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054B1 -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054B1
KR102231054B1 KR1020207012628A KR20207012628A KR102231054B1 KR 102231054 B1 KR102231054 B1 KR 102231054B1 KR 1020207012628 A KR1020207012628 A KR 1020207012628A KR 20207012628 A KR20207012628 A KR 20207012628A KR 102231054 B1 KR102231054 B1 KR 10223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light
display
pla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332A (ko
Inventor
마코토 오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프 이즈 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프 이즈 스타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라이프 이즈 스타일
Publication of KR2020006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ming an image using a quickly moving array of imaging elements, causing the human eye to perceive an image which has a larger resolution than the array, e.g. an image on a cylinder formed by a rotating line of LED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light sources, e.g. rotating luminous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Abstract

플레이트(12)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14)을 회전 구동시키는 다양한 구조의 회전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송신한다. 사용자가 보유하는 회전 디스플레이(10)의 종별과, 화상 데이터(66)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86)을 사용자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복수의 화상 데이터(66) 중에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회전 디스플레이(10)의 종별에 따라 표시 가능한 화상 데이터(66)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킨다.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 데이터(66)와, 이 화상 데이터(66)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86)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회전 디스플레이(10)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素子群)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회전 구동되는 밴드형의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기술은, 이른바 프레임이 있는 일반의 디스플레이와 다르며, 프레임에 둘러싸인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라인형으로 배열되고 발광 소자군을 회전시켜, 잔상에 의한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이 허공에 떠 보이기 때문에, 리얼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WO/2015/140578호 공보
기지의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회전 디스플레이는 점포에 설치하여 광고 선전용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그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 구조를 더욱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하는 화상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적절한 타이밍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기대된다. 또한, 회전 디스플레이는, 회전 부분이 사람을 다치게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단지 커버를 씌우는 것으로는 시각적 효과가 감소한다. 따라서, 보다 안정성이 높은 구조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의 구성은 각각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성 1>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이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를 회전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상기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여, 회전 디스플레이에 송신하기 위한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 서버에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종별과, 상기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장치와,
상기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종별에 따라 표시 가능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거나, 혹은 표시 가능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작성시키고, 또한, 그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을 입력시키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혹은 작성한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회전 디스플레이에 송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혹은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그 타임 스케줄에 따라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2>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자이너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디자이너의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가 서버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화상 데이터를 회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선택했을 때, 그 화상 데이터의 디자이너에 대한 보수를 가산하는 과금(課金)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 1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3>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발광 소자열을 2열 배열하고, 이 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한쪽 열의 발광 소자 사이로부터 다른 쪽의 소자가 보이도록, 2열의 발광 소자열의 배치를 서로 시프트시킨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4>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한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며,
미리 설정한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고, 각각의 회전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도록,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구성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5>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구동축에 평행하게 단수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각 플레이트가 구동축을 축으로 하여 그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6>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플레이트를 회전하는 구동축의 주위에 우산형으로 배치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7>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혹은 기판이 투명판인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8>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투명판에 모터의 회전축을 관통시키고 투명판의 한쪽 측에 모터를 배치하고, 다른 쪽 측에 발광 소자군을 모터 측을 향하여 플레이트를 배치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9>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를 투명한 반구상(半球狀)의 방호 커버로 포위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10>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에 방호 커버가 없고, 사람이 접근했을 때 이것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 센서와, 이 검지에 의해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기 혹은 검지에 의해 구동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11>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횡단면이 유선형(流線形)으로 되고, 또는,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운동의 회전축에 대하여 축대칭의 S자형으로 되어 있는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구성 1의 효과>
회전 디스플레이의 종별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는 그 중에서 희망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타임 스케줄을 입력시켜, 화상 데이터의 표시 타이밍을 컴퓨터가 자동 제어하고, 광고 선전 등에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화상 데이터의 증감 변경을 할 수 있다.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역으로 설치된 다양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성 2의 효과>
사용자에게 호평인 디자인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디자이너에게 상응한 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성 3의 효과>
발광 소자군이 1라인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발광 소자의 간극의 환형의 검은 줄(streak)이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 평행하게 배열한 2열의 발광 소자열의 배치를 서로 길이 방향으로 시프트시켜 점등시키면,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4의 효과>
각 1장의 플레이트에서 하나의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표시하여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화상을 제휴시키면 보다 효과적인 광고탑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오버랩시켜 이음매가 없는 임의의 형상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성 5의 효과>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문자를 표시하는 용도에 최적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배치하여 자막 등의 합성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구성 6의 효과>
회전하는 구동축을 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우면, 구동축의 주위의 어디에서도, 표시 화상을 볼 수 있다.
