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77B1 -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177B1
KR102230177B1 KR1020167012394A KR20167012394A KR102230177B1 KR 102230177 B1 KR102230177 B1 KR 102230177B1 KR 1020167012394 A KR1020167012394 A KR 1020167012394A KR 20167012394 A KR20167012394 A KR 20167012394A KR 102230177 B1 KR102230177 B1 KR 10223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thickness
molten glass
vesse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536A (ko
Inventor
길버트 드 안겔리스
메간 아우로라 델라미엘루어
마틴 허버트 골러
소움야 크리쉬나무르씨
죠지 크리스티안 쉬웬크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0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2Forehearths, i.e. feeder channels
    • C03B7/06Means for thermal condition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 C03B7/07Electr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Abstract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가 벽부를 갖는 정제 용기를 포함하여 개시되어 있고, 상기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에 있어서, 정제 용기 벽부의 두께가 원주방향으로 변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용기 내의 가스상 분위기와 접촉 상태인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이 용융된 유리와 접촉한 상태인 정제 용기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얇다. 용융된 유리 정제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Glass}
본 출원은 미국 35 U.S.C. § 119 하에서 2013년 10월 18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번호 제61/892,624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있으며, 이 특허문헌의 모든 내용은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 모두 통합되어 인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유리 제조 기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벽부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고 있는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벽부는 용기의 주변부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변하는 두께를 갖는다.
이후, 용융된 유리로 표현된, 용융된 재료를 성형하기 위한 원 재료의 용융은 용융 공정 동안에 연소 가스 및/또는 전기 에너지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원 재료는 이후 조절(condition)될 수 있고 그리고 용융 노로부터 성형 기기로 운송될 수 있다. 여러 공정에 있어서, 용융된 유리는 다양한 처리 설비를 포함한 귀 금속 이송 기기를 통해 성형 기기로 이송된다. 온도가 제어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송 기기의 특정 구성요소가 상기 구성요소에서 전류를 만듬으로써 직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전류는 구성요소를 가열하고, 이 결과 상기 구성요소 내의 용융된 유리를 가열한다. 이송 기기의 상이한 구성요소가 가변 에너지 요구조건을 갖는다. 이송 기기에서 아마도 최고 파워 요구조건을 갖는 구성요소는 정제 용기이며, 상기 정제 용기에서 용융된 유리가 용융 공정으로부터 초래되는 가스를 제거하도록 조절된다.
용융 공정 이후에 가스 거품의 효과적인 제거를 보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용융 노로부터 탈출하는 임의의 고상의 파티클의 용해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정제 용기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유지된다. 거품은 보다 작은 점도에서 보다 빠르게 발생하고, 그리고 고상의 개재물(inclusion)은 보다 고 온도에서 보다 빠르게 용해한다. 정제기의 상부에 에어 갭이 존재한다. 불행하게도, 귀 금속(예를 들면, 플래티늄 및/또는 로듐)의 산화가 산소의 존재 시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 산화 발생 율은 온도 및 산소 농도의 함수로서 증가한다. 귀 금속 산화는 금속 얇아짐(thinning)을 유도한다. 산화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이유 때문에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 심각한데, 이 이유 중에서 1) 이유는 용융된 유리의 표면상에 에어 갭이 존재하고, 그리고 2) 이유는 온도가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 가장 높기 때문이다. 여러 유리에 대해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온도는 1700℃를 초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온도는 정제 용기의 하측 부분에 수용된 용융된 유리의 온도보다 평균 20℃ 더 높을 수 있다.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보다 높은 온도가 정제 용기의 부식성 파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 용기 상부 온도에서의 환원이 요구되어 진다.
융합 유리 제조 공정은 우수한 표면 품질의 얇은 유리 시트를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텔레비젼, 휴대 전화,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 표시 제품의 제조를 위해 이와 같은 유리 시트를 만든다. 전형적인 융합 공정에 있어서, 뱃치(batch)를 의미하는 원 재료는 용융된 유리를 만들도록 내화 세라믹 용융 노에서 용융된다. 용융된 유리는 이송 기기를 통해 성형 몸체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성형 몸체는 상기 성형 몸체의 상측 표면에 형성된 트로프(trough) 및 외측 수렴하는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용융된 유리는 이송 기기로부터 트로프에 의해 수용되고, 여기서 상기 용융된 유리는 별개의 유동으로서 수렴하는 성형 표면 상하로 유동한다. 이들 별개의 유동은 수렴하는 성형 표면이 만나는 곳에서 합쳐져, 일단 탄성 고체 상태로 냉각되면 유리의 별개의 시트로 절단되는, 단 하나의 유리 리본을 형성한다.
용융 노 및 성형 몸체가 내화 세라믹 재료로 주로 구성되는 경우, 용융된 유리를 성형 몸체로 이송하는 이송 기기는 고 온도 금속, 특히 산화에 저항성을 갖는 고 온도 금속을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구성된다. 적당한 금속이 예를 들면, 플래티늄 그룹 금속, 즉, 플래티늄 이리듐, 로듐, 팔라듐, 오스뮴 및 루테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플래티늄 그룹 금속의 합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플래티늄 그룹 금속보다 물리적으로 작업하기가 더욱 용이하기 때문에,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는 종종 플래티늄 또는 플래티늄-로듐 합금과 같은 플래티늄의 합금으로 구성된다.
용융된 유리가 이송 기기를 통해 이송됨에 따라, 상기 용융된 유리는 용융된 유리를, 탈가스화(de-gasification) 공정이 발생하는 정제 용기와 같은 조절 용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용융 공정 동안에 다양한 가스가 발생한다(evolve). 이들 가스가 용융된 유리 내에 남아 있다면, 융합 공정으로부터의 유리 시트와 같은 마감처리된 유리 물품에 거품을 만들 수 있다. 유리로부터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융된 유리의 온도는 상기 용융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정제 용기에서 상승된다. 뱃치에 포함되고 용융된 유리에 존재하는 다원자가의 화합물은 온도 상승 동안에 산소를 배출하고 그리고 용융된 유리로부터 용융 공정 동안에 형성된 가스를 소제(sweep)하는데 도움이 된다. 가스는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상에서 정제 용기의 통기된 볼륨으로 배출된다. 정제 용기에서의 온도는 여러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유리 시트의 생산에 있어, 1650℃를 넘어설 수 있고, 1700℃ 조차도 넘어설 수 있으며, 그리고 정제 용기 벽부의 용융 온도에 접근한다.
정제 용기에서 온도를 높이는 하나의 방법은 정제 용기에서 전류를 전개시키는 것이고, 상기 정제 용기에서 온도는 용기의 금속 벽부의 전기 저항을 통해 높아진다. 이러한 직접적인 가열은 줄열 가열(Joule heating)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플랜지로 언급되어진 전극은 정제 용기에 부착되고 전류의 입구 및 출구로 사용된다.
