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911B1 -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 Google Patents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911B1
KR102230911B1 KR1020200076888A KR20200076888A KR102230911B1 KR 102230911 B1 KR102230911 B1 KR 102230911B1 KR 1020200076888 A KR1020200076888 A KR 1020200076888A KR 20200076888 A KR20200076888 A KR 20200076888A KR 102230911 B1 KR102230911 B1 KR 10223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usion
heater
guide ro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민
이남훈
Original Assignee
이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민 filed Critical 이관민
Priority to KR102020007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클램프의 이동경로인 가이드봉들의 외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이동클램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융착대상들이 외주면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중심이 맞지 않을 경우에도 이동클램프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융착대상들의 중심을 맞춰 융착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터분리수단이 히터가 장착되는 걸림쇠를 제외하고는 가이드봉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히터분리수단의 길이에 의해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장치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히터분리수단에 장착되는 걸림쇠들의 거리를 융착대상의 종류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융착대상에 따라서 클램프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변화되어도 융착대상들의 가열, 융착작업 및 히터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거리로 임의 조절할 수 있으며, 융착대상들의 융착부위에 형성되어 융착대상들이 융착될 때 생성되는 비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한돌부가 클램프에 설치됨으로써 비드에 의해 파이프의 밀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융착대상의 중심조절이 가능한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Heat welding apparatus for reducing bead production}
본 발명은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에 융착대상을 고정하여 융착작업을 진행할 때, 이동클램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융착대상들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와 소켓의 융착과정에서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생성되는 비드(bead)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한돌부가 클램프에 설치되어 융착과정에서 발생하는 비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시공 시, 시공 길이에 따라 파이프들의 단부를 융착결합하여 파이프를 연장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융착방법으로는 맞대기 융착과 소켓융착 등이 있다.
맞대기 융착은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들의 단면 사이에 히터를 넣어서 파이프들의 단면을 용융시킨 후에 삽입된 열판을 제거하고 용융부위를 맞대어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융착이다.
소켓융착은 소켓의 내면과 파이프의 외면을 요철히터에 삽입시켜서 소켓의 내면과 파이프의 외면을 용융시킨 후에 히터를 제거하고 파이프를 소켓 내로 삽입시켜 접합하는 융착이다.
작업자는 이러한 융착과정들을 진행하기 위하여 융착대상인 파이프 또는 소켓(이하 ‘융착대상’이라 함)을 클램핑 장치를 통해 고정시킨 후, 파이프들을 연결하기 위해 융착대상을 히터로 가열하는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러한 과정 중 융착대상이 히터와 붙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히터에 붙은 융착대상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융착대상의 용융면이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파이프들의 융착결합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0456615호(발명의 명칭 : 히터 분리수단이 구비된 파이프 클램핑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클램핑 장치(100)는 받침대(101)와, 제1, 제2 고정클램프(102), (103)들, 제1, 제2 이동클램프(104), (105)들, 가이드봉(106), (107)들, 유압실린더(108), (109)들, 히터(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프(102), (103), (104), (105)들은 파이프를 내부에 물릴 수 있도록 내부에 곡면이 형성되는 호 형상의 상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01)는 제1 고정클램프(102)가 고정 설치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제1 받침대(1011)와, 제2 고정클램프(103)가 고정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2 받침대(1012)와, 제1 받침대(1011)와 제2 받침대(1012)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봉(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받침대(1011)는 제2 받침대(1012)의 제2 고정클램프(103)가 설치되는 변과 간격조절봉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제2 받침대(1012)는 제2 고정클램프(103)가 고정 설치되는 변과 대향되는 변에 이동제한부(1013)가 상향 돌출형성되어 후술되는 이동클램프(104), (105)들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가이드봉(106), (107)들은 양단부가 각각 제1 고정클램프(102)의 하면과 받침대(101)의 이동제한부(1013)에 결합되며, 제2 고정클램프(103), 제1, 제2 이동클램프(104), (105)들의 하면을 관통한다.
도 2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램핑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파이프들을 고정클램프들(102), (103) 및 이동클램프(104), (105)들에 고정시킨 후, 후술되는 왕복대(1062), (1072)에 히터(200)를 장착한 상태이며, 도 2의 (b)는 고정클램프들(102), (103) 및 이동클램프(104), (105)들에 의해 고정된 파이프들의 단부를 히터(200)에 밀착시킨 상태이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클램핑 장치(100)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대(1061), (1071)들이 가이드봉(106), (107)들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왕복대(1061), (1071)들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걸림쇠(1062), (1072)와 제2 걸림쇠(1063), (1073)가 설치된다.
