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951B1 -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951B1
KR102204951B1 KR1020200082511A KR20200082511A KR102204951B1 KR 102204951 B1 KR102204951 B1 KR 102204951B1 KR 1020200082511 A KR1020200082511 A KR 1020200082511A KR 20200082511 A KR20200082511 A KR 20200082511A KR 102204951 B1 KR102204951 B1 KR 102204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hoists
objects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옥
Original Assignee
정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옥 filed Critical 정현옥
Priority to KR102020008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호이스트의 운용상 비용을 줄이고, 작업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CRANE AUTOMATIC MOVING SYSTEM USING BEAC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및 호이스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는 전동기, 감속장치 및 와인딩 드럼 등을 일체로 통합시킨 소형의 감아올리기 기계를 말한다. 호이스트의 종류로는 체인 호이트스, 공기 호이스트 및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다. 호이스트는 운용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이에, 최근에는 호이스트에 대한 운용상 비용을 줄이고, 작업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6675 (등록일자, 2006. 6. 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호이스트의 운용상 비용을 줄이고, 작업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배치되는 공간영역의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되는 위치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이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체들 중 제1 물체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제1 호이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이스트가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1 채널을 통해서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면서 상기 제1 물체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2 호이스트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중 제2 채널을 통해서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면서 상기 복수의 물체들 중 제2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이스트 및 상기 제2 호이스트 사이의 호이스트 간격이 상기 제1 물체의 폭 및 제2 물체의 폭을 합한 값의 2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해서 상기 제1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제1 정지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채널을 통해서 상기 제2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제2 정지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들의 각각과 작업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가 상기 안전거리보다 작은 상기 호이스트는 정지하고, 경보신호를 제어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들의 각각이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호이스트들의 각각은 지상으로부터 2m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물체들이 이동되는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상기 물체들의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복수의 물체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체들의 각각은 상기 물체들의 각각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정보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보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동작모드는 상기 제어장치에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모드 및 상기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매뉴얼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제어장치가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물체들의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호이스트의 운용상 비용을 줄이고, 작업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들 간의 거리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 및 작업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일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호이스트들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호이스트들은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는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는 제2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는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11)를 이용하여 제어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는 제2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21)를 이용하여 제어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호이스트(110)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물체(M1)를 운반할 수 있고, 제1 호이스트(110)는 제1 가이드 레일(GR1) 상에서 제3 방향(D3) 및 제4 방향(D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물체(M1)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제2 호이스트(120)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물체(M2)를 운반할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는 제2 가이드 레일(GR2) 상에서 제3 방향(D3) 및 제4 방향(D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물체(M1)를 운반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1 호이스트(110)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CS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2 호이스트(120)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CS2)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동작모드를 통해서 복수의 호이스트들을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고, 재고파악모드에서는 물체에 포함되는 태그를 이용해서 물체들의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의 동작모드는 제어장치(200)에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모드 및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매뉴얼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배치되는 공간영역(SR)의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되는 위치센서에 기초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영역(SR)은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위치센서들은 공간영역(SR)에 포함되는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점들은 제1 지점(P1), 제2 지점(P2),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점(P1)에는 제1 위치센서(PS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점(P2)에는 제2 위치센서(PS2)가 배치될 수 있고, 제3 지점(P3)에는 제3 위치센서(PS3)가 배치될 수 있고, 제4 지점(P4)에는 제4 위치센서(PS4)가 배치될 수 있다.