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91B1 -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91B1
KR102231991B1 KR1020190136604A KR20190136604A KR102231991B1 KR 102231991 B1 KR102231991 B1 KR 102231991B1 KR 1020190136604 A KR1020190136604 A KR 1020190136604A KR 20190136604 A KR20190136604 A KR 20190136604A KR 102231991 B1 KR102231991 B1 KR 10223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inner panel
dicyclohexylphosph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길
홍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91B1/ko
Priority to CN202010937846.3A priority patent/CN11274556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08K5/526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5Copolymers of propene with monomers having more than one C=C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08L7/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분자량물질 감쇠제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악취 기타 화학물질의 발생량이 감소되며, 외관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A),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B), 장섬유(C), 내스크래치제(D), 및 저분자량물질 감쇠제(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Tail gate inner panel, and molded articles thereof}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장섬유, 내스크레치제, 및 저분자량물질 감쇠제를 소정량 포함하여, 외관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악취가 저감된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연비 향상을 위한 자동차 경량화 방안을 많이 강구하고 있다. 30년 전부터 차체 판넬의 경량화를 위하여 플라스틱 펜더 혹은 테일게이트 등이 해외 자동차 업계에서 적용되어 오고 있으며, 현재는 조금 더 가벼운 차체를 만들기 위하여 탄소섬유를 적용한 BIW(Body In White)를 개발하여 양산하는 사례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테일게이트(Tail gate)는 RV용 리어 판넬로서 사이드 아우터 판넬과 범퍼 사이에 위치하는 부품으로써 구조 부재의 역할뿐만 아니라 외관 부품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이러한 테일게이트가 가져야 할 주요한 역할에는 구조적 강성 및 주변 부품과의 일정한 틈새 및 단차 유지가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스포일러, 가니쉬, 백 판넬 몰딩 등의 외장부품들을 외판에 통합화하여 플라스틱 테일게이트를 양산하고 있으며, 인너 판넬 역시 스틸 레인포스를 삭제하고 부위에 두께 및 리브를 첨가하여 동등한 강성을 구현하고 있다.
초기의 테일게이트는 강성을 위해 SMC(sheet molding composite) 열경화성 복합재를 외판과 내판에 사용하였으나 제품의 경량화를 위하여 아웃터 판넬은 PC 및PBT, PC 및 ABS를 적용한 테일게이트 양산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더 많은 경량화 효과를 위해 TPO 수지를 적용하며 인너 판넬은 폴리프로필렌 소재가 적용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성형성, 경제성이 뛰어나고, 비중도 1.0 이하로 낮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의 경량화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폴리프로필렌을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등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강성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기계적 강도, 열변형 온도 등 부족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장섬유를 배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종래 장섬유가 포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경우, 장섬유 표면에 처방된 활성화 코팅 물질에 의해 제품 제조 후 다량의 가스 및 불쾌한 냄새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플라스틱 사출 테일게이트의 소재의 강성 보강 및 장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용성 개선을 위하여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이로 인해 자동차 내부에 적용되는 부품에서 가스 발생, 외관 품질 저하, 불쾌한 냄새 발생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용 플라스틱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지조성물로, 저분자량물질 감쇠제를 추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가스 및 악취가 감소된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 ~ 86 중량%; (B)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 ~10 중량%; (C) 6 ~ 16 mm의 길이를 갖는 장섬유 10 ~ 70 중량%; 및 (D) 내스크래치제 1 ~ 5 중량%; 및 (E) 저분자량물질 감쇠제 1 ~ 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수지조성물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불쾌한 냄새가 적으며, 제품 제조 시 외관의 품질이 우수한 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로 더욱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별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서술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마다 "약"이란 용어가 수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식어 "약"은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대략적으로의 의미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수식된 값의 특정 퍼센트 이내의 의미로서 더욱 정확하게 해석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10%, ±5%, ±2%, 또는 ±1% 또는 그 미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품 대비 유해물질 배출량이 감소되고 악취 발생이 적은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장섬유, 내스크레치제 및 저분자량물질 감쇠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사용 성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A)는 프로필렌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a1), 및 단일중합체와 에틸렌이 함유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a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이때 상기 프로필렌 단일중합체(a1)는 용융지수(MeltIndex)가 230℃에서 10 ~ 25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10 