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207B1 - 철근 사선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사선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207B1
KR102229207B1 KR1020200176369A KR20200176369A KR102229207B1 KR 102229207 B1 KR102229207 B1 KR 102229207B1 KR 1020200176369 A KR1020200176369 A KR 1020200176369A KR 20200176369 A KR20200176369 A KR 20200176369A KR 102229207 B1 KR102229207 B1 KR 10222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utting
unit
supply unit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비앤씨
Priority to KR102020017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 B23D17/0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63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rotary driving means
    • B23Q7/146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rotary driving means comprising rollers or cogwheels, or pini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이 필요에 따라 사선으로 절단될 수 있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사선 절단장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철근을 낱개로 순차 공급하는 철근공급부; 상기 철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철근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근을 배출하여 적재하는 배출부; 및 상기 철근공급부, 절단부 및 배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철근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 사선 절단장치{Rebar Diagonal lin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철근 사선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길이에 맞추어 철근을 연속으로 자동 절단하는 철근 절단장치에 있어서, 철근의 양단을 사선(대각선)으로 절단하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탄소강을 주재료로 하여 주요 구조물을 지탱하는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철근은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된 다음 필요한 길이에 맞추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이 철근 절단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되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철근 절단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철근을 미리 설정된 길이에 맞추어 자동으로 절단하는 철근 절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근 절단장치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031883호의 철근절단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철근절단장치는, 철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다수개의 철근을 보관하며 보관된 철근을 상기 이송부의 후방부로 공급하는 적재부; 상기 이송부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기 설정된 지점에 위치된 철근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절단하고자 하는 철근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이송되는 철근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상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다수개의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조정부재의 상단 중 일부는 상기 이송부의 좌측을 향해 기울어진 하향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조정부재의 상단 중 나머지는 상기 이송부의 우측을 향해 기울어진 하향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조정부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철근의 이동 방향을 따라 차례로 구비되고, 철근절단장치는 상기 다수개의 조정부재들의 직선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철근의 절단 길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조정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재부는, 다수개의 철근이 보관되고 상기 이송부 방향으로 경사져 구비되는 하우징 및 보관된 철근을 상기 이송부로 공급하는 철근공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공급부재는, 상기 하우징 상에 보관된 철근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단면이 타원 형태를 가지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 위로 돌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면 위로 돌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2 스토퍼보다 상기 이송부와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캠부재의 최대 폭보다 작고 상기 철근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철근절단장치는 미리 설정된 길이로 연속하여 철근을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구조물이나 지중에 철근이 소정 깊이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철근의 선단을 대각선(사선)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1차로 절단된 철근을 2차로 추가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철근이 필요에 따라 사선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철근 절단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31883 B1 (2019. 10. 07.) KR 10-1971122 B1 (2019. 04. 16.) KR 10-1683845 B1 (2016. 12. 01.) KR 10-1430905 B1 (2014. 08. 10.) KR 10-1038816 B1 (2011. 05. 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 절단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철근이 필요에 따라 사선으로 절단될 수 있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사선 절단장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철근을 낱개로 순차 공급하는 철근공급부; 상기 철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철근을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부를 통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근을 배출하여 적재하는 배출부; 및 상기 철근공급부, 절단부 및 배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철근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철근공급부가 상기 철근이 공급되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철근을 상기 절단부로 공급하는 공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부는, 적재된 상기 철근을 상기 공급부 쪽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경사가이드; 및 상기 경사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철근을 낱개로 피딩하여 상기 공급부로 공급하는 피딩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딩롤러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에 상기 철근이 낱개로 수용되는 소정 지름의 피딩홈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피딩홈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3 ~ 6개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피딩롤러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된 다음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딩롤러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동시에 회전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절단부의 수평이송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고, 이를 통해 절단부로 공급되는 철근을 필요에 따라 사선으로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를 통해 수직가이드레일의 위치가 수평으로 조절되어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므로 유압장치를 통한 커터의 승강 동작(커팅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각도 조절된 상태가 강건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사선 절단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프레임과 커터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에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근이 필요에 따라 사선으로 절단될 수 있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 절단부(20), 배출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제조된 철근(1)이 적재된 다음 후술되는 절단부(20) 쪽으로 낱개의 철근(1)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공급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복수 개의 철근이 적재되는 적재부(11)와, 상기 적재부(11)에 적재된 철근(1)을 상기 절단부(20)로 공급하는 공급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적재부(11)에는 적재된 철근(1)을 공급부(12) 쪽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경사가이드(11A)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가이드(11A)를 통해 안내되는 철근(1)을 낱개로 피딩하여 공급부(12)로 공급하는 피딩롤러(11B)가 구비된다.