<구성 7의 효과>
플레이트나 기판이 투명하면,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이 완전히 허공에 떠 보이기 때문에,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이 보다 리얼하게 느껴진다.
<구성 8의 효과>
투명판의 한쪽의 모터 측으로부터 보면 안전은 확보된다. 게다가, 투명판으로부터는 회전하는 플레이트의 후측의 경치 등도 보이므로, 잔상에 의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과 그 배경이 융합하는 시각적인 효과가 있다.
<구성 9의 효과>
회전하는 플레이트에 사람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반구상의 방호 커버에 의해, 상기의 잔상에 의한 입체 화상의 깊이가 보다 깊게 느껴지는 시각적인 효과가 있다.
<구성 10의 효과>
방호 커버가 없는 경우의 대비로서, 사람이 접촉할 때까지 접근했을 때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성 11의 효과>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한 풍잡음(wind noise)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도 1a는 기지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의 측면도, 도 1c는 장치의 기판에 탑재된 회로예의 블록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예 1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3은 실시예 2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4] 도 4는 실시예 3의 복수 대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5] 도 5a는 복수 대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벽에 배열하여 고정한 예의 정면도, 도 5b는 타원형의 패널에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도 6은 실시예 4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 도 7a는 실시예 5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플레이트 횡단면도, 도 7b는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 도 8은 회전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도 9a는 실시예 6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9a는 표시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도 10a는 실시예 7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사시도, 도 10b부터 도 10d는 그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 도 11a부터 도 11c는 실시예 8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사시도, 도 11d는 그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 도 12는,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3] 도 13은, 사용자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11에서, 본 발명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각종 구조의 회전 디스플레이의 설명을 한다. 그 후, 도 12에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설명한다.
도 1a는 기지의 회전 디스플레이(10)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1b는 그의 측면도, 도 1c는 장치의 기판(16)에 탑재된 회로예의 블록도이다.
먼저, 이 도 1을 이용하여, 특허문헌 1의 장치의 개략 구조와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이 장치는, 플레이트(12)에 직선형으로 발광 소자군(14)(예를 들면, LED Arrey)을 배열한 것이다. 이들 발광 소자군(14)은 기판(16)에 탑재한 화상 제어부(20)에 의해 점멸 구동된다. 플레이트(12)와 기판(16)은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16)의 중앙에 회전축을 고정한 구동 장치(18)(예를 들면, 전기 모터)에 의해 플레이트(12)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6)에는, 화상 제어부(20)(Desplay Control)와 데이터 버퍼(24)(데이터 버퍼)와 통신 제어부(22)(Co㎜unication control Unit)가 탑재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22)는, 발광 소자군(14)을 점멸 제어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외부의 컴퓨터나 서버로부터 송신된다. 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퍼(24)에 기억된다. 화상 제어부(20)는 이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차례로 판독하여 발광 소자군(14)을 구동한다.
