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18B1 -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18B1
KR102228618B1 KR1020200009456A KR20200009456A KR102228618B1 KR 102228618 B1 KR102228618 B1 KR 102228618B1 KR 1020200009456 A KR1020200009456 A KR 1020200009456A KR 20200009456 A KR20200009456 A KR 20200009456A KR 102228618 B1 KR102228618 B1 KR 10222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bsorber
jig
door
antenna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정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10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 G01R29/105Radiation diagrams of antennas using anechoic chambers; Chambers or open field sites us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1Complete apparatus or systems; circuits, e.g. receivers or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는 점검 프로브가 구비되고, 내측벽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며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챔버; 챔버의 개방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고정지그부가 구비되고, 고정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고정도어; 챔버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1지그부가 구비되고, 제1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제1이동도어; 및 챔버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2지그부가 구비되고, 제2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제2이동도어;를 포함하되, 안테나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고정도어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는 각각 흡수체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N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정렬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의 방사((radiation) 패턴을 측정하고 안테나를 시험하기 위해서 차폐된 챔버가 사용되고 있다.
안테나의 시험시에는 안테나와 챔버 내에 설치된 점검 프로브를 정렬하여야 하는데, 이와 동시에 안테나에서 생성되는 RF신호가 챔버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간의 정렬 및 차폐를 위해 차폐용 흡수체를 이동 구조물에 부착하고, 흡수체와 안테나 하우징을 접촉시켜 정렬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따른 정렬 과정을 살펴보면, 안테나를 둘러싸는 하우징이 흡수체를 먼저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흡수체가 설치된 이동 구조물이 이동하여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어 정렬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험장치에서는 안테나 하우징이 흡수체를 충분히 가압한 이후에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가 가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매 정렬작업마다 오차가 발생하여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의 상대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테나 하우징이 흡수체를 가압하면서 정렬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흡수체에 손상이 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위치에는 차폐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7-00692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흡수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정렬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안테나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는, 내부에는 점검 프로브가 구비되고, 내측벽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며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챔버; 챔버의 개방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고정지그부가 구비되고, 고정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고정도어; 챔버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1지그부가 구비되고, 제1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제1이동도어; 및 챔버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2지그부가 구비되고, 제2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제2이동도어;를 포함하되, 안테나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고정도어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는 각각 흡수체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동도어는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이동도어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는, 회전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도록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조절부는, 일측면이 흡수체와 연결되는 가압판이 포함되고, 볼트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상단에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비된 파지부와, 몸체 하단에 형성된 구형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가압판의 타측면에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되어 볼트가 회전가능하도록 가압판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는, 볼트의 몸체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에 구비된 흡수체는 안착될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 중 하나에 구비된 흡수체는 2개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지그부에 구비된 흡수체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이 제1이동도어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1부분이 제1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고,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2부분이 제2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어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에 구비된 흡수체의 폭은,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챔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근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도어 또는 제1이동도어 또는 제2이동도어에는 레이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안테나 시험방법은, 전술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1부분을 제1이동도어의 제1리미트 스위치와 접촉시키고,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2부분을 제2이동도어의 제2리미트 스위치와 접촉시켜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를 정렬하는 단계; 및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가 정렬된 이후,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에 각각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사용하여 흡수체를 각각 이동시켜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기능을 갖는 흡수체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구비하여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가 정렬된 후에 차폐되도록 함으로써 흡수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의 정렬 위치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정확한 정렬이 가능하여 시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에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구성하는 볼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에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구성하는 가압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를 사용한 안테나 시험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챔버(110)와, 챔버(110)의 개방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도어(120)와, 챔버(110)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를 포함한다.
챔버(110)는, 그 내부에 안테나(미도시)와 정렬되어 시험을 수행하는 점검 프로브(미도시)가 구비되며, 챔버(110)의 내측벽에는 흡수체(150)가 장착되며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시험할 안테나(미도시)가 개방부를 통해 챔버(1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도어(120)는, 챔버(110)의 개방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고정지그부(121)가 구비된다.