또한, 복수 개의 경사가이드(11A)는 승강장치를 통해 적재부(11)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되어 적재부(11)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경사가이드(11A)가 적재부(1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재부(11)에 철근(1)이 적재되게 되며, 이후 경사가이드(11A)가 소정 높이로 상승되면서 적재부(11)에 적재된 철근(1)을 피딩롤러(11B)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경사가이드(11A) 또는 적재부(11)의 바닥에는 중량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적재부(11)에 적재된 철근(1)의 하중에 따라 상승되는 경사가이드(11A)의 높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검출되는 중량이 설정된 기준 중량 대비 큰 경우에는 경사가이드(11A)의 높이를 5~10㎝ 범위로 제어하고, 검출되는 중량이 설정된 기준 중량 대비 작은 경우에는 경사가이드(11A)의 높이를 15~20㎝ 범위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기준 중량 대비 검출되는 중량이 큰 경우 적재부(11)에 적재된 철근(1)의 수가 많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경우 경사가이드(11A)가 10㎝를 초과하여 상승되면 많은 수의 철근(1)이 한꺼번에 피딩롤러(11B) 쪽으로 이동되게 되면서 피딩롤러(11B)를 통한 피딩 동작이 원환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고, 기준 중량 대비 검출되는 중량이 작은 경우 적재부(11)에 적재된 철근(1)의 수가 적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경우 경사가이드(11A)가 15㎝를 초과하여 상승되도록 하여 적재부(11)의 철근(1)이 피딩롤러(11B) 쪽으로 확실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에서 기인된다.
한편, 피딩롤러(11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피딩롤러(11B)의 둘레에 철근(1)이 낱개로 수용되는 소정 지름의 피딩홈(11B')이 방사상으로 1개 또는 복수 개 형성되며, 이에 의해 경사가이드(11A)를 통해 피딩롤러(11B) 쪽으로 철근(1)이 이동되면 피딩홈(11B')에 낱개의 철근(1)이 삽입된 다음, 피딩롤러(11B)의 회전 동작에 의해 공급부(12) 쪽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피딩홈(11B')은 공급부(12) 쪽으로 공급되는 철근(1)의 속도를 쉽고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동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딩홈(11B')이 90° 이상의 간격을 두고 2 ~ 4개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피딩롤러(11B)가 회전 동작됨에 따라 피딩홈(11B')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2개 이상의 철근(1)이 구조적으로 공급부(12) 쪽으로 동시에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피딩롤러(11B)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된 다음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회전축(11B")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회전축(11B")이 회전 동작되면 복수 개의 피딩롤러(11B)가 동시에 회전 동작되면서 피딩홈(11B')의 위치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게 된다.
