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169B1 -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169B1
KR102230169B1 KR1020200082510A KR20200082510A KR102230169B1 KR 102230169 B1 KR102230169 B1 KR 102230169B1 KR 1020200082510 A KR1020200082510 A KR 1020200082510A KR 20200082510 A KR20200082510 A KR 20200082510A KR 102230169 B1 KR102230169 B1 KR 10223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hoists
channel
distanc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옥
Original Assignee
정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옥 filed Critical 정현옥
Priority to KR102020008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8Calling by using continuous ac
    • H04Q9/10Calling by using continuous ac using single different frequ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MULTI-CHANNEL CRANE REMOTE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어시스템 및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는 전동기, 감속장치 및 와인딩 드럼 등을 일체로 통합시킨 소형의 감아올리기 기계를 말한다. 호이스트의 종류로는 체인 호이트스, 공기 호이스트 및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다. 호이스트는 운용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이에, 최근에는 호이스트에 대한 운용상 비용을 줄이고, 작업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6675 (등록일자, 2006. 6. 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1 채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1 호이스트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2 채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2 호이스트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상기 제1 호이스트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상기 제1 호이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호이스트들과 상기 제1 호이스트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호이스트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상기 제1 호이스트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제1 호이스트와 작업자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이스트의 위치정보는 상기 제1 호이스트에 포함되는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해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상기 작업자에 부착되는 작업자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1 호이스트와 상기 작업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호이스트의 위치정보 및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포함되는 중심주파수들 간의 간격은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배치되는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와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에 순번을 정하고, 상기 순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에 상응하는 채널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채널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시스템의 일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시스템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도 1의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 수에 따른 중심주파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어시스템에서 작업자와 호이스트들 간의 거리에 따라 설정되는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10)은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및 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사물인터넷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은 제1 호이스트(110), 제2 호이스트(120) 및 제3 호이스트(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호이스트(110)는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는 제2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호이스트(130)는 제3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들은 제1 주파수 대역(BW1), 제2 주파수 대역(BW2) 및 제3 주파수 대역(BW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BW1)일 수 있고, 제1 주파수 대역(BW1)에 상응하는 채널은 제1 채널(CH1)일 수 있다. 또한, 제2 호이스트(120)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BW2)일 수 있고, 제2 주파수 대역(BW2)에 상응하는 채널은 제2 채널(CH2)일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3 호이스트(130)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은 제3 주파수 대역(BW3)일 수 있고, 제3 주파수 대역(BW3)에 상응하는 채널은 제3 채널(CH3)일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는 제1 채널(CH1) 및 제어신호(CS)를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어장치(200)는 제2 채널(CH2) 및 제어신호(CS)를 통해서 제2 호이스트(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제3 채널(CH3) 및 제어신호(CS)를 통해서 제3 호이스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200)가 복수의 채널들 중 제1 채널(CH1)을 통해서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1 호이스트(110)를 제어하는 동안, 제어장치(200)가 복수의 채널들 중 제2 채널(CH2)을 통해서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2 호이스트(12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호이스트(110), 제2 호이스트(120) 및 제3 호이스트(130)는 각각 제1 가이드 레일(GR1), 제2 가이드 레일(GR2) 및 제3 가이드 레일(GR3)을 이용하여 제1 방향(D1), 제2 방향(D2), 제3 방향(D3) 및 제4 방향(D4)을 따라서 물체를 운반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200)가 제1 채널(CH1)을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를 이동시키는 동안, 동시에 제2 채널(CH2)을 통해서 제2 호이스트(120)를 이동시키고, 제3 채널(CH3)을 통해서 제3 호이스트(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어시스템의 일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어시스템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1 호이스트(110)가 이동 중인 경우,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1 호이스트(110)를 제외한 나머지 호이스트들과 제1 호이스트(110)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호이스트 거리(HD)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호이스트는 제1 호이스트(110), 제2 호이스트(120) 및 제3 호이스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1 호이스트(110)는 이동 중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호이스트(110)와 제2 호이스트(120)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간격(DIS1)일 수 있고, 제1 호이스트(110)와 제3 호이스트(130)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간격(DIS2)일 수 있다. 