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05B1 -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 Google Patents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05B1
KR102230205B1 KR1020197008762A KR20197008762A KR102230205B1 KR 102230205 B1 KR102230205 B1 KR 102230205B1 KR 1020197008762 A KR1020197008762 A KR 1020197008762A KR 20197008762 A KR20197008762 A KR 20197008762A KR 102230205 B1 KR102230205 B1 KR 10223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eptacle
positive lock
receptacle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326A (ko
Inventor
마이클 에드워드 디도나토
데이비드 티. 험프리
3세 레이몬드 르로이 란돈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3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며, 여기서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은 와이어 수용부(102, 112, 114) 및 하우징 삽입부(104)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 삽입부(104)는 제1 전기 콘택트 롤(120)과 제2 전기 콘택트 롤(122)을 더 포함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또한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수용하도록 맞춰진 하우징(200)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절연 하우징 본체(210), 절연 하우징 본체(210) 내에 위치된 제1 크러시 리브(214)와 제2 크러시 리브(2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 크러시 리브(214, 216)는 하우징(200) 내로의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의 하우징 삽입부(104)의 삽입시 제1 및 제2 전기 콘택트 롤(120, 122)과 각각 맞물리고 고정시킨다.

Description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설명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절연 하우징 내로 삽입된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절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흔히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전형적으로 2개의 주요 구성 요소, (i) 와이어를 수용하고 종결하기 위한 터미널 또는 리셉터클; 및 (ii) 리셉터클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제대로 조립되면 절연되지 않은 와이어는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며, 리셉터클은 하우징 내로 삽입된다. 보호 캡은 하우징 위에 위치되어 와이어와 리셉터클을 감쌀 수 있다. 조립체는 그후 적절할 수 있는 다른 와이어 또는 전기 장치에 적절하게 연결(즉, 결합)된다.
특정 리셉터클은 "포지티브 록(positive lock)" 리셉터클로 설계되었으며 감소된 결합력 및 가요성 래치 상의 넓은 록킹 딤플과 같은 고유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록킹 특징부는 대응하는 결합 구멍 내로의 록킹 딤플의 가청 "스냅"으로 적절한 결합을 알려준다. 이 설계는 격리되고 도달하기 어려운 영역에 대한 결합된 쌍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해제 래치가 수동적으로 눌려질 때까지 리셉터클은 하우징에서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부적절하게 안착되거나 돌발적으로 제거된 단자로 인한 노출된 충전부의 가능성 또는 중요한 회로의 장애가 크게 줄어든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 조립된 커넥터는 포지티브 록 구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리셉터클이 하우징으로부터 느슨하게 당겨지는 것을 야기할 수 있는 상당한 힘 또는 장력 하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에 뒤이어 하우징 내에서 리셉터클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확실한 부가적인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은 와이어 수용부; 및 하우징 삽입부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 삽입부는 제1 전기 콘택트 롤과 제2 전기 콘택트 롤; 및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을 수용하도록 맞춰진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하우징은 절연 하우징 본체; 및 절연 하우징 본체 내에 위치된 제1 크러시 리브와 절연 하우징 본체 내에 위치된 제2 크러시 리브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및 제2 크러시 리브는 하우징 내로의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의 하우징 삽입부의 삽입시 제1 및 제2 전기 콘택트 롤과 각각 맞물린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된 포지티브 잠금 리셉터클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크러시 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절연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위에서 주어진 전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3의 리셉터클 하우징 내로 적절하게 삽입되고 이에 맞물린, 도 1의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다수의 리셉터클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보호 캡이 또한 제공된 다수의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의 상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세한 설명 전체에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하여 많은 구체적인 사항을 포함하고 있지만, 당업자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많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음의 실시예는 청구된 본 발명에 대한 보편성의 어떠한 손실없이,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고 제시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된 포지티브 잠금 리셉터클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크러시 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절연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포지티브 록 터미널 또는 리셉터클의 예를 제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포지티브 록 터미널/리셉터클(100)은 절연 배럴(102) 및 하우징 삽입부(104)를 포함하고 있다. 절연 배럴(102)은 제1 캐리어 스트립(110), 절연 크림프(112), 와이어 배럴 크림프(114), 인체 공학적 유지 벽면(116) 및 제2 캐리어(118)를 더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 삽입부(104)는 제1 전기 콘택트 롤(120), 제2 전기 콘택트 롤(122), 록킹 딤플(dimple) (124) 및 해제 래치(126)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러시 리브 커넥터 하우징(200)의 예를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서 크러시 리브 커넥터 하우징(200)은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수용하고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그 내부에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맞춰져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0)은 다른 커넥터와 연결 또는 결합하기 위한 결합 말단(202) 및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의 하우징 삽입부(104)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삽입 말단(와이어 출구)(204)을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200)은 절연 본체(212) (그 물질은 커넥터 하우징(200)에 전기적 절연 특성을 제공한다), 유지 탭(212), 제1 크러시 리브(214), 제2 크러시 리브(216), 포지티브 록 CAM(218), 제1 콘택트 멈춤부(220), 제2 콘택트 멈춤부(222) 및 제3 콘택트 멈춤부(224)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모두는 하우징 삽입부(104)를 커넥터 하우징(200) 내에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캡(300)은 본체(302) 및 본체 위에 형성된 유지 아암(304)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지 아암은 캡(300)을 하우징(200)에 연결시키고 그 내부에서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둘러싸기 위하여 하우징 본체(210) 상에 형성된 유지 탭(212)과 협동한다.
적절히 조립되면, 전기 와이어는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에 대해 종결되고, 이는 이후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된다. 충분한 힘을 가하면, 제1 및 제2 전기 콘택트 롤(120, 122)은 제1 및 제2 크러시 리브(214, 216)와 각각 맞물린다. 삽입 공정 중에, 크러시 리브(214 및 216)는 변형되며, 그에 의하여 콘택트 롤 상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생성하지 않고 전기 콘택트 롤(120 및 122)과 커넥터 하우징(200) 사이의 단단하고 견고한 끼워 맞춤을 보장한다. 캡(300)은 그후 커넥터 하우징(200)에 부착되어 완전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이 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예시되고 실시예가 어느 정도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를 이러한 세부 사항에 제한하거나 어떤 식으로든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부가적인 장점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쉽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특정 세부 사항, 대표적인 장치 및 방법, 및/또는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예 중 임의의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포괄적인 창의적 개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세부 사항을 벗어날 수 있다.
100: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
102: 절연 배럴
104: 하우징 삽입부
110:제1 캐리어 스트립
112: 절연 크림프
114: 와이어 배럴 크림프
116: 유지 벽면
118: 제2 캐리어
120: 제1 전기 콘택트 롤
122: 제2 전기 콘택트 롤
124: 록킹 딤플
126: 해제 래치
200: 하우징
202: 결합 말단
204: 리셉터클 삽입 말단
210: 하우징 본체
212: 유지 탭
214: 제1 크러시 리브
216: 제2 크러시 리브
218: 포지티브 록 CAM
220: 제1 콘택트 멈춤
222: 제2 콘택트 멈춤
224: 제3 콘택트 멈춤
300: 보호 캡
302: 본체
304: 유지 아암