도 1a에 나타낸 플레이트(12)가 구동 장치(18)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면, 발광 소자군(14)에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발광 소자군(14)이 점멸하고, 잔상 효과에 의해 다양한 화상이 표시된다. 이 회전 디스플레이는, 프레임이 있는 디스플레이와 다르고, 프레임에 둘러싸인 화상이 보이는 일이 없다. 플레이트(12)가 고속 회전하면, 플레이트가 보여지지 않게 되므로, 발광 소자군(14)이 표시하는 화상이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에 의해, 리얼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
도 2는, 실시예 1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2)가 회전하면서 화상을 표시하므로, 회전 중은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이 부상하여 사람의 눈길을 끈다. 그 때, 주위의 사람이, 플레이트(12)가 회전하고 있는 것을 잊어버리면, 손이나 얼굴을 지나치게 가까이 하여 위험하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길이는 몇십센티미터, 폭은 몇센티미터, 두께는 발광 소자군(14)과 합쳐도 몇밀리미터다. 이것이 회전을 하고 있으면 손이나 손가락을 자를 우려가 높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12) 전체를 덮도록 방호 커버(26)를 설치한다. 이 방호 커버(26)는,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의 시인을 방해하지 않는 광투과성이 양호한 망 등도 적합하다. 이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의 플라스틱 등에 의해 구성된 반구상의 방호 커버(26)를 씌우면, 이 중에 보이는 입체 화상의 깊이가 보다 깊게 느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호 커버(26) 중에서 입체가 돌아다니는 것 같은 착각도 생기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 구조는, 단순한 방호만이 아닌 고유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2b와 도 2c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예이다. 도 2b의 예에서는, 사람 검지 센서(28)와 경보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사람 검지 센서(28)가 회전 디스플레이(10)에 접근하는 사람을 검출하면, 경보기(30)가 경보음을 발한다. 이로써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장치(1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3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스위치(32)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사람 검지 센서(28)가 사람이 접근한 것을 검출하면 스위치(32)가 작동하여 플레이트(1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모두, 방호 커버(26)가 없는 경우에 유효하다.
<실시예 2>
도 3은, 실시예 2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도, 보는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고, 또한 표시되는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의 시각적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구비한 것이다. 이 장치는, 유리 창문(34)의 한쪽 측에 구동 장치(18)를 고정한다. 구동 장치(18)가 있는 측은 실내이다. 그리고, 구동 장치(18)의 회전축이 유리 창문(34)을 관통하고 있다. 기판(16)과 플레이트(12)는 창의 외측에 있다. 물론, 비 등이 쏟아지지 않는 준비를 해 놓는다. 기판(16)과 플레이트(12)는 구동 장치(18)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된다. 발광 소자군(14)은 플레이트(12)의 유리 창문(34)을 향한 면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 창문(34)의 우측, 즉, 실내에서 밖을 보는 것처럼 발광 소자군(14)의 회전에 의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볼 수 있다. 유리 창문(34) 너머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보므로,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이 밖의 경치 등과 융합하여, 지극히 효과적인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도 4와 도 5는,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들 실시예는,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광고 선전 등에 적합한 효과적인 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의 예에서는,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10)가 천장(36)에 매달릴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사람(38)은 천장(36)을 올려다 보면서,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10)의 제휴에 의해 형성되는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천장(36)을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이 돌아다니거나 복수의 입체 화상이 연계되어 움직이는 것 같은 매우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a는, 복수 대의 회전 디스플레이(10)를 벽(40)에 배열하여 고정한 예를 나타낸다. 도 5b는 예를 들면, 타원형의 패널(42)에, 복수 대의 회전 디스플레이(10)를 배치하고 있다. 요구되는 디자인에 따라, 회전 디스플레이(10)를 어떻게 배치해도 상관없다. 