또한 제1 걸림쇠(1062), (1072)에는 히터(200)가 장탈착된다.
또한 가이드봉(106), (107)들에는 왕복대(1061), (1071)들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링(1064), (1074)들이 각각 설치된다.
이동클램프(104), (105)들은 제2 고정클램프(103)와 받침대(101)의 이동제한부(1013)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이동클램프(104), (105)들은 서로 마주보는 하면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108), (109)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유압실린더(108), (109)들은 이동클램프(104), (105)들을 관통하는 가이드봉(106), (107)들의 하부에서 이동클램프(104), (105)들과 결합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08), (109)들의 단부에는 유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1081), (1091)들이 설치된다.
이때 실린더 로드(1081), (1091)들의 단부는 제2 고정클램프(103)와 고정결합된다.
이를 통해 이동클램프(104), (105)들은 유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1081), (1091)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면, 실린더 로드(1081), (109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히터(2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원판 테두리에는 원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201), (202)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히터(200)는 왕복대(1061), (1071)들의 제1 걸림쇠(1062), (1072)들이 결합홈(201), (202)들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히터(200)가 왕복대(1061), (107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핑 장치(100)는 이동클램프(104), (105)들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유압실린더(108), (109)들이 유압에 의해 실린더 로드(1081), (1091)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유압실린더(108), (109)들과 고정 결합되어 있는 이동클램프(104), (105)들이 유압실린더(108), (109)들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100)는 파이프들의 단부를 가열 시킨 후 히터(20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파이프의 단부가 히터(200)에 붙었을 때, 이동클램프(104), (105)들을 받침대(101)의 이동제한부(1013)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히터(200)의 결합홈(201), (202)들이 제1 걸림쇠(1062), (1072)들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히터(200)가 파이프와 분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핑 장치(100)는 클램프들(102), (103), (104), (105)들을 통해 융착대상들을 고정할 때, 융착대상의 외주면 공차로 인하여 중심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맞대기 융착 시에는 파이프들이 직선으로 연결되지 못하며, 소켓융착 시에는 소켓 내부로 파이프가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100)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히터(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2의 (b)와 같이 히터(200)의 양면에 파이프들을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왕복대(1061), (1071)의 선단부가 제2 고정클램프(103) 쪽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때 왕복대(1061), (1071)들의 선단부가 제2 고정클램프(103)의 후면과 접촉되어 왕복대(1061), (1071)들의 이동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왕복대(1061), (1071)들에 장착되어 있는 히터(200)의 이동도 제한된다.
따라서 왕복대(1061), (1071)들의 제2 고정클램프(103)와 히터(200) 사이에는 ‘A’ 만큼 간격이 필요하게 되고, 결국 클램핑 장치(100)의 길이가 그만큼 길어지게 되고 장치가 대형화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100)는 히터분리수단인 왕복대(1061), (1071)들 및 걸림쇠(1062), (1063), (1072), (1073)들이 가이드봉(106), (107)들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 장치(100)는 파이프와 소켓을 열융착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의 단부가 열에 의해 변형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비드(bead)가 생성되지만, 비드의 생성을 제한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비드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비드는 파이프의 단부가 외부로 이동되어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이프는 비드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될수록 파이프 단부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어 파이프의 품질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클램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융착대상들이 외주면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중심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위치조정을 통해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히터분리수단이 히터가 장착되는 걸림쇠를 제외하고는 가이드봉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히터분리수단의 길이에 의해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히터분리수단에 장착되는 걸림쇠들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융착대상들의 길이에 맞춰서 히터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융착대상들의 융착부위에 형성되어 융착대상들이 융착될 때 생성되는 비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한돌부가 클램프에 설치됨으로써 비드에 의해 파이프의 밀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융착대상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클램프들; 일단부가 상기 고정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융착대상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봉들; 상기 가이드봉들이 관통되는 가이드봉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융착대상과 융착되는 제2 융착대상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클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램프들은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제1 하부 클램프; 상기 제1 하부 클램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들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상부 클램프; 중공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클램프 및 상기 제1 상부 클램프의 내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융착대상과 접촉되는 제1 라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이너들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라이너의 내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제한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돌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라이너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융착대상과 상기 제2 융착대상의 융착작업 시, 상기 제한돌부가 상기 이동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제2 융착대상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한돌부는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2 융착대상의 