또한, 공급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V"자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이송롤러(12A)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적재부(11)에서 낱개로 공급되는 철근(1)이 "V"자 모양의 바닥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위치가 정렬된 다음 이송롤러(12A)를 통해 절단부(20) 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절단부(20)는 철근공급부(10)의 공급부(12)를 통해 이송되는 철근(1)을 설정된 길이에 맞춰 절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절단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과 저면이 개방된 "ㄷ"자 모양의 가이드프레임(2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이송되는 철근(1)의 유동을 방지하는 받침대(22)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23)과,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23)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동작되어 상기 받침대(22)의 철근(1)을 절단하는 커터(24)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커터(24)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키는 유압장치(25)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유압장치(25)로 소정 압력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유닛(26)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프레임(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가이드레일(21A)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가이드레일(21A)에 수직가이드레일(23)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프레임(21)에는 수직가이드레일(23)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21B)가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21B)는 수직가이드레일(23)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반대편에 서로 대향되어 설치되고, 이러한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21B)를 통해 로드(도면부호 없음)가 인입출 동작되는 것에 의해 커터(24)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수평이송장치(21B)는 유압에 의해 로드가 인입출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커터(24)의 설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커터(24)의 커팅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유압에 의해 수직가이드레일(23)이 강건하게 지지되면서 조절된 각도가 쉽게 변경되지 않게 된다.
한편, 커터(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면서 저면을 따라 철근(1)을 절단하는 절단날(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는 커터본체(24A)와, 상기 커터본체(24A)의 양단에 소정 크기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24B) 및 상기 커터본체(24A)의 상면에 위치되어 유압장치(25)의 로드(도면부호 없음)가 연결되는 로드결합부(24C)를 포함한다.
그리고 힌지결합부(24B)에는 수직가이드레일(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는 수직이송블록(23A)에 힌지 결합되는 소정 크기의 힌지결합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힌지결합공은 커터(24)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직가이드레일(23)이 이송되게 됨에 따라 수직이송블록(23A) 간의 간격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24B')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터(24)를 통해 철근(1)이 절단될 때 발생하는 힘이 힌지결합부(24B) 및 힌지 부분에 집중되어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따라서 유압장치(25)의 로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송블록(23A)의 상면과 커터(24)의 상면을 동시에 가압하는 소정 길이의 가압판(25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후술되는 제어부(40)를 통해 수평이송장치(21B)의 동작을 제어하면 커터(24)의 설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철근(1)이 각도 조절된 커터(24)를 통해 선택적으로 사선 절단되게 된다.
배출부(30)는 절단부(20)를 통과하는 철근(1)의 절단 길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절단된 철근(1)을 배출하여 분리 적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배출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배출가이드판(31)이 설치되고, 이러한 배출가이드판(31)의 양측으로 복수 개의 거리조절대(32)가 설치되며, 상기 거리조절대(32)를 통해 자유 낙하되는 거리가 조절되어 배출되는 철근(1)이 각각 적재되는 복수 개의 수납부(33)를 포함한다.
이때 배출가이드판(31)은 철근(1)의 절단 길이에 맞추어 상승되고, 이를 통해 커터(24)와 배출가이드판(31) 사이의 간격만큼의 길이로 철근(1)이 절단되게 되며, 그 결과 상승되는 배출가이드판(3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로 철근(1)이 절단되게 된다.