도 5b에서는, 6대의 회전 디스플레이(10)를, 각각이 표시하는 파선의 원형의 화상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로 배열된 3대의 플레이트(12)의 회전축 방향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각 회전 디스플레이(10)마다 상이하게 하면, 플레이트(12)가 서로 충돌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한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10)를 배치하고, 각각의 회전 디스플레이(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도록,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10)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상하 좌우에 연속한 절취선이 두드러지지 않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복잡하게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이 연계되어 움직이고 변화하는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로, 사람이나 동물이나 자동차 등이 달리는 것 같은 화상을 복잡하게 조합하여, 효과적인 광고용의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다. 프레임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건물의 천장이나 벽의 모양 등을 배경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모든 실시예의 회전 디스플레이도, 동일하게 화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되는 배치가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6은 플레이트(12)에 2열의 발광 소자군(14)을 배치한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의 1개의 4각형은, 예를 들면, 3원색을 발광시키는 3개의 LED를 일체화한 것이다. 일렬의 발광 소자군(14)을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면, 잔상 효과로 컬러 동영상이나 입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플레이트(12)가 회전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환형의 검은 줄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표시된 화상을 사진 촬영하면 그 선이 명료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 검은 줄은, 인접하는 발광 소자(14)의 간극에 의해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군(14)을 2열 구성으로 하였다. 평행하게 배열한 2열의 발광 소자열의 배치를 서로 길이 방향으로 시프트시켜 점등시키면, 검은 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7a는 플레이트(12)의 평면도, 도 7b는 플레이트(12)의 X-X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것은, 플레이트(12a)가 회전할 때의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이다.
예를 들면, 도 7a는, 플레이트(12a)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방지하는 구조의 것이다. 평면에서 본 플레이트(12a)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S자형으로 하였다. 이 플레이트(12a)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12a)에 맞는 바람의 흐름 a를 조정하여, 부정 진동을 방지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12)의 단면을, 예를 들면 유선형으로 해도 된다. 플레이트(12)에 탑재한 발광 소자군(14)을 수지 몰딩하여 피복하여 보호하고, 전체로서 그 단면을 유선형으로 조정한다. 이로써, 회전할 때의 소음을 크게 감쇠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2)를 단면에서 볼 때, 비행기의 프로펠러와 같이 경사지게 하였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12)가 회전하면, 디스플레이의 전면 방향 혹은 배면 방향으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서큘레이터로서도 기능하고, 리본을 흔들리게 하거나, 스팀의 흐름을 연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구조는, 다른 실시예에도 그대로 응용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의 각 실시예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은 구동 장치(18)를 펄스 모터로 했을 때, 거기에 공급하는 구동 펄스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또한, 화상 데이터(46)은 플레이트(12)의 발광 소자군(14)에 공급하는 발광 제어 신호이다. 가로축은 시간이다. 컬러의 경우에는 3색의 디지털 신호이지만, 여기서는 단색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 타이밍을 예시한다.
예를 들면, 펄스 모터에 1회 펄스를 공급할 때마다, π/60라디안만큼 구동 장치(18)(도 2)의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이 1회의 펄스 공급의 타이밍에서, 플레이트(12) 상의 모든 발광 소자군(14)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1라인분(원의 직경에 상당하는 라인)의 화상을 표시시킨다. 구동축(50)이 π라디안 즉, 2분의 1 회전하면, 60라인분의 화상 데이터(46)가 공급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이에 의해, 1화면분의 잔상 표시가 된다.
1분간 30화면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1화면분의 재생 시간을 T2로 했을 때, T2는 30분의 1초가 된다. 구동축을 매분 30회전시키면 된다. 펄스 모터에 구동 펄스(44)를 공급하는 주기 T1은 T2/60초가 된다. 이상은 단순한 예시이다. 발광 소자군(14)이나 구동 장치(18)의 성능이나 요구되는 잔상 효과에 따라, 신호 처리의 방법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잔상 효과를 이용한 표시 장치가 실현한다.