고정지그부(121)는, 고정도어(120)의 내측 에지를 따라 소정폭으로 돌출되는 구조물로 형성되어 안테나 하우징(미도시)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안착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지그부(121)의 내측면에는 안테나(미도시)에서 발생된 RF신호가 챔버(11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며 차폐기능을 갖는 흡수체(150)가 장착된다.
제1이동도어(130)는, 챔버(110)의 개방부에 제1방향, 예를 들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1지그부(131)가 구비된다.
제1지그부(131)는, 제1이동도어(130)의 내측 에지를 따라 소정폭으로 돌출되는 구조물로 형성되어 안테나 하우징(미도시)를 파지하는 구성으로, 제1지그부(131)의 내측면에는 고정지그부(121)와 동일하게 차폐기능을 갖는 흡수체(150)가 장착된다.
제2이동도어(140)는, 챔버(110)의 개방부에 제1방향 또는 제1방향 및 제2방향, 예를 들면 가로방향이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2지그부(141)가 구비된다.
제2지그부(141)는, 제2이동도어(140)의 내측 에지를 따라 소정폭으로 돌출되는 구조물로 형성되어 안테나 하우징(미도시)를 파지하는 구성으로, 제2지그부(141)의 내측면에는 고정지그부(121)와 동일하게 차폐기능을 갖는 흡수체(15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를 손으로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33,143)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는 전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제1이동도어(130)가 세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제2이동도어(140)가 세로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고정도어(120)와 2개의 이동도어(130,140)에 구비된 흡수체(150)가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각 지그부(121,131,141)를 조합할 경우,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를 감싸면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의 이동방향을 다양한 조합으로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챔버(110)에 고정된 고정도어(110)와, 이동가능한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로 구성되어 안테나(미도시)가 챔버(110)의 전면 개방부에 정렬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즉, 고정도어(110)는 정렬의 기준면이 되고,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는 안테나(미도시)의 정렬을 위해 좌우, 상하의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정 형상을 갖는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을 점검 프로브(미도시)와 정렬되도록 위치시켜 안테나 방사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정렬을 위해, 본 발명은 고정도어(120),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레이저 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고정도어(110)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161,163)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161,163)는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 정렬의 기준이 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고정도어(1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시험을 위한 정렬단계는, 먼저 다수개의 레이저 센서(미도시)들에 의해 측정된 값을 근거로 X,Y,Z축별로 정렬 목표값을 만족시키도록 제1이동도어(130) 및 제2이동도어(140)를 이동시킨다.
각 축별로 정렬 목표값을 만족시키도록 위치된 이후에는, 고정도어(110)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161,163)에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이 접촉하도록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정렬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렬단계가 완료된 이후에는 차폐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100)는 차폐기능을 갖는 흡수체(150)가 고정지그부(121), 제1 및 제2지그부(131,141)에 각각 구비되고, 각 흡수체(150)들을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에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구성하는 볼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에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구성하는 가압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치조절부는 흡수체(150)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공지된 위치이동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에 의해 조금씩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는 볼트(171)를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71)가 고정도어(120)의 고정지그부(12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고정지그부(121)에는 제1지그부재(121a)와 제2지그부재(121b)가 포함되고, 제2지그부재(121b)의 하측면에는 흡수체(150)가 설치된다.
여기서, 흡수체(150)의 폭은,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가 챔버(110)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그 깊이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안테나 하우징(미도시)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지그부재(121a)는 대략 'ㄷ'자형의 홈부를 가지며, 제2지그부재(121b)는 제1지그부재(121a)의 홈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제2지그부재(121b)는 볼트(171)의 회전에 따라 제1지그부재(121a)의 홈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조절부를 구성하는 구성들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를 구성하는 볼트(171)는,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171a)와, 몸체(171a) 상단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좌우측에 면적이 확장되도록 각각 구비된 파지부(171d)와, 몸체(171c) 하단에 형성된 구형 연결부재(171c)를 포함한다. 볼트(171)의 몸체(171a)에 하측에는 나사산(171b)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171d)가 구비된 캡티브(captive) 형식의 볼트(171)를 사용함으로써 손으로 간편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트(171)의 몸체(171a)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스프링(173)이 나사산(171b)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위치조절을 완료한 후에는 스프링(173)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가도록 구성된다.