또한, 배출가이드판(31)은 상면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경사플레이트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고, 이러한 2개의 경사플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사플레이트가 상승되는 것에 의해 철근(1)이 배출되는 방향이 선택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에 더해 경사플레이트를 통해 배출 방향이 선택되고 나면, 한 방향에 복수 열로 구비되는 수납부(33) 중에서 선택된 열 쪽으로 철근(1)이 적재되도록 거리조절대(32)가 슬라이딩 동작되어 배출 위치(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제어부(40)는 철근공급부(10), 절단부(20) 및 배출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제어부(40)는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작업자가 철근(1)의 길이를 선택하는 길이선택부와, 일반절단 또는 사선 절단 중에서 선택하는 절단 종류 선택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40)에는 절단된 철근(1)이 배출되어 수납되는 수납부(33)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와, 절단되는 철근(1)의 목표 수량을 설정하는 목표 수량 설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더해 피딩롤러(11B)와 이송롤러(12A)의 동작을 제어하여 철근(1)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가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 동작을 수동으로 전환하는 수동전환부와, 이상 동작시 절단 동작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절단 종류 선택부는 0°(일반절단), 45° 및 6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철근(1)의 절단 각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이렇게 절단 종류 선택부를 통해 절단 각도가 선택되면, 수평이송장치(21B)가 제어되어 커터(24)의 설치 각도가 0°, 45° 및 60°로 조절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0)에는 커터(24)의 설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 또는 카메라를 통해 커터(24)의 각도로 감지되거나 도는 커터(24)가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영상이 출력되고, 이를 통해 커터(24)의 설치 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해가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제의 커터(24) 각도와 작업자가 선택한 각도 간에 차이가 발생하면, 절단 작업이 비상 정지되고, 알람 등을 통해 작업자가 커터(24) 각도를 재정렬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절단부의 수평이송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커터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고, 이를 통해 절단부로 공급되는 철근이 필요에 따라 사선으로 절단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철근 10: 공급부
11: 적재부 11A: 경사가이드
11B: 피딩롤러 11B': 피딩홈
11B": 회전축 12: 공급부
12A: 이송롤러 20: 절단부
21: 가이드프레임 21A: 수평가이드레일
21B: 수평이송장치 22: 받침대
23: 수직가이드레일 23A: 수직이송블록
24: 커터 24A: 커터본체
24B: 힌지결합부 24B': 장공
24C: 로드결합부 25: 유압장치
25A: 가압판 26: 유압공급유닛
30: 배출부 31: 배출가이드판
32: 거리조절대 33: 수납부
40: 제어부

Claims (5)

  1.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철근(1)을 낱개로 순차 공급하는 철근공급부(10);
    상기 철근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철근(1)을 절단하는 절단부(20);
    상기 절단부(20)를 통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철근(1)을 배출하여 적재하는 배출부(30); 및
    상기 철근공급부(10), 절단부(20) 및 배출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20)는,
    양측면과 저면이 개방된 "ㄷ"자 모양의 가이드프레임(21);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이송되는 철근(1)의 유동을 방지하는 받침대(22);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23);
    상기 한 쌍의 수직가이드레일(23)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 동작되어 상기 받침대(22)의 철근(1)을 절단하는 커터(24);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커터(24)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동작시키는 유압장치(25);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유압장치(25)로 소정 압력의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유닛(26);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1)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가이드레일(21A)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가이드레일(21A)에 수직가이드레일(23)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1)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레일(23)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21B)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21B)는,
    상기 수직가이드레일(23)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반대편에 서로 대향되어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21B)를 통해 상기 커터(24)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커터(24)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철근(1)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철근공급부(10)는,
    상기 철근(1)이 공급되어 적재되는 적재부(11); 및
    상기 적재부(11)에 적재된 상기 철근(1)을 상기 절단부(20)로 공급하는 공급부(12);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부(11)는,
    적재된 상기 철근(1)을 상기 공급부(12) 쪽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경사가이드(11A); 및
    상기 경사가이드(11A)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철근(1)을 낱개로 피딩하여 상기 공급부(12)로 공급하는 피딩롤러(11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11B)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에 상기 철근(1)이 낱개로 수용되는 소정 지름의 피딩홈(11B')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11B)는,
    상기 피딩홈(11B')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1 ~ 4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11B)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된 다음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회전축(11B")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딩롤러(11B)가 상기 회전축(11B")의 회전 동작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선 절단장치.