<실시예 6>
도 9a는, 실시예 1 등에서 설명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장치의 지금까지와는 다른 제어예를 나타낸다. 즉, 이 기본적인 구조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원형의 화면 상에 1화면분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 이외의 표시 제어가 가능하다. 즉, 도 9b의 예와 같이, 원형의 영역 중에 복수의 화면이 별개로 독립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로써, 화상이 공중에 부상하여 보이는 것 같은 효과를 더 강하게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0은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10a는, 원뿔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플레이트(12)를 회전시키는 구동축(50)의 주위에 우산형으로 배치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장치에 비하여 보다 입체감이 있는 화면을 즐길 수 있다. 게다가, 회전하는 구동축(50)을 바닥에 대하여 수직에 세우면, 구동축(50)의 주위 어디에서도, 표시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12)가 구동축(50)의 회전 속도가 상승했을 때 우산을 펼치도록 변형하면, 화상의 형상도 변화된다. 도 10c는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10d는 도 10b의 상태를 상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변화는 광고 선전 효과를 보다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실시예 8>
도 11a는 구동축(50)에 평행하게 단수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12)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다. 본 예의 경우에는 구동축(50)의 바로 앞에 잔상에 의한 직사각형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 구동축(50)이 투명하거나, 구동축(50)에 배경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모양이나 착색이 행해져 있으면, 구동축(50)이 두드러지지 않고 화상이 부상하여 보인다. 또한, 실시예 7의 것과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구동축(50)을 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우면, 구동축(50)의 주위 어디에서도, 표시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11b는, 회전하는 구동축(50)을 바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플레이트(12)의 회전 반경도 작게 한다. 이로써, 가로 방향으로 문자열과 같은 밴드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평면 디스플레이(52)의 전체면에 오버랩되도록 도 11b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배치하면, 평면 디스플레이(52)에서 표시하는 화상과 구동축(50)을 회전하여 플레이트(12)에서 표시하는 화상을 합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평면 디스플레이(52)를 사용하여 영화를 상영하면서, 도 11b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에서 그 자막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광고 표시도 가능하다. 미리 평면 디스플레이(52)에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와 자막의 화상 합성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2종의 화상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배경이 들여다 보이고, 오버랩된 경계선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합성을 할 수 있다.
<실시예 9>
예를 들면, 광고 선전이나 어트랙션, 그 외의 이벤트 등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 디스플레이는 지극히 효율적으로 기능한다. 또한, 사용 장소나 환경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조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 디스플레이에 공급하는 화상 데이터, 바꿔 말하면, 표시되는 잔상 효과에 의한 화상은 목적에 의해, 시간에 의해, 표시 장소에 의해, 다종다양한 것으로 된다.
이를 위해, 이용자가 희망하는 화상 데이터를 시의적절하게, 또한, 언제든지 자유롭게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기대된다. 이용자마다의, 회전 디스플레이마다의 컴퓨터가 독자적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도 12는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클라우드 서버(58)는, 이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클라우드 서버(58)(Cloud server)에는, 그 기억 장치(59)에, 화상 데이터(66)(Image data)와 사용자 데이터(68)(User data)가 기억된다. 또한, 이들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58)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User Interface)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72)(Desplay controler)와 과금 제어부(74)(Accounting control unit)가 내장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66)는, 다양한 구조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이용자가 바라는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는, 다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데이터(68)는, 이용자를 특정하고, 이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회전 디스플레이를 특정하는 데이터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이용자가 바라는 화상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혹은 이용자가 바라는 메시지를 화상 데이터에 부가하거나 하는 조작용 화면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72)는, 클라우드 서버(58)에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접속된 다양한 회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64)를 사용하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58)에 대하여, 표시를 희망하는 화상 데이터의 선택 조작이나, 화상의 표시 타이밍의 입력 조작을 한다.
과금 제어부(74)는, 예를 들면, 이용자가 표시 화상을 선택했을 때나, 그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했을 때 등에, 사용한 데이터량에 따라 사용자에 과금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분이다.
또한, 이 도면의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버(58)에 대하여 네트워크(60)를 통하여 디자이너 단말 장치(62나 63)가 접속되어 있다. 디자이너 단말 장치(62나 63)는, 화상을 작성하는 디자이너가 조작하는 단말 장치이다.