정제 용기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정제 용기 온도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정제 용기를 둘러싸는 내화 단열 재료에 써모커플을 끼워넣음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정제 용기의 온도의 상승을 나타내며, 상기 정제 용기에서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상의 가스상 분위기가 정제 용기 벽부와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정제 용기의 하측 부분 내에 수용된 용융된 유리의 열 전도와 관련하여, 상기 정제 용기 내의 가스 상 분위기의 감소된 열 전도도에 기여하고 있다. 사용불능(out-of-service) 정제 용기 상에서 행해진 검사(autopsies)는, 용융된 유리와 접촉하지 않는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에서, 특히 플랜지가 정제 용기 벽부와 결합되는 곳에서 과도한 곳에서, 과도한 산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산화는 산소의 존재하에서 금속의 고 온도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불행하게도, 정제 용기를 둘러싼 환경에서 산소를 모두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더욱이, 산화는 용융된 유리가 위에서 유동하지 않는 용기의 구역에서 용기 벽부의 금속을 점차로 얇게 하여, 용기 벽부의 최종 파손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가 정제 용기 내의 가스상 분위기와 접촉하는 벽부의 부분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정제 용기의 벽부를 통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용융된 유리가 상기 정제 용기 상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한 특징으로서, 용융된 유리용 이송 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기기는 벽부를 포함한 튜브로 구성된 정제 용기; 및 상기 벽부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를 둘러싸는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벽부는 플래티늄, 로듐, 팔라듐,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금속 및 이들 금속의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플래티늄, 로듐, 팔라듐,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금속 및 이들 금속의 합금을 포함한다. 복수의 플랜지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 사이의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이 원주방향으로 변하는 두께를 갖는다.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이라는 구문은, 용융된 유리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용융된 유리가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 사이의 플랜지를 개재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순차로 상기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를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이 제 1 벽부 부분 및 제 2 벽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의 단면에서,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제 1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 2 벽부 부분은 상기 제 1 벽부 부분 아래, 정제 용기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는 상기 제 1 벽부 부분과 상기 제 2 벽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제 3 벽부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제 3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2 벽부 부분은 복수의 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벽부 부분은 복수의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한 라미네이트된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용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은 제 1 벽부 부분 및 제 2 벽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크다. 제 1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은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 중 하나의 플랜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벽부 부분의 길이는, 제 1 벽부 부분이 제 2 벽부 부분보다 더 두꺼울 때, 예를 들면 약 16 cm보다 더 크지 않다.
제 1 벽부 부분은, 제 1 벽부 부분이 제 2 벽부 부분보다 더 두꺼울 때, 복수의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여러 특징에 따라, 제 1 벽부 부분은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의 플랜지에 맞닿는다. 다른 특징에 있어서, 플랜지는 예를 들면, 제 1 벽부 부분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상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어, 상기 제 1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플랜지로부터 외측으로 뻗어있다. 일 례로서, 제 1 벽부 부분은 16 cm의 정제 용기의 길이방향 축선에 따른 길이를 갖고, 그리고 플랜지는 16 cm 길이의 중간점에서 제 1 부분에 부착된다. 길이는, 플랜지가 제 1 벽부 부분 길이의 중간점에서 제 1 벽부 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16 cm와(예를 들면, 16 cm 보다 작게)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 기재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이 제 1 길이 부분과, 제 2 길이 부분과, 그리고 상기 제 1 길이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3 길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길이 부분은 상기 제 3 길이 부분과 상기 제 2 길이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길이 부분의 두께는 원주방향으로 변할 수 있고, 제 2 길이 부분의 두께는 원주방향으로 변할 수 있고, 그리고 제 3 길이 부분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제 1 및 제 2 길이 부분은 제 1 벽부 부분 및 제 2 벽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길이 부분 중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1 및 제 2 길이 부분 중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크다. 제 1 및 제 2 길이 부분의 제 1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길이 부분은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 중 하나의 플랜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어, 각각의 제 1 및 제 2 길이 부분이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의 개별 플랜지에 맞닿는다.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는 인접한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제 4 길이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4 길이 부분은 제 1 벽부 부분 및 제 2 벽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길이 부분의 상기 제 1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 4 길이 부분의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4 길이 부분의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성형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유리 성형 방법은 용융 노에서 뱃치 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 및 용융된 유리가 금속 정제 용기 내에서 자유 표면을 포함하고 분위기가 상기 정제 용기와 상기 자유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용융 노로부터 상기 금속 정제 용기를 통해 용융된 유리는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 용기는, 한 단면에 있어 제 1 두께가 제 2 두께와 상이하도록,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벽부 부분과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벽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벽부를 포함한다. 용융된 유리의 유동은, 용융된 유리의 유동이 상측 벽부 부분의 표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이후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 2 벽부 부분은 상기 정제 용기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제 1 두께는 제 2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용기는 상기 제 1 벽부 부분과 상기 제 2 벽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제 3 벽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벽부 부분은 제 1 및 제 2 두께보다 더 큰, 단면에서의 제 3 두께를 포함한다. 정제 용기에서의 용융된 유리의 레벨은, 자유 표면이 제 3 벽부 부분과 교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 1 벽부 부분의 온도는 예를 들면, 제 2 벽부 부분의 온도보다 낮은 적어도 섭씨 5 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이 아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당업자라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서술 또는 아래 기재된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고 있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를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 기재된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 기재된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청구범위의 실시예의 특징과 특성의 개괄적인 또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더욱 돕기 위해 포함되어 있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도록 통합되어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실시예와 함께 여러 실시예의 원리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용기를 포함한 일례의 융합 하향인발 유리 제조 기기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의 벽부를 갖는 종래 기술의 정제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정제 용기 벽부의 부식된 파손 사진이고;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정제 용기의 벽부 두께가 원주방향으로 변하고;
도 6은 도 5와 관련하여 기재된 영향을 나타낸 전기 배선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한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정제 용기 벽부의 두께는, 상측 벽부 부분이 하측 벽부 부분보다 더 얇도록 원주방향으로 변하고, 그리고 하측 벽부 부분은 층을 포함하고;
도 8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한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정제 용기 벽부의 두께가 원주방향으로 변하고 중간 벽부 부분이 상측 부분과 하측 벽부 부분 사이에 위치되고;
도 9는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에서의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 모두를 포함한 정제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단면은 상측 벽부 부분의 두꺼운 부분에 취해지고;
도 11은 도 9의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단면은 상측 벽부 부분의 얇은 부분에서 취해지고;
도 12는 정제 용기에서 얇은 상측 벽부 부분 및 두꺼운 상측 벽부 부분 모두를 포함한 영향을 나타낸 전기 배선 도면이고;
도 13은 두 개의 두꺼운 상측 벽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얇은 상측 벽부 부분을 포함한 정제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상측 벽부 부분, 하측 벽부 부분, 그리고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 사이에 위치된 상측 및 하측 벽부 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정제 용기의 측면도로서, 여기서 상기 상측 벽부 부분이 상기 하측 벽부 부분보다 더 얇고, 그리고 상기 플랜지에 부착된 전극이 상기 정제 용기의 상부의 상측 부분의 부근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있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플랜지 전극은 플랜지 상부에 가장 가까운 플랜지 상의 위치로부터 상향 뻗어있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플랜지 전극은 플랜지 바닥부에 가장 가까운 플랜지 상의 위치로부터 하향 뻗어있고;
도 17은 상기 정제 용기의 다른 부분에서의 온도보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상기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온도를 나타내며, 상기 정제 용기의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의 벽부를 갖는 정제 용기에 따른 길이의 함수로서 모델링된 실제 온도의 그래프이고;
도 18은 도 17의 곡선에 의해 모델링된 정제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7 및 도 18의 정제 용기에 따른 길이의 함수로서 모델링된 전류 밀도의 그래프이고;
도 20은 상측 벽부 부분 및 하측 벽부 부분을 갖는 정제 용기에 따른 길이의 함수로서 모델링된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여기서 상기 상측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하측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으며; 그리고
도 21은 도 20의 정제 용기에 대한 길이의 함수로서 모델링된 전류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단수로 표현되어 있을지라도, 상기 용어는 따로 특별하게 언급되지 않았다면 복수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따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면, "플랜지"라는 기재는 두 개 이상의 이러한 플랜지를 구비한 특징을 포함한다.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약" 하나의 특별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다른 하나의 특별한 값까지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되었을 때, 다른 한 특징은 하나의 특별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별한 값까지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값이 앞서 기재한 "약"을 사용하여 근사치로서 나타내어질 때, 특별한 값이 다른 한 특징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범위의 끝점이 다른 끝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끝점과 독립적으로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범위가 하나의 값과 다른 하나의 값 "사이"로 나타내어질 때, 상기 하나의 값과 상기 다른 값은 상기 범위의 끝점을 나타내고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구비한(갖는)" 및 "포함한"이라는 용어는, 따로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았다면, 개방형 용어로서 폐쇄형 용어가 아니며, 그리고 다른 특성, 특질, 속성, 또는 부재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이라는 용어는, 단면의 주변부에 대한 각도 위치와 관련되어 전반적으로 해석되기 위한 것이며, 원형 단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에 따라 두께가 원주방향으로 변한다는 구문은, 각도 위치가 길이방향 축선과 관련하여 정제 용기에 대해 변함에 따라, 물품(예를 들면, 정제 용기)의 벽부의 단면의 두께가 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고 원형(원통형) 정제 용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호, 선 또는 다른 곡선에 의해 이루어진(subtend) 각도는 각도의 두 개의 선이 호의 끝점을 통과하는 각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기"라는 용어는 탱크, 도관, 튜브 또는 다른 구조체를 포함하도록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에 용융된 유리가 수용될 수 있거나 통과해 유동할 수 있다.