외주면과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2 융착대상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융착기는 상기 가이드봉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융착대상들의 융착면들을 히터가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분리수단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봉들 중 일측 가이드봉의 외경은 상기 이동클램프의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들 중 타측 가이드봉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기 일측 가이드봉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면이 하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하부 클램프; 하면이 상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상부 클램프; 상기 제2 하부 클램프 및 제2 상부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클램프에는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융착대상들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몸체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몸체들에는 상기 가이드봉들이 관통되는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몸체들의 단면에는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들과 동일한 중심을 갖되,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중공 원통 형상의 마찰부재가 삽입되는 마찰부재 삽입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몸체들의 상면에는 상기 마찰부재 삽입홈들까지 연장 형성되며, 가압볼트가 체결되는 가압볼트 체결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기 가압볼트들이 체결되어 상기 가압볼트들의 단부가 상기 마찰부재들을 가압하면 상기 마찰부재들이 상기 가이드봉들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봉들에는 상기 고정클램프와 결합된 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들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까지 연통되는 볼트삽입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히터분리수단들 각각은 상기 가이드봉의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쇠 가이드봉;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쇠 가이드봉에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쇠들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쇠들은 상기 이동클램프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클램프의 이동경로인 가이드봉들의 외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이동클램프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융착대상들이 외주면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중심이 맞지 않을 경우에도 이동클램프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융착대상들의 중심을 맞춰 융착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분리수단이 히터가 장착되는 걸림쇠를 제외하고는 가이드봉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히터분리수단의 길이에 의해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장치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분리수단에 장착되는 걸림쇠들의 거리를 융착대상의 종류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융착대상에 따라서 클램프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변화되어도 융착대상들의 가열, 융착작업 및 히터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거리로 임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융착대상들의 융착부위에 형성되어 융착대상들이 융착될 때 생성되는 비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한돌부가 클램프에 설치됨으로써 비드에 의해 파이프의 밀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파이프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융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라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가이드봉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이동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히터분리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히터분리수단에 장착되는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동클램프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클램프들을 통해 융착대상인 파이프 및 소켓을 고정하여 히터와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히터분리수단의 후방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b는 히터분리수단에 의해 히터와 파이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a는 히터분리수단에 의해 이동클램프의 후방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b는 히터분리수단에 의해 히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파이프와 소켓의 융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융착기의 사시도이다.
열융착기(1)는 받침대(2)와, 받침대(2)의 일측에 설치되어 파이프 또는 소켓(이하 ‘융착대상‘이라 함)을 고정하는 고정클램프(3)와, 고정클램프(3)에 일단부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받침대(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가이드봉(4a), (4b)들과, 가이드봉(4a), (4b)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융착대상을 고정하는 이동클램프(5)와, 가이드봉(4a), (4b)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되는 히터(7)가 장탈착되는 히터분리수단(6a), (6b)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클램프(5)에서 고정클램프(3)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받침대(2)는 사각 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21)과, 메인 프레임(21)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동제한부(22)로 이루어진다.
메인 프레임(21)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에 위치한 변에 고정클램프(3)가 설치되며, 후방에 위치한 변에 이동제한부(22)가 설치된다.
이동제한부(22)는 상부가 오목한 호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이동클램프(5) 및 히터분리수단(6a), (6b)들의 후방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또한 이동제한부(22)의 전면에는 가이드봉(4a), (4b)들이 결합된다.
도 5는 도 3의 고정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라이너의 단면도이다.
고정클램프(3)는 메인 프레임(21)에 설치되되, 이동제한부(22)와 마주보는 변에 설치된다.
또한 고정클램프(3)는 상면이 하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21)에 설치되는 제1 하부 클램프(31)와, 하면이 상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하부 클램프(3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상부 클램프(32)와, 제1 하부클램프(3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 하부 클램프(31)와 제1 상부 클램프(32)의 양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33)들과, 제1 하부 클램프(31) 및 제1 상부 클램프(32)의 내주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공 반원판 형상의 제1 라이너(34)들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 클램프(31)는 상면이 하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메인 프레임(21)와 결합된다.