g/10min 미만이면 장유리 섬유와의 함침성이 저하되며, 강성이 낮아질 수 있고 25 g/10min 초과이면 충격 물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a2)는 용융지수(MeltIndex)가 230℃에서 100 ~ 2,000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100g/10min 미만이면 장유리 섬유와의 함침성이 저하되며 유동성 부족에 의한 사출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2000 g/10min 초과이면 충격 물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B)는 열가소성 탄성체 및 무기 충전제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골고루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를 그라프트 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는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및 무수말레인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0.5 ~ 5 중량%로 그라프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1.5 중량% 이다. 상기 범위내에서 그라프팅 시 분산성이 더욱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열가소성 탄성체 및 무기 충전제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고루 분산되게 하기 위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 ~ 5,000 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전체 중량의 1~10중량%내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2~8중량%내로 포함할 수 있다. 2중량% 미만인 경우 함침성 저하로 인한 물성저하 및 사출외관 불량문제가 있고, 8중량%초과인 경우 강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장섬유(C)는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10 ~ 30 ㎛인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10 ㎛ 미만인 경우 압출로 제품을 생산 시 단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고, 30 ㎛ 초과인 경우 가공성 및 함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기에 상기 범위의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장유리 섬유는 이-글라스(E-GLASS), 내식성을 개량한 이시알 글라스(ECR GLASS), 고강도의 에스, 스-2,알,티 글라스(S,S-2,R,T GLASS), 내산성의 씨, 에이글라스(C.A GLAS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글라스(E-GLASS)가 상업적인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매트릭스 수지에 함침된 장섬유 펠렛은 6 ~ 16 mm의 촙스트랜드(chop stran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펠렛의 길이가 6 mm 미만이면 잔존 섬유 길이가 낮아져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16 mm를 초과하면 제품 가공 및 성형성이 저하되기에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장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섬유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 인장 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70 중량% 초과인 경우 유동성 부족으로 인하여 사출 외관불량의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내스크래치제(D)는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용융흐름지수가 13 ~ 15 g/10분(230 ℃, 10 kg), 녹는점 92 ~ 95 ℃이며, 고분자 구조 내에 아민기(-NH2)를 도입한 펠렛(pellet) 형태의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은 특별히 고안된 기능성 고분자의 일종으로,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 내에 아민기를 함유한 단위체가 18 ~ 24 중량%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은 제품 내의 열적,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표면에서의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합성된 것으로서, 고분자 내 도입된 아민 극성기의 작용을 통해 제품 성형 시 표면으로의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의 이동을 유발시키고 표면에서의 조성변화 및 함량 증가를 통하여 표면의 슬립(slip)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에서의 올레핀 단위체들이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와의 상용성을 유지시켜 물성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 내의 아민기 함량 변화와 복합 수지 내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의 함량 변화를 통해 최적 조건을 찾은 후 성형품을 사출하였으며, 이러한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성분은 폴피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 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4 중량%이다. 내스크래치제가 5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강성과 신율이 저하되기 시작하며, 1 중량% 미만을 사용할 때는 내스크래치성의 향상이 미미하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저분자량물질 감쇠제(E)는 사출 시 발생하는 저분자량 유기물질을 흡수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복합소재에서 강성 보강의 위해 적용되는 장섬유의 표면에 처방된 활성화 코팅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냄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을 감소시켜준다. 이를 통하여 완성된 제품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완성제품 표면의 가스 자국을 개선시킴으로써 제품의 유려한 외관을 실현하는 등의 효과를 보인다. 해당 물질은 하기 화학식 1에 표현된 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Dicyclohexylphosphino-2',4',6'-triisopropylbiphenyl, Xphos),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된 2-디-터트-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아이소프로필바이페닐(2-Di-tert-butylphosphino-2',4',6'-triisopropylbiphenyl, tBuXphos),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된 2-디페닐포스피노-2'(N,N-디메틸아미노)바이페닐(2-Diphenylphosphino-2-(N,N-dimethylamino)biphenyl),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바이페닐(2-Dicyclohexylphosphino-2',6'-dimethoxybiphenyl, Sphos),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디씨클로헥실(2',4',6'-트라이메톡시[1,1'바이페닐]-2-일)-포스핀(Dicyclohexyl(2',4',6'-trimethoxy[1,1'-biphenyl]-2-yl)-phosphine),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디-터트-부틸(2,2,-디페닐-1-메틸-1-씨클로프로필)포스핀(Di-tert-butyl(2,2-diphenyl-1-methyl-1-cyclopropyl)phosphine; Mo-Phos), 하기 화학식 7로 나타나는 2-[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페닐]-N-메틸인돌(2-[2-(Dicyclohexylphosphino)phenyl]-N-methylindole; CM-Pho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Xphos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1