도 1의 유리 성형 기기(10)의 일 례로서, 화살표 12로 나타내어진 뱃치 재료는 제 1 온도(T1)에서 용융된 유리(16)를 형성하도록 용융 노(14)에서 용융된다. T1은 특별한 유리 조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그러나 LCD용 기판으로서 사용하는데 적당한 유리에 대해 T1은 1500℃를 넘을 수 있다. 용융된 유리는 용융 노(14)로부터 연결 도관(18)을 통해 정제 용기(20)로 유동한다. 유리가 정제 용기(20)로부터 연결 도관(24)을 통해, 용융된 유리가 혼합되고 균질화되는 교반 용기(22)로 유동하고, 그리고 연결 도관(26)을 통해 교반 용기(22)로부터 이송 용기(28)로 유동하며, 이후 출구 도관(30)을 통해 성형 몸체 입구 도관(32)으로 유동한다. 용융된 유리는 이후 입구 도관(32)으로부터 성형 몸체(34)로 직접적으로 나아가게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융합 하향인발 공정의 경우에 있어서, 성형 몸체(34)로 이송된 용융된 유리는, 유리(40)의 리본을 형성하기 위하여, 루트(38)를 의미하는, 수렴하는 성형 표면이 만나는 위치에서, 별개의 유동이 함께 합쳐지는 수렴하는 성형 표면(36) 상을 유동한다. 리본은 이후 냉각되고 분리되어 개별 유리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정제 용기(20)에서, 용융된 유리가 T1보다 더 높은 제 2 온도(T2)로 가열된다. 정제 용기(20)의 가열은 예를 들면, 정제 용기와 연결된 플랜지(42)를 통해 상기 정제 용기의 길이의 적어도 한 부분을 가로지른 전기 포텐셜을 만듬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플랜지(42)는 이 결과 적당한 파워 발생원(도시 생략)과 연결된다. 정제 용기(20)는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42)를 포함한다. 전기 포텐셜은 정제 용기를 가열하는 전류를 만드는데 책임이 있다. 부가적인 플랜지는 연결 도관을 통해 유동하는 용융된 유리를 정제 온도(T2)로 가열하도록, 상기 연결 도관의 유사한 직접 가열을 위한 연결 도관(18)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T1은 1500℃ 만큼 높은 온도일 수 있는 반면에, 그리고 여러 예에 있어서 더 높은 온도일 수도 있으며, T2는 T1보다 적어도 100℃ 더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온도(T2)는 용융된 유리의 점도를 감소시켜서, 용융된 재료에서의 거품이 용융된 유리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보다 높은 온도는 뱃치를 통해 용융된 유리에 진입하는 정제제(예를 들면, 다원자가 산화물 재료)에 수용된 산소를 배출시킨다. 배출된 산소는 다른 가스용 핵비등(nucleate) 위치로 사용될 수 있는 용융된 유리의 거품을 형성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용융된 유리에서 용해된 가스는 산소 거품으로 이동하여, 거품을 성장시킨다. 거품 성장으로부터 초래되는 증가된 부력은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을 통한 용융된 유리로부터의 거품의 제거 속도를 빠르게 한다. 부가적으로, 거품이 용융된 유리를 통해 상승함에 따라, 유리의 여러 국부 기계적인 교반이 또한 발생하고, 이는 가스의 추출을 더욱 자극한다.
용융 노(14)가 전형적으로 내화 세라믹 재료(예를 들면, 세라믹 벽돌 또는 대형 일체식 세라믹 블럭)를 포함하는 한편으로, 용융 노로부터 성형 몸체까지 이송하는데 책임이 있는 많은 하류 이송 기기는 모두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부터 전형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연결 도관(18, 24, 26), 정제 용기(20), 교반 용기(22), 이송 용기(28), 출구 도관(30) 및 유입구(32)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용융된 유리는 상승된 온도에 놓이며, 그리고 이에 따라 "고 온도" 재료, 즉, 예를 들면, 연장된 시간 간격 동안에 적어도 1500℃를 넘는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재료가 이송 기기 구성요소에 대해 요구된다. 더욱이, 재료는 산소의 존재하에서 고 온도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는 산화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용융된 유리는 상당히 부식성일 수 있으며, 이로서 재료는 용기 재료에 의해 최종 유리 물품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용융된 유리로부터의 영향에 대해 비교적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주기율 표 플래티늄 그룹 금속(플래티늄, 로듐, 이리듐, 팔라듐, 루테늄, 오스뮴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한 금속은 특히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플래티늄이 다른 플래티늄 그룹 금속 보다 더욱 용이하게 작업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고 온도 공정이 플래티늄 용기 또는 플래티늄 합금 용기를 사용한다. 하나의 공통의 플래티늄 합금은 플래티늄 - 로듐 합금이다. 그러나, 이러한 귀 금속은 고가이기 때문에, 사용된 금속의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이들 용기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이 행해진다.
정제 용기에서의 용융된 유리로부터 최대 많은 양의 가스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용융된 유리는 정제 온도(T2)로 상승된다. 용융된 유리의 가열은 용융 노(14)와 정제 용기(20) 사이의 연결 도관(18) 내에서 개시될 수 있어, 상기 용융된 유리가 정제 용기에 진입함에 따라 정제 온도로 또는 상기 정제 온도와 비슷하게 된다. 연결 도관(18) 외측 가열 코일을 통한 간접적인 가열이 사용될 수 있는 한편으로, 가열은 보다 용이하게 요약된 바와 같은 직접적인 가열 방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직접적으로 가열된 정제 용기에 대해, 전류는 교류(AC)나 또는 직류(DC)일 수 있다. 연결 도관 및 정제 용기 양자의 직접적인 가열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도관 및 상기 정제 용기 모두는 플랜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제 용기를 통한 전류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정제 용기로의 플랜지(42)의 부착 및 설계가 주의 깊게 행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제 용기 벽부 내에서의 고온의 스팟이 정제 용기 벽부의 상측 부분 내에서 모니터링되고 있다.