디자이너는 각각 독자적인 화상을 작성하여, 그것을 서버(58)의 화상 데이터(66)에 포함하도록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그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디자이너에 대하여 이용료가 지불된다. 예를 들면, 1회 사용될 때마다 일정한 요금이 가산된다. 이 이용료의 계산을 과금 제어부(74)가 실행한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버(58)는 네트워크(60)를 통하여, 예를 들면, 5종류의 각각 구조가 다른 회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이용자가 희망하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도면 중에서, M9A로 표시된 회전 디스플레이는, 도 9a를 이용하여 설명한 회전 디스플레이다. 마찬가지로, 각 회전 디스플레이에는, 설명을 한 도면부호를 포함하는 기호를 붙였다.
도 13은, 사용자 데이터(68)와 화상 데이터(66)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사용자 데이터(68)는,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코드(76)(User code)와 패스워드(78)(Pass word)와 디스플레이 리스트(80)(Display list)를 표시하는 조작 화면을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리스트(80)는, 디스플레이 코드(82)(Display code)와 컨텐츠 코드(84)(Contents code)와 타임 스케줄(86)(Time schedule)과 어드레스(88)(Adress)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이 회원제로 운용되고 있다고 한 경우에는 사용자 코드(76)는 회원번호이다. 또한, 패스워드(78)는 이용자가 서버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비밀번호이다.
디스플레이 코드(82)는, 회전 디스플레이마다 고유의 제품번호 혹은 식별번호이다. 이 디스플레이 코드(82)에 의해, 회전 디스플레이의 종별이 특정된다. 컨텐츠 코드(84)는 이 회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기 위해 이용자가 선택한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식별번호이다.
타임 스케줄(86)은, 이 회전 디스플레이에 이용자가 선택한 화상을 표시하는 시간적인 타이밍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 내용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다.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일정 시간마다 표시시킬 수도 있고, 상이한 화상 데이터를 교호적(交互的)으로 표시시킬 수도 있다. 어드레스(88)는, 서버가 회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필요한, 회전 디스플레이의 IP 어드레스 등이다.
도 13에 나타낸 컨텐츠 표시 화면(91)에는, 다종의 화상 데이터(66)가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화면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것이 사용자 데이터(68)의 디스플레이 리스트(80)에 등록된다. 컨텐츠 표시 화면(91) 중의 「USER」로 표시한 화상 데이터(92)는, 이용자가 임의의 문자를 기입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이다. 이 화상 데이터(92)는, 「오늘의 주력 상품은…」이란, 매일 바뀌는 캐치프레이즈를 이용자 자신이 기입할 수 있는 문자를 주체로 하는 화상을 포함하면 된다.