볼트(171)의 구형 연결부재(171c)는 가압판(177)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175)가 가압판(177)의 일측에 구비된다. 가압판(177)의 타측은 도 2의 흡수체(150)에 연결되는데, 일실시예로 가압판(177)의 타측이 제2지그부재(121b)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가압판(177)과 제2지그부재(121b)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100)에 구비된 위치조절부는, 구형 연결부재(171c)를 구비한 캡티브 볼트(171)과 가압판(177)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볼트(171)가 회전하더라로 가압판(177)이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판(177)과 연결된 흡수체(150)이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하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험이 완료된 이후에는, 볼트(171)에 포함된 스프링(173)에 의해 흡수체(150)가 원래의 위치인 제1지그부재(121a)의 홈부 내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미도시)가 정렬된 이후에 위치조절부에 의해 흡수체(150)이 이동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그부(121), 제1 및 제2지그부(131,141) 중 하나에 구비된 흡수체(150)는 2개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도 1의 예에서, 제1지그부(131)에 구비된 흡수체(150)는 제1흡수체(150a)와 제2흡수체(150b)로 분리되어 있고, 이 둘은 소정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체(150)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되어 이격 배치됨으로써 위치조절부에 의해 흡수체(150)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도 1의 예에서 제1지그부(131)의 상측에 구비된 제1흡수체(150a)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1지그부(131)의 하측에 구비된 제2흡수체(150b)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안테나 하우징(미도시)의 외측부를 감싸며 차폐하게 된다.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위치조절부에 의해 흡수체(150)가 이동되는 방향(상하방향)은 제1이동도어(130)의 이동방향(가로방향)과 수직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를 사용한 안테나 시험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험방법은, 정렬단계와 차폐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정렬단계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하우징(201)의 외측부 제1부분을 고정지그부(121)의 제1리미트 스위치(161)와 접촉시키고, 안테나 하우징(201)의 외측부 제2부분을 고정지그부(121)의 제2리미트 스위치(163)와 각각 접촉시켜 안테나 하우징(201)에 구비된 안테나(미도시)와 점검 프로브(미도시)를 정렬하게 된다.
이후, 고정지그부(121), 제1 및 제2지그부(131,141)에 각각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사용하여 흡수체(150)를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안테나(미도시)를 차폐시키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와 위치변경이 가능한 흡수체를 이용하여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를 정렬시킨 다음, 흡수체로 차폐시킴으로써 흡수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정렬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테나 시험장치
120: 고정도어
121: 고정지그부
130: 제1이동도어
131: 제1지그부
133,143: 손잡이부
140: 제2이동도어
141: 제2지그부
150: 흡수체
161,163: 리미트 스위치

Claims (12)

  1. 내부에는 점검 프로브가 구비되고, 내측벽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며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챔버;
    챔버의 개방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고정지그부가 구비되고, 고정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고정도어;
    챔버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1지그부가 구비되고, 제1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제1이동도어; 및
    챔버의 개방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안착되는 제2지그부가 구비되고, 제2지그부의 내측면에는 흡수체가 장착되는 제2이동도어;를 포함하되,
    안테나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고정도어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는 각각 흡수체를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이동도어는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이동도어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위치조절부는, 회전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도록 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위치조절부는, 일측면이 흡수체와 연결되는 가압판이 포함되고,
    볼트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 상단에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비된 파지부와, 몸체 하단에 형성된 구형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가압판의 타측면에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가 구비되어 볼트가 회전가능하도록 가압판과 결합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위치조절부는,
    볼트의 몸체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에 구비된 흡수체는 안착될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 중 하나에 구비된 흡수체는 2개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지그부에 구비된 흡수체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이 제1이동도어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 시험장치는,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1부분이 제1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고,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2부분이 제2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어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가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에 구비된 흡수체의 폭은,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가 챔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근거로 형성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정도어 또는 제1이동도어 또는 제2이동도어에는
    레이저 센서가 설치되는, 안테나 시험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1부분을 제1리미트 스위치와 접촉시키고,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부 제2부분을 제2리미트 스위치와 접촉시켜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를 정렬하는 단계; 및
    안테나와 점검 프로브가 정렬된 이후, 고정지그부, 제1 및 제2지그부에 각각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사용하여 흡수체를 각각 이동시켜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험방법.