[화학식 2] 2-디-터트-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아이소프로필바이페닐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7
저분자량물질 감쇠제(E)는 수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1중량%보다 적으면 냄새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에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 보다 많으면 사출품 표면으로 이행되어 외관에 불리하다. 필요에 따라, 저분자량물질 감쇠제(E)는 수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2~4중량%, 1~4중량%, 2~5중량%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장섬유, 내스크래치제, 및 저분자량물질 감쇠제의 적절한 배합 조절에 의해, 내스크래치성 등의 기계적 물성의 만족과 함께 저분자량물질 감쇠제를 통하여 악취 발생이 감소되며 우수한 외관을 갖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의 조성과 함량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혼합한 후, 이축 압출 및 인발성형기를 사용하여 압출한 후 사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9111225185-pat00008
실시예
(a1)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 용융지수 20g/10min,
(a2)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 용융지수 1000g/10min,
(B)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무수말레인산이 1.0wt% 그래프팅된 수지,
(C) 장유리섬유 : 직경이 17㎛이고 길이가 10mm인 유리섬유,
(D) 내스크레치제 :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성분내 아민기를 함유한 단위체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에서는 저분자량 감쇠제(E)로 Xphos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의 G1은 금속-Phosphate계, 비교예 3의 G2는 제올라이트계, 비교예4의 G3는 실리케이트 구조의 소취제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물성측정
상기 실시예 1 ~3 및 비교예 1 ~8에서 제조한 시편을 하기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물성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ASTM D 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굴곡 강도 및 굴곡탄성율: ASTM D790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IZOD 충격 강도: ASTM D256에 의해 노치(Notched) 조건에서 상온의 온도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4) 열변형온도: ASTM D648에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5) 내스크레치성 측정방법
MS210-05: 에릭슨 장비를 활용하여 2㎜ 간격으로 20개 이상씩 격자 무늬로 스크래치를 만들고 스크래치 평가 전과 후의 L값을 측정하여 L값을 계산한다. 측정 장치는 d/8° Spin Sphere 색차계를 활용하여 측정한다. L 값은 CIE LAB에서의 색좌표에서 명도를 나타낸 수치이다. L=100 (흰색), L=0 (검정)에 해당한다.
(5) 냄새: MS300-34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6)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MS300-55 (O: 모든 VOC 항목 합격, Δ: VOC 항목 1~2개 불합격, X: VOC 항목 3개이상 불합격)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7) 외관: 육안평가(O: 외관 양호, Δ: 가스 자국 다소 발생, X: 가스 자국 많이 발생)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6의 비교를 통하여, 저분자량 감쇠제(E)의 함량이 미달되면, 냄새제거의 효과가 부족하고, 저분자량 감쇠제(E)의 함량이 초과되는 경우, 외관을 만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를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저분자량 감쇠제를 포함한 수지조성물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경우, 냄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바,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TVOC 테스트에서도 불합격의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2를 비교예 2(금속-Phosphate계 소취제), 비교예 3(제올라이트계 소취제) 및 비교예 4(실리케이트 소취제)와 비교하여 볼 때, 저분자량 감쇠제(Xphos)를 포함한 실시예 2 수지조성물이 냄새제거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저분자량 감쇠제를 통하여 유기화합물을 제거한 바, TVOC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육안평가에서도 우수한 외관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A)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 ~ 86 중량%;
    (B) 극성기가 5 내지 10 중량% 도입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 내지 10 중량%;
    (C) 6 내지 16 mm의 길이를 갖는 장섬유 10 ~ 70 중량%;
    (D) 내스크래치제 1 ~ 5 중량%; 및
    (E) 저분자량물질 감쇠제 1 ~ 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저분자량 감쇠제는,
    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Dicyclohexylphosphino-2',4',6'-triisopropylbiphenyl) 또는 2-디-터트-부틸포스피노-2',4',6'-트라이아이소프로필바이페닐(2-Di-tert-butylphosphino-2′,4′,6′-triisopropylbiphenyl), 2-디페닐포스피노-2'(N,N-디메틸아미노)바이페닐(2-Diphenylphosphino-2'-(N,N-dimethylamino)biphenyl), 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바이페닐(2-Dicyclohexylphosphino-2',6'-dimethoxybiphenyl), 디씨클로헥실(2',4',6'-트라이메톡시[1,1'바이페닐]-2-일)-포스핀(Dicyclohexyl(2',4',6'-trimethoxy[1,1'-biphenyl]-2-yl)-phosphine), 디-터트-부틸(2,2,-디페닐-1-메틸-1-씨클로프로필)포스핀(Di-tert-butyl(2,2-diphenyl-1-methyl-1-cyclopropyl)phosphine), 2-[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페닐]-N-메틸인돌(2-[2-(Dicyclohexylphosphino)phenyl]-N-methylindol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A)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a1)는 용융지수(MeltIndex)가 230 ℃에서 10 ~ 25 g/10min이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a2)는 230℃에서 100 ~ 200 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B)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를 0.5 ~ 5 중량%로 그라프트 시킨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 5,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스크래치제(D)는 용융흐름지수가 13 ~ 15 g/10 분(230℃, 10kg), 녹는점 92 ~ 95℃이며, 고분자 구조 내에 아민기(-NH2)를 함유한 단위체가 18 ~ 24 중량%을 갖는 펠렛(pellet) 형태의 올레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 1항, 제 4항 및 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