도 2는 정제 용기(20)의 적어도 한 부분(43)의 사시도이며, 상기 정제 용기는 적어도 한 부분의 끝점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정제 용기와 전기 접속한 상태이고 상기 정제 용기에 부착되어 도시된 수 개의 플랜지(42)를 포함하고, 그리고 명목상으로 원통형 단면 형상 및 길이(L)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 또는 더욱 간단하게는 "단면"이라는 용어는, 따로 특별하게 언급하지 않았다면, 정제 용기의 길이방향 축선(48)에 수직인 평면(46)으로써 절단된 바와 같은, 상기 정제 용기의 외측 벽부(44)의 형상을 지시한다. 아래 기재된 설명은 원통형 단면 형상을 가정하고 있는 한편으로, 다른 기하학적 단면 형상이 예를 들면, 타원형 형상, 계란형 형상, 또는 만곡된 벽부 부분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비교적 평탄한 벽부 부분을 포함한 "경주 트랙"(예를 들면, 길쭉한(oblong))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한 방향에서의 형상의 치수, 예를 들면, 폭은 직교 방향에서의 형상의 높이, 예를 들면, 높이보다 더 크다. 전극(49)은 플랜지(42)와 전기 접촉한 상태이고 그리고 플랜지를 케이블을 통해 전기력 발생원에, 버스 바(buss bar)에 또는 다른 전기 전도체에 연결시키도록 사용된다.
도 3은 일 례의 정제 용기의 단면도로서, 상기 정제 용기는 상기 정제 용기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넓어지는 볼륨을 둘러싸는 길이방향으로 폐쇄된 벽부(44)를 포함한다. 도 3의 단면은 자유 표면(50)을 갖는 용융된 유리(16)를 수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자유 표면은 상기 자유 표면상의 가스상 분위기(52)와 접촉한다. 벽부(44)는 내측 표면(54) 및 외측 표면(56)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내측 표면(54)은 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정제 용기의 내부 볼륨과 마주하고 그리고 외측 표면(56)은 상기 정제 용기 외측 주위 환경에 노출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도 3은 도시된 정제 용기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정제 용기의 원주부에 대해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사이에서 뻗어있는 벽부(44)의 상대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정제 용기의 원주부에 대한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정제 용기 벽부 단면의 두께 "t"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조인트 및/또는 용접부에서 그리고 정상 제조 공차 내에서만 변한다.
정제 용기(20)로부터의 열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제 용기는 내화 단열 재료(도시 생략)의 하나 이상의 층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내화성 재킷 내에 끼워넣어진 써모커플은 상기 써모커플의 위치에서 또는 이 근처의 위치에서 정제 용기의 온도를 모니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미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니터링은, 벽부의 내측 표면(54)이 용융된 유리와 접촉 상태인 벽부의 부분이라기 보다는 수용된 가스상 분위기(52)와 접촉 상태에 있는 위치에서, 정제 용기 벽부의 상승된 온도를 나타낸다. 사용불능 정제 용기에서 행해진 검사는, 검측 표면(54)이 정제 용기를 통해 유동하는 용융된 유리와 접촉한 상태가 아닌, 정제 용기의 부분에서 금속의 증가된 산화 부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국부 부식은 벽부를 영구적으로 얇아지게 한다. 벽부 얇아짐은 벽부의 상기 국부 부분에서의 전류 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는 온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벽부 얇아짐이 일단 개시된다면, 부식(예를 들면, 산화)은, 정제 용기 벽부의 파손이 발생하고 정제 용기가 반드시 사용불능일 때까지, 보다 빠르게 증대하게 진행하는 런어웨이 공정(runaway process)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식성 파손의 사진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구역(58)은 정제 용기 벽부의 틈(breach)을 포함한다. 더욱이, 부식에 의해 만들어진 크랙킹이 정제 용기 주위에서 퍼질 수 있고, 그리고 극단적인 예로서, 크랙이 만날 수 있으며 상기 정제 용기의 한 섹션을 다른 섹션과 완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부식 공정이 전형적으로 국부 상황이고, 그리고 국부 전류 밀도 및 산소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러한 부식은 전체 벽부 표면상에서, 용융된 유리 자유 표면상의 가스상 분위기와 접촉하는 정제 용기 벽부의 상기 부분만을 고려할 때에서도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산소 농도는 국부 기준으로 제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한 목적이 전류 밀도와 이에 따른 정제 용기 벽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정제 용기(20)는, 벽부 두께가 정제 용기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정제 용기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변할 수 있도록, 그리고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벽부 두께가 정제 용기의 전체 길이 내내 변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정제 용기의 단면을 보았을 경우, 정제 용기 벽부의 두께는 단면의 원주부 주위에서 단면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도로 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벽부 두께는 정제 용기의 한 단면에서 변할 수 있고 다른 한 단면에서 변할 수 없다. 도 5는 정제 용기가 첫 번째 호를 형성하는 상측, 즉 제 1 벽부 부분(44a) 및 두 번째 호를 형성하는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용기(2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벽부 부분은 전체 정제 용기 벽부(44)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벽부 부분은 벽부 두께(ta 및 tb)를 각각 포함하고,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라, 정제 용기가 단면으로 보여질 때, tb는 ta보다 더 크다. 즉, 단면으로서 상측 벽부 부분(44a)의 벽부 두께(ta)는 단면으로서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의 벽부 두께(tb)보다 더 작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유리(16)의 자유 표면(50)은 제 2 벽부 부분(44b)을 교차하여, 용융된 유리(16)가 정제 용기(20)의 상측 벽부 부분(44a) 상을 유동하지 않는다. 상측 벽부 부분의 첫 번째 호에 의해 이루어진 각도(θ)는 약 10 도 내지 약 180 도 범위 내에 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벽부 부분은 정제 용기의 전체 상부 절반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 용기의 단지 한 부분의 상부 절반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의 두 번째 호에 의해 이루어진 상호보완적인(complementary) 각도(Φ)는 약 180 도 내지 약 350 도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두꺼운 하측 제 2 벽부 부분(44b)은 상측 부분의 저항에 비하여 정제 용기에서의 전류에 대한 감소된 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제 1 벽부 부분에서의 보다 낮은 전류는 제 2 벽부 부분에서의 전류와 비교되었을 때, 상기 제 1 벽부 부분에서의 온도의 감소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도 6을 살펴보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제 1 저항 소자(REa) 및 제 2 저항 소자(REb)의 전기 배선을 나타내고 있다. 저항 소자(REa)는 길이(La), 단면적(Aa) 및 저항력(ρa)을 포함한다. 저항 소자(REb)는 길이(Lb), 단면적(Ab ) 및 저항력(ρb)을 포함한다. 각각의 저항 소자는 예를 들면, 원통형, 고체 및 균일한 와이어로 여겨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저항 소자(REa 및 REb)는 두 개의 버스 바(64 및 66)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전기 포텐셜(E)은 두 개의 버스 바 사이에서 부가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저항 소자(REa)는 정제 용기(20)의 상측 벽부 부분(44a)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저항 소자(REb)는 정제 용기(20)의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La = Lb, Aa = Ab 그리고 ρa= ρb이도록 양 저항 소자가 동일하다는 것을 가정하면, 양 저항 소자는 동일한 저항을 갖는데, 이는 즉 저항 소자(REa)의 전기 저항(Ra)이 저항 소자(REb)의 전기 저항(Rb)과 동일하다는 것이다(여기서 일반적으로 저항력(ρ)은 길이(L)에 의해 나뉘어진 시간 영역(A)에서의 저항(R)이 동일함). 결론적으로, REa를 통한 전류(Ia)는 REb를 통한 전류(Ib)와 동일하다(다른 투과 손실은 무시됨). 양 저항 소자(REa 및 REb)에서의 총 전류(It)는 Ia + Ib이거나 또는 E/(RaRb/(Ra+Rb))이다. 수치 값을 대입하여, E는 10 volts이고 그리고 Ra 및 Rb는 각각 5 ohms이라고 추정하자. 이후 Ia 및 Ib는 각각 2 amps이고 그리고 총 전류(It)는 Ia + Ib = 4 amps이다. 100% 효율 변환이라고 추정하여, 열로써 소모된 총 파워(P)는 P=ItE이다. 상기 기재로부터 수치 값을 대입하면, P = 10 volts x 4 amps = 40 watts.