Claims (8)

  1.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a)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 및
    (b)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수용하도록 맞춰진 하우징(200)을 포함하며,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은,
    (ⅰ) 와이어 수용부(102, 112, 114); 및
    (ⅱ) 제1 전기 콘택트 롤(120) 및 제2 전기 콘택트 롤(122)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삽입부(10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ⅰ) 절연 하우징 본체(210); 및
    (ⅱ)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210) 내에 위치된 제1 크러시 리브(214)와 상기 절연 하우징 본체(210) 내에 위치된 제2 크러시 리브(216)를 포함하며,
    (ⅲ) 상기 하우징(200) 내로의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의 상기 하우징 삽입부(104)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콘택트 롤(120, 122)은 상기 제1 및 제2 크러시 리브(214, 216)에 각각 맞물려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크러시 리브(214, 216)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콘택트 롤(120, 122)에 의해 각각 가압되어 변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유지 탭(212)을 더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캡(300)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캡(300)은 그 위에 형성된 다수의 유지 아암(304)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캡(300)을 상기 하우징(200)에 연결시키고 그 내부에서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을 둘러싸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상기 유지 탭(212)과 협력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의 상기 와이어 수용부(102, 112, 114)는 제1 캐리어 스트립(110), 절연 크림프(112), 와이어 배럴 크림프(114), 인체 공학적 유지 벽면(116) 및 제2 캐리어 스트립(118)을 더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의 상기 하우징 삽입부(104)는 록킹 딤플(124)과 해제 래치(126)를 더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다른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말단(202) 및 상기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100)의 상기 하우징 삽입부(104)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삽입 말단(204)을 더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포지티브 록 CAM(218), 제1 콘택트 멈춤부(220), 제2 콘택트 멈춤부(222) 및 제3 콘택트 멈춤부(224)를 더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200)에 전기적 절연 특성을 제공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97008762A 2016-08-30 2017-08-23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KR102230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51,592 2016-08-30
US15/251,592 US9692163B1 (en) 2016-08-30 2016-08-30 Crush rib housing for postive lock receptacle
PCT/IB2017/055090 WO2018042292A1 (en) 2016-08-30 2017-08-23 Crush rib housing for positive lock recepta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326A KR20190039326A (ko) 2019-04-10
KR102230205B1 true KR102230205B1 (ko) 2021-03-23