KR1020190136604A 2019-10-30 2019-10-30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231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04A KR102231991B1 (ko) 2019-10-30 2019-10-30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202010937846.3A CN112745567B (zh) 2019-10-30 2020-09-09 尾门内板用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04A KR102231991B1 (ko) 2019-10-30 2019-10-30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91B1 true KR102231991B1 (ko) 2021-03-25

Family

ID=7522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04A KR102231991B1 (ko) 2019-10-30 2019-10-30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1991B1 (ko)
CN (1) CN112745567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8123A (ja) * 2002-03-19 2003-09-25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射出成形体
KR20090015685A (ko) * 2007-08-09 2009-02-12 현대이피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KR101286422B1 (ko) * 2012-04-09 2013-07-19 성창기업지주(주) 기능성 소취제를 포함하는 에폭시계 접착제 조성물
KR20180036129A (ko) * 2016-09-30 2018-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1930A1 (en) * 2000-12-22 2002-07-04 Samsung General Chemicals Co., Lt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thermal resistance, high rigidity and low warpage properties
KR101263789B1 (ko) * 2009-07-13 2013-05-13 제이에스아이실리콘주식회사 유기 클로로하이드로실란과 이의 제조방법
KR101558703B1 (ko) * 2013-12-20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WO2016135259A1 (de) * 2015-02-27 2016-09-01 Covestro Deutschland Ag Verwendung von polyethercarbonatpolyolen zur erzeugung farbstabiler polyurethanschaumstoffe
CN104830034B (zh) * 2015-05-11 2017-09-29 深圳华力兴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超支化树脂增韧的pbt工程塑料组合物
US10683256B2 (en) * 2016-08-22 2020-06-16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biphenyls
KR101915971B1 (ko) * 2016-09-30 2018-11-07 주식회사 서연이화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방법
TWI613254B (zh) * 2016-12-13 2018-02-01 Nanya Plastics Corp 一種熱固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8123A (ja) * 2002-03-19 2003-09-25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射出成形体
KR20090015685A (ko) * 2007-08-09 2009-02-12 현대이피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KR101286422B1 (ko) * 2012-04-09 2013-07-19 성창기업지주(주) 기능성 소취제를 포함하는 에폭시계 접착제 조성물
KR20180036129A (ko) * 2016-09-30 2018-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45567A (zh) 2021-05-04
CN112745567B (zh)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9586B2 (en) Modified polyolefin resin for glass fiber treatment, surface-treated glass fiber, and fiber-reinforced polyolefin resin
US8367753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creating fabric texture
US5484835A (en) Heat-resistant, propylene resin-based molding materials and molde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KR101916247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컴파운드 조성물
WO2008078838A1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WO2008078839A1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1293916B1 (ko) 자동차 부품용 폴리유산 조성물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JP6094049B2 (ja) 充填材含有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4894255B2 (ja) 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01889052B (zh) 含有聚乙烯醇纤维的聚烯烃树脂组合物及其成形体
KR102231991B1 (ko)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2014118525A (ja) 自動車部材用樹脂及び自動車部材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876062B1 (ko) 테일게이트 인너 판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1118021B2 (en)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reduced odor for interior parts of automobiles
KR102150266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JP5111694B2 (ja) 繊維強化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9980067272A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JP4904801B2 (ja) 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59967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092960B2 (ja) 成形物
JP2001131364A (ja) 耐不凍液系統自動車部品材料
KR102162482B1 (ko) 친환경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