제1 거리간격(DIS1)은 제2 거리간격(DIS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거리간격(DIS1)이 미리 정해진 호이스트 거리(HD)보다 작은 경우, 제1 호이스트(110)와 제2 호이스트(120)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호이스트 거리(HD)는 호이스트들 간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SD)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와 제2 호이스트(120)가 충돌할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제1 거리간격(DIS1)이 호이스트 거리(HD)보다 작아지는 경우, 제어장치(200)는 제1 채널(CH1)을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1 호이스트(110)가 이동 중인 경우, 제1 호이스트(110)와 작업자(WK)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SD)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제1 호이스트(110)는 이동 중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호이스트(110)와 작업자(WK) 사이의 거리는 제3 거리간격(DIS3)일 수 있다. 제3 거리간격(DIS3)이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SD)보다 작은 경우, 제1 호이스트(110)와 작업자(WK)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안전거리(SD)는 작업자(WK)와 호이스트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보해야 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와 작업자(WK)가 충돌할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제3 거리간격(DIS3)이 안전거리(SD)보다 작아지는 경우, 제어장치(200)는 제1 채널(CH1)을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호이스트(110)의 위치정보는 제1 호이스트(110)에 포함되는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11)를 이용해서 획득될 수 있고, 작업자(WK)의 위치정보는 작업자(WK)에 부착되는 작업자 사물인터넷 장치(IW)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와 작업자(WK) 사이의 거리는 제1 호이스트(110)의 위치정보 및 작업자(WK)의 위치정보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10)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도 1의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 수에 따른 중심주파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제어시스템에서 작업자와 호이스트들 간의 거리에 따라 설정되는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제어장치(200)가 제어하는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가 제어하는 호이스트들은 제1 호이스트(110), 제2 호이스트(120) 및 제3 호이스트(130)일 수 있다. 제어장치(200)가 제1 채널(CH1)을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채널(CH2)을 통해서 제2 호이스트(120)를 제어할 수 있고, 제3 채널(CH3)을 통해서 제3 호이스트(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200)가 사용하는 채널의 수는 3개일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가 제어하는 호이스트들이 제1 호이스트(110), 제2 호이스트(120), 제3 호이스트(130) 및 제4 호이스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200)는 제1 채널(CH1)을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채널(CH2)을 통해서 제2 호이스트(120)를 제어할 수 있고, 제3 채널(CH3)을 통해서 제3 호이스트(130)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채널(CH4)을 통해서 제4 호이스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200)가 사용하는 채널의 수는 4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200)가 제어하는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포함되는 중심주파수들 간의 간격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들은 제1 채널(CH1), 제2 채널(CH2) 및 제3 채널(C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CH1), 제2 채널(CH2) 및 제3 채널(CH3)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전체 주파수 대역은 제어장치(200)가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을 제어하기 위하여 할당된 주파수 영역일 수 있다. 전체 주파수 대역은 시작 주파수(FA) 및 종료 주파수(FB) 사이의 대역일 수 있다. 주파수 측면에서, 제1 채널(CH1)의 중심주파수는 제1 주파수(F1)이고, 제1 채널(CH1)의 대역폭은 제1 주파수 대역(BW1)일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CH2)의 중심주파수는 제2 주파수(F2)이고, 제2 채널(CH2)의 대역폭은 제2 주파수 대역(BW2)일 수 있다. 또한, 제3 채널(CH3)의 중심주파수는 제3 주파수(F3)이고, 제3 채널(CH3)의 대역폭은 제3 주파수 대역(BW3)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채널(CH1)의 중심주파수와 제2 채널(CH2)의 중심주파수 사이의 중심주파수 간격은 제1 중심주파수 간격(CFD1)일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들은 제1 채널(CH1), 제2 채널(CH2), 제3 채널(CH3) 및 제4 채널(CH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CH1), 제2 채널(CH2), 제3 채널(CH3) 및 제4 채널(CH4)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전체 주파수 대역은 제어장치(200)가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을 제어하기 위하여 할당된 주파수 영역일 수 있다. 전체 주파수 대역은 시작 주파수(FA) 및 종료 주파수(FB) 사이의 대역일 수 있다. 주파수 측면에서, 제1 채널(CH1)의 중심주파수는 제4 주파수(F4)이고, 제1 채널(CH1)의 대역폭은 제4 주파수 대역(BW4)일 수 있다. 또한, 제2 채널(CH2)의 중심주파수는 제5 주파수(F5)이고, 제2 채널(CH2)의 대역폭은 제5 주파수 대역(BW5)일 수 있다. 또한, 제3 채널(CH3)의 중심주파수는 제6 주파수(F6)이고, 제3 채널(CH3)의 대역폭은 제6 주파수 대역(BW6)일 수 있다. 또한, 제4 채널(CH4)의 중심주파수는 제7 주파수(F7)이고, 제4 채널(CH4)의 대역폭은 제7 주파수 대역(BW7)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채널(CH1)의 중심주파수와 제2 채널(CH2)의 중심주파수 사이의 중심주파수 간격은 제2 중심주파수 간격(CFD2)일 수 있고, 제2 중심주파수 간격(CFD2)은 제1 중심주파수 간격(CFD1)보다 작을 수 있다.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포함되는 중심주파수들 간의 간격은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시스템(10)은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중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배치되는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선택하고,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은 제1 호이스트(110), 제2 호이스트(120) 및 제3 호이스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제1 호이스트(110)까지의 거리는 제1 거리일 수 있고,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제2 호이스트(120)까지의 거리는 제2 거리일 수 있고,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제3 호이스트(130)까지의 거리는 제3 거리일 수 있다.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거리는 제3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거리가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일 수 있고, 최단거리에 상응하는 최단거리 호이스트는 제1 호이스트(11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시스템(10)에 포함되는 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최단거리 호이스트에 해당하는 제1 호이스트(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시스템(10)은 작업자(WK)와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에 순번을 정하고, 순번에 따라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에 상응하는 채널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제1 호이스트(110)까지의 거리는 제1 거리일 수 있고,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제2 호이스트(120)까지의 거리는 제2 거리일 수 있고, 작업자(WK)의 위치로부터 제3 호이스트(130)까지의 거리는 제3 거리일 수 있다.