앞서 기재된 예는 저항 소자(REa)가 저항 소자(REb)와 동일하다고 추정하였다. 다른 모든 조건이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상태라고 지금 가정하면, 저항 소자(REa)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Aa < Ab이다. 즉, 저항 소자(REa)가 선행 기재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와이어라 추정되지만, 단지 더욱 얇다.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상측 벽부 부분(44a)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에 상당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후 Ra > Rb이고 그리고 Ia < Ib이다. 앞서 기재된 예에서의 값을 사용하는 것은, 저항 소자(REa)의 저항(Ra)이 현재 6 ohms이고 그리고 저항 소자(REb)의 저항(Rb)이 5 ohms이라고 추정된다. Ia는 현재 10 volts/6 ohms = 1.67 amps이고 그리고 Ib = 10 volts/5 ohms = 2 amps이다. Itotal는 3.67 amps가 되고 그리고 P = 10 volts x 3.67 amps = 36.7 watts이며, 감소된 파워를 나타낸다. 선행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REa 및 REb는 정제 용기 벽부(44a 및 44b)의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각각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용기로부터 유리로의 감소된 파워는 총 유리 온도가 감소된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 기본 경우 보다 낮은 온도로 유리를 냉각하는 것은, 용융된 유리에 대한 동일한 공정 조건을 유지하고자 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기본 경우에서와 동일하게 용융된 유리의 총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융된 유리로의 파워는, 예를 들면, 버스 바를 가로지른 전압(E)의 증가로써, 달성될 수 있는, 본 예에서 40 watts의 파워를 다시 얻도록 대략적으로 10.44 volts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10.44 volts에서, Ia는 현재 대략적으로 1.74 amps이고 그리고 Ib는 대략적으로 2.089 amps이다. 따라서, 기본 경우와 동일한 파워에 대해서도, 기본 경우와 관련하여 감소된 제 1 저항 소자(REa)에서의 전류(Ia) 및 제 2 저항 소자(REb)에서의 전류(Ib)가 증대된다.
앞서 기재된 간단한 예는, 하측 벽부 부분, 즉 용융된 유리와 접촉하는 정제 용기 벽부의 부분과 관련하여 보다 덜 두꺼운, 정제 용기(20)의 상측 벽부 부분의, 즉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상의 가스상 분위기와 접촉하는 정제 용기 벽부의 부분이 정제 용기의 상측 벽부 부분에서의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또한 상측 벽부 부분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섭씨 수 도에서의 감소된 온도조차도 정제 용기의 사용 수명의 상당한 연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하측 부분에서의 전류의 증가가 상당히 더 큰 단면적 상에 분배되기 때문에(상기 하측 부분이 상기 상측 부분보다 상당히 더 크고 더 두꺼움), 상기 하측 부분에서의 전류의 증가는 단지 무시가능한 효과(단지 전류 밀도에서의 무시가능한 증가)를 가질 수 있다.
회로 다이어그램을 통한 앞서 기재된 설명은 정제 용기 상측 및 하측 벽부 부분이 분리된 부재가 아닌 연속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이유 때문에 적어도 매우 간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기 해석은 물리적인 정제 용기에 대해 상당히 더욱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Fluent®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컴퓨터 분석은 최종 결과를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앞서 기재된 설명은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데 유익하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측, 또는 제 1 벽부 부분(44a)의 두께는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가적인 재료와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하측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측 벽부 부분의 제조를 통해 금속 플레이트를 임의의 두께의 원통형으로-형성된 플레이트로 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에 있어서, 임의의 두께의 제 2 금속 플레이트는 제 2 원통형으로-형성된 플레이트로 압연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제 1 플레이트에 합쳐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플레이트의 적어도 두께만큼 제 1 플레이트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제 2 층은 제 1 층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거나 상이한 재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층의 부가는, 사용될 부가적인 재료(이는 플래티늄 그룹 금속의 경우에 중요할 수 있음)를 필요로 함에 따라, 정제 용기의 총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측 부분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는 양은 금속의 용융 점에 매우 가까운 온도에서 연장된 시간 간격 동안에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제 용기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제한되는 한편으로, 하측 부분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기본적으로 비용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초기 증가된 비용은 정제 용기가 오래 지속됨으로써 얻어진 것(gain)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용기(20)는 제 1 및 제 2 벽부 부분(44a, b) 사이에 위치된 제 3 벽부 부분(4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벽부 부분(44c)은 tb보다 더 두꺼운 제 3 두께(tc)를 갖는다. 제 3 벽부 부분(44c)의 두께(tc)는 벽부 두께(ta 및/또는 tb)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기 때문에, 산화-기반의 얇아짐에 의해 만들어진 크랙과 같은, 제 1 벽부 부분(44a)에서 형성될 수 있는 크랙은 벽부 부분(44c)의 증가된 두께만큼 정제 용기의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용기(20) 내의 용융된 유리의 레벨은 제어될 수 있어 용융된 유리(16)의 자유 표면(50)이 제 2 벽부 부분(44b)을 교차하고, 그리고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벽부 부분(44c)을 교차할 수 있다. 유리 제조 시스템에서 용융된 유리의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어 본 명세서에 또한 언급되지 않았다.
사용불능 정제 용기의 검사는, 플랜지가 상측, 즉 제 1 벽부 부분(44a)에 결합되는 위치에서나 그 근방에서, 예를 들면, 플랜지(42)가 상측 벽부 부분(44a)을 교차하는 곳의 약 16 cm(centimeter) 내에서, 정제 용기의 산화 부식이 더욱 종종 개시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또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용기(20)의 상측 부분(44a)은 상측, 즉 제 1 벽부 부분(44a)의 다른 한 부분과 관련하여 국부적으로 두껍게 될 수 있다.