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제1 위치센서(PS1), 제2 위치센서(PS2), 제3 위치센서(PS3) 및 제4 위치센서(PS4)를 이용하여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1 호이스트 위치정보(HP1)일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2 호이스트 위치정보(HP2)일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제1 위치센서(PS1), 제2 위치센서(PS2), 제3 위치센서(PS3) 및 제4 위치센서(PS4)를 이용하여 제1 물체(M1) 및 제2 물체(M2)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물체(M1)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1 물체 위치정보(MP1)일 수 있고, 제2 물체(M2)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2 물체 위치정보(MP2)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지점들은 제5 지점(P5), 제6 지점(P6), 제7 지점(P7) 및 제8 지점(P8)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지점(P5)은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의 중간지점일 수 있고, 제6 지점(P6)은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의 중간지점일 수 있다. 또한, 제7 지점(P7)은 제3 지점(P3)과 제4 지점(P4)의 중간지점일 수 있고, 제8 지점(P8)은 제4 지점(P4)과 제1 지점(P1)의 중간지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5 지점(P5)에는 제5 위치센서(PS5)가 배치될 수 있고, 제6 지점(P6)에는 제6 위치센서(PS6)가 배치될 수 있고, 제7 지점(P7)에는 제7 위치센서(PS7)가 배치될 수 있고, 제8 지점(P8)에는 제8 위치센서(PS8)가 배치될 수 있다.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제5 위치센서(PS5), 제6 위치센서(PS6), 제7 위치센서(PS7) 및 제8 위치센서(PS8)를 이용하여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제5 위치센서(PS5), 제6 위치센서(PS6), 제7 위치센서(PS7) 및 제8 위치센서(PS8)를 이용하여 제1 물체(M1) 및 제2 물체(M2)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200)는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이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물체들 중 제1 물체(M1)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제1 호이스트(110)를 선택하고, 제1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제1 물체(M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호이스트(110)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1 호이스트 위치정보(HP1)일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2 호이스트 위치정보(HP2)일 수 있고, 제1 물체(M1)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1 물체 위치정보(MP1)일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 및 제1 물체(M1) 사이의 거리는 제1 호이스트 위치정보(HP1) 및 제1 물체 위치정보(MP1)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호이스트(110) 및 제1 물체(M1)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T1)일 수 있다. 또한, 제2 호이스트(120) 및 제1 물체(M1) 사이의 거리는 제2 호이스트 위치정보(HP2) 및 제1 물체 위치정보(MP1)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호이스트(120) 및 제1 물체(M1)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DT2)일 수 있다. 제1 거리(DT1)가 제2 거리(DT2)보다 작은 경우, 제어장치(200)는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 중 제1 호이스트(110)를 선택하여 제1 물체(M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호이스트(110)가 제어신호(CS) 중 제1 제어신호(CS1)를 통해서 제어장치(200)와 통신하면서 제1 물체(M1)를 이동시키는 동안,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2 호이스트(120)는 제어신호(CS) 중 제2 제어신호(CS2)를 통해서 제어장치(200)와 통신하면서 복수의 물체들 중 제2 물체(M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200)는 제어신호(CS) 중 제1 제어신호(CS1)를 통해서 제1 호이스트(1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제어신호(CS) 중 제2 제어신호(CS2)를 통해서 제2 호이스트(12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신호(CS)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호이스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어신호(CS)는 비콘통신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고, 비콘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들 간의 거리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에 포함되는 호이스트 및 작업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 사이의 호이스트 간격(HD)이 제1 물체(M1)의 폭(MD1) 및 제2 물체(M2)의 폭(MD2)을 합한 값의 2배보다 작은 경우, 제어장치(200)는 제1 호이스트(110)를 정지시키는 제1 정지신호(ST1)를 제공하고, 제2 호이스트(120)를 정지시키는 제2 정지신호(ST2)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지신호(ST1) 및 제2 정지신호(ST2)는 제어신호(CS)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체(M1)의 폭(MD1)이 0.5m일 수 있고, 제2 물체(M2)의 폭(MD2)은 0.5m일 수 있고, 제1 물체(M1)의 폭(MD1) 및 제2 물체(M2)의 폭(MD2)을 합한 값은 1m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물체(M1)의 폭(MD1) 및 제2 물체(M2)의 폭(MD2)을 합한 값의 2배는 2m일 수 있다. 제1 물체(M1)의 폭(MD1) 및 제2 물체(M2)의 폭(MD2)은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이 동작하기 전에 미리 제어장치(200)에 입력될 수 있다.