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작을 수 있고, 제2 거리는 제3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거리에 상응하는 제1 호이스트(110)와 제어장치(200) 사이의 채널은 제1 채널(CH1)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거리에 상응하는 제2 호이스트(120)와 제어장치(200) 사이의 채널은 제2 채널(CH2)로 설정할 수 있고, 제3 거리에 상응하는 제3 호이스트(130)와 제어장치(200) 사이의 채널은 제3 채널(CH3)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S100).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S200). 복수의 호이스트들(100) 및 제어장치(200)가 채널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100)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제어시스템 100: 복수의 호이스트들
200: 제어장치 110: 제1 호이스트
120: 제2 호이스트 130: 제3 호이스트

Claims (10)

  1.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배치되는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1 채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1 호이스트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2 채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2 호이스트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상기 제1 호이스트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상기 제1 호이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호이스트들과 상기 제1 호이스트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호이스트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상기 제1 호이스트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제1 호이스트와 작업자 사이의 거리는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이스트의 위치정보는 상기 제1 호이스트에 포함되는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해서 획득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는 상기 작업자에 부착되는 작업자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1 호이스트와 상기 작업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호이스트의 위치정보 및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의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포함되는 중심주파수들 간의 간격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와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에 순번을 정하고, 상기 순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에 상응하는 채널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10.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채널들의 각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최단거리에 배치되는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최단거리 호이스트를 제어하는 멀티 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200082510A 2020-07-06 2020-07-06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23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10A KR102230169B1 (ko) 2020-07-06 2020-07-06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10A KR102230169B1 (ko) 2020-07-06 2020-07-06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169B1 true KR102230169B1 (ko) 2021-03-19

Family

ID=7526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10A KR102230169B1 (ko) 2020-07-06 2020-07-06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1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201B2 (ja) * 1997-06-30 2002-08-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ホイスト式天井クレーン遠隔操作用無線装置
KR100596675B1 (ko) 2004-08-17 2006-07-05 주식회사 포스콘 무인크레인의 3축 연동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2127A (ko) * 2015-08-19 2017-03-02 제이에이치네트웍스(주) 천장크레인 충돌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201B2 (ja) * 1997-06-30 2002-08-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ホイスト式天井クレーン遠隔操作用無線装置
KR100596675B1 (ko) 2004-08-17 2006-07-05 주식회사 포스콘 무인크레인의 3축 연동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2127A (ko) * 2015-08-19 2017-03-02 제이에이치네트웍스(주) 천장크레인 충돌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593A (en) Elevator controller
KR102230169B1 (ko) 멀티채널 크레인 리모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101622794A (zh) 用于网络信号的时分双工放大器
EP3858775B1 (en) Monitoring device for elevator compensation roping
EP2911969A2 (en) Method and system for modernizing an elevator installation
JPH0442308B2 (ko)
WO2021023653A3 (de) Seilwinde sowie hub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seilwinde
CN1097552C (zh) 双转子卷绕的方法和装置
EP0047723A1 (en) Improved automatic control and drive of working units of textile machines
CN1975614A (zh) 数字控制系统
EP1282210B1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machines for laying cables, such as for example conductors, optical fibres, ropes or suchlike, and cable laying machine adopting said device
KR101401996B1 (ko) 정밀성이 강화된 승강식 무대장치
EP1231097B1 (en) Method to regulate the tension for stretching machines and relative apparatus
GB2287157A (en) Remote maintenance of a cellular base station
US7087841B2 (en) Communication cabl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JP3044422B2 (ja) ケーブル布設方法
US5090190A (en) Double sensor docking system particularly for textile ring spinning machines
CN210129697U (zh) 井道电缆牵引装置及电缆牵引安装结构
CN106628941B (zh) 一种胶带机控制系统及方法
JP5910302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電力送電装置
JPH09148969A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通信装置
US2007010238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with multicable drive
JP2005334039A (ja) 舞台機構の制御装置
KR102204951B1 (ko)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19971552U (zh) 用于电梯系统的电缆装置及其电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