제1 상부 클램프(32)는 제1 하부 클램프(31)의 상부에 위치하며, 체결부(33)들에 의해 양단부가 제1 하부 클램프(31)의 양단부와 고정된다.
제1 라이너(34)들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1 하부 클램프(31)와 제1 상부 클램프(32)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라이너(34)들의 후면에는 제한돌부(341)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한돌부(341)는 제1 라이너(34)의 내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내주면의 내경이 제1 라이너(3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한돌부(341)는 후단부에 제1 라이너(34)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4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라이너(34)들은 제1 하부 클램프(31)와 제1 상부 클램프(32) 내부에 위치되는 융착대상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체결부(33)들에 의해 제1 하부 클램프(31) 및 제1 상부 클램프(32)가 고정되었을 때, 융착대상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융착대상을 고정한다.
또한 제1 라이너(34)들은 비드생성 제한돌부(341)에 의해 파이프와 소켓의 융착작업 시 생성되는 비드의 생성량을 제한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되는 도 1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라이너(34)들은 클램프(31), (32)들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의 외경에 맞춰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클램프(3)는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클램프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가이드봉의 사시도이다.
제1 가이드봉(4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고정클램프(3)의 제1 하부 클램프(31)의 후면과 이동제한부(22)의 전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1 가이드봉(4a)의 길이방향은 고정클램프(3)에 의해 고정되는 융착대상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다.
또한 제1 가이드봉(4a)에는 가이드홈(41)과, 가이드홈(41)으로부터 제1 가이드봉(4a)의 외주면까지 연통되는 볼트삽입공(4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41)은 제1 가이드봉(4a)의 전단부로부터 가이드봉(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히터분리수단(6)의 걸림쇠 가이드봉(61)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볼트삽입공(42)은 가이드홈(41)으로부터 제1 가이드봉(4a)의 외주면까지 연통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히터분리수단(6)의 결합볼트(63)가 삽입된다.
이때 제1 가이드봉(4a)은 설치 시, 볼트삽입공(42)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가이드봉(4a)의 외경은 후술되는 이동클램프(5)의 제2 하부 클램프(51)에 형성된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내경과 같게 형성된다.
제2 가이드봉(4b)은 제1 가이드봉(4a)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되, 외경이 제1 가이드봉(4a)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봉(4)들에는 이동클램프(5) 및 히터분리수단(6a), (6b)들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은 도 3의 이동클램프의 사시도이다.
이동클램프(5)는 상면이 하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하부 클램프(51)와, 하면이 상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하부 클램프(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상부 클램프(52)와, 제2 하부 클램프(5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제2 하부 클램프(51)와 제2 상부 클램프(52)의 양단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53)들과, 제2 하부 클램프(51)와 제2 상부 클램프(52)의 내주면에 각각 설치되는 중공 반원판 형상의 제2 라이너(54)들로 이루어진다.
제2 하부 클램프(51)는 상면이 하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가이드봉(4a), (4b)들이 각각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봉(4a), (4b)들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상부 클램프(52)는 제2 하부 클램프(51)의 상부에 위치하며, 체결부(53)들에 의해 양단부가 제2 하부 클램프(51)의 양단부와 고정된다.
제2 라이너(54)들은 중공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2 하부 클램프(51)와 제2 상부 클램프(52)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 라이너(54)들은 제2 하부 클램프(51)와 제2 상부 클램프(52) 내부에 위치되는 융착대상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체결부(53)들에 의해 제2 하부 클램프(51) 및 제2 상부 클램프(52)가 고정되었을 때, 융착대상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융착대상을 고정한다.
이때 제2 라이너(54)들은 클램프(51), (52)들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의 외경에 맞춰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클램프(51)의 양단부에는 각각 블록 형상의 돌출몸체(511)들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몸체(511)의 후면에는 후면으로부터 제2 하부 클램프(51)의 전면까지 관통되는 가이드봉 관통공(5111)들이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후방에는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마찰부재 삽입홈(5112)이 형성된다.
또한 돌출몸체(511)의 상면에는 마찰부재 삽입홈(5112)까지 연통되는 가압볼트 체결홈(5113)이 형성된다.