KR1020200009456A 2020-01-23 2020-01-23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KR10222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56A KR102228618B1 (ko) 2020-01-23 2020-01-23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56A KR102228618B1 (ko) 2020-01-23 2020-01-23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618B1 true KR102228618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456A KR102228618B1 (ko) 2020-01-23 2020-01-23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6906A1 (en) * 2011-01-07 2012-07-12 Abraham Hartenstein Testing system for a wireless access device and method
KR101443256B1 (ko) * 2014-04-15 2014-09-22 강성덕 슬라이딩 도어형 밀폐 챔버장치
CN104569635A (zh) * 2013-10-15 2015-04-29 深圳市通用测试系统有限公司 无线终端天线性能测试系统
KR101525993B1 (ko) * 2013-12-27 2015-06-05 주식회사 이레테크 차폐실용 도어 시스템
KR20170069235A (ko) 2014-10-16 2017-06-20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안테나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6906A1 (en) * 2011-01-07 2012-07-12 Abraham Hartenstein Testing system for a wireless access device and method
CN104569635A (zh) * 2013-10-15 2015-04-29 深圳市通用测试系统有限公司 无线终端天线性能测试系统
KR101525993B1 (ko) * 2013-12-27 2015-06-05 주식회사 이레테크 차폐실용 도어 시스템
KR101443256B1 (ko) * 2014-04-15 2014-09-22 강성덕 슬라이딩 도어형 밀폐 챔버장치
KR20170069235A (ko) 2014-10-16 2017-06-20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안테나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071B2 (en) Position-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a component holder for electronic components
CN108132388B (zh) 一种确定被测物电磁性能的测试装置
KR102059833B1 (ko)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
US4535543A (en) Dynamic feeler head
US6747447B2 (en) Locking apparatus and loadboard assembly
CN111735400B (zh) 齿轮检测台
DE1001898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von Transmissions- und Reflexionseigenschaften von Gegenständen und Oberflächen
KR102228618B1 (ko) 안테나 시험장치 및 방법
JP2003207330A (ja) トリガプローブおよびトリガプローブの組立て方法
KR20140074630A (ko) 비접촉식 진동특성 측정장치
KR20210080481A (ko) 측정 장치 및 측정 장치 동작 방법
JP6875190B2 (ja) 繊維強化樹脂製板バネの超音波探傷装置
CN104227601B (zh) 一种四象限光电探测器夹持对准装置
CN114487620B (zh) 天线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8151946A (zh) 触觉测试测量设备及在触觉测试测量中确定力-位移曲线的方法
KR101962710B1 (ko) 튜브 구조 부품의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검사 방법
KR101727504B1 (ko)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TWI593954B (zh) 雷射測量裝置及其校準機構
CN211876931U (zh) 一种吊钩检测装置
KR102485334B1 (ko) 스트라이커 정렬 측정장치
KR102001947B1 (ko) 극한 환경조건이 적용가능한 다부품 내구성 테스트 시스템
KR0140505Y1 (ko) 씨알티 화면 계측용 지그
SU913031A1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i
RU279946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рофиля детали
CN212459405U (zh) 光学量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