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이 동작하는 동안,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 사이의 호이스트 간격(HD)이 2m보다 작으면,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에 포함되는 제어장치(200)는 제1 정지신호(ST1)를 제공하여 제1 호이스트(110)를 정지시킬 수 있고, 제2 정지신호(ST2)를 제공하여 제2 호이스트(1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이스트들의 각각과 작업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SD)보다 작은 경우, 작업자와의 거리가 안전거리(SD)보다 작은 호이스트는 정지하고, 경보신호(AS)를 제어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SD)는 2m일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복이나 안전모에는 작업자 사물인터넷 장치(IW)가 부착될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는 제2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사물인터넷 장치(IW) 및 제2 호이스트 사물 인터넷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제2 호이스트 위치정보(HP2)를 파악할 수 있다. 작업자의 위치정보 및 제2 호이스트 위치정보(HP2)에 기초하여 작업자와 제2 호이스트(12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와 제2 호이스트(120) 사이의 거리가 안전거리(SD)에 해당하는 2m보다 작은 경우, 제2 호이스트(120)는 제어장치(200)에 경보신호(AS)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호이스트(120)가 제어장치(200)에 경보신호(AS)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장치(200)는 작업자의 작업복이나 안전모에 포함되는 작업자 사물인터넷 장치(IW)에 경보알림신호(ARS)를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이스트들의 각각이 정지해 있는 경우, 호이스트들의 각각은 지상으로부터 2m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되어 있는 호이스트와 작업자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된 호이스트들의 각각은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일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공간영역(SR)은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위치센서들은 공간영역(SR)에 포함되는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점들은 제1 지점(P1), 제2 지점(P2), 제3 지점(P3) 및 제4 지점(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점(P1)에는 제1 위치센서(PS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점(P2)에는 제2 위치센서(PS2)가 배치될 수 있고, 제3 지점(P3)에는 제3 위치센서(PS3)가 배치될 수 있고, 제4 지점(P4)에는 제4 위치센서(PS4)가 배치될 수 있다.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제1 위치센서(PS1), 제2 위치센서(PS2), 제3 위치센서(PS3) 및 제4 위치센서(PS4)를 이용하여 제1 호이스트(110) 및 제2 호이스트(120)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1 호이스트 위치정보(HP1)일 수 있고, 제2 호이스트(120)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2 호이스트 위치정보(HP2)일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제1 위치센서(PS1), 제2 위치센서(PS2), 제3 위치센서(PS3) 및 제4 위치센서(PS4)를 이용하여 제1 물체(M1) 및 제2 물체(M2)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물체(M1)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1 물체 위치정보(MP1)일 수 있고, 제2 물체(M2)에 상응하는 위치정보는 제2 물체 위치정보(MP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은 복수의 물체들이 이동되는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물체들의 각각에 할당하여 복수의 물체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시스템은 제2 물체(M2)를 제2 물체 위치(MP2)로부터 제2 호이스트 위치(HP2)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경로는 제2 물체 위치(MP2)로부터 제2 호이스트 위치(HP2)까지 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호이스트(120)와 제2 물체(M2) 사이의 거리는 제3 거리(DT3)일 수 있고, 제1 호이스트(110)와 제2 물체(M2) 사이의 거리는 제4 거리(DT4)일 수 있다. 제3 거리(DT3)는 제4 거리(DT4)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거리(DT3)가 제4 거리(DT4)보다 짧음에도 불구하고, 제1 호이스트(110)가 제2 물체 위치(MP2)까지 이동하는 경우, 제2 호이스트(120)와 연결되는 제2 가이드 레일(GR2)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여야 할 수 있다. 제1 호이스트(110)를 이용하여 제2 물체(M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가이드 레일(GR2)을 이동시키고, 제1 가이드 레일(GR1)을 다시 이동시켜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이드 레일(GR2)을 따라 이동하는 제2 호이스트(120)를 이용하여 제2 물체(M2)를 제2 물체 위치(MP2)로부터 제2 호이스트 위치(HP2)로 이동시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제2 물체(M2)를 제2 물체 위치(MP2)로부터 제2 호이스트 위치(H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물체들의 각각은 물체들의 각각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정보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정보태그에 기초하여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체(M1)는 제1 정보태그(T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물체(M2)는 제2 정보태그(T2)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물체(M3)는 제3 정보태그(T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4 내지 6 물체는 제4 내지 6 정보태그(T4, T5, T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제어신호(비콘신호)를 제1 내지 6 정보태그에 전달하고, 제1 내지 6 정보태그로부터 제어장치(200)로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제어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S100). 제어장치(200)가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할 수 있다(S200). 제어장치(200)가 물체들의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에 기초하여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S300).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110: 제1 호이스트
120: 제2 호이스트 111: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
111: 제1 호이스트 사물인터넷 장치

Claims (11)