도 9는 정제 용기(20)의 도면이며, 플랜지(42)에 인접한 상측 벽부 부분(44a)의 국부적으로 두꺼워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상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과 관련된 하측, 즉 제 1 벽부 부분(44a)의 정제 용기의 길이방향 축선에 따른 짧은 (국부) 부분의 증가된 두께는 상기 정제 용기의 상측 벽부 부분의 국부 부분 내에서의 전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측 벽부 부분(44a)의 국부 두꺼워짐이 플랜지(42)와 맞닿는 위치에 위치될 때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42) 사이의 상측 벽부 부분(44a)은 제 1 길이 부분(44a1) 및 제 2 길이 부분(44a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길이 부분(44a2)은 플랜지(42)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맞닿으며,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의 단면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 2 길이 부분(44a2)의 상측 벽부 부분의 두께(ta2)는 제 1 길이 부분(44a1)의 상측 벽부 부분의 두께(ta1) 보다 더 두껍다. 연속한 플랜지가 의미하는 것은 부가적인 플랜지가 주된(subject) 플랜지 사이에 놓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 2 벽부 부분(44b)은 제 1 길이 부분(44a1)의 제 1, 즉 상측 벽부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즉 tb ≥ ta1). 제 2 벽부 부분(44b)은 제 2 길이 부분(44a2)의 상측, 즉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tb ≥ ta2). 도 12에 나타내어진 아래 기재된 부가적인 간단한 설명은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의 적어도 한 부분을 두껍게 한다는 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비교 목적을 위해 검토하자면, 도 6은 제 1 저항 소자(REa) 및 제 2 저항 소자(REb)의 전기 배선을 나타내고 있다. 저항 소자(REa)는 길이(La), 단면적(Aa) 및 저항력(ρa)을 포함한다. 저항 소자(REb)는 길이(Lb), 단면적(Ab) 및 저항력(ρb)을 포함한다. 각각의 저항 소자는 예를 들면, 와이어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소자(REa 및 REb)는 두 개의 버스 바(64 및 66)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결된다. 전기 포텐셜(E)은 두 개의 버스 바 사이에 부과된다. 양 저항 소자가 동일하다고 추정하면(이 경우, La = Lb, Aa = Ab 그리고 ρa= ρb), 양 저항 소자가 동일한 저항을 갖는데, 즉 Ra = Rb이다(이 경우 일반적으로 저항력(ρ)이 길이(L)로 나뉘어진 시간 영역(A)에서의 저항(R)과 동일함). 다시 말하면, 이러한 예에 있어서, REa는 정제 용기(20)의 상측 벽부 부분(44a)을 나타내고 그리고 저항 소자(REb)는 상기 정제 용기(20)의 하측, 즉 제 2 벽부 부분(44b)을 나타낸다. REa를 통한 전류(Ia)는 REb를 통한 전류(Ib)와 동일하다(다른 전송 손실은 무시함). 총 전류(It)는 Ia + Ib이거나 또는 E/(RaRb/(Ra+Rb))이다. 수치 값을 대입하면, E는 10 volts이고 그리고 Ra 및 Rb는 각각 5 ohms이라고 추정된다. 이후 Ia 및 Ib는 각각 2 amps이고 그리고 총 전류(It)는 Ia + Ib = 4 amps이다. 100% 효율이라고 추정하여, 열로써 소비된 총 파워(P)는 P=ItE이다. 앞선 수치 값을 대입하면, P = 10 volts x 4 amps = 40 watts이다.
앞서 기재된 예는 저항 소자(REa)가 저항 소자(REb)와 동일하다고 추정하였다. 도 12를 지금 살펴보면, 저항 소자(REa)의 한 부분의 단면적이 증대되고 이로서 저항 소자(REa)가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고 추정하자. 즉, 저항 소자(REa)는 두 개의 저항 소자 세그먼트, 즉 제 1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1) 및 제 2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2)를 포함한다고 추정하자. REa1는 길이(La1), 단면적(Aa1), 저항력(ρa1) 및 저항(Ra1)을 포함한다. REa2는 길이(La2), 단면적(Aa2), 저항력(ρa2), 및 저항(Ra2)을 포함한다. 제 1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1)의 길이(La1)가 제 2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2)의 길이(La2)보다 상당히 더 크고, 그리고 제 2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2)의 단면적(Aa2)은 제 1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1)의 단면적(Aa1) 보다 더 크다고 또한 추정하자. 바꾸어 말하자면, 제 1 저항 소자(REa)가 일렬로 끝과 끝이 이어지게 배치된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고 추정하자, 여기서 제 2 세그먼트의 두께가 제 1 세그먼트의 두께보다 더 두껍지만, 그러나 제 1 세그먼트의 길이가 제 2 세그먼트 보다 상당히 더 길다. 이들 양 세그먼트는, ρa1 = ρa2 = ρb이도록, 제 2 저항 소자(REb)와 동일한 저항력을 갖는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REa1의 총 저항은 REa의 총 저항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수치 예로서, 하나의 저항 소자가 100 ohms의 저항을 갖고 제 2 저항 소자는 5 ohms의 저항을 갖는 두 개의 저항 소자에 대해, 두 개의 일련의 저항 소자의 총 저항은 105 ohms이지만, 그러나 100 ohm 저항 소자의 저항과 상당하게 상이하다고 고려함).
이러한 예에 있어서, 이후 제 1 저항 소자의 총 저항(REa)은 REa = Ra = Ra1 + Ra2이고, 제 1 저항 소자의 총 저항(REa)에서의 전류(Ia)는 REa = E/Ra = E/(Ra1 + Ra2)이고 그리고 Ib = E/Rb이다. 세그먼트(REa1 및 REa2), 즉, 저항 소자(REa)에 의해 나타내어진 다리부에서의 전류(Ia)는 E/Ra1으로 대략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전류(Ib)는 도 6과 관련된 전류(Ib)와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전류(Ia)는 제 1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1)의 단면적(Aa1) 보다 더 큰 제 2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2)에서의 단면적(Aa2) 상에 분배될 것이다. 따라서, 제 2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2)의 가열은 제 1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1)의 가열보다 더 작을 것이고, 그리고 이에 따라, 제 2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2)의 온도는 제 1 저항 소자 세그먼트(REa1)의 온도보다 더 낮을 것이다. 정제 용기(20)의 상황하에, 이러한 사항은 전류가 정제 용기에 들어가고 및/또는 떠나며 그리고 전류 밀도가 최대인 경향을 갖는, 플랜지의 위치에서 정제 용기의 온도를 감소시킨다는 영향을 갖는다.
도 13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용기의 적어도 한 부분의 상측 벽부 부분(44a)은 3개의 길이 세그먼트를, 이미 기재된 바와 같이, 제 1 길이 부분(44a1) 및 제 2 길이 부분(44a2), 및 제 3 길이 부분(44a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단면으로서 제 1 길이 부분(44a1)의 상측 벽부 부분은 두께(ta1)를 갖고 그리고 단면으로서 제 2 길이 부분(44a2)의 상측 벽부 부분은 두께(ta2)를 가지며, 그리고 ta2 > ta1이다. 단면으로서 제 3 길이 부분(44a3)은 두께(ta1) 보다 더 큰 두께(ta3)를 갖고, 그리고 두께(ta2)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 길이 부분(44a1)은 제 2 길이 부분(44a2)과 제 3 길이 부분(44a3)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길이 부분(44a2) 또는 제 3 길이 부분(44a3)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다 플랜지(42)와 맞닿아 위치될 수 있다.
정제 용기의 상측 벽부 부분(44a)에서 고온의 스팟의 한 원인은 플랜지를 전류 발생원과 연결하는 전극(49)을 구비한 라인 상의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에서의 높은 전류 밀도를 야기한다. 즉, 플랜지는, 전형적으로, 상기 플랜지에 전류를 공급하는 케이블이나 버스 바에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뻗어있는 탭 또는 전극을 포함한다. 플랜지에 공급된 전류가 용융된 유리의 증가된 유동과 같은, 보다 큰 가열 요구를 처리하도록 증대된다면, 전극 근방의 구역에서의 정제 용기와 플랜지에서의 보다 큰 전류 밀도는(여기서 전류가 전극으로부터 정제 용기 및 플랜지에 분배됨) 상기 플랜지 및/또는 정제 용기에서 충분히 큰 온도를 생성할 수 있어 상기 플랜지 및/또는 정제 용기를 포함한 재료의 급속한 산화를 통한 상기 플랜지 및/또는 정제 용기의 영구 파손을 야기한다. 이러한 사항은 도 14 - 도 16을 사용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도 14는 원주방향으로 변하는 두께를 갖는 벽부를 포함한 정제 용기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극(49)이 정제 용기 벽부(44)의 상측, 즉 제 1 벽부 부분(44a)에 가장 근접한 플랜지(42)에 위치되어, 정제 용기 벽부의 상측 부분에서의 전류(예를 들면, 전류 밀도)가 전극(49)을 구비한 라인인 벽부(44)의 한 구역 내에서 최대이다. 즉, 전극(49)에 가장 근접한,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전류 밀도가 정제 용기의 상측 벽부 부분(44a)의 재료로써 견딜 수 있는 것보다 더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분위기(52)와 접촉된 상태의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의 가열 증가를 잠재적으로 초래한다. 이러한 사항은 도 15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어질 수 있고, 플랜지(42) 중 하나의 플랜지에서 도 14의 정제 용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고 전류 밀도를 만드는 전류는 화살표(60)로써 나타내어지고, 그리고 고 전류 밀도의 구역은 Za로 지시된 구역이다.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에서의 고 전류 밀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전극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용기의 하측, 또는 제 2 벽부 부분(44b)에 가장 근접하도록 전극(49)이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제 용기 벽부(44)가 용융된 유리와 접촉하는 정제 용기, 구역(Zb)에서 고 전류 밀도가 발생하며, 즉, 전극(49)은 플랜지(42)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측 벽부 부분의 두께가 상측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클 때, 특히 도움이 될 것이다.