이들 화상 데이터가 서버(58)의 기억 장치(59)에 기억되어 있으면, 상기의 서버(58)의 처리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용자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지정된 스케줄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사용자 데이터(68)에 포함된 컨텐츠 코드(84)나 타임 스케줄(86)을 변경하여, 최적인 광고 선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회전 디스플레이
12 : 플레이트
12a : 플레이트
12b : 플레이트
14 : 발광 소자군
16 : 기판
18 : 구동 장치
20 : 화상 제어부
22 : 통신 제어부
24 : 데이터 버퍼
26 : 방호 커버
28 : 사람 검지 센서
30 : 경보기
31 : 전원
32 : 스위치
34 : 유리 창문
36 : 천장
38 : 사람
40 : 벽
42 : 패널
44 : 구동 펄스
46 : 화상 데이터
48 : 표시 화상
50 : 구동축
52 : 평면 디스플레이
58 : 클라우드 서버
59 : 기억 장치
60 : 네트워크
62 : 디자이너 단말 장치
63 : 디자이너 단말 장치
64 : 사용자 단말 장치
66 : 화상 데이터
68 : 사용자 데이터
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72 :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74 : 와금 제어부
76 : 사용자 코드
78 : 패스워드
80 : 디스플레이 리스트
82 : 디스플레이 코드
84 : 컨텐츠 코드
86 : 타임 스케줄
88 : 어드레스
91 : 컨텐츠 표시 화면
92 : 커스터마이즈 화상

Claims (11)

  1.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素子群)이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 구동하여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상기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여, 회전 디스플레이에 송신하기 위한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서버에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종별과, 상기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장치;
    상기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보유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종별에 따라 표시 가능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거나, 혹은 표시 가능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작성시키고, 또한, 그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을 입력시키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혹은 작성한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임 스케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회전 디스플레이에 송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혹은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그 타임 스케줄에 따라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자이너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어 있고, 디자이너의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가 서버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화상 데이터를 회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선택했을 때, 그 화상 데이터의 디자이너에 대한 보수를 가산하는 과금(課金)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발광 소자열을 2열 배열하고, 이 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한쪽 열의 발광 소자 사이에서 다른 쪽의 소자가 보이도록, 2열의 발광 소자열의 배치를 서로 시프트시킨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한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고,
    미리 설정한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고, 각각의 회전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도록, 복수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구동축에 평행하게 단수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각 플레이트가 구동축을 축으로 하여 그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플레이트를 회전하는 구동축의 주위에 우산형으로 배치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혹은 기판이 투명판인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투명판에 모터의 회전축을 관통시키고 투명판의 한쪽 측에 모터를 배치하고, 다른 쪽 측에 발광 소자군을 모터 측을 향하여 플레이트를 배치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를 투명한 반구상(半球狀)의 방호 커버로 포위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에 방호 커버가 없고, 사람이 접근했을 때 이것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 센서와, 이 검지에 의해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기 혹은 검지에 의해 구동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레이트 상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광 소자군과, 이들 발광 소자군의 회전 중에 잔상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버퍼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발광 소자군에 공급하는 화상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횡단면이 유선형(流線形)으로 되거나, 혹은, 상기 플레이트는 회전 운동의 회전축에 대하여 축대칭의 S자형으로 되어 있는 회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KR1020207012628A 2017-11-02 2018-10-23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KR102231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3310 2017-11-02
JPJP-P-2017-213310 2017-11-02
PCT/JP2018/039291 WO2019087857A1 (ja) 2017-11-02 2018-10-23 回転ディスプレイの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332A KR20200066332A (ko) 2020-06-09
KR102231054B1 true KR102231054B1 (ko) 2021-03-22

Family

ID=6633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28A KR102231054B1 (ko) 2017-11-02 2018-10-23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61689B2 (ko)
EP (1) EP3706102A4 (ko)
JP (1) JP6676831B2 (ko)
KR (1) KR102231054B1 (ko)
CA (1) CA3079971C (ko)
SG (1) SG11202003939UA (ko)