  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 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하는 복수의 호이스트들; 및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배치되는 공간영역의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되는 위치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이 제공하는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물체들 중 제1 물체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제1 호이스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체를 이동시키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이스트가 상기 제어신호 중 제1 제어신호를 통해서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면서 상기 제1 물체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 중 제2 호이스트는 상기 제어신호 중 제2 제어신호를 통해서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면서 상기 복수의 물체들 중 제2 물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이스트 및 상기 제2 호이스트 사이의 호이스트 간격이 상기 제1 물체의 폭 및 제2 물체의 폭을 합한 값의 2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제1 정지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제2 정지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들의 각각과 작업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안전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가 상기 안전거리보다 작은 상기 호이스트는 정지하고, 경보신호를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들의 각각이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호이스트들의 각각은 지상으로부터 2m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물체들이 이동되는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상기 물체들의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복수의 물체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체들의 각각은 상기 물체들의 각각에 대한 정보가 내장된 정보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보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하여 재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동작모드는,
    상기 제어장치에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모드 및 상기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매뉴얼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
  11. 복수의 호이스트들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물체들을 감아올려 이동시키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통해서 통신하는 단계;
    제어장치가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이스트들의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물체들의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들의 재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00082511A 2020-07-06 2020-07-06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204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11A KR102204951B1 (ko) 2020-07-06 2020-07-06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11A KR102204951B1 (ko) 2020-07-06 2020-07-06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951B1 true KR102204951B1 (ko) 2021-01-19

Family

ID=7423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11A KR102204951B1 (ko) 2020-07-06 2020-07-06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9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675B1 (ko) 2004-08-17 2006-07-05 주식회사 포스콘 무인크레인의 3축 연동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7178A (ko) * 2012-12-28 2014-07-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크레인의 위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6738B1 (ko) * 2019-06-04 2020-05-19 주식회사 지오플랜코리아 무선통신기반 크레인 위치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675B1 (ko) 2004-08-17 2006-07-05 주식회사 포스콘 무인크레인의 3축 연동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7178A (ko) * 2012-12-28 2014-07-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크레인의 위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6738B1 (ko) * 2019-06-04 2020-05-19 주식회사 지오플랜코리아 무선통신기반 크레인 위치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557B1 (ko) 자율 주행 기반 무인 운반차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2712431B (zh) 具有安全区域防护装置的换卷器
WO2019092937A1 (ja) クレーン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101660162B1 (ko) 자율 주행 기반 무인 운반차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I126578B (fi) Menetelmä nostolaitteen ohjaamiseksi, nostolaitteen ohjausjärjestelmä, nostolaitejärjestelmä, tietokoneohjelma ja nostolaitteen päivitysyksikkö
JP200700863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US20200207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elevator service based on a detected number of passengers
KR102204951B1 (ko) 비콘을 활용한 크레인 자동 이동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100120459A (ko) 크레인 작업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25137A1 (en) Sway mitigation for material handling
WO2020184168A1 (ja) 無人搬送車の通信システム
JP2019205132A (ja) 位置表示システム
JP5937984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CN111542484B (zh) 起重机设备
RU2347736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варианты)
JP2009274862A (ja) クレーンの干渉防止装置
JP2006256783A (ja) エレベータの無線式データ伝送装置
CN111942973B (zh) 电梯控制装置、机器人故障预兆诊断系统及其方法
JP2020030051A (ja) 屋内クレーンの自動運転装置及び自動運転方法
JP6188878B1 (ja) 保守作業支援装置および保守作業支援方法
US2007010238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ne with multicable drive
KR102132481B1 (ko)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JP2021123438A (ja) クレーンシステム
EP3643662B1 (en) Elevator system to direct passenger to tenant in building whether passenger is inside or outside building
JP4893679B2 (ja) 走行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