실시예
도 17은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 벽부 두께를 갖는 정제 용기의 길이에 따른 온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정제 용기는 대략적으로 11 cm의 거리에 대해 정제 용기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제 2 플랜지(도면에서 우측 가장 먼 플랜지)와 맞닿고 상기 제 2 플랜지에 인접한, 플랜지들 사이에 위치된 두께 밴드(75)를 더 포함한다. 두께 밴드는 정제 용기를 둘러싸고 그리고 정제 용기 벽부의 나머지부의 두께보다 더 크지만, 그러나 두께 밴드의 두께는 자체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플랜지는 위치(A 및 B)에 위치된다. 곡선(70, 72 및 74)은 Fluen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델링된 데이터를 나타내고, 그리고 원 및 삼각형은 정제 용기를 둘러싸는 내화 단열 재료에 끼워넣어진 써모커플을 통해 얻어진 정제 용기에서의 실제 데이터를 나타낸다. 그래프는, 실제 데이터가 모델링된 데이터와 전반적으로 유사하며(mimic), 정제 용기의 길이에 따른 온도를 나타내기 위한 모델의 실현가능성을 입증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곡선(70)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온도를 나타내고, 곡선(72)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정제 용기의 바닥부에 따른 온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곡선(74)은 상기 정제 용기의 바닥부와 상부 사이의 중간에 상기 정제 용기의 측면에 따른 길이의 함수로서 상기 정제 용기의 온도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정제 용기의 상부에 따른 온도가 정제 용기의 측면 및 바닥부에서의 온도보다 더 높은 대략적으로 섭씨 15 도 내지 20 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한 벽부 부분보다 더 두꺼운 한 벽부 부분의 존재는 보다 두꺼운 벽부 부분의 위치에서 전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리고 이는 모델링에 의해 증명되었고, 상기 모델링은 B에서의(도 17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보았을 때) 플랜지 직전의 온도 강하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정제 용기에 따른 다른 곳에서의 두께 차이(예를 들면, 원주방향 두께 변화)가 없는 것은 정제 용기의 이들 부분에 따라 고 온도를 초래한다. 플랜지에서의, 그리고 특히 B에서의 플랜지에서의 온도 강하는 플랜지의 열 소산 능력에 기인한다. 즉, 각각의 플랜지는 열을 전도식으로 그리고 복사식으로 소산시키는 핀(fin)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플랜지는 냉각 유체가 통과해 유동되는 각각의 플랜지의 주변부 주위에 위치된 냉각 코일에 의해 능동적으로 냉각됨에 따라 모델링되었다. 도 19는 도 17의 조절에 대한 모델링된 전류 밀도(amps/square millimeter(A/㎟))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여기서 곡선(76)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상측 벽부 부분에서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고, 곡선(78)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하측 벽부 부분에서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곡선(80)은 정제 용기의 바닥부와 상부 사이의 중간에서 상기 정제 용기의 측면에서 길이의 함수로서 전류 밀도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두께 밴드에서 전류 밀도의 급격한 감소를 갖는, 상기 두께 밴드(다시 말하자면, 도 19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보았을 경우) 직전의 전류 밀도의 증가를 나타낸다.
도 20은 상측 벽부 부분 및 하측 벽부 부분을 포함한 정제 용기의 길이에 따른 온도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 상측 벽부 부분의 단면 벽부 두께가 예를 들면, 도 5의 정제 용기, 하측 벽부 부분의 단면 두께보다 더 작다. 도 20의 정제 용기가 두께 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길이는 정규화된 길이로 나타내어지고, 그리고 온도는 섭씨 도(℃)로 나타내어진다. 곡선(80, 82 및 84)은 Fluen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델링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곡선(80)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온도를 나타내고, 곡선(82)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정제 용기의 바닥부에 따른 온도를 나타내며, 그리고 곡선(84)은 정제 용기의 바닥부와 상부 사이의 중간의,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상기 정제 용기의 측면에 따른 상기 정제 용기의 온도를 나타낸다. 모델링에 따라, 이전 예에서처럼, 제 1 플랜지는 A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 2 플랜지는 B에 위치된다. 데이터는, 온도가 바닥부 온도를 넘게 증가하도록 나타내어진 위치 B에서 플랜지에 근접한 위치를 제외하고는, 정제 용기의 다수의 상부에 따른 온도가 정제 용기의 바닥부와 측면에서의 온도보다 더 낮은 대략적으로 섭씨 5 도 내지 10 도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항은 B에서의 제 2 플랜지의 존재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증가는 얇은 제 1 상측 부분 및 두꺼운 제 2 상측 부분을 포함한 상측 부분을 최소로, 또는 두께 밴드를 포함함으로써, 또는 정제 용기의 바닥부에 가장 근접한 플랜지로부터 하향 뻗어있도록 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의 조절에 대한 모델링된 전류 밀도(amps/square millimeter)를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이다. 곡선(86, 88 및 90)은 Fluen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델링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곡선(86)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정제 용기의 상부에서의 전류 밀도를 나타내고, 곡선(88)은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정제 용기의 바닥부에 따른 전류 밀도를 나타내며, 그리고 곡선(90)은 정제 용기의 상부와 바닥부 사이의 중간에, 정규화된 길이의 함수로서 상기 정제 용기의 측면에 따른 상기 정제 용기에서의 전류 밀도를 나타낸다. 그래프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의 정제 용기의 중간-길이 내에서의 가변 원주방향 길이의 결과로서, (상부, 바닥부 및 중간점에서의 전류 밀도로써 지시된 바와 같은) 정제 용기의 원주부 주위에서 전반적으로 일정한 전류 밀도를 나타내지만, 그러나 또한 플랜지는 정제 용기에서의 모든 전류가 상기 정제 용기의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나아가도록 작용함에 따라, 상기 플랜지의 존재 때문에 상기 플랜지에서의 전류 밀도의 증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플랜지는 집중 노드(node) 또는 분배 노드처럼 보여질 수 있다. 플랜지에서의 정제 용기 내에서의 증가된 전류 밀도의 이러한 효과(온도 증가를 극단적으로 야기할 수 있음)는, 정제 용기의 전체 주변부를 둘러싸는 두께 밴드를 포함하게 되면 상기 정제 용기의 하측 부분에서의 온도에서 실질적인 영향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모델링이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두께 밴드를 포함함으로써,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꺼운 제 2 상측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용기의 상측 부분에서만 얇은 부분을 사용하는 것은 전체 원주부 주위에서의 정제 용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대안과 관련하여 귀 금속의 비용 절감을 나타낸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가 정제 용기와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용융된 유리의 자유 표면이 용기 내에서 빠져나오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리 및 구성이 용융된 유리를 이송하도록 사용된 다른 용기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리 및 구성은 연결 도관(18, 24)에, 교반 용기(22)에, 이송 용기(28)에, 출구 도관(30)과 유입구(32)에, 또는 임의의 다른 금속 용기에, 그리고 특히, 전기로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이러한 용기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주 및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에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로서,
    벽부를 포함한 용기; 및
    상기 용기를 둘러싸고, 상기 벽부로 그리고 상기 벽부로부터 전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한 이격된 플랜지 사이의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제 1 벽부 부분,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된 제 2 벽부 부분, 및 상기 제 1 벽부 부분과 상기 제 2 벽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제 3 벽부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의 제 1 단면에서,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고,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제 3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상기 두께보다 더 큰,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상기 두께는 일정한,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상기 두께는 일정한,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은:
    제 1 길이 부분; 및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길이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의 제 1 플랜지와 맞닿는 제 2 길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면은 상기 제 1 길이 부분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길이 부분에 놓여 있는 제 2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은,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길이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3 길이 부분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3 길이 부분에 놓여 있는 제 3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은,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6.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로서,
    벽부를 포함한 용기; 및
    상기 용기를 둘러싸고, 상기 벽부로 그리고 상기 벽부로부터 전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한 이격된 플랜지 사이의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제 1 벽부 부분 및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된 제 2 벽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 부분은 제 1 길이 부분 및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길이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한 플랜지의 제 1 플랜지와 맞닿는 제 2 길이 부분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길이 부분에 놓여 있는 제 1 단면에서,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고, 상기 제 2 길이 부분에 놓여 있는 제 2 단면에서,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은,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면에서의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상기 두께는 일정한,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면에서의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상기 두께는 일정한,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길이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3 길이 부분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 3 길이 부분에 놓여 있는 제 3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은, 용융된 유리 이송 기기.