Family

ID=5906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762A KR102230205B1 (ko) 2016-08-30 2017-08-23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2163B1 (ko)
EP (1) EP3507868A1 (ko)
JP (1) JP2019525438A (ko)
KR (1) KR102230205B1 (ko)
CN (2) CN109643864A (ko)
WO (1) WO2018042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7037B2 (en) * 2016-07-06 2018-07-1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erminal with reduced normal force
DE102016221351A1 (de) * 2016-10-28 2018-05-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kontaktbuchse mit Ausleger
US10079440B1 (en) * 2017-05-05 2018-09-1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 push surface
JP1604439S (ko) * 2017-11-01 2018-05-21
US10193259B1 (en) * 2017-12-22 2019-01-2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housing with hold-down ribs
CN208111733U (zh) * 2018-03-13 2018-11-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CN208209061U (zh) * 2018-03-13 2018-12-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CN208904272U (zh) * 2018-06-01 2019-05-2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壳体
US10855024B2 (en) 2018-10-29 2020-12-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CN209561678U (zh) * 2019-02-18 2019-10-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座端子
EP4084235A1 (en) 2019-04-02 2022-11-02 TE Connectivity Italia Distribution S.r.l. Connector component
CN211789804U (zh) * 2020-02-19 2020-10-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7104103B2 (ja) * 2020-06-26 2022-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381020B1 (en) * 2021-01-25 2022-07-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mating with two coplanar tabs
CN115133306A (zh) * 2021-03-25 2022-09-3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旗型端子
CN115224514A (zh) * 2021-04-14 2022-10-2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端子和电连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39729A (en) * 1966-08-15 1969-01-15 Amp Inc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US3514740A (en) * 1968-03-04 1970-05-26 John Richard Filson Wire-end connector structure
US3555493A (en) * 1968-03-25 1971-01-12 Molex Products Co Right ang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3771111A (en) * 1972-06-12 1973-11-06 Amp Inc Flag type electrical terminal
FR2344979A1 (fr) * 1976-03-17 1977-10-14 Amp Inc Boitier isolant pour cosse de contact
DE2856497C2 (de) * 1978-12-28 1983-02-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DE7925002U1 (de) * 1979-09-04 1980-04-10 Simon, Hans, 5463 Unkel Isolation für Flachsteckhülsen
US4395081A (en) * 1981-04-06 1983-07-26 Sweda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US4421375A (en) * 1982-03-29 1983-12-20 Amp Incorporated Flag-type terminal having insulation displacement wire connection
US4534613A (en) * 1983-10-31 1985-08-13 Amp Incorporated Receptacle terminal having locking lance
JPH0684560A (ja) * 1992-09-03 1994-03-25 Sumitomo Wiring Syst Ltd 多極接続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47540A (ja) * 1997-03-05 1998-09-14 Koito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KR19990031545U (ko) * 1997-12-31 1999-07-26 최진호 전원연결단자
JP3601773B2 (ja) * 1999-12-08 2004-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DE10139797A1 (de) * 2001-08-14 2003-02-2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7198526B1 (en) * 2005-11-21 2007-04-03 Etco, Inc. Low-profile flag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ssembly
DE102007044412A1 (de) * 2007-09-18 2009-03-19 Lear Corp., Southfield Elektrische Verbinderbaugruppe
CN101816103B (zh) * 2007-10-02 2013-06-19 奥斯兰姆有限公司 插塞装置、插塞连接器以及制造插塞装置的方法
FR2923090A1 (fr) * 2007-10-31 2009-05-01 C & K Components Soc Par Actio Connecteur electrique miniature a elements de contact extractibles et outil associe de deverrouillage et d'extraction des contacts
CN102347569A (zh) * 2010-07-30 2012-02-08 昆山市玉山镇群崴精密机械制造厂 同轴连接器的金属壳体构造
US8057261B1 (en) * 2010-11-02 2011-11-15 Etco, Inc. Flag terminal insulator
EP2859392A1 (en) * 2012-06-12 2015-04-15 Fci Connecto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JP6279852B2 (ja) * 2013-07-19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3864A (zh) 2019-04-16
EP3507868A1 (en) 2019-07-10
WO2018042292A1 (en) 2018-03-08
JP2019525438A (ja) 2019-09-05
KR20190039326A (ko) 2019-04-10
US9692163B1 (en) 2017-06-27
CN115425449A (zh)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205B1 (ko)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US9847591B2 (en) Electric terminal assembly
US9444172B2 (en) Connector
US4341428A (en) Interconnection system for shielded electrical cable
US8512069B2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JPWO2008120632A1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US4679887A (en) Electrical terminal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US10468813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wire and connector assembly
US7604518B2 (en) Electrical contact with retention latch
CN110391532B (zh) 连接器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2463691B1 (ko) 커넥터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US2920304A (en) Locking electrical cap and connector
US1088665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housing
JP5359321B2 (ja) アース接続用配線材、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アース接続用配線材が組み込まれたワイヤハーネス
US20190288428A1 (en) Connection Terminal
JP2017027747A (ja) コネクタ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0739017B1 (ko) 전기 터미널
JP7226944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20240136768A1 (en) Connector mating structure
JP200715748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