀(124)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2.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는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 외측면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제1힌지블럭(117)에 실린더(131)의 후방 힌지브라켓(132)이 힌지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전방의 피스톤로드(133)의 말단으로 구비된 힌지브라켓(133a)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 외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힌지블럭(118)에 길이를 띠라 양분되는 중간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크랭크암(134)의 일측단(134a)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암(134)의 타측단(134b)으로 장착 형성되어 있는 아이들러풀리(135)가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안내레일홀(124)에서 안내되어지도록 위치하여서 상기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 직선운동에 의해 크랭크암(134)이 회전운동되어지면서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공급된 골재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크랭크암(134)은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을 기점으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진 브이자형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4. 야적장의 골재가 골재운반차량(1)을 통해 운반되어 골재선별시스템의 계량호퍼에 의해 숏크리트 1 배치(batch:1회분)에 필요로한 량만큼 계량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입자가 큰골재(모래, 자갈, 석분)를 선별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를 포함하는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100)에 있어서,
    골재를 한곳으로 모아 깔대기형상을 한 바닥면(111)에 형성되어 있는 골재배출구(112)가 골재를 계량운반하는 골재계량운반컨베이어(10) 상에 위치하도록 네개의 지지대(113)를 매개로 설치되어지고, 바닥면(1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진 함체(114)의 후면에는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장착되어지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힌지브라켓(122)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힌지브라켓(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체(114)의 양측벽(116)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업다운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를 포함하는 골재계량호퍼(110)와;
    골재의 선별이 가능하도록 바닥이 메쉬망(121)으로 형성되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내측 네모서리에 위치하여진 방진스프링(140) 위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지되, 후면부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22)이 상기 골재계량호퍼(110)의 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115)에 힌지 결합되어지며, 양측벽(123) 외측면에는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의 아이들러풀리(135)가 구름회전되어지는 안내레일홀(124)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구동기기(130)는 골재계량호퍼(110)의 양쪽벽(116) 외측면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는 힌지블럭(119)에 실린더(131)의 후방 힌지브라켓(132)이 힌지 결합되어 짐과 동시에 전방의 피스톤로드(133)의 말단으로 구비된 힌지브라켓(133a)에 아이들러풀리(135)가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의 안내레일홀(124)에서 구름회전되어지도록 위치하여서 상기 실린더(131)의 피스톤로드(133) 직선운동에 의해 스크린골재선별기(120)를 업다운시켜 상기 스크린골재선별기(120)로 공급된 골재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KR1020200020241A 2020-02-19 2020-02-19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KR10223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41A KR102232471B1 (ko) 2020-02-19 2020-02-19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41A KR102232471B1 (ko) 2020-02-19 2020-02-19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471B1 true KR102232471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41A KR102232471B1 (ko) 2020-02-19 2020-02-19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9977A (zh) * 2021-05-20 2021-10-15 重庆新酢坊建材有限公司 一种砂石骨料直线筛筛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102A (ja) * 1997-11-07 1999-05-25 Ebara Koki Kk 振動ふるい
KR20090002760A (ko) * 2007-07-04 2009-01-09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20110001553U (ko) * 2009-08-07 2011-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배치 플랜트의 저소음 골재선별장치
KR20180082197A (ko) * 2017-01-10 2018-07-18 정도산업 주식회사 배출식 계량장치
KR101939021B1 (ko) * 2018-05-25 2019-01-16 정도산업 주식회사 쇼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강섬유 계량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102A (ja) * 1997-11-07 1999-05-25 Ebara Koki Kk 振動ふるい
KR20090002760A (ko) * 2007-07-04 2009-01-09 삼흥산업개발 (주)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20110001553U (ko) * 2009-08-07 2011-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배치 플랜트의 저소음 골재선별장치
KR20180082197A (ko) * 2017-01-10 2018-07-18 정도산업 주식회사 배출식 계량장치
KR101939021B1 (ko) * 2018-05-25 2019-01-16 정도산업 주식회사 쇼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강섬유 계량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9977A (zh) * 2021-05-20 2021-10-15 重庆新酢坊建材有限公司 一种砂石骨料直线筛筛分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349B1 (ko)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CN110142872B (zh) 一种节能环保型建筑混凝土骨料用混合搅拌装置
KR101224550B1 (ko)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US3905586A (en) Mini-plant for batching and mixing materials
US20040179423A1 (en) Concrete mixer
KR102232471B1 (ko)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KR100801503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JP6644453B1 (ja) 移動式バッチャープラント
CN201913703U (zh) 一种新型的面砖生产线
KR101218700B1 (ko) 믹싱 플랜트
CN217777335U (zh) 一种用于水泥混凝土生产的配比装置
JP4480819B2 (ja) 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KR102190098B1 (ko)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CN211221415U (zh) 一种混凝土预拌配料机
KR200387433Y1 (ko) 흙 포장재 제조장치
CN108327069B (zh) 一种混凝土搅拌方法
KR102036698B1 (ko) 이동식 병렬형 시공 시스템
KR102036696B1 (ko) 이동식 시공 시스템
KR102043121B1 (ko)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집진기
CN203198069U (zh) 一种新型混凝土配料机
KR20060066571A (ko)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CN215319497U (zh) 一种uhpc预拌生产线
CN215969407U (zh) 一种具有定时定量投料功能的混凝土配料装置
KR200423428Y1 (ko) 배치플렌트의 골재 차감식 계량장치
JP3375556B2 (ja) 土質改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