마찰부재 삽입홈(5112)들에는 중공 원통 형상의 마찰부재(512)들이 각각 삽입된다.
또한 가압볼트 체결홈(5113)에는 가압볼트(513)들이 체결된다.
이때 마찰부재(512)는 내경이 가이드봉(4a), (4b)들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평시에는 가이드봉(4a), (4b)과의 접촉이 제한된다.
가압볼트(513)는 돌출몸체(511)에 형성된 가압볼트 체결홈(5113)에 체결되며, 체결정도에 따라서 마찰부재(512)와 접촉 및 가압된다.
이때 가이드봉(4a), (4b)들은 가압볼트(513)의 체결에 의해 마찰부재(512)가 가압되면, 마찰부재(512)와 접촉됨으로써 마찰부재(512)에 의해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동클램프(5)는 마찰부재(512)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이동클램프(5)의 내부에 고정된 융착대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클램프(5)는 구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됨으로써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봉(4)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구동수단으로는 전동식, 유압식, 기계레버식 등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히터분리수단의 단면도이다.
히터분리수단(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 가이드봉(61)과, 걸림쇠(62a), (62b)들, 고정볼트(63a), (63b)들로 이루어진다.
걸림쇠 가이드봉(61)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볼트(63)들이 삽입되는 고정볼트 삽입공(611)들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걸림쇠 가이드봉(61)은 가이드봉(4)에 형성된 가이드홈(4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쇠(62a), (62b)들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관통되는 고정볼트 결합공(621a), (621b)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걸림쇠(62a), (62b)들은 중공의 직경이 가이드봉(4)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됨으로써 중공 내부로 가이드봉(4)이 삽입되어 가이드봉(4)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걸림쇠(62a), (62b)들은 조립 시, 이동클램프(5)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클램프(5)의 전방에 위치하는 걸림쇠(62a) 외측에는 히터(7)가 설치된다.
고정볼트(63a), (63b)들은 결합 시, 걸림쇠(62a), (62b)들에 형성된 고정볼트 결합공(621a), (621b)들에 각각 체결되며, 가이드봉(4)에 형성된 볼트삽입공(42)과 걸림쇠 가이드봉(61)에 형성된 고정볼트 삽입공(611)들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걸림쇠(62a), (62b)들은 고정볼트(63a), (63b)들의 단부가 걸림쇠 가이드봉(61)에 형성된 고정볼트 삽입공(611)에 삽입되어 걸림쇠 가이드봉(61)과 함꼐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히터분리수단(6)은 가이드봉(4)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으로의 이동이 이동제한부(22)의 전면과 접촉됨으로써 제한된다.
또한 히터분리수단(6)은 융착대상들을 열융착시키기 위해 후술되는 히터(7)로 융착대상들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고정클램프(3) 또는 이동클램프(5)에 고정된 융착대상들 중 하나의 융착대상이 히터(7)에 붙었을 때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히터(7)에 붙은 융착대상들을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히터분리수단에 장착되는 히터의 사시도이다.
히터(7)는 내부에 열선이 설치되어 양면에 접촉되는 융착대상들을 가열시키는 원판 형상의 히터판(71)과, 히터판(7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72a), (72b)들과, 히터판(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73)로 이루어진다.
히터판(7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면으로부터 중공 원통 형상의 파이프 페이스(711)와 소켓 페이스(712)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파이프 페이스(711)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클램프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열한다.
소켓 페이스(712)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클램프에 고정되는 소켓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소켓의 내주면을 가열한다.