WO (1) WO20190878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046A (ko) * 2021-06-15 2022-12-22 (주)거노코퍼레이션 회전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37A (ko) * 2019-09-17 202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82347B1 (ko) * 2020-02-05 2021-07-28 (주)퓨처쉐이퍼스 홀로그램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565405B1 (ko) * 2021-08-25 2023-08-09 (주)현도산업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614A (ja) 1999-10-27 2001-06-08 Sa Tech Co Ltd 発光素子を利用した映像表示システム
US20070103545A1 (en) 2005-11-09 2007-05-10 Digital Video Media, L.L.C. 360 Degree display
JP2016143297A (ja) 2015-02-04 2016-08-08 日本Did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設定装置、その方法及び広告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9711A (ja) * 1994-12-21 1996-07-12 Nifco Inc 表示装置
US20060167990A1 (en) * 2002-10-24 2006-07-27 Tobiasen Max K System for present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on a display device
US7099701B2 (en) * 2002-11-25 2006-08-29 Giant Electronics Ltd. Rotating LED display device receiving data via infrared transmission
KR20070083412A (ko) * 2006-02-21 2007-08-24 김영화 원판원통 통합형 회전식 전광판 및 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이미지 처리방법
US20090002362A1 (en) * 2007-06-28 2009-01-01 Boundary Net, Incorporated Image to temporal pixel mapping
GB0813807D0 (en) * 2008-07-29 2008-09-03 Litelogic Ltd Display module
KR100914758B1 (ko) * 2009-04-10 2009-08-31 (주)엘이디웍스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영상 재생방법
KR20140031457A (ko) * 2012-08-31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GB201405107D0 (en) 2014-03-21 2014-05-07 Old Bond London Ltd Display apparatus
US20160148548A1 (en) * 2014-06-19 2016-05-26 Pavan Pudipeddi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of multimedia information on a persistence of vision (pov) based display
KR101741097B1 (ko) * 2015-04-13 2017-05-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IL260825B (en) * 2016-01-29 2022-06-01 Magic Leap Inc View for a 3D im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614A (ja) 1999-10-27 2001-06-08 Sa Tech Co Ltd 発光素子を利用した映像表示システム
US20070103545A1 (en) 2005-11-09 2007-05-10 Digital Video Media, L.L.C. 360 Degree display
JP2016143297A (ja) 2015-02-04 2016-08-08 日本Did株式会社 コンテンツ設定装置、その方法及び広告提供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046A (ko) * 2021-06-15 2022-12-22 (주)거노코퍼레이션 회전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65162A1 (ko) * 2021-06-15 2022-12-22 (주)거노코퍼레이션 회전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2079B1 (ko) * 2021-06-15 2023-08-02 (주)거노코퍼레이션 회전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27834B2 (en) 2021-06-15 2023-08-15 Kono Corporation Ltd Rotary LE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87857A1 (ja) 2020-01-16
CA3079971A1 (en) 2019-05-09
WO2019087857A1 (ja) 2019-05-09
KR20200066332A (ko) 2020-06-09
EP3706102A1 (en) 2020-09-09
JP6676831B2 (ja) 2020-04-08
EP3706102A4 (en) 2021-11-24
SG11202003939UA (en) 2020-05-28
US20210192996A1 (en) 2021-06-24
CA3079971C (en) 2021-04-20
US11361689B2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054B1 (ko) 회전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ES2556678T3 (es) Distribución automática de vitrinas privadas a lo largo de un escaparate
ES2646924T3 (es) Dispositivo de salida de vídeo, dispositivo de observación de vídeo en 3D, dispositivo de presentación visual de vídeo y método de salida de vídeo
EP3158558A1 (en) Drone, method and systems for airborne visualization
US20180165998A1 (en) Omnidirectional flying visual apparatus
CN102096197A (zh) 三维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三维图像显示方法
CN109479125A (zh) 具有增强的颜色和对比度的投影系统
US20160293206A1 (en)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CN113227884A (zh) 用于游乐乘坐设施的增强现实系统
KR20200083226A (ko) 다중 사용자 디스플레이 및 그 방법
CN107040773A (zh)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6686791B2 (ja)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CN108267860B (zh) 头戴式显示装置
CN207867837U (zh) 一种基于视觉暂留效应的显示设备
KR102032469B1 (ko) 블라인드를 이용한 전광판 시스템
JP2017072819A (ja)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を備えた建物
US20190335164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WO2017161792A1 (zh) 液晶显示屏、展示虚拟现实图像的系统和头戴式显示设备
JP2015104014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Young OLED displays and the immersive experience
UA82850C2 (en) Device for advertisement
KR101077829B1 (ko) 광섬유 동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N107229146B (zh) 显示设备及显示方法
WO2023137730A1 (zh) 一种360度裸眼显示三维物体的实现方法及设备
Dhruv et al. Wireless Remote Controlled POV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