  10. 유리 성형 방법으로서,
    용융 노에서 뱃치 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 및
    용융된 유리가 용기 내에서 자유 표면을 포함하고 분위기가 상기 자유 표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용융 노로부터 상기 용기를 통해 용융된 유리를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벽부 부분, 상기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벽부 부분, 및 상기 제 1 벽부 부분과 상기 제 2 벽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제 3 두께를 갖는 제 3 벽부 부분을 포함한 벽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용기의 제 1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두께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더 크고 상기 제 3 두께는 상기 제 1 및 제 2 두께보다 더 크며; 그리고
    용융된 유리의 유동이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표면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용융된 유리의 유동이 제어되는, 유리 성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유 표면은 상기 제 2 벽부 부분을 교차하는, 유리 성형 방법.
  12. 청구항 10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부 부분의 온도는 유동 동안에 상기 제 2 벽부 부분의 온도보다 더 낮은 적어도 섭씨 5 도인, 유리 성형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7012394A 2013-10-18 2014-10-14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KR10223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7566A KR102288421B1 (ko) 2013-10-18 2014-10-14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2624P 2013-10-18 2013-10-18
US61/892,624 2013-10-18
PCT/US2014/060398 WO2015057646A1 (en) 2013-10-18 2014-10-14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glas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566A Division KR102288421B1 (ko) 2013-10-18 2014-10-14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536A KR20160074536A (ko) 2016-06-28
KR102230177B1 true KR102230177B1 (ko) 2021-03-22

Family

ID=52828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394A KR102230177B1 (ko) 2013-10-18 2014-10-14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KR1020217007566A KR102288421B1 (ko) 2013-10-18 2014-10-14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566A KR102288421B1 (ko) 2013-10-18 2014-10-14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533221B2 (ko)
KR (2) KR102230177B1 (ko)
CN (2) CN110803857B (ko)
TW (1) TWI633072B (ko)
WO (1) WO2015057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177B1 (ko) * 2013-10-18 2021-03-2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WO2016153947A1 (en) 2015-03-23 2016-09-2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metallic vessel
CN108290762A (zh) * 2015-10-21 2018-07-17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加热金属容器的设备和方法
JP2018168019A (ja) * 2017-03-30 2018-11-01 AvanStrate株式会社 熔融ガラスの清澄装置、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CN111902373B (zh) * 2018-02-26 2022-07-15 康宁公司 用于电缆线的支撑设备
JP2021533059A (ja) * 2018-07-27 2021-12-0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製造プロセスにおける金属容器を加熱するための方法
KR20210064347A (ko) * 2018-09-27 2021-06-0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 유리 청징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들
JP7092021B2 (ja) * 2018-12-21 2022-06-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JP7302397B2 (ja) 2019-09-06 2023-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壁形状計測装置
CN115849675A (zh) * 2022-12-09 2023-03-28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铂金通道的变壁厚式澄清管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5786A (ja) * 2011-09-30 2013-04-25 Avanstrate Inc ガラス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8868B2 (ja) * 2000-11-29 2010-12-01 株式会社フルヤ金属 ガラス溶融処理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646395B2 (ja) * 2000-12-19 2011-03-09 株式会社フルヤ金属 ガラス溶融処理用金属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49862B4 (de) * 2002-10-25 2020-06-10 AGC Inc. Aus PGM-Werkstoffen gefertigte Läuterkammer
US7475568B2 (en) * 2005-04-27 2009-01-1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fining glass
WO2006132044A1 (ja) * 2005-06-09 2006-12-14 Asahi Glass Company, Limited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DE102006003531A1 (de) * 2006-01-24 2007-08-02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lasenfreien Transportieren, Homogenisieren und Konditionieren von geschmolzenem Glas
JP5335700B2 (ja) * 2007-03-01 2013-11-0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清澄装置
US8925353B2 (en) * 2007-11-08 2015-01-06 Corning Incorporated Process and system for fining glass
US8269131B2 (en) * 2008-02-28 2012-09-18 Corning Incorporated Nickel-containing flange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JP4990230B2 (ja) * 2008-06-17 2012-08-01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導管
US20100199721A1 (en) * 2008-11-12 2010-08-12 Keisha Chantelle Ann Antoine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gaseous inclusions in a glass
CN101708945B (zh) * 2009-05-08 2011-11-30 东旭集团有限公司 铂金通道中实现熔融态玻璃黏度精确控制的方法
US8274018B2 (en) * 2010-02-25 2012-09-2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JP5796731B2 (ja) * 2011-03-02 2015-10-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製造方法
JP2014037320A (ja) * 2011-03-31 2014-02-27 Avanstrate Inc ガラス板製造方法
CN102211850B (zh) * 2011-04-02 2013-09-11 彩虹集团公司 一种铂金通道结构
CN203498243U (zh) * 2012-09-27 2014-03-26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基板的制造装置
KR102230177B1 (ko) * 2013-10-18 2021-03-2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5786A (ja) * 2011-09-30 2013-04-25 Avanstrate Inc ガラス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3072B (zh) 2018-08-21
KR102288421B1 (ko) 2021-08-11
CN105829253B (zh) 2019-12-20
CN110803857B (zh) 2022-01-25
KR20160074536A (ko) 2016-06-28
KR20210032544A (ko) 2021-03-24
CN110803857A (zh) 2020-02-18
JP2019163205A (ja) 2019-09-26
JP2016533313A (ja) 2016-10-27
WO2015057646A1 (en) 2015-04-23
JP6533221B2 (ja) 2019-06-19
JP6754469B2 (ja) 2020-09-09
TW201516015A (zh) 2015-05-01
CN105829253A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177B1 (ko) 유리 제조 기기 및 그 방법
JP6049225B2 (ja)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6463384B2 (ja) 白金含有容器の直接抵抗加熱に使用するための装置
KR102497655B1 (ko) 금속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680109B (zh) 熔融玻璃加熱裝置、玻璃製造裝置、及玻璃物品之製造方法
KR102645627B1 (ko) 금속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727949A (zh) 玻璃移送装置
JP2018531206A6 (ja) 金属容器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TWI816892B (zh) 用於在玻璃製作工序中減輕貴金屬元件的電化腐蝕的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