이러한 파이프 페이스(711)와 소켓 페이스(712)는 파이프의 외주면과 소켓의 내주면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파이프와 소켓이 융착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72a), (72b)들은 각각 히터분리수단(6)의 걸림쇠(63a)가 삽입되는 삽입홈(721)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72a), (72b)들에 형성되는 삽입홈(721)들은 각각 히터분리수단(6)들의 걸림쇠(63a), (63b)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히터분리수단(6)의 걸림쇠(63a)에 장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장착 후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히터(7)가 히터분리수단(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열융착기(1)는 고정클램프(3)와 이동클램프(5)의 하부 클램프(31), (51)들에 융착대상들을 안착시킨 후, 상부 클램프(32), (52)들 및 체결부(33), (53)를 통해 가압시켜 줌으로써 융착대상들이 고정클램프(3)와 이동클램프(5)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3), (5)들의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들은 상면(32), (52)들에 의해 가압되어 중심이 변화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3), (5)들에 고정되는 융착대상들은 외주면의 공차로 인하여 클램프(3), (5)들에 고정되었을 때 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융착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도 11은 이동클램프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열융착기(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봉(4a)의 외경이 이동클램프(5)에 형성된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가이드봉(4b)의 외경이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동클램프(5)는 제1 가이드봉(4a)의 외경과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내경이 동일하며, 제2 가이드봉(4a)의 외경이 가이드봉 관통공(51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가이드봉(4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클램프(5)의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은 이동클램프(5)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반경이 크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열융착기(1)는 고정클램프(3)의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과 이동클램프(5)의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의 중심이 융착대상들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중심이 어긋나게 되어도 이동클램프(5)의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의 중심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고정클램프(3)와 이동클램프(5)의 내부에 고정되는 융착대상들의 중심을 맞춰 융착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2는 클램프들을 통해 융착대상인 파이프 및 소켓을 고정하여 히터와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열융착기(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A)를 이동클램프(5)에, 소켓(B)을 고정클램프(3)에 고정시킨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클램프에 파이프가 고정되고, 고정클램프에 소켓이 고정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열융착기(1)는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에 파이프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맞대기 융착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기(1)는 히터분리수단(6)에 히터(7)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구동수단들을 통해 이동클램프(5)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이프(A)가 히터(7)의 파이프 페이스(711) 내부로 삽입되며, 히터(7)가 파이프(A)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소켓 페이스(712)가 소켓(B)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히터(7)는 파이프 페이스(711)의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A) 단부의 외주면을 가열하며, 소켓 페이스(712)가 삽입된 소켓(B)의 내주면을 가열한다.
또한 열융착기(1)는 히터(7)를 통해 파이프(A)와 소켓(B)들의 단부가 용융되면,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히터(7)를 제거한 후 이동클램프(5)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파이프(A)가 소켓(B)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파이프(A)와 소켓(B)이 융착결합된다.
이때 열융착기(1)는 히터(7)를 통해 파이프(A)의 외주면과 소켓(B)의 내주면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히터(7)에 파이프(A)의 외주면과 소켓(B)의 내주면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파이프(A)의 외주면과 소켓(B)의 내주면은 히터분리수단(6)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분리시키지 않아도 히터(7)에 붙은 파이프(A)와 소켓(B)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3a는 히터분리수단의 후방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3b는 히터분리수단에 의해 히터와 파이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a는 이동클램프(5)에 고정된 파이프(A)의 단부가 히터(7)와 붙어있는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통해 히터분리수단(6)의 후방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이고, 도 13b는 히터분리수단(6)의 후방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파이프(A)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히터(7)와 파이프(A)가 분리된 상태이다.
열융착기(1)는 파이프(A)와 히터(7)가 붙었을 경우, 구동수단을 통해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동클램프(5)에 고정된 파이프(A)가 후방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A)와 붙어있는 히터(7)가 장착된 히터분리수단(6)도 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이때 히터분리수단(6)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62b)의 후면이 이동제한부(22)의 전면과 접촉되어 후방 이동범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융착기(1)는 구동수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히터분리수단(6)과 결합된 히터(7)의 경우에는 히터분리수단(6)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위치가 고정되며, 이동클램프(5)와 결합된 파이프(A)의 경우에는 이동클램프(5)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후방으로 가압되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7)와 파이프(A)가 분리된다.
도 14a는 히터분리수단에 의해 이동클램프의 후방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4b는 히터분리수단에 의해 히터와 소켓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a는 파이프(A)의 외주면과 소켓(B)의 내주면을 가열한 후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 고정클램프(3)에 고정된 소켓(B)이 히터(7)와 붙어있는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통해 이동클램프(5)의 후방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이고, 도 14b는 이동클램프(5)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소켓(B)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히터(7)와 소켓(B)의 단부를 분리시킨 상태이다.