KR1020200176369A 2020-12-16 2020-12-16 철근 사선 절단장치 KR10222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69A KR102229207B1 (ko) 2020-12-16 2020-12-16 철근 사선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69A KR102229207B1 (ko) 2020-12-16 2020-12-16 철근 사선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207B1 true KR102229207B1 (ko) 2021-03-17

Family

ID=7524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369A KR102229207B1 (ko) 2020-12-16 2020-12-16 철근 사선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23437B (zh) * 2024-04-12 2024-06-07 兴化市方圆消防器材有限公司 一种钢筋快速截断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16B1 (ko) 2009-08-18 2011-06-03 박정혜 휴대용 유압식 철근절단기의 펌프구동장치
KR20110065165A (ko) * 2009-12-09 2011-06-15 콘프라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면취장치
KR101385320B1 (ko) * 2012-09-17 2014-04-16 이지마크(주) 이동물체용 자동마킹장치및 그 마킹방법
KR101430905B1 (ko) 2013-09-24 2014-08-21 박정혜 철근절단기의 이동커터 왕복 이동장치
KR20160002653A (ko) * 2015-12-24 2016-01-08 김용규 자동 각도 절단장치
KR101683845B1 (ko) 2016-03-15 2016-12-07 박미숙 커팅로드의 이동 거리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철근 절단기
KR101971122B1 (ko) 2018-12-03 2019-04-22 김태준 철근 절단 장치
KR102031883B1 (ko) 2019-03-11 2019-11-08 조준형 철근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16B1 (ko) 2009-08-18 2011-06-03 박정혜 휴대용 유압식 철근절단기의 펌프구동장치
KR20110065165A (ko) * 2009-12-09 2011-06-15 콘프라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자동 면취장치
KR101385320B1 (ko) * 2012-09-17 2014-04-16 이지마크(주) 이동물체용 자동마킹장치및 그 마킹방법
KR101430905B1 (ko) 2013-09-24 2014-08-21 박정혜 철근절단기의 이동커터 왕복 이동장치
KR20160002653A (ko) * 2015-12-24 2016-01-08 김용규 자동 각도 절단장치
KR101683845B1 (ko) 2016-03-15 2016-12-07 박미숙 커팅로드의 이동 거리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철근 절단기
KR101971122B1 (ko) 2018-12-03 2019-04-22 김태준 철근 절단 장치
KR102031883B1 (ko) 2019-03-11 2019-11-08 조준형 철근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23437B (zh) * 2024-04-12 2024-06-07 兴化市方圆消防器材有限公司 一种钢筋快速截断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21B1 (ko) 철근 절단장치
KR101498337B1 (ko) 파이프 가공 장치용의 가변적 언로딩 장치
KR102031883B1 (ko) 철근절단장치
US4060955A (en) Machine for mechanical production of brick masonry
DE2605970C3 (de) Einrichtung zur Erleichterung des Materialtransports und des Aufbaus von längs ihres Umfangs geschlossenen Wänden aus Formstein, insbesondere der Auskleidung von Konvertern, metallurgischen öfen, wie Hochöfen, Warmhaltevorrichtungen o.dgl
CN109703096B (zh) 一种开板机
US20170144846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he deposition of profiled rods
KR20100000570A (ko) 환봉 절단 장치
KR101612539B1 (ko) 천공 위치 이동식 건축 자재용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홀 천공 방법
KR102229207B1 (ko) 철근 사선 절단장치
KR100620593B1 (ko) 금속재 절단장치
KR20090080408A (ko) 금속재 절단기용 배출장치
CN209850327U (zh) 钢筋切割运转装置的托举机构
CN209850328U (zh) 钢筋切割运转装置
KR101493725B1 (ko) 소재 공급 제어 기능을 갖는 정렬-적재 장치
KR20170098018A (ko) 철근 절단라인용 분리배출장치
KR102524618B1 (ko)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JPH11263430A (ja) 棒材供給装置
KR101979549B1 (ko) 금속봉 자동 절단장치
CN107963408B (zh) 一种自检调整型运输轨道
KR101862300B1 (ko) 샤링기
CN102040094B (zh) 一种别针穿装机中的别针输送装置
US10161202B2 (en) Drill rod store, drilling rig and method for downward drilling
KR102174742B1 (ko) 롤벤딩장치
JPS5825157B2 (ja) ホ−ベ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