열융착기(1)는 소켓(B)과 히터(7)가 붙었을 경우, 구동수단을 통해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동클램프(5)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클램프(5)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히터분리수단(6)의 걸림쇠(62b)의 전면과 접촉되어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히터분리수단(6)은 고정클램프(3)에 고정된 소켓(B)이 히터(7)와 붙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동클램프(5)는 구동수단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도 히터분리수단(6)과 접촉되어 후방이동이 제한되며, 히터분리수단(6)을 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히터(7)는 후방 가압력에 의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B)과 분리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클램프(3)에 소켓(B)이 고정되며, 이동클램프(5)에 파이프(A)가 고정된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클램프(3)에 파이프가 고정되며, 이동클램프(5)에 소켓이 고정된 경우 및 고정클램프(3)와 이동클램프(5)에 파이프들이 고정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열융착기(1)는 파이프(A)와 소켓(B)이 히터(7)를 통해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파이프(A)와 소켓(B)이 히터(7)에 붙게 되어도 구동수단을 통해 이동클램프(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파이프(A)와 소켓(B)들 중 히터(7)와 붙어있는 융착대상이 히터분리수단(6)에 의해 원할하게 분리된다.
도 15는 파이프와 소켓의 융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C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히터(7)에 의해 파이프(A)와 소켓(B)의 단부를 가열시킨 후, 히터(7)를 제거하여 이동클램프(5)에 고정된 파이프(A)의 단부를 소켓(B) 내부로 삽입한 상태이다.
이때 파이프(A)와 소켓(B)의 단부는 히터(7)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이기 때문에 파이프(A)를 소켓(B)에 삽입하게 되면, 소켓(B)에 의해 파이프(A)의 외주면이 가압되어 용융된 파이프(A)가 소켓(B)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즉 파이프(A)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B)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A)의 외주면이 소켓(B)으로부터 배출되어 파이프(A)의 외주면에 비드(D)가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A)는 소켓(B)과의 융착과정에서 단부가 열팽창되어 비드(D)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비드(D)는 소켓(B)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A)의 단부가 소켓(B)으로부터 배출되어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이프(A)는 비드(D)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될수록 소켓(B) 내부에 위치하는 파이프(A)의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소켓(B)에 의해 융착결합된 파이프(A)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클램프(3)에 설치되어 소켓(B)을 고정하는 제1 라이너(34)에 제한돌부(341)가 형성된다.
제한돌부(341)는 제1 라이너(3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한돌부(341)의 내경은 제1 라이너(3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소켓(B)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한돌부(341)의 후단부에는 제1 라이너(34)의 중심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절곡부(34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열융착기(1)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A)와 소켓(B)을 결합시켰을 때, 소켓(B)의 단부에는 제한돌부(341)에 의해 내부공간(E)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공간(E)은 제한돌부(341)에 의해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비드(D)의 생성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한돌부(341)는 절곡부(3411)의 단부가 파이프(A)의 외주면과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파이프(A)와 절곡부(34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 의해 열이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파이프(A)와 소켓(B)의 융착부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융착기(1)는 파이프(A)와 소켓(B)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드(D)의 양을 제한하여 비드(D) 생성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파이프(A)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열융착기 2 : 받침대
21 : 메인 프레임 22 : 이동제한부
3 : 고정클램프 31 : 제1 하부 클램프
32 : 제1 상부 클램프 33 : 체결부
34 : 제1 라이너
4 : 가이드봉 41 : 가이드홈
42 : 볼트삽입공 5 : 이동클램프
51 : 제2 하부 클램프 52 : 제2 상부 클램프
53 : 체결부 54 : 제2 라이너
6 : 히터분리수단
61 : 걸림쇠 가이드봉 62 : 걸림쇠
63 : 고정볼트 7 : 히터
71 : 히터판 72 : 걸림부
73 : 손잡이

Claims (6)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융착대상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클램프들;
    일단부가 상기 고정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융착대상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봉들;
    상기 가이드봉들이 관통되는 가이드봉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융착대상과 융착되는 제2 융착대상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클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램프들은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제1 하부 클램프;
    상기 제1 하부 클램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들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상부 클램프;
    중공 반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클램프 및 상기 제1 상부 클램프의 내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융착대상과 접촉되는 제1 라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이너들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라이너의 내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제한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돌부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라이너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이너는
    상기 제1 융착대상과 상기 제2 융착대상의 융착작업 시, 상기 제한돌부가 상기 이동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제2 융착대상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돌부는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상기 제2 융착대상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2 융착대상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기는
    상기 가이드봉들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융착대상들의 융착면들을 히터가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분리수단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봉들 중 일측 가이드봉의 외경은 상기 이동클램프의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들 중 타측 가이드봉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기 일측 가이드봉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면이 하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하부 클램프;
    하면이 상부로 오목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상부 클램프;
    상기 제2 하부 클램프 및 제2 상부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클램프에는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융착대상들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몸체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몸체들에는 상기 가이드봉들이 관통되는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몸체들의 단면에는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들과 동일한 중심을 갖되, 상기 가이드봉 관통공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중공 원통 형상의 마찰부재가 삽입되는 마찰부재 삽입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몸체들의 상면에는 상기 마찰부재 삽입홈들까지 연장 형성되며, 가압볼트가 체결되는 가압볼트 체결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클램프는
    상기 가압볼트들이 체결되어 상기 가압볼트들의 단부가 상기 마찰부재들을 가압하면 상기 마찰부재들이 상기 가이드봉들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들에는 상기 고정클램프와 결합된 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들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까지 연통되는 볼트삽입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히터분리수단들 각각은
    상기 가이드봉의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쇠 가이드봉;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쇠 가이드봉에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쇠들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쇠들은
    상기 이동클램프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기.
KR1020200076888A 2020-06-24 2020-06-24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KR10223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88A KR102230911B1 (ko) 2020-06-24 2020-06-24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88A KR102230911B1 (ko) 2020-06-24 2020-06-24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911B1 true KR102230911B1 (ko) 2021-03-22

Family

ID=7522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888A KR102230911B1 (ko) 2020-06-24 2020-06-24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9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671B2 (ko) * 1971-12-08 1979-09-25
KR200277677Y1 (ko) * 2002-03-06 2002-06-07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030082736A (ko) * 2002-04-18 2003-10-23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JP5429671B2 (ja) 2007-05-10 2014-02-26 エーヨッ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摩擦溶接接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摩擦溶接による接合の設計
KR20140054672A (ko) * 2012-10-29 2014-05-09 이남훈 소켓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671B2 (ko) * 1971-12-08 1979-09-25
KR200277677Y1 (ko) * 2002-03-06 2002-06-07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20030082736A (ko) * 2002-04-18 2003-10-23 이남훈 파이프 융착기의 파이프 클램핑 장치
JP5429671B2 (ja) 2007-05-10 2014-02-26 エーヨッ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摩擦溶接接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摩擦溶接による接合の設計
KR20140054672A (ko) * 2012-10-29 2014-05-09 이남훈 소켓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121B1 (ko) 통풍구가 형성된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열융착기
KR102146520B1 (ko) 파이프 클램핑 장치
US7431194B2 (en) Joining structural members by friction welding
US20120193401A1 (en) Rotation tool for joining inner corner and joining inner corner method using the same
KR101550372B1 (ko) 러그 용접장치
BRPI0822411A2 (pt) Método para juntar placas de tubos e tubos bem como ferramenta de fricção para realizar o método
KR102230911B1 (ko) 비드 생성을 감소시키는 열융착기
KR20090104322A (ko) 파이프 연결용 융착소켓
KR102226502B1 (ko) 융착대상의 중심조절이 가능한 열융착기
JPH106402A (ja) 樹脂管用融着機
KR101679534B1 (ko) 열판용착 장치
JP6351179B2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熱融着接合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製品の製造方法
KR20220111940A (ko) 조립 주택의 스터드 용접용 클램핑지그
KR20210063636A (ko) 히터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열융착기
KR20110027168A (ko) 연결관 용융접합용 장치
JP4414035B2 (ja) 摩擦撹拌接合法
JP3885053B2 (ja) 摩擦撹拌接合用装置
EP2179837B1 (en) Profile joining system
EP1382433A1 (de) Verfahren zum Fügen von Kunststoffbauteilen mittels Laserstrahlung
CN210254813U (zh) 多工件支架用快速装夹焊接装置
KR100456615B1 (ko) 히터 분리수단이 구비된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1686739B1 (ko) 금속 파이프 가열 압착 이음 장치
WO2004052585A1 (ja) 円筒体の製造方法、摩擦撹拌接合方法及び摩擦撹拌接合用装置
KR200268447Y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연결장치
US10562234B2 (en) Gas